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877B1 -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877B1
KR101906877B1 KR1020177011590A KR20177011590A KR101906877B1 KR 101906877 B1 KR101906877 B1 KR 101906877B1 KR 1020177011590 A KR1020177011590 A KR 1020177011590A KR 20177011590 A KR20177011590 A KR 20177011590A KR 101906877 B1 KR101906877 B1 KR 101906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culture
tubular portions
culture bag
cel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502A (ko
Inventor
히데아키 카가와
소이치 코하시
히데카즈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4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2Transparent or translucent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24Gas permeable pa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4Internal compartments or part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48Holding appliances; Racks;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세포 배양백(10)은, 관축 방향이 제1 방향으로 향해짐과 함께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병치되고 또한 서로 격벽으로 이격된 가스 투과성을 갖는 복수의 관 형상부(11)와, 복수의 관 형상부(11)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의 각각을, 상기 관 형상부(11)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 영역(R)에 있어서 연통시키는 가스 투과성을 갖는 연통부(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CELL CULTURE BAG AND CELL CULTURE METHOD}
본 발명은,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포의 확대 배양에는, 주로 스테인리스제의 배양조(培養槽)가 사용되고 있었지만, 세정 밸리데이션 등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플라스틱제의 세포 배양백의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95904호에는, 가스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배양 시에 용기벽이 원통 형상, 횡단면이 정다각형인 각통 형상, 구 형상 및 반구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세포의 배양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간질환이나 심질환 등을 세포 이식에 의하여 치료하기 위해서는, 1×109개 이상의 분화 세포의 이식이 1명의 환자에게 필요하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능성 줄기 세포의 대량 배양 기술의 개발이 불가결해진다.
세포의 배양 스케일의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세포 배양백의 용적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세포 배양백의 용적을 단순히 크게 하는 것만으로는, 세포 현탁액이나 배양액을 세포 배양백 내부에 수용했을 때에, 세포 배양백의 바닥부가 팽창하고, 세포 배양백의 중심부로의 가스 공급이 불충분해진다. 또, 대량의 배양액을 수용한 경우에는 세포 배양백의 강도 부족이 문제가 된다. 이들 문제를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세포 배양백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 상호 간에서의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의 유통이 저해되어, 분할된 복수의 영역 사이에서 세포의 배양 환경이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그 결과, 동일 세포 배양백 내에서 배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배양된 세포의 품질이 불균일해질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95904호에 기재된 배양 용기에 의하면, 히트 시일에 의하여 형성된 복수의 원통 사이에서 세포의 배양 환경은 불균일해지기 쉽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세포 배양백에 있어서는, 세포 이식에 의한 치료의 실현에 필요한, 균일한 품질인 것이 보증된 대량의 동일 로트 세포를 배양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세포 배양 스케일을 확대한 경우여도 배양하는 세포의 배양 환경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백은, 관축 방향이 제1 방향으로 향해짐과 함께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병치되고 또한 서로 격벽으로 이격된 가스 투과성을 갖는 복수의 관 형상부와, 복수의 관 형상부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의 각각을, 관 형상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 영역에 있어서 연통시키는 가스 투과성을 갖는 연통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백에 있어서, 복수의 관 형상부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연통부가 2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백에 있어서, 연통부의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의 각각의 사이에서 정렬되어 있어도 된다. 또, 관 형상부의 직경은 각각 동일해도 된다. 또, 복수의 관 형상부의 직경과, 연통부의 직경이 동일해도 된다.
본 발명의 세포 배양백은, 가스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첩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라스틱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시일부에 의하여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시일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구멍을 갖고 있어도 된다. 관통 구멍의 폭은 제1 방향을 따라 변화되고 있어도 된다. 복수의 플라스틱 필름의 제막 시의 제막 흐름 방향이 제2 방향과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플라스틱 필름은, 가시광을 투과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백에 있어서, 복수의 관 형상부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연통부가 3 이상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의 직경은 5mm 이상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의 관축 방향의 길이는 10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백은,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의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단측에 있어서,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과 연통하는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백은,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의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과 연통하는 복수의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복수의 관 형상부의 관축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르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포트가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세포 배양백을 지지하며, 세포 현탁액 또는 배양액을,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포트로부터 주입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한다.
본 발명의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포트로부터 배양액을 주입함으로써 배양액의 추가를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추가 후의 배양액의 액면이, 연통부의 높이 위치에 도달하도록 배양액의 추가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복수의 관 형상부가 환 형상으로 연속되도록 복수의 관 형상부의 관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세포 배양백을 만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포 배양백을 지지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복수 개소에 훅을 구비하고 또한 축 방향이 연직 방향으로 향해진 지주(支柱)의 바깥 둘레를, 복수의 관 형상부의 관축 방향이 연직 방향으로 향해진 세포 배양백으로 둘러싸고, 관통 구멍에 훅을 삽통시킴으로써, 세포 배양백을 지주로 지지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세포 배양백을 밀폐 용기 내에 수용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배양 기간 중, 세포 배양백을 정치(靜置) 상태로 유지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에 의하면, 배양 스케일의 확대에 따른 세포의 균질성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배양 기간 중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백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현탁액의 주입 후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백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배양액의 추가 후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백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배양액의 추가 후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백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시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백의 지지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을 지지하는 지주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지주에 의하여 지지된 세포 배양백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등가의 구성 요소 및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1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세포 배양백(10)은, 일례로서, 가요성 및 가스 투과성을 갖는 2매의 플라스틱 필름을, 히트 시일(열 압착) 등의 수법에 의하여 첩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1매의 플라스틱 필름을 접어, 첩합해도 된다. 또, 플라스틱 필름은, 세포 배양백(10) 내에서 배양되는 세포의 육안에 의한 관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가시광을 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포 배양백(10)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세포 배양백(10)은, 시일부(13, 14)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벽에 의하여 서로 이격된 복수의 관 형상부(11)를 갖는다. 여기에서, 시일부란 복수 매의 필름끼리가 첩합되어 있는 부분을 말한다. 복수의 관 형상부(11)는, 관축 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관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치되어 있다. 또한, 관축 방향이란, 관 형상을 나타내는 관 형상부(11)의 신장 방향을 말한다. 도 1에 있어서, 관 형상부(11)의 각각의 관축 방향은, Y축 방향으로 향해져 있으며, 복수의 관 형상부(11)는,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병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세포 배양백(10)이 6개의 관 형상부(11)를 갖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관 형상부(11)의 수는, 배양 스케일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관 형상부(11)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타원형이어도 되고, 또 완전한 원형이 아니어도 된다.
세포 배양백(10)은, 복수의 관 형상부(11)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의 각각을, 관 형상부(11)의 중간 영역(R)에 있어서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부(12)를 갖는다. 또한, 중간 영역(R)은,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영역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로 이루어지는 페어마다,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의 사이에,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연통부(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의 사이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이한 위치에, 3개의 연통부(12)가 마련되어 있지만,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의 사이에는, 관축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의 연통부(12)가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연통부(12)의 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타원형이어도 되고, 또 완전한 원형이 아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로 이루어지는 페어의 각각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의 사이에, Y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 3개의 연통부(12)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페어 사이에서 정렬되어 있다. 즉, 연통부(12)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Y1, Y2 및 Y3에 있어서, 복수의 관 형상부(11)를 X축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관 형상부(11)의 직경 D1은 각각 동일하게 되어 있고, 또한 연통부(12)의 각각의 직경 D2는, 관 형상부(11)의 직경 D1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관 형상부(11)의 직경 D1 및 연통부(12)의 직경 D2는, 5mm 이상 5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관 형상부(11)의 직경 D1 및 연통부(12)의 직경 D2가 50mm 이하이면, 관 형상부(11) 및 연통부(12)의 직경 방향 중심부로의 가스 공급을 충분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관 형상부(11)의 직경 D1 및 연통부(12)의 직경 D2를 5mm 이상으로 하면, 세포 배양백(10) 내에 수용되는 배양액 및 세포 현탁액의 유통이 확보되어, 세포 배양백(10) 내에 있어서의 배양 환경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플라스틱 필름을 히트 시일에 의하여 첩합하여 세포 배양백(10)을 형성할 때에, 5mm 이상의 직경을 갖는 관 형상부(11) 및 연통부(12)를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관 형상부 및 연통부의 직경은, 관 형상부 및 연통부가 원형인 경우에는 그 원의 직경이며, 타원형인 경우에는 그 타원의 장경(가장 큰 직경)과 단경(가장 작은 직경)의 평균값으로 한다. 또, 관 형상부 및 연통부가 완전한 원형이 아닌 경우에는 그 전체 둘레 방향에서의 직경의 평균값으로 한다. 또한, 관 형상부 및 연통부의 직경이 축 방향에서 변화하는 경우는 그 전체 길이에 있어서의 평균값으로 한다.
세포 배양백(10)의 외형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이며, 직사각형의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 시일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세포 배양백(10)은, 시일부(13)의 내측에 있어서, 격자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시일부(14)를 갖는다. 복수의 관 형상부(11) 및 복수의 연통부(12)는, 시일부(13 및 14)에 의하여 영역이 구획되어 있다. 즉, 시일부(13 및 14)에 의하여 관 형상부(11) 및 연통부(12)의 격벽이 형성되어 있다. 시일부(13 및 14)는, 예를 들면 히트 시일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시일부(13)에는 관통 구멍(15)이 마련되며, 관통 구멍(15)은 세포 배양백(10)의 지지에 사용되어도 된다.
세포 배양백(10)은,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마련된 포트(16A 및 16B)를 갖는다. 포트(16A 및 16B)는, 세포 배양백(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갖는다. 예를 들면, 세포 현탁액이나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 세포 배양백(10) 내의 공기 빼기, 배양 중의 세포 추출 등은, 포트(16A 및 16B)를 통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트(16A 및 16B)는, X축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시일부(13)를 관통하도록 하여 백 본체에 삽입되어 있다. 포트(16A)는, 그 선단 부분이 세포 배양백(10)의 단부 영역(17A)에 들어가도록 삽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포트(16B)는, 그 선단 부분이, 세포 배양백(10)의 단부 영역(17B)에 들어가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한, 단부 영역(17A 및 17B)은, 각각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Y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있어서 관 형상부(11)의 각각과 연통하는 영역이다. 포트(16A 및 16B)는, 예를 들면, 세포 배양백(10)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첩합을 행할 때에, 플라스틱 필름의 사이에 배치되어, 히트 시일 등에 의한 플라스틱 필름의 첩합에 있어서 백 본체에 용착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트(16A 및 16B)가 삽입되는 측의 변에 있어서의 시일부(13)의 폭은, 다른 변에 있어서의 시일부(13)의 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시일부(13)의 강도가 확보됨과 함께, 포트(16A 및 16B)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세포 배양백(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가요성 및 가스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용액 유연법(流延法)이나 용융 압출 성형법 등의 공지의 제조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세포 배양백(10)의 복수의 관 형상부(11)가 나열되는 방향(X축 방향)은, 플라스틱 필름의 제막 시에 있어서의 제막 흐름 방향(MD: Machine Direction)과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필름의 제막 흐름 방향(MD)에 있어서의 막질은, 이것과 직교하는 폭 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에 있어서의 막질과 비교하여 균일성이 높다. 따라서, 복수의 관 형상부(11)가 나열되는 방향(X축 방향)을, 플라스틱 필름의 제막 흐름 방향과 일치시킴으로써, 가스 투과성이나 기타 성질을 복수의 관 형상부(11) 사이에서 균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플라스틱 필름의 막질에 기인하는 배양 환경을 복수의 관 형상부(11) 사이에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세포 배양백(10)은, 예를 들면 1×1010개 오더의 세포 배양에 적용 가능한 대용량의 배양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예를 들면 500mm~700mm가 된다. 세포 배양백(10)을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 적성이나, 세포 배양백(10)을 후술하는 "세로 배치"로 사용한 경우의 시일부(13 및 14)의 내압(耐壓)을 고려하면,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Y축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10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1000mm 이하이면, 세포 배양백(10)을 관축 방향에 대하여 이어붙이지 않고 제작할 수 있으며, 배양액의 압력에 대한 필름의 내압이 부족하지 않도록 제작할 수 있다. 한편,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 즉 복수의 관 형상부(11)가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세포의 배양 스케일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1000mm~1500mm 정도로 할 수 있다.
이하에 있어서, 세포 배양백(10)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배양액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모든 배양액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유 동물 세포용 기본 배지(예를 들면, DMEM, DMEM/F-12, MEM, DME, RPMI1640, MCDB104, 199, MCDB153, L15, SkBM, 베이슬 미디엄(Basal Medium), E8 베이스 미디엄(base medium)), 시판품인 줄기 세포 유지용 배양액, 곤충 세포용 기본 배지, 효모용 배지, 세균용 배지 등의 액체 배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배양액은, 세포를 계속적으로 부유시킬 목적, 및/또는 세포끼리의 과도한 밀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세포 독성을 갖지 않는 고분자 화합물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목적으로 배양액에 첨가되는 고분자 화합물은, 예를 들면, 배양액의 비중을 조정하는 고분자 화합물, 배양액의 점도를 조정하는 고분자 화합물, 배양액 중에서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이와 같은 고분자로서는, 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젤란 검, 탈아실화 젤란 검, 하이알루론산, 알진산, 카라지난, 잔탄 검, 디우탄 검(diutan gum), 전분, 펙틴 등의 다당류; 콜라젠, 젤라틴 등의 단백질;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바이닐피롤리돈 등의 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배양액은, 일반적으로 첨가 가능한 각종 성분, 예를 들면, 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등의 항생 물질; 아스코브산, 레티노산 등의 비타민 또는 비타민 유도체; 글루코스 등의 당원; 아미노산; 무기염; 혈청, 혈청 대체물; 트랜스페린 등의 단백질; 인슐린 등의 호르몬; 증식 인자; 분화 억제 인자; 2-머캅토에탄올, 다이싸이오트레이톨 등의 항산화제;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아연 이온, 철 이온, 구리 이온 등의 금속 이온;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 배양의 대상이 되는 세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동물 세포, 식물 세포, 진균 세포, 세균 세포, 프로토플라스트, 수립된 세포주, 인위적으로 유전자 개변이 실시된 세포 등의 모든 세포가 대상이 될 수 있다.
배양 대상이 되는 세포의 일례는, 줄기 세포이다. 줄기 세포는, 자기 복제능과 분화능을 갖는 세포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능성 줄기 세포여도 되고, 체성 줄기 세포여도 된다.
다능성 줄기 세포는, 자기 복제능과,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 중 어느 것으로도 분화될 수 있는 다분화능을 갖는 세포이다. 다능성 줄기 세포로서는, 배성 줄기 세포(embryonic stem cell; ES 세포), 인공 다능성 줄기 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세포), 배성 생식 세포(embryonic germ cell; EG 세포), 배성 암 세포(embryonal carcinoma cell; EC 세포), 다능성 성체 전구 세포(multipotent adult progenitor cell; MAP 세포), 성체 다능성 줄기 세포(adult pluripotent stem cell; APS 세포), 뮤즈(Muse) 세포(multi-lineage differentiating stress enduring cell) 등을 들 수 있다.
체성 줄기 세포로서는, 예를 들면, 간엽계 줄기 세포, 조혈 줄기 세포, 신경 줄기 세포 등을 들 수 있다.
배양 대상이 되는 세포의 다른 예는, 생체를 구성하는 체세포, 및 그 전구 세포이다. 구체적으로는, 림프구, 호중구, 단구(單球), 거핵구, 매크로파지, 선유아 세포, 기저 세포, 케라티노사이트, 상피 전구 세포, 주피 세포, 내피 세포, 지방 전구 세포, 근아 세포, 골아 세포, 연골 세포, 간실질 세포, 췌장 β 세포, 글리아 세포 등을 들 수 있다.
배양 대상이 되는 세포의 다른 예는, CHO, COS, HeLa, HepG2, C127, 3T3, BHK, HEK293, 보우스(Bowes) 멜라노마 세포 등의 동물 세포; 드로소필라 S2, 스포돕테라 Sf9 등의 곤충 세포; 효모, 아스퍼질러스 등의 진균 세포; 대장균, 고초균 등의 세균 세포; 식물 세포, 캘러스; 등이다. 이들 세포는, 단백질의 대량 발현을 목적으로 단백질 발현 벡터가 도입된 세포여도 된다.
디시, 플라스크 등의 소량 배양용 배양 용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초대 배양 또는 계대 배양의 세포를, 배양 용기로부터 회수하고, 배양액에 현탁하여, 소정의 세포 밀도가 되도록, 세포 현탁액을 조제한다. 이 세포 현탁액을, 본 발명의 세포 배양백(10)에 소정량 주입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한다.
세포 배양백(10)은, 세포 배양 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지지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배양 방법에 있어서, 세포 배양백(10)은, 이른바 "세로 배치" 상태에서 사용된다. 이때, 예를 들면, 포트(16A), 단부 영역(17A)이 연직 방향 상측, 포트(16B) 및 단부 영역(17B)이 연직 방향 하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세포 배양백(10)은, 배양 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지주에 마련된 훅(32)을 시일부(13)에 마련된 관통 구멍(15)에 삽통시킴으로써, 상기 지주에 매달린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세포 배양백(10)을 지지하는 방법은, 상기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포 배양백(10)에 관통 구멍(15)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른 지지 부재 등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백(10)을 지지해도 된다.
세포 배양백(10)은, 세포 배양 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배치가 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온도 30℃~40℃(바람직하게는 37℃)이고 또한 CO2 농도 2%~10%(바람직하게는 5%)로 제어되며, 또한 밀폐된 인큐베이터(40) 내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배양액을 단계적으로 추가하면서 세포의 배양을 행한다. 배양 기간 중, 예를 들면 12시간마다 혹은 24시간마다, 배양액을 소정량씩 세포 배양백(10)에 추가한다. 배양 기간 중, 세포 배양백(10)은, 정치 상태로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된 포트(16B)를 통하여 세포 현탁액의 주입이 행해진다.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된 포트(16A)를 통하여 세포 현탁액의 주입을 행한 경우에는, 세포 현탁액의 주입 후에 있어서의 액면보다 상방 부분에 있어서, 관 형상부(11) 또는 연통부(12)의 벽면에 배양액 성분이나 세포가 부착되어, 배양 효율이 저하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된 포트(16B)를 통하여 세포 현탁액의 주입을 행한 경우에는, 세포 현탁액의 주입 후에 있어서의 액면보다 상방 부분에 있어서, 관 형상부(11) 또는 연통부(12)의 벽면에 배양액 성분이나 세포가 부착되지 않아, 배양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된 포트(16B)를 통하여 세포 현탁액의 주입을 행하는 경우에는, 펌프 등을 이용하여 세포 현탁액을 가압하는 것이 상정되지만, 가압에 의한 세포에 대한 데미지가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연직 방향 상측에 배치된 포트(16A)를 통하여 세포 현탁액의 주입을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펌프 등에 의한 가압을 행하지 않고 세포 현탁액을 세포 배양백(10) 내에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배양액을 세포 배양백(10)에 단계적으로 추가할 때에도,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된 포트(16B)를 통하여 배양액의 주입이 행해진다. 포트(16B)를 통하여 배양액의 추가를 행함으로써, 배양액의 추가 후에 있어서의 액면보다 상방 부분에 있어서, 배양액 성분의 벽면에 대한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부유 배양법에 의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세포의 비중이 배양액의 비중보다 큰 경우에는, 연직 방향 하측으로부터 배양액을 추가 주입함으로써, 세포와 배양액의 혼합을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세포 현탁액을 최초로 세포 배양백(10)에 주입할 때 및 배양액을 단계적으로 추가할 때에, 액면이 상위의 연통부(12)에 도달하도록, 세포 현탁액 또는 배양액의 주입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세포 배양백(10)에 세포 현탁액을 최초로 주입할 때에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면(S)의 높이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Y3에 배치된 각 연통부(12)에 도달하도록 세포 현탁액을 주입한다. 이로써, 각 관 형상부(11) 내에 수용된 세포 현탁액은, 위치 Y3에 배치된 각 연통부(12)를 통하여 서로 유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배양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면(S)의 높이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Y2에 배치된 각 연통부(12)에 도달하도록 배양액을 추가한다. 그 후, 소정 시간이 더욱 경과한 후에,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면(S)의 높이가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Y1에 배치된 각 연통부(12)에 도달하도록 배양액을 더 추가한다. 이와 같이, 액면(S)의 높이가, 상위의 연통부(12)에 도달하도록, 배양액의 추가를 행함으로써, 추가된 배양액은, 각 연통부(12)를 통하여 서로 유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세포 현탁액을 최초로 세포 배양백(10)에 주입할 때 및 배양액을 단계적으로 추가할 때에, 액면이 상위의 연통부(12)에 도달하도록, 세포 현탁액 또는 배양액의 주입을 행함으로써,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은, 각 연통부(12)를 통하여 서로 유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세포 배양백(10) 내에 있어서의 세포 밀도나 배양액 성분의 국재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10)은, 서로 격벽으로 이격된 가스 투과성을 갖는 복수의 관 형상부(11)를 갖는다. 이와 같이 세포 배양백(10) 내부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관 형상의 공간으로 분할함으로써, 세포 현탁액이나 배양액을 세포 배양백(10) 내부에 수용했을 때에, 세포 배양백(10)의 바닥부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세포 배양백(10) 내부의 전체 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가스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세포 배양백(10) 내부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관 형상의 공간으로 분할함으로써, 시일부(13 및 14)에 대한 가압이 분산된다. 또, 배양 스케일을 확대하는 경우에는, 관 형상부(11)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10)에 의하면, 배양 스케일을 확대하는 경우에, 세포 배양백의 내압 부족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세포의 대량 배양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10)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로 이루어지는 페어의 각각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의 사이의 중간 영역(R)에 연통부(12)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복수의 관 형상부(11) 사이에서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이 서로 유통하는 것이 가능해져, 세포 배양백(10) 내에 있어서의 세포 밀도나 배양액 성분의 국재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10)에 의하면, 세포 배양백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 경우에 있어서의 배양 환경의 균일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로 이루어지는 페어의 각각에 있어서,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연통부(12)의 수를 2 이상으로 함으로써, 단계적으로 배양액을 추가하는 배양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추가된 배양액의 관 형상부(11) 사이에서의 상호 유통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10)에 의하면, 관 형상부(11) 사이에서 배양 환경을 균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배양백(10)을 이용하여 배양된 세포의 균일한 품질이 보증되어, 이들 세포를 동일 로트로 간주할 수 있다. 즉, 동일 로트로 간주할 수 있는 세포를, 예를 들면, 1×1010개 오더로 배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균일한 품질인 것이 보증된 대량의 동일 로트 세포를 필요로 하는, 예를 들면 세포 이식에 의한 치료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10)에 있어서, 복수의 관 형상부(11)의 각각의 직경 D1은 동일하게 되어 있고, 또한 각 연통부(12)의 직경 D2는, 관 형상부(11)의 직경 D1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관 형상부(11)의 각각의 직경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관 형상부(11) 사이에서의 배양 환경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 관 형상부(11)와 연통부(12)의 직경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관 형상부(11) 및 연통부(12)의 직경 방향 중심부에 있어서의 가스 공급량을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세포 배양백(10) 내에서 배양되는 세포는, 관 형상부(11)뿐만 아니라 연통부(12)에도 분포되는 것이 상정된다. 관 형상부(11)와 연통부(12)의 직경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관 형상부(11)와 연통부(12)의 사이에서의 배양 환경의 상위를 없앨 수 있다. 이로써, 세포 배양백(10) 전체에 걸쳐 균질한 세포를 얻는 효과가 촉진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10)에 있어서, 연통부(12)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Y1, Y2 및 Y3에 있어서, 복수의 관 형상부(11)를 X축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계적으로 배양액을 추가하는 세포 배양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세포 배양백(10) 내에 있어서의 세포 밀도나 배양액 성분의 국재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촉진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의하면, 세포 배양 시에 있어서 세포 배양백(10)은 "세로 배치"로 사용된다. 세포 배양백(10)을 "세로 배치"로 사용함으로써, 세포 배양백(10)의 외표면과, 세포 배양백(10) 내부에 도입되는 가스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어, 세포 배양백(10) 내부로의 가스의 도입이 촉진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 방법에 있어서는,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된 포트(16B)를 통하여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의 주입이 행해진다. 이로써, 세포 배양백(10)의,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의 주입 후에 있어서의 액면보다 상방 부분에 있어서의, 배양액 성분이나 세포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어, 배양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10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상기의 세포 배양백(10)(도 1 참조)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세포 배양백(10A)에 있어서, 시일부(14)의 각각에는 관통 구멍(18)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18)의 형상은,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 형상부(11) 및 연통부(12)의 벽면을 따른 직사각형상으로 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원형이어도 된다. 관통 구멍(18)의 각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포 배양백(10A)의 지지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세포 배양 시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백(10A)의 지지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세포 배양 시에 있어서 세포 배양백(10A)을 지지하는 지주(3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지주(30)는, 원기둥 형상의 기둥부(31)와, 기둥부(31)의 둘레 방향 및 축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된 복수의 훅(32)을 갖는다. 세포 배양 시에 있어서, 지주(30)는, 기둥부(31)의 축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세포 배양 시에 있어서, 세포 배양백(10A)은,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이 연직 방향으로 향해진 상태에서, 지주(30)의 바깥 둘레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훅(32)이, 세포 배양백(10A)의 시일부(14)에 형성된 관통 구멍(18)의 전부 또는 일부에 삽통된다. 즉, 세포 배양백(10A)은, 관통 구멍(18)의 형성부에 있어서 훅(32)에 걸림으로써 지주(30)에 고정된다. 세포 배양백(10A)은, 복수의 관 형상부(11)가, 지주(30)를 중심으로 하여 환 형상으로 연속되도록, 복수의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만곡한 상태로 지지된다.
도 7은, 지주(30)에 의하여 지지된 세포 배양백(10A)의 수평 단면도이다. 세포 배양백(10A)에 있어서, 훅(32)을 삽통시키는 개소를 복수로 함으로써, 훅(32)의 삽통부 1개소당 가중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훅(32)의 삽통부에 있어서의 가중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훅(32)의 삽통부가,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 및 이것과 교차하는 방향(즉, 복수의 관 형상부(11)가 나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치우침 없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포 배양백(10A)을 환 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복수의 관 형상부(11)를 직선 형상으로 연속시킨 경우와 비교하여,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세포 배양백(10A)을 지주(30)를 이용하여 세로 배치로 지지함으로써, 세포 배양백(10A)의 외표면과, 세포 배양백(10A) 내부에 도입되는 가스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어, 세포 배양백(10A) 내부로의 가스의 도입이 촉진된다. 또, 관통 구멍(18)을 복수로 함으로써, 훅(32)의 삽통부 1개소당 가중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배양 스케일의 확대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세포 배양백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8~도 14에 있어서, 상기의 세포 배양백(10)(도 1 참조)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세포 배양백(10)(도 1 참조)에 있어서, 연통부(12)는,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Y1, Y2 및 Y3에 있어서, 복수의 관 형상부(11)를 X축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세포 배양백(10B 및 10C)과 같이, 연통부(12)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11)로 이루어지는 페어 사이에서 정렬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복수의 관 형상부(11) 사이에서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을 서로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배양 환경의 균일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세포 배양백(10C)과 같이, 연통부(12)의 각각의 직경 D2를, 관 형상부(11)의 각각의 직경 D1보다 크게 함으로써,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의, 복수의 관 형상부(11) 사이에서의 상호 유통이 촉진됨과 함께 세포 배양백(10C)의 용량을 세포 배양백(10)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세포 배양백(10)(도 1 참조)은,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쌍방에, 포트(16A, 16B)를 갖지만, 이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에 나타내는 세포 배양백(10D)과 같이,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의 일단측에만 포트(16B)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세포 배양 시에 있어서, 세포 배양백(10D)은, 포트(16B)가 연직 방향 하측이 되도록 설치되어, 포트(16B)를 통하여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 등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의 일단측에만 포트(16B)를 마련함으로써, 상기한 세포 배양백(10)과 비교하여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한편, 세포 배양백(10)에 의하면, 연직 방향 상측 및 연직 방향 하측의 포트(16A 및 16B)를 통하여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의 주입 및 배출 등을 행할 수 있으므로,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의 주입·배출 경로의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포트(16B)를, 관 형상부(11)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 영역에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한 세포 배양백(10)(도 1 참조)은, 포트(16A 및 16B)가, X축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백 본체에 삽입되어 있지만, 이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세포 배양백(10E)과 같이, 포트(16D, 16E 및 16F)를, Y축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백 본체에 삽입함과 함께, 포트(16G, 16H 및 16I)를, Y축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백 본체에 삽입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세포 배양백(10F)과 같이, Y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 X축 방향의 일단측 및 타단측, 세포 배양백(10F)의 코너부부터 복수의 포트(16A~16L)를 백 본체에 삽입해도 된다. 포트(16A~16L)는, 예를 들면, 세포 현탁액 및 배양액의 주입, 배출, 세포 배양백(10F) 내의 공기 빼기, 배양 중의 세포 추출 등의 용도로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세포 배양백(10E 및 10F)과 같이, 복수의 포트(16A~16L)를 마련하고, 각각에 특정한 용도를 할당함으로써, 컨테미네이션의 리스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세포 배양백(10G 및 10H)과 같이, 관통 구멍(18)의 폭(X축 방향의 길이)을, 관 형상부(11)의 관축 방향(Y축 방향)을 따라 변화시켜도 된다. 바꾸어 말하면,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시일부(14)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을, 연직 방향 상측에 위치하는 시일부(14)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넓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하부에 위치하는 시일부(14)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18)의 형상을 역삼각형으로 함으로써, 최하부에 위치하는 시일부(14)의 폭을, 연직 방향 하방을 향하여 확대해도 된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하부에 위치하는 시일부(14)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18)의 폭을, 상방에 위치하는 시일부(14)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18)의 폭보다 좁게 해도 된다. 세포 배양 시에 있어서 시일부(14)에 인가되는 압력은, 연직 방향 하방을 향하여 커지기 때문에,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시일부(14)의 폭을 확대함으로써,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시일부(14)의 내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서는, 최하부에 위치하는 시일부(14)만 폭을 확대하고 있지만, 최하부보다 상방의 시일부(1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폭의 확대를 행해도 된다.
또한, 세포 배양백(10, 10A~10H)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포 배양백의 일례이다. 관 형상부(11)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관 형상부의 일례이다. 연통부(1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통부의 일례이다. 시일부(13 및 1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일부의 일례이다. 관통 구멍(15 및 1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의 일례이다. 포트(16A 및 16B)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포트의 일례이다. 인큐베이터(4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밀폐 용기의 일례이다. 지주(3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지주의 일례이다.
또한, 2014년 10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206988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각각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로 원용되는 것이 구체적이고 또한 각각에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로 원용된다.

Claims (23)

  1. 관축 방향이 제1 방향으로 향해짐과 함께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병치되고 또한 서로 격벽으로 이격된 가스 투과성을 갖는 복수의 관 형상부와,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의 각각을, 상기 관 형상부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 영역에 있어서 연통시키는 가스 투과성을 갖는 연통부를 구비하는 세포 배양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연통부가 2 이상 마련되어 있는 세포 배양백.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의 각각의 사이에서 정렬되어 있는 세포 배양백.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부의 직경은 각각 동일한 세포 배양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의 직경과, 상기 연통부의 직경이 동일한 세포 배양백.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스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첩합하여 형성된 세포 배양백.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에 형성된 복수의 시일부에 의하여 상기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세포 배양백.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일부 중 적어도 하나에 관통 구멍을 갖는 세포 배양백.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폭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변화되고 있는 세포 배양백.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의 제막 시의 제막 흐름 방향이 상기 제2 방향과 일치하고 있는 세포 배양백.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가시광을 투과하는 세포 배양백.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 중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관 형상부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연통부가 3 이상 마련되어 있는 세포 배양백.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의 직경은 5mm 이상 50mm 이하인 세포 배양백.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의 관축 방향의 길이는 1000mm 이하인 세포 배양백.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단측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과 연통하는 포트를 더 포함하는 세포 배양백.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의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의 각각과 연통하는 복수의 포트를 더 포함하는 세포 배양백.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기재된 세포 배양백을 이용한 세포 배양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의 관축 방향이 연직 방향을 따르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포트가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포 배양백을 지지하며,
    세포 현탁액 또는 배양액을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포트로부터 주입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배양액을 연직 방향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포트로부터 주입하여 배양액의 추가를 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배양액의 추가가, 추가 후의 배양액의 액면이, 상기 연통부의 높이 위치에 도달하도록 배양액의 추가를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세포 배양백의 지지가,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가 환 형상으로 연속되도록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의 관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세포 배양백을 만곡시킨 상태에서 상기 세포 배양백을 지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
  21. 청구항 8에 기재된 세포 배양백을 이용한 세포 배양 방법으로서,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복수 개소에 훅을 구비하고 또한 축 방향이 연직 방향으로 향해진 지주를 준비하고,
    상기 지주의 바깥 둘레를, 상기 복수의 관 형상부의 관축 방향이 연직 방향으로 향해진 상기 세포 배양백으로 둘러싸고,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훅을 삽통시킴으로써, 상기 세포 배양백을 상기 지주로 지지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하는 세포 배양 방법.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세포의 배양이, 상기 세포 배양백을 밀폐 용기 내에 수용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
  2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세포의 배양이, 배양 기간 중, 상기 세포 배양백을 정치 상태로 유지하여 세포의 배양을 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 방법.
KR1020177011590A 2014-10-08 2015-10-08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 KR101906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6988 2014-10-08
JP2014206988A JP6294206B2 (ja) 2014-10-08 2014-10-08 細胞培養バッグおよび細胞培養方法
PCT/JP2015/078671 WO2016056630A1 (ja) 2014-10-08 2015-10-08 細胞培養バッグおよび細胞培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502A KR20170066502A (ko) 2017-06-14
KR101906877B1 true KR101906877B1 (ko) 2018-10-11

Family

ID=55653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590A KR101906877B1 (ko) 2014-10-08 2015-10-08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336975B2 (ko)
EP (1) EP3205710B1 (ko)
JP (1) JP6294206B2 (ko)
KR (1) KR101906877B1 (ko)
CN (1) CN106795469B (ko)
SG (1) SG11201702897WA (ko)
WO (1) WO201605663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500B1 (ko) 2019-12-17 2020-04-02 주식회사 이뮤니스바이오 도넛형 세포 배양 백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KR20230072447A (ko) 2021-11-17 2023-05-24 (주)이셀 배양백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3094A (zh) * 2018-04-23 2018-11-16 宁波生动细胞科技有限公司 细胞培养系统及方法
CN110643507A (zh) * 2018-06-26 2020-01-03 深圳市北科生物科技有限公司 适用于自动化生产的培养袋
JP1704515S (ja) * 2020-10-27 2022-01-13 組織プロセッシング用バッ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3595A (ja) 2002-11-27 2004-06-24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組織培養、蛋白質抽出並びに蛋白質濃縮用デバイス
JP2005295904A (ja) 2004-04-13 2005-10-27 Toyo Seikan Kaisha Ltd 培養容器および培養方法
KR100850733B1 (ko) 2004-04-13 2008-08-06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이중 배양 용기 및 배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758A (ja) * 1993-02-05 1994-08-16 Hitachi Ltd 接着性細胞の培養方法及び培養装置
US6071859A (en) 1996-04-15 2000-06-06 New Japan Chemical Co., Ltd. Red tide eliminating composition and method for getting rid of red tide
US5763267A (en) * 1996-04-16 1998-06-09 Advanced Tissue Sciences Apparatus for the large scale growth and packaging of cell suspensions and three-dimensional tissue cultures
US20050032211A1 (en) * 1996-09-26 2005-02-10 Metabogal Ltd. Cell/tissue cultur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7560274B1 (en) * 1999-05-28 2009-07-14 Cellon S.A. Culture chamber
US20070113474A1 (en) * 2003-05-30 2007-05-24 Biolex, Inc. Bioreactor for growing biological materials supported on a liquid surface
JP4665588B2 (ja) * 2004-04-13 2011-04-06 東洋製罐株式会社 培養二重容器および培養方法
US7186339B1 (en) * 2006-05-05 2007-03-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aerobic digester system for animal waste stabilization and biogas recovery
US8372632B2 (en) * 2006-06-14 2013-02-12 Malcolm Glen Kertz Method and apparatus for CO2 sequestration
US9637714B2 (en) * 2006-12-28 2017-05-02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Diffuse light extended surface area water-supported photobioreactor
US20090291490A1 (en) * 2008-01-18 2009-11-26 Touchstone Research Laboratory, Ltd. Photo-Bioreactor
US20110281339A1 (en) * 2010-05-14 2011-11-17 Photon8, Inc. System And Method To Create A Traveling Wave Within A Photobiotic Reactor To Enhance Algae Growth
US20140186909A1 (en) * 2011-08-05 2014-07-03 Kevin J. Calzia Flexible Photobioreactors, Systems and Methods
KR101372328B1 (ko) * 2012-03-06 2014-03-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비닐 시트형 광생물반응기 및 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3595A (ja) 2002-11-27 2004-06-24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組織培養、蛋白質抽出並びに蛋白質濃縮用デバイス
JP2005295904A (ja) 2004-04-13 2005-10-27 Toyo Seikan Kaisha Ltd 培養容器および培養方法
KR100850733B1 (ko) 2004-04-13 2008-08-06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이중 배양 용기 및 배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500B1 (ko) 2019-12-17 2020-04-02 주식회사 이뮤니스바이오 도넛형 세포 배양 백 및 이를 포함하는 세포 배양 시스템
KR20230072447A (ko) 2021-11-17 2023-05-24 (주)이셀 배양백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702897WA (en) 2017-05-30
EP3205710A4 (en) 2017-10-25
US20170211028A1 (en) 2017-07-27
CN106795469A (zh) 2017-05-31
JP6294206B2 (ja) 2018-03-14
EP3205710A1 (en) 2017-08-16
EP3205710B1 (en) 2018-06-13
CN106795469B (zh) 2019-07-09
US10336975B2 (en) 2019-07-02
KR20170066502A (ko) 2017-06-14
WO2016056630A1 (ja) 2016-04-14
JP2016073246A (ja)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877B1 (ko) 세포 배양백 및 세포 배양 방법
Ferreira et al. Design of spherically structured 3D in vitro tumor models-Advances and prospects
JP5578779B2 (ja) スフェロイド培養方法及びスフェロイド培養容器
US10221382B2 (en) Hollow microfiber
Maidhof et al. Perfusion seeding of channeled elastomeric scaffolds with myocytes and endothelial cells for cardiac tissue engineering
KR20070102589A (ko) 세포 배양을 위한 지지 장치
CN110556046B (zh) 一种双网络结构三维组织模型及其灌流一体化制备方法
Sakai et al. Production of cell‐enclosing hollow‐core agarose microcapsules via jetting in water‐immiscible liquid paraffin and formation of embryoid body‐like spherical tissues from mouse ES cells enclosed within these microcapsules
Sousa et al. One‐step rapid fabrication of cell‐only living fibers
US20210171900A1 (en) Methods of Making Spheroids Including Biologically-Relevant Materials
CN106047690A (zh) 细胞培养装置
WO201706666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ells using a hollow fiber bioreactor
CN103305423B (zh) 一种用于生物反应器的细胞培养床
JP6594066B2 (ja)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装置および細胞培養方法
CN103305422B (zh) 一种生物反应器
CN201685400U (zh) 用于制备组织工程管状支架的专用模具
KR101471078B1 (ko) 세포배양액과 세포지지체 성형액이 함께 배출되는 세포지지체 성형장치
Yamada et al. Microfluidic synthesis of complex alginate fibers for the direction control of cell growth
CN219839727U (zh) 一种3d打印类器官培养支架
KR20230080540A (ko) 다공성 네트워크가 형성된 조직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409319A (zh) 肿瘤细胞失巢培养器
KR102672467B1 (ko) 비대칭성 모낭 스페로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비대칭성 모낭 스페로이드
JP7165330B2 (ja) 多層構造体とその製造方法及び利用方法
CN116286357A (zh) 一种3d打印类器官培养支架及类器官培养方法
JP2021107589A (ja) マイクロ流体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