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121B1 -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 Google Patents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121B1
KR101906121B1 KR1020180070830A KR20180070830A KR101906121B1 KR 101906121 B1 KR101906121 B1 KR 101906121B1 KR 1020180070830 A KR1020180070830 A KR 1020180070830A KR 20180070830 A KR20180070830 A KR 20180070830A KR 101906121 B1 KR101906121 B1 KR 101906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inding member
wire
handl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현 filed Critical 김도현
Priority to KR102018007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은 겉감 및 안감을 구비하여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가방 본체; 및 상기 가방 본체의 상단 개구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가방을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양 단부가 각각 가방의 상단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 지점에 상기 공간부와 외측을 연통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손잡이 본체;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단부가 타측의 제2 단부의 중공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본체 내측에 복수개가 하나의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열의 양단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의 존부에 따라 서로 결속하거나 릴리즈되는 결속부재; 상기 결속부재 열의 어느 한 끝단의 결속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결속부재 열의 내부 중공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 열의 타 끝단의 결속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타 끝단의 결속부재를 관통한 단부가 상기 손잡이 본체의 인출구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상기 고정부재 열 중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 끝단의 결속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당김 상태에 따라 번갈아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거나 릴리즈하는 토글식 홀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A bags having grip allowing two way transformation}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상황에 따라 상태변화가 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방의 제작 공정을 살펴보면 대부분 서양식 가방의 제작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즉, 가방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방 전체나 일부에 프레임을 사용하거나 가방 안쪽 바닥면에 합성수지나 종이류 등의 딱딱한 재질로 힘받이를 사용하는데,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제 등으로 붙이고 열을 가하여 압착하거나 끼워넣는다. 그리고 가방 전체에 걸쳐서 힘받이가 들어가는 경우에도 힘받이 안밖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원단을 붙이고 외부에는 장식을 덧대고 있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제작된 가방은 내용물을 보호함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 배면의 충격에 대해서는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여 왔으나 측면에는 완충제가 들어있지 않아 충격에 취약하고 접히는 모서리 부분은 빈번한 동작으로 인하여 다른 부위보다 먼저 손상이 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딱딱한 재질의 힘받이와 부드러운 재질의 가방 안감과 겉감이 쓸림으로 인하여 훼손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왔다.
이러한 가방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8571호 "겉감과 완충재를 동시에 박음질하여제작하는 가방류 제품"(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가방의 경우, 손잡이는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여 일정 형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부드러운 소재로 제작되어 가방의 무게 또는 파지법에 따라 자유롭게 형상이 변동하는 타입이 사용된다.
그러나, 일정한 형상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가방 내에 상대적으로 적은 무게의 소품이 수납되거나 가벼운 상태로 유지가 되는 경우 부자연스럽게 형태가 유지되는 면이 있으며, 자유롭게 형상이 변동하는 손잡이의 경우 가방 내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품이 수납되는 경우 과도하게 파지한 손을 압박하여 통증을 느끼게 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가방 내에 무거운 물건이 수납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적은 물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황에 따라 손잡이의 상태를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가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은 겉감 및 안감을 구비하여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가방 본체; 및 상기 가방 본체의 상단 개구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가방을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양 단부가 각각 가방의 상단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 지점에 상기 공간부와 외측을 연통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손잡이 본체;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단부가 타측의 제2 단부의 중공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본체 내측에 복수개가 하나의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열의 양단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의 존부에 따라 서로 결속하거나 릴리즈되는 결속부재; 상기 결속부재 열의 어느 한 끝단의 결속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결속부재 열의 내부 중공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 열의 타 끝단의 결속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타 끝단의 결속부재를 관통한 단부가 상기 손잡이 본체의 인출구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상기 고정부재 열 중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 끝단의 결속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당김 상태에 따라 번갈아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거나 릴리즈하는 토글식 홀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노출된 단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갖는 잡이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는 제2 단부측으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갈수록 내측 중공형상의 직경이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X자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결속부재의 제2 단부 외주면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부재의 본체에 묶이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은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는 제1 상태와 부드럽게 자유로운 형상으로 파지가 가능한 제2 상태로 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형태의 손잡이로 변환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전개도이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사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정면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내부를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단부에 위치하는 결속부재와 고정부재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5의 손잡이 내부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의 겉감과 펀칭솜을 한꺼번에 봉제하는 기법의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 겉감의 전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소재는 직사각형으로 각각 온전한 한 장으로 마름질되고 도면에서 겉감의 옆면과 앞면, 뒷면의 빈 공간에는 조각, 자수, 그림 등으로 장식이 가능하다. 가방을 만들고자 하는 이는 완성된 가방의 너비(W)와 높이(H), 깊이(D)를 결정한 후 아래에 제시된 공식을 적용하여 필요한 원단 및 펀칭솜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단, 넓은 펀칭솜의 가로 길이, 좁은 펀칭솜의 가로 길이, 안감의 가로 길이는 겉감의 가로 길이와 동일하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치수관계는 앞서 설명한 종래의 선행기술에서 기재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가방의 사시도이다. 외형적으로 가방은 몸체(10), 끈(11), 손잡이 본체(14)로 구분되며 양쪽에 달린 끈(11)을 당기면 입구가 좁아져 여밈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가방의 정면도로써 가방의 몸체(10)의 끈(11)과 손잡이 본체(14)가 결합된 상태이다. 가방의 몸체(10)의 상단부 둘레에 여밈을 위한 끈(11)을 깨우기 위한 공간(12)을 만들고 끈(11)이 이탈하지 않도록 봉제선(13)을 만들었다.
도 4는 측면도로써 2개의 손잡이 본체(14)와 2가닥의 끈(11)이 잘 나타나고 있다. 도 3에서 설명한 가방 몸체(10) 상단부 둘레에 끈(11)을 끼우기 위한 공간(12)와 봉제선(13)은 가방의 옆면으로 이어지며 가방 옆면의 세로 중심선과 만나는 지점에 끈(11)을 끼우고 가방의 입구를 원활히 조르기 위한 구멍(15)이 위치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내부를 나타내는 절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결속부재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단부에 위치하는 결속부재와 고정부재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5의 손잡이 내부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절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14), 결속부재(141), 고정부재(143), 토글식 홀드부(145) 및 와이어(149)를 포함한다.
손잡이 본체(14)는 양 단부가 각각 가방의 상단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공간부(S)가 형성되며, 일 지점에 공간부(S)와 가방 외측을 연통하여 와이어(149)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인출구가 형성된다.
결속부재(141)는 일종의 중공의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복수개가 하나의 열을 이루어 상술한 손잡이 본체(14)의 내측 공간부(S)에 구비된다. 결속부재(141)의 열 중 도면상 좌측 끝단의 결속부재에는 고정부재(143)가 구비된다. 고정부재(143)는 해당 결속부재(141)에 고정된 상태에서 동시에 와이어(149)의 단부를 고정한다.
와이어(149)는 위와 같이 끝단의 고정부재(143)에 고정되고, 결속부재의 열의 내부 중공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와이어(149)의 타측 단부는 고정부재 열의 타 끝단의 결속부재(1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해당 결속부재(141)를 관통한 단부가 손잡이 본체(14)의 인출구(146)를 통하여 손잡이 본체(14)의 외부로 노출된다. 와이어(149)의 노출된 단부에는 와이어의 직경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갖는 잡이부재(1491)가 구비될 수 있다. 잡이부재(1491)는 와이어를 당기기 위한 손잡이로서 기능하며, 장신구들을 이용하여 잡이부재(1491)를 형성할 수 있다.
토글식 홀드부(145)는 결속부재(141) 열 중 고정부재(143)의 타측 끝단의 결속부재(141)와 결합하고, 와이어(149)가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토글식 홀드부(145)는 토글식으로 와이어(149)를 홀드 시키거나 릴리즈 시키게 된다. 즉, 도 5의 상태에서 와이어(149)를 한번 잡아당기면 릴리즈 상태가 되어 도 8과 같이 결속부재(141)들이 결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풀리는 상태가 되며, 도 8의 상태에서 다시한번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경우 도 5의 상태에서 와이어(149)가 토글식 홀드부(145)에 의하여 홀드되어 결속부재(141)가 다시 결속된 상태가 된다. 도 5의 상태에서는 결속부재(141)가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됨으로써 손잡이 본체(14)의 외형의 변환폭이 적게되며, 도 8의 상태에서는 결속부재(141)가 서로 릴리즈된 상태가 됨으로써 외력에 의하여 큰 폭으로 외형의 변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결속부재(141)는 제2 단부(1413)측으로부터 제1 단부측(1411)으로 갈수록 내측 중공형상의 직경이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단부(1411)가 제2 단부(1413)의 중공(P1)에 삽입 가능하다. 결속부재(141)는 경량화를 위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고정부재는 X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43)의 본체와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결속부재의 제2 단부 외주면에 걸리는 후크(14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와이어(149)는 고정부재(143)의 본체에 묶이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절단선 A-A'를 기준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가방의 외부에서 순서대로 겉감(20), 좁은 펀칭솜(22), 넓은 펀칭솜(21), 안감(23)의 구조가 잘 드러나고 있다. 여기서 좁은 펀칭솜(22)은 가방의 바닥면과 하단부까지 존재하고, 넓은 펀칭솜(21)은 가방의 전체에 걸쳐있어 두 개의 펀칭솜은 형상의 유지와 쿠션의 역할을 하게 된다. 겉감(20)은 도 1의 공식에서와 같이 안감(23)보다 1/2~1/3 정도 길어서 가방의 상단을 지나 가방 안쪽으로 들어와 안감(23)과 만나게 되는데 손잡이 본체(14)는 가방의 안쪽에서 겉감(20)과 안감(23)이 만나는 지점과 그 위 0.7cm~1.5cm 지점 두 곳에 봉제하여 고정하게 된다. 가방 둘레에 걸쳐 겉감(20)과 안감(23)을 연결하는 봉제선(13)은 손잡이 본체(14)를 고정과 끈(11)을 끼우고 이탈하지 않도록 공간(12)을 형성하는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도 10은 도 4의 절단선 B-B'를 기준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와 같이 겉감(20), 좁은 펀칭솜(21), 넓은 펀칭솜(22), 안감(23)과 손잡이 본체(14), 끈(11)이 잘 드러나고 있다. 손잡이 본체(14)는 2개의 봉제선(13)으로 고정하고 위아래 두 개의 봉제선(13)은 여밈의 역할을 하는 끈(11)을 끼우기 위한 공간(12)을 형성한다. 가방의 안쪽 바닥에는 도 13에서 생성되는 삼각형 힘받이(28)가 위치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의 겉감과 2 종류의 펀칭솜을 동시에 봉제하는 기법을 설명하고 있다.
도 11는 겉감(20)과 넓은 펀칭솜(21), 좁은 펀칭솜(22), 안감(23)이 마름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써 각 소재는 도면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의 온전한 한 장이고, 각 크기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른다.
도 12는 겉감(20)과 넓은 펀칭솜(21), 좁은 펀칭솜(22)을 겹쳐서 1차로 고정하기 위하여 중심선(24)에 봉제후 겉감(20)이 안쪽으로 향하도록 꺽어 접어서 시접(25)을 남겨두고 가방의 옆선(26)을 봉제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는 도 12에서 옆선(26)이 바깥으로 향하도록 접은 후 가방의 깊이(27) 만큼 봉제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그 구조는 각각 안쪽에 겉감(20), 중간에 넓은 펀칭솜(21), 바깥쪽에 좁은 펀칭솜(22)이 위치한다. 가방의 깊이(27) 만큼 봉제한 후 형성되는 삼각형의 구조물(28)은 가방을 사용하는 형태로 뒤집었을 때 가방의 안쪽 아래에서 힘받이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4는 겉감(20)과 넓은 펀칭솜(21), 좁은 펀칭솜(22)을 동시에 봉제하는 공정을 마친 후 가방을 펼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설명과 같이 뒤집어서 제작하였기 때문에 겉감(20)이 가장 안쪽에 있고 바깥쪽으로 넓은 펀칭솜(21), 좁은 펀칭솜(22)이 각각 위치하고 시접(25)과 삼각형 힘받이(28)도 노출되어 있다.
도 15는 가방의 안과 밖을 사용하는 형태로 뒤집은 것을 나타내는데 외부에서 부터 겉감(20), 넓은 펀칭솜(21), 좁은 펀칭솜(22)이 위치하고 삼각형의 힘받이(28)는 가방의 안쪽 바닥에 붙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는 앞서 설명한 선행기술 뿐 아니라 다양한 가방에 적용되어 상황에 따라 상태를 변환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4: 손잡이 본체
141: 결속부재
143: 고정부재
145: 토글식 홀드부
149: 와이어
1491: 잡이부재

Claims (6)

  1. 겉감 및 안감을 구비하여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내측 공간이 형성되는 가방 본체; 및
    상기 가방 본체의 상단 개구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가방을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양 단부가 각각 가방의 상단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 지점에 상기 공간부와 외측을 연통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는 손잡이 본체;
    중심축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단부가 타측의 제2 단부의 중공으로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본체 내측에 복수개가 하나의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열의 양단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의 존부에 따라 서로 결속하거나 릴리즈되는 결속부재;
    상기 결속부재 열의 어느 한 끝단의 결속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결속부재 열의 내부 중공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 열의 타 끝단의 결속부재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타 끝단의 결속부재를 관통한 단부가 상기 손잡이 본체의 인출구를 통하여 상기 손잡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
    상기 고정부재 열 중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 끝단의 결속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의 당김 상태에 따라 번갈아 상기 와이어를 고정하거나 릴리즈하는 토글식 홀드부;를 포함하는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노출된 단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직경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갖는 잡이부재가 구비되는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제2 단부측으로부터 제1 단부측으로 갈수록 내측 중공형상의 직경이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X자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되는 결속부재의 제2 단부 외주면에 걸리는 후크를 포함하는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부재의 본체에 묶이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KR1020180070830A 2018-06-20 2018-06-20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KR101906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830A KR101906121B1 (ko) 2018-06-20 2018-06-20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830A KR101906121B1 (ko) 2018-06-20 2018-06-20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121B1 true KR101906121B1 (ko) 2018-11-28

Family

ID=6456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830A KR101906121B1 (ko) 2018-06-20 2018-06-20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12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72B1 (ko) 2003-03-12 2004-03-24 황성수 쇼핑백
JP2006327626A (ja) 2005-05-26 2006-12-07 Matsushiro Kk 手提袋
JP4356903B1 (ja) 2008-09-10 2009-11-04 紀行 石黒 ショッピング用携帯バック
KR200468571Y1 (ko) 2008-07-23 2013-08-22 이덕순 겉감과 완충재를 동시에 박음질하여 제작하는 가방류 제품
JP5302267B2 (ja) 2010-06-17 2013-10-02 芳男 渡辺 引き閉じ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372B1 (ko) 2003-03-12 2004-03-24 황성수 쇼핑백
JP2006327626A (ja) 2005-05-26 2006-12-07 Matsushiro Kk 手提袋
KR200468571Y1 (ko) 2008-07-23 2013-08-22 이덕순 겉감과 완충재를 동시에 박음질하여 제작하는 가방류 제품
JP4356903B1 (ja) 2008-09-10 2009-11-04 紀行 石黒 ショッピング用携帯バック
JP5302267B2 (ja) 2010-06-17 2013-10-02 芳男 渡辺 引き閉じ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937B2 (en) Reusable bag
US5957354A (en) Backsack
US7083331B2 (en) Stuff sack
JP5563364B2 (ja)
US6068401A (en) Stretchable bag
US5195218A (en) Flexible cord lock device
CN101646368A (zh) 盥洗包
KR101906121B1 (ko) 상태변환이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
US8636412B2 (en) Shopper bag
JP3515546B2 (ja) 手提げ袋
CN212488868U (zh) 折叠式包
JP3133648U (ja) 買物用再生バッグ
JP3142985U (ja) 手提げ用紙袋
CN207411696U (zh) 一种风琴式塑料包
JP3115634U (ja) 簡易バッグ
JP6583811B2 (ja) ランドセル用カバー
JP5748165B1 (ja) 物品を風呂敷に収納するための包み込み方法及び物品包み込み体
CN219556543U (zh) 一种提手强度高的手提袋
KR200488404Y1 (ko) 기능성 가방
KR102216733B1 (ko) 종이쇼핑백용 종이손잡이
JP3191642U (ja) 買い物袋
EP2353431A1 (en) Reinforced ecological strip
JP3240111U (ja) 着物用バッグ
JP3221582U (ja) 装飾具
JP3077635U (ja) リュック兼用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