KR20100097863A -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 Google Patents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7863A
KR20100097863A KR1020090016721A KR20090016721A KR20100097863A KR 20100097863 A KR20100097863 A KR 20100097863A KR 1020090016721 A KR1020090016721 A KR 1020090016721A KR 20090016721 A KR20090016721 A KR 20090016721A KR 20100097863 A KR20100097863 A KR 20100097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rane
boom
length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귀태
김민환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1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7863A/ko
Publication of KR2010009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 B66C15/02Safety gear for retaining load-engaging elements in the event of rope or cable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부재를 특정 위치에 안정하고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부재가 메인크레인에서 떨어지더라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마스트 프레임과, 메인 크레인과, 상기 메인 크레인 상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어 수직운동을 하면서 중량물을 인양하는 호이스트로 구성되는 타워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레인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부재의 일끝단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보조 크레인과, 상기 제 1 보조 크레인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부재의 타끝단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보조 크레인을 구비하여, 별도의 장비가 없어도 타워 크레인 조작자가 부재를 원하는 좌표에 원하는 방향으로 넣을 수 있고, 조작자의 조작만으로도 부재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건설현장에서의 인력 부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노무비 및 경비를 경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재와 메인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가 끊어진다고 해도 보조 크레인이 1차적으로 버틸 수 있기 때문에 대형사고를 피할 수 있다.
타워크레인, 메인 크레인, 보조 크레인, 위치, 조정

Description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TOWER CRANE CAPABLE OF POSITIONING STRUCTURAL ELEMENTS}
본 발명은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 부재를 특정 위치에 안정하고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부재가 메인크레인에서 떨어지더라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철재빔이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이 부피가 크고 중량의 부재를 인양하여 운반하는데 타워크레인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타워크레인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량의 부재를 인양하여 일정높이까지 수직이동시키는 호이스트와 수직 인양된 부재를 소정위치로 수평이동시키는 트롤리(trolley)에 의해 권상장치가 구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호이스트와 트롤리에는 와이어로프가 각각 연결되며, 이들 와이어로프는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권취드럼(winch)의 정,역회전에 따라 권취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호이스트와 트롤리를 구동시킨다.
종래의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부재를 인양하여 건축물에 설치할 때에는, 부 재 조립시 부재를 정위치 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추락방지용 안전대 또는 구명줄에만 의지한 채 부재에 연결된 로프 등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철골 보 등 중량인 부재의 의 조립은 사람이 이미 설치된 철골 보 등의 위에 올라가 타워크레인에서 내려오는 부재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서 정위치 시키고 볼트를 끼워넣거나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되고, 부재를 설치하고자 하는 정위치에 위치시키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의 정밀도가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 중 보의 회전으로 인한 안전 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으며 조립 과정상 협착, 감김, 끼임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기능 인력의 부족으로 인한 고임금 등은 전체적인 건설 산업의 경쟁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리고 종래의 타워 크레인은 부재가 메인크레인에서 한 번 떨어지는 사고가 일어나면 별도의 장치가 더 이상 없기 때문에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부재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 등의 작업이나 부재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국특허 제 881807호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더블크레인이 제시된 바 있다.
도 2에 나타낸 종래기술은, 부재를 잡거나 볼트체결 및 용접 등과 같은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로봇팔을 구비한 조작장치(400)와 보조크레인을 설치하여, 조작장치를 조정하여 로봇팔이 부재의 일끝단을 파지한 상태에서 보조크레인을 전후 로 작동시켜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더블크레인은, 중량 구조물인 부재를 로봇팔이 안정되게 파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강성구조체인 로봇팔에 의해 부재의 일끝단을 파지하여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어서 부재의 위치조정이 매끄럽게 실행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더블크레인은, 부재가 메인크레인에서 한 번 떨어지는 사고가 일어나면 별도의 장치가 더 이상 없기 때문에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설치하고자 하는 건축물 부재를 인양하여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 맞도록 특정 각도로 용이하고도 안전하게 조정할 수 있고 특정 위치로 운반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재가 메인크레인에서 떨어지더라도 1차적으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타워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지반에 고정설치되는 마스트 프레임과,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크레인과, 상기 메인 크레인 상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어 수직운동을 하면서 중량물을 인양하는 호이스트로 구성되는 타워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레인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부재의 일끝단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보조 크레인과, 상기 제 1 보조 크레인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부재의 타끝단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보조 크레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크레인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회전장치부와, 상기 제 1 회전장치부에 연결되는 제 1 보조 붐과, 상기 제 1 보조 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 1 보조 붐에 연결되는 제 1 슬라이드 붐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보조크레인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회전장치부와, 상기 제 2 회전장치부에 연결되는 제 2 보조 붐과, 상기 제 2 보조 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 2 보조 붐에 연결되는 제 2 슬라이드 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조 붐 및 상기 제 2 보조 붐은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설치하고자 하는 부재의 위치 및 거리의 조정을 할 때에, 상기 제 1 보조크레인의 길이 및 상기 제 2 보조크레인의 길이는 다음 식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1" = (R+R')2 + r2 - 2r(R+R')cos(β+γ)
L2" = (R+R')2 + r2 + 2r(R+R')cos(β+γ)
(여기서, L1은 제 1 보조크레인의 길이, L2는 제 2 보조크레인의 길이, R은 회전장치부의 중심으로부터 부재인양시의 부재의 중심점까지의 거리, R'는 부재인향후 부재가 설치될 위치까지 트롤리가 이동한 거리, r은 부재의 반지름, β은 부재인양시에 마스트 프레임과 부재의 중심점을 잇는 선과, 부재의 양끝단을 연결한 선이 이루는 각도, γ은 부재가 설치될 위치에서의 부재의 각도에 따른 각도의 변화값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타워크레인에 의하면, 타워 크레인에 메인 크레인 이외의 보조 크레인 2개를 설치하고, 보조 크레인의 각각은 부재의 한쪽 끝부분과 반대쪽 끝부분에 연결되어, 보조크레인의 길이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부재를 용이하게 정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장비가 없어도 타워 크레인 조작자가 부재를 원하는 좌표에 원하는 방향으로 넣을 수 있고, 조작자의 조작만으로도 부재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므로 건설현장에서의 인력 부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노무비 및 경비를 경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재와 메인 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가 끊어진다고 해도 보조 크레인이 1차적으로 버틸 수 있기 때문에 대형사고를 피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부재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1)은, 마스트 프레임(2)과, 메인 크레인(3)과, 트롤리(4)와, 호이스트(5)와, 제 1 보조 크레인(10)과, 제 2 보조 크레인(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스트 프레임(2)은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지반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메인 크레인(3)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 크레인에는 트롤리(4)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 크레인 상에서 전후로 직선운동을 한다. 상기 트롤리(4)에는 호이스트(5)가 설치되며, 상기 호이스트(5)는 상기 메인 크레인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하로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인양한다. 상기 메인 크레인에는 상기 트롤리가 설치되는 측의 반대측에 하중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타워크레인은 상기 메인 크레인(3)을 회전(slewing)시키고 상기 트롤리(4)를 직선운동시키면서 상기 호이스트(5)를 운반할 중량물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호이스트(5)를 하강시켜 상기 호이스트(5)에 중량물을 건 후 상기 호이스트(5)를 상승시키고 상기 메인 크레인(3)을 회전시키고 상기 트롤리(4)를 이동시키면서 중량물을 목표지점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호이스트(5)를 하강하여서 중량물을 목표지점에 운반한다. 상기 메인 크레인(3)의 회전, 상기 트롤리(4)의 직선운동, 상기 호이스트(5)의 승강운동은 모타를 이용한 기계적 구동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크레인(3)의 하부에는 제 1 보조 크레인(10)이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보조 크레인(10)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보조 크레인은 상기 메인 크레인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보조크레인(10)은 제 1 회전장치부(11)와, 제 1 보조 붐(12)과, 제 1 슬라이드 붐(13)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1 회전장치부(11)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회전장치부(11)에는 제 1 보조 붐(12)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보조 붐(12)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보조 붐의 하부를 둘러싸는 제 1 슬라이드 붐(13)이 다수의 롤러(1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 1 슬라이드 붐(13)이 상기 제 1 보조 붐(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드 붐(13)의 끝단측의 저면에는 후크나 고리 등 와이어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수단에 부재의 일끝단에 연결되는 보조 와이어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장치부(11)의 상기 제 1 보조 붐(12)이 설치된 측의 반대측에는 하중 밸런스를 맞추기 위하여 보조 카운터웨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보조 크레인(10)의 하부에는 제 2 보조 크레인(20)이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 크레인(10)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 보조 크레인은 상기 메인 크레인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보조크레인(10)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예로 하며, 제 2 회전장치부(21)와, 제 2 보조 붐(22)과, 제 2 슬라이드 붐(23)으로 구성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2 회전장치부(21)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회전장치부(21)에는 제 2 보조 붐(22)이 설치된다. 상기 제 2 보조 붐(22)에는, 상기 제 2 보조 붐의 하부를 둘러싸는 제 2 슬라이드 붐(23)이 다수의 롤러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상기 제 2 슬라이드 붐(23)이 상기 제 2 보조 붐(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드 붐(23)의 끝단측의 저면에는 후크나 고리 등 와이어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 고정수단에 부재의 일끝단에 연결되는 보조 와이어를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회전장치부(21)의 상기 제 2 보조 붐(22)이 설치된 측의 반대측에는 하중 밸런스를 맞추기 위하여 보조 카운터웨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에 의해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메인 크레인의 상기 호이스트에 부재를 와이어를 통해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크레인의 상기 제 1 및 제 2 슬라이드 붐(13, 23)의 저면의 후크 등의 고정수단에 보조 와이어의 일끝단을 각각 걸고 보 조 와이어의 타끝단을 부재의 양끝단에 각각 연결한다. 그리고 보조크레인과 부재에 연결된 줄이 팽팽해 질 때까지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크레인의 각도와 길이를 조정한다.
그리고, 이 때의 제 1 보조 크레인 및 제 2 보조크레인의 길이와 각도의 값을 저장한다.
그런 다음, 부재가 설치되어야 할 위치에서의 부재의 상기 타워크레인에 대한 각도 및 타워크레인까지의 거리 값을 계산한다.
그런 다음, 상기에서 계산된 값에 따라, 상기 제 1 보조 크레인 및 제 2 보조 크레인의 각도 및 길이를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PID와 같은 제어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계산된 각도까지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크레인 및 메인크레인을 제어하여 부재를 설치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 크레인의 길이와 각도의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재를 인양할 때의 제 1 및 제 2 보조 크레인의 각 제원을 고려하면, 제 1 및 제 2 보조크레인의 길이와 각도는 다음과 같이 조정할 수 있다.
L1'= R2 + r2 - 2rRcos(β+γ)
cosα1' = (L1'2 + R2 - r2 )/2L1'R
cosβ = (R2 + r2 - L1 2)/2Rr
여기서, L1 : 제 1 보조크레인의 길이(제 1 보조 크레인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부재의 일끝단까지의 거리), L2 : 제 2 보조크레인의 길이(제 2 보조 크레인의 회전중심으로부터 부재의 타끝단까지의 거리), L1' : 조정후의 제 1 보조크레인의 길이, L2' : 조정 후의 제 2 보조크레인의 길이, α1 : 제 1 보조크레인의 회전중심과 부재의 중심을 잇는 선과 제 1 보조크레인이 이루는 각도, α2 : 제 2 보조크레인의 회전중심과 부재의 중심을 잇는 선과 제 2 보조크레인이 이루는 각도, α1' : 조정후의 제 1 보조크레인의 각도, α2' : 조정후의 제 2 보조크레인의 각도, R : 회전장치부의 중심으로부터 부재인양시의 부재의 중심점까지의 거리, r : 부재의 반지름, β은 부재인양시에 마스트 프레임과 부재의 중심점을 잇는 선과, 부재의 양끝단을 연결한 선이 이루는 각도, γ : 부재가 설치될 위치에서의 부재의 각도에 따른 각도의 변화값이다.
한편, 상기 메인 크레인의 상기 트롤리를 이동시켜 부재를 이동시켜 설치할 때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부재의 위치 및 거리의 조정을 할 수 있다. 이 때의 상기 제 1 보조크레인의 길이 및 상기 제 2 보조크레인의 길이는 다음 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
L1" = (R+R')2 + r2 - 2r(R+R')cos(β+γ)
L2" = (R+R')2 + r2 + 2r(R+R')cos(β+γ)
cosα1' = {L1"2 + (R+R')2 - r2}/2L1'(R+R')
cosβ = (R2 + r2 - L1 2)/2Rr
여기서, L1"은 제 1 보조크레인의 길이, L2"는 제 2 보조크레인의 길이, R'는 부재인향후 부재가 설치될 위치까지 트롤리가 이동한 거리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예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 붐은 평면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상기 제 1 보조 붐 및 상기 제 2 보조 붐은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보조 크레인의 상기 제 1 보조 붐(12)는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제 1 회전장치부(11)에 설치된 힌지축(15)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조 붐에는 보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하기 위하여 복수의 보조 와이어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보조 붐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보조 와이어 연결부(17a, 17b, 17c)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보조 와이어 연결부에는 복수의 보조 와이어(16a, 16b, 16c)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보조 와이어의 타끝단은 와이어 포스트를 통해 보조 카운터웨이트(CW)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보조 와이어를 귄취 구동할 수 있는 구동력이 강한 모터(M)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보조와이어를 권취 구동하여 상기 제 1 보조 붐을 상하 방 향으로 방향 조정이 가능하다.
제 2 보조 붐의 상하 좌우 회전 구성은 제 1 보조 붐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보조 붐 및 제 2 보조 붐을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보조 크레인 및 제 2 보조 크레인의 길이 및 각도의 조정은 부재의 중심을 중심점으로 하고 부재의 양끝단을 외경으로 한 구(球)의 표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조정함으로써 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써 일반적인 2차원 상의 방향 조정이 아니라 3차원의 방향 조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 크레인과 연결된 줄이 팽팽한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크레인에서 부재가 떨어져도 부재가 탈락하여 인명피해 등의 안전사고를 피하고 보조 크레인에 적정한 과부하만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타워크레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타워크레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부재의 방향을 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 크레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워크레인
2 : 마스트 프레임
3 : 메인 크레인
4 : 트롤리
5 : 호이스트
10 : 제 1 보조 크레인
20 : 제 2 보조 크레인

Claims (4)

  1.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지반에 고정설치되는 마스트 프레임과,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크레인과, 상기 메인 크레인 상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에 설치되어 수직운동을 하면서 중량물을 인양하는 호이스트로 구성되는 타워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메인 크레인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부재의 일끝단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보조 크레인과, 상기 제 1 보조 크레인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부재의 타끝단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보조 크레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크레인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회전장치부와, 상기 제 1 회전장치부에 연결되는 제 1 보조 붐과, 상기 제 1 보조 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 1 보조 붐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부재의 일끝단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슬라이드 붐을 구비하며,
    상기 제 2 보조크레인은, 상기 마스트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회전장치부와, 상기 제 2 회전장치부에 연결되는 제 2 보조 붐과, 상기 제 2 보조 붐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제 2 보조 붐에 연결되며 설치되는 부재의 타끝단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슬라이드 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붐 및 상기 제 2 보조 붐은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치하고자 하는 부재의 위치 및 거리의 조정을 할 때에, 상기 제 1 보조크레인의 길이 및 상기 제 2 보조크레인의 길이는 다음 식으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L1" = (R+R')2 + r2 - 2r(R+R')cos(β+γ)
    L2" = (R+R')2 + r2 + 2r(R+R')cos(β+γ)
    (여기서, L1"은 조정후의 제 1 보조크레인의 길이, L2"는 조정후의 제 2 보조크레인의 길이, R은 회전장치부의 중심으로부터 부재인양시의 부재의 중심점까지의 거리, R'는 부재인향후 부재가 설치될 위치까지 트롤리가 이동한 거리, r은 부 재의 반지름, β은 부재인양시에 마스트 프레임과 부재의 중심점을 잇는 선과, 부재의 양끝단을 연결한 선이 이루는 각도, γ은 부재가 설치될 위치에서의 부재의 각도에 따른 각도의 변화값을 의미한다)
KR1020090016721A 2009-02-27 2009-02-27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KR20100097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21A KR20100097863A (ko) 2009-02-27 2009-02-27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21A KR20100097863A (ko) 2009-02-27 2009-02-27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863A true KR20100097863A (ko) 2010-09-06

Family

ID=4300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721A KR20100097863A (ko) 2009-02-27 2009-02-27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78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5666A (zh) * 2012-07-19 2012-11-07 山东电力建设第二工程公司 一种起重机塔式工况副臂限位调整方法
CN111824957A (zh) * 2020-06-24 2020-10-27 山东富友慧明测控设备有限公司 一种多层多臂式塔机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3582017A (zh) * 2021-08-02 2021-11-02 安徽耕驰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钢材在装配过程中使用的安装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5666A (zh) * 2012-07-19 2012-11-07 山东电力建设第二工程公司 一种起重机塔式工况副臂限位调整方法
CN111824957A (zh) * 2020-06-24 2020-10-27 山东富友慧明测控设备有限公司 一种多层多臂式塔机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3582017A (zh) * 2021-08-02 2021-11-02 安徽耕驰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钢材在装配过程中使用的安装结构
CN113582017B (zh) * 2021-08-02 2023-12-15 安徽耕驰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钢材在装配过程中使用的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516B1 (ko) 지지와이어로부터 매달린 화물의 방위를 지지와이어를 중심으로 제어하는 방법과 윈치구조
US995091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orientation of a load suspended from a bearing wire about said bearing wire and a winch arrangement
US10023443B2 (en) Tower crane and method of mounting a wind turbine rotor blade
EP236494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tower section of a wind turbine with a crane
US20050173192A1 (en) Work platform for an overhead crane
CN113966310B (zh) 自升式起重机系统及起升自升式起重机的方法
CN110761193A (zh) 索塔施工设备
KR20100097863A (ko) 부재의 방향조정이 가능한 타워크레인
EP4028349B1 (en) A combination comprising a crane and a load guiding arrangement arranged for mounting to the crane and use of a load guiding arrangement in such a combination
KR200448240Y1 (ko) 다용도 타워 크레인
KR100847906B1 (ko) 멀티 크레인
CN114746357A (zh) 包括可移动起重臂和可移动配重的起重机
EP2345623A1 (en) A system comprising a movable work platform, as well as an apparatus and a crane device
NL2026970B1 (en) Crane for handling a cable-suspended loa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crane and use of such a crane.
CN211113216U (zh) 索塔施工设备
JP6223888B2 (ja) 橋形クレーン
KR100881807B1 (ko) 더블 크레인
JP2018090372A (ja) クレーンによるワークの搬送方法
EP3533750B1 (en) Girder beam installation and removal system and method
KR102469180B1 (ko) 건물의 층간 설치형 크레인
CA2919767C (en) Luffing cross member
KR20100008556U (ko) 선박인양용 지브 크레인
CN213505587U (zh) 一种t梁吊装用固定机构
KR101894743B1 (ko) 호이스트의 탈·장착이 용이한 크레인의 구조
KR101661905B1 (ko) 크레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