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583B1 -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583B1
KR101906583B1 KR1020170184225A KR20170184225A KR101906583B1 KR 101906583 B1 KR101906583 B1 KR 101906583B1 KR 1020170184225 A KR1020170184225 A KR 1020170184225A KR 20170184225 A KR20170184225 A KR 20170184225A KR 101906583 B1 KR101906583 B1 KR 101906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p
hoop member
main
aramid fib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철
Original Assignee
주원구조기술사사무소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구조기술사사무소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원구조기술사사무소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84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04Prismatic or cylindrical reinforcement cages composed of longitudinal bars and open or closed stirrup r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라미드섬유로 된 로프부재와; 상기 로프부재의 중심부에 매설되는 금속심재;로 구성되는 후프부재 또는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 사이에 삽입되는 금속심재;로 구성되며, 후프부재를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주근에 후프부재를 감싸고 후프부재의 양단이 교차하도록 하는 제1단계와; 교차된 후프부재의 양단을 복수개의 주근 중 하나에 감아서 루프를 형성하면서 감김부가 주근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후프부재의 양단의 감김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꼬아서 꼬임부에 의하여 상기 감김부와 후프부재 전체가 조여지면서 후프부재가 주근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3단계와; 후프부재의 양단의 꼬임부에서 연장되는 여유부분을 절곡하여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를 통하여 시공함으로써 현장시공성을 높이고 기준에 맞게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자재비용을 절감할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Hoop member improved workability of earthquake resistant design using aramid fabric and hoop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현장시공성을 높이고 기준에 맞게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자재비용을 절감할 있도록 한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기둥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의 표면에서 피복두께 만큼 안쪽에 수직으로 복수개의 주근(10)을 배근하고, ㅁ자 형태로 벤딩하여 ㅁ자형으로 형성한 복수개의 후프철근(20)(도 12 참조)으로 복수개의 주근(10)을 감싸며, 후프철근(20)의 양단을 절곡하여 복수개의 주근(10) 중 한 쪽 모서리에 위치하는 주근에 걸쳐지는 갈고리부(30)를 형성하게 된다.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함에 있어서 주근(10)에 후프철근(20)은 설치하는 방법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주근(10A)의 상단으로부터 필요한 개수의 후프철근(20)을 삽입하여 하부에 적층되도록 한 다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주근(10A)의 상단에 상부주근(10B)을 커넥터(10C) 또는 용접에 의하여 연결하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되어 있는 후프철근(20)을 들어 올려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도면에서는 주근(10)이 8개 설치된 예를 들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크기에 따라 그 이상의 주근(10)이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후프철근(20)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후프철근(20)을 주근(10)의 상단을 통해 삽입하여야 하므로 주근(10)을 필요한 높이로 설치하였을 경우 주근(10)의 높이가 작업자의 키보다 높게 되기 때문에 후프철근(20)을 주근(10)의 상단을 통해 삽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대를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지연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주근(10)을 작업자의 키보다 낮은 제1주근(10A)을 설치할 상태에서 후프철근(20)을 제1주근(10A)의 상단을 통해 삽입하여 적층하고, 이후 제1주근(10A)의 상단에 커넥터(10C)를 사용하여 제2주근(10B)을 연결하여 제1주근(10A)과 제2주근(10B)이 필요한 주근(10)의 높이를 충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커넥터(10C)를 이용하여 제1주근(10A)과 제2주근(10B)을 연결하는 작업시간만큼 시공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후프철근(20)은 135도 벤딩되는 갈고리부(30)가 철근의 조직손상을 입게 되어 후프철근(20)의 특성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프철근(20)에 형성되는 갈고리부(30)의 길이는 약 110~120mm로서 후프철근(20) 전체의 8~10%를 차지하기 때문에 철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근을 90도씩 벤딩하여 사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작업과 후프철근(20)의 양단부를 135도씩 벤딩하여 갈고리부(30)를 형성하는 과정을 거쳐야 할 뿐만 아니라 배근작업 중 갈고리부(30)가 간섭을 일으키기 때문에 후프철근(20)의 벤딩 및 갈고리부(30)의 벤딩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배근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인원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현장에서는 후프철근(20)의 양단에 갈고리부(30)를 벤딩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배근기준에 따라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갈고리부(30)를 생략하거나 기피하게 되어 내진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227호(2012.10.29. 등록)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인 기둥의 주근을 감싸는 후프철근을 와이어에 의하여 연결하고,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벤딩된 후프철근의 양 단부가 맞대기 용접(Butt Welding)에 의해 접합되며, 와이어의 상단을 기둥 상단에 위치하는 행거철근에 결속함으로써 철근의 낭비를 방지하고, 시공이 간편하며 작업 시간 및 인원을 줄일 수 있으며, 주근에 배근되는 후프철근의 간격을 일정하게 배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후프철근은 종래와 동일하게 철근을 벤딩하여 제작하는 것이며 양단을 맞대기 용접하는 것이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복수개의 후프철근을 와이어와 클립으로 연결하여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장시공성을 높이고 기준에 맞게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97227호(2012.10.29. 등록) "후프철근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시공성을 높이고 기준에 맞게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자재비용을 절감할 있도록 한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아라미드섬유로 된 로프부재와; 상기 로프부재의 중심부에 매설되는 금속심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 사이에 삽입되는 금속심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는 접착제 또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 접합방법으로 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후프부재를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주근에 감싸고 후프부재의 양단이 교차하도록 하는 제1단계와; 교차된 후프부재의 양단을 복수개의 주근 중 하나에 감아서 루프를 형성하면서 감김부가 주근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후프부재의 양단의 감김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꼬아서 꼬임부에 의하여 상기 감김부와 후프부재 전체가 조여지면서 후프부재가 주근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3단계와; 후프부재의 양단의 꼬임부에서 연장되는 여유부분을 절곡하여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에 의하면, 아라미드섬유로 된 로프부재와; 상기 로프부재의 중심부에 매설되는 금속심재;로 구성되는 후프부재 또는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 사이에 삽입되는 금속심재;로 구성되며, 후프부재를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주근에 후프부재를 감싸고 후프부재의 양단이 교차하도록 하는 제1단계와; 교차된 후프부재의 양단을 복수개의 주근 중 하나에 감아서 루프를 형성하면서 감김부가 주근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후프부재의 양단의 감김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꼬아서 꼬임부에 의하여 상기 감김부와 후프부재 전체가 조여지면서 후프부재가 주근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3단계와; 후프부재의 양단의 꼬임부에서 연장되는 여유부분을 절곡하여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를 통하여 시공함으로써 현장시공성을 높이고 기준에 맞게 시공하도록 함으로써 내진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자재비용을 절감할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후프부재의 사시도,
도 2는 후프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은 후프부재의 사시도,
도 4는 후프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 시공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복수개의 주근이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복수개의 주근을 후프부재로 감싼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후프부재의 양단을 주근 중 어느 하나에 감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후프부재의 양단을 꼬아서 결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후프부재의 양단의 여유부분을 절곡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주근 전체에 대하여 복수개의 후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 내지 도 14는 종래 주근과 루프철근의 시공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라미드섬유로 된 로프부재(110)와, 상기 로프부재(110)의 중심부에 매설되는 금속심재(120)를 포함하는 선형(線形)으로 제작된다.
상기 로프부재(110)와 금속심재(1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로프부재(110)와 금속심재(1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프부재(100)는 길이를 특정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필요한 길이만큼씩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로프부재(110)에 사용되는 아라미드섬유는 지금까지 개발된 섬유 중 매우 강도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강도뿐만 아니라 내수성, 내후성, 내화학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전기절연성이 있어 방탄복, 소방복, 우주선, 비행기동체, 변압기 절연체, 자동차 브레이스, 자동차 타이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상기 로프부재(110)는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하여 직조 또는 꼬아서 로프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금속심재(120)는 철사와 같이 작업자가 쉽게 휠 수 있는 재질과 굵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금속심재(120)는 1mm ~ 2mm 굵기의 연강 또는 연철로 된 철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심재(120)는 로프부재(11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로프부재(110)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로프부재(110)를 중심부에 금속심재(12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한 다음 그 공간에 금속심재(120)를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로프부재(110)의 중심부에 매설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100)는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130) 사이에 금속심재(140)를 삽입하고,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130)를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리본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130)를 접합함에 있어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거나 고주파, 초음파를 사용하여 접합할 수 있으며, 재봉에 의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심재(14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mm ~ 2mm 굵기의 철사와 같이 작업자가 쉽게 휠 수 있는 재질과 굵기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주근(200)에 후프부재(100)를 감싸고 후프부재(100)의 양단이 교차하도록 하는 제1단계(도 6 참조)와; 교차된 후프부재(100)의 양단을 복수개의 주근(200) 중 하나에 감아서 루프(loop)를 형성하면서 감김부(150)가 주근(200)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단계(도 7 참조)와; 상기 후프부재(100)의 양단의 감김부(150)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꼬아서 꼬임부(160)에 의하여 상기 감김부(150)와 후프부재(100) 전체가 조여지면서 후프부재(100)가 주근(20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3단계(도 8 참조)와; 후프부재(100)의 양단의 꼬임부(160)에서 연장되는 여유부분(170)을 절곡하여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도 9 참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단계에 앞서 길이를 특정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후프부재(100)를 복수개의 주근(200)을 감싸고 주근(200) 중 하나에 감기는 감김부(150)와 꼬임부(160) 및 여유부분(170)이 남을 수 있는 길이로 절단하여 복수개의 후프부재(100)를 준비한다.
이때, 후프부재(100)는 아라미드섬유로 된 로프부재(110)와 철사와 같은 금속심재(120) 또는 아라미드섬유로 된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130)와 철사와 같은 금속심재(140)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작업자가 휴대하는 데에 간편한 소형 절단공구를 이용하여 쉽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후프부재(100)는 설계에 맞춰서 미리 절단하여 준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단계에서는 후프부재(100)의 일측 단부가 상부에 위치하고 타측 단부가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교차시킨다.
여기서 후프부재(100)가 아라미드섬유로 된 로프부재(110)와 쉽게 휠 수 있는 철사와 같은 금속심재(120) 또는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130)와 쉽게 휠 수 있는 철사와 같은 금속심재(140)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별도의 벤딩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업자가 쉽게 휘어서 복수개의 주근(200)에 감쌀 수 있다.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부에 위치하는 후프부재(100)의 일측 단부는 주근(200) 중 하나에 나선형으로 감되 상부로 올라가면서 감기도록 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후프부재(100)의 타측 단부는 주근(100) 중 하나에 나선형으로 감되 하부로 내려가면서 감기도록 한다.
여기서도 후프부재(100)가 아라미드섬유로 된 로프부재(110)와 쉽게 휠 수 있는 철사와 같은 금속심재(120) 또는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130)와 쉽게 휠 수 있는 철사와 같은 금속심재(140)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별도의 벤딩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업자가 쉽게 휘어서 복수개의 주근(200) 중 하나에 쉽게 감을 수 있다.
제3단계에서도 후프부재(100)가 아라미드섬유로 된 로프부재(110)와 쉽게 휠 수 있는 철사와 같은 금속심재(120) 또는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130)와 쉽게 휠 수 있는 철사와 같은 금속심재(140)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업자가 손으로 쉽게 꼬을 수 있어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4단계에서는 후프부재(10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를 감고 꼬은 상태에서 남은 여유부분(170)을 절곡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 여유부분(170)이 콘크리트 표면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공된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시공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단계 및 제4단계의 작업을 복수개의 후프부재(100)에 대하여 진행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근(200)의 전체에 걸쳐서 복수개의 후프부재(10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공된 후프부재(100)는 지금까지 개발된 섬유 중 매우 강도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강도뿐만 아니라 내수성, 내후성, 내화학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전기절연성이 있어 방탄복, 소방복, 우주선, 비행기동체, 변압기 절연체, 자동차 브레이스, 자동차 타이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아라미드섬유로 된 로프부재(110) 또는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13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주근(200)을 견고하게 감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쉽게 휘어지는 철사와 같은 금속심재(120, 14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복수개의 주근(200)에 감싸는 작업과, 복수개의 주근(200) 중 하나에 감는 작업과, 양단을 꼬는 작업 및 여부부분(170)을 절곡하는 작업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쉽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근(200) 중 하나에 감기고 꼬아진 후프부재(100)가 주근(100)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후프철근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철근콘크리트 기둥에 요구되는 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후프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저렴한 아라미드섬유 로프부재(110) 또는 아라미드섬유 시트(130) 및, 철사와 같은 금속심재(120, 140)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시공하는 데에 소요되는 자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후프부재(100)를 주근(200)의 상단을 통해 삽입하는 것이 아니고, 주근(200)을 감싸고 감고 꼬고 절곡하는 것이므로 주근(100)을 제1주근과 제2주근으로 구성하여 커넥터로 연결할 필요 없이 처음부터 하나의 주근으로 설치함으로써 시공에 수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9에서는 아라미드섬유 로프부재(110)와 금속심재(120)로 구성되는 후프부재(100)의 시공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130)와 금속심재(140)로 구성되는 후프부재(100)를 이용한 시공에 있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시공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하여는 별도로 도시 및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기술적 사상 및 범주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 후프부재 110 : 아라미드섬유 로프부재
120 : 금속심재 130 : 아라미드섬유 시트
140 : 금속심재 150 : 감김부
160 : 꼬임부 170 : 여유부분
200 : 주근

Claims (3)

  1.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 사이에 삽입되며 작업자가 손으로 절곡하거나 꼴 수 있도록 1~2mm 굵기의 철사로 되는 금속심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는 접착제 또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 접합방법으로 접합되고,
    복수개의 주근에 감싸고 양단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주근 중 하나에 고정할 수 있는 감김부와 꼬임부와,
    상기 꼬임부에서 연장되며 콘크리트 표면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절곡되어 마감 처리되는 여유부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2. 아라미드섬유로 된 로프부재와; 상기 로프부재의 중심부에 매설되며 작업자가 손으로 절곡하거나 꼴 수 있도록 1~2mm 굵기의 철사로 되는 금속심재;를 포함하는 후프부재를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주근에 감싸고 후프부재의 양단이 교차하도록 하는 제1단계와;
    교차된 후프부재의 양단을 복수개의 주근 중 하나에 감아서 루프를 형성하면서 감김부가 주근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후프부재의 양단의 감김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꼬아서 꼬임부에 의하여 상기 감김부와 후프부재 전체가 조여지면서 후프부재가 주근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3단계와;
    후프부재의 양단의 꼬임부에서 연장되는 여유부분을 절곡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 여유부분이 콘크리트 표면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
  3.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 사이에 삽입되며 작업자가 손으로 절곡하거나 꼴 수 있도록 1~2mm 굵기의 철사로 되는 금속심재;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아라미드섬유 시트는 접착제 또는 고주파 또는 초음파 접합방법으로 접합되는 후프부재를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주근에 감싸고 후프부재의 양단이 교차하도록 하는 제1단계와;
    교차된 후프부재의 양단을 복수개의 주근 중 하나에 감아서 루프를 형성하면서 감김부가 주근 중 하나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2단계와;
    상기 후프부재의 양단의 감김부에서 연장되는 부분을 꼬아서 꼬임부에 의하여 상기 감김부와 후프부재 전체가 조여지면서 후프부재가 주근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제3단계와;
    후프부재의 양단의 꼬임부에서 연장되는 여유부분을 절곡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 여유부분이 콘크리트 표면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처리하는 제4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
KR1020170184225A 2017-12-29 2017-12-29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 KR101906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25A KR101906583B1 (ko) 2017-12-29 2017-12-29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25A KR101906583B1 (ko) 2017-12-29 2017-12-29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583B1 true KR101906583B1 (ko) 2018-10-12

Family

ID=63876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225A KR101906583B1 (ko) 2017-12-29 2017-12-29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5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768Y1 (ko) * 2003-11-19 2004-02-18 (주)넥스컴스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강빔
JP2005042323A (ja) * 2003-07-23 2005-02-17 Akiyama Yoko コンクリート構造材とこれに用いる横方向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2323A (ja) * 2003-07-23 2005-02-17 Akiyama Yoko コンクリート構造材とこれに用いる横方向筋
KR200342768Y1 (ko) * 2003-11-19 2004-02-18 (주)넥스컴스 콘크리트 구조물용 보강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1781B2 (ja) 鉄筋籠の杭頭定着保持構造
KR100666028B1 (ko) 유연성이 구비된 섬유보강폴리머 보강재 및 그 제작방법
JP2018172870A (ja) 鉄筋籠及び鉄筋籠の建込方法
JP6398158B2 (ja) 円筒型タンク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屋根
KR101906583B1 (ko) 내진설계의 시공성이 향상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한 후프부재 및 이를 이용한 후프 시공방법
CN107947420A (zh) 用于电机的绝缘框、绝缘框架和电机定子及其制作方法
JP2012057443A (ja) 鋼管・鉄筋コンクリート複合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05938A (ko) 섬유쉬트 띠 스터럽을 사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및 그시공방법, 스터럽 모서리부 보강방법
JP4163070B2 (ja) 籠体および杭の施工方法
CN209571309U (zh) 非晶合金立体卷铁芯及其单框
JPH0568594B2 (ko)
JP2020148068A (ja) 座屈防止部材及び柱の補強構造
CN109801775A (zh) 非晶合金立体卷铁芯及其单框
JPH0544301A (ja) 管状緊張材
JP4729690B2 (ja) 高周波誘導加熱によるアンカー除去装置及びその除去方法
JP5258104B2 (ja) 補強コンクリート杭
CN111734417A (zh) 一种玻璃纤维筋和钢筋的连接结构及玻璃纤维筋施工工艺
KR100375485B1 (ko) 전기박스 주변의 슬라브 균열방지용 보강망
JP7271454B2 (ja) ハイブリッド梁構造
KR100541609B1 (ko) 긴장재가 내장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부재의디본딩 구조 및 그 구조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보 부재의 제작방법
KR100616808B1 (ko) 연결고리부를 가진 강선 결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80440B1 (ko) 트러스와, 이 트러스가 설치되는 데크플레이트 구조체 및, 데크플레이트 구조체의 시공 방법
JPS61151371A (ja) 既存柱の補強方法
JPH068575B2 (ja) コンクリ−ト製既存柱の耐震補強方法
JP2020105753A (ja) 構造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