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731B1 -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731B1
KR101905731B1 KR1020160134119A KR20160134119A KR101905731B1 KR 101905731 B1 KR101905731 B1 KR 101905731B1 KR 1020160134119 A KR1020160134119 A KR 1020160134119A KR 20160134119 A KR20160134119 A KR 20160134119A KR 101905731 B1 KR101905731 B1 KR 101905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liquid
filter
lane
pa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482A (ko
Inventor
이종화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삼신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삼신기업
Priority to KR1020160134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7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42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액형 도료인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용 밸브와 이액형 도료를 혼합하는 이액형 도료 혼화수단 및 혼합된 이액형 도료의 이물질을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분사하는 도료 분사수단의 구성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액형 도료의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주제와 경화제의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 있어서,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이 분리되어 유입되는 도료 유입용 밸브; 도료 유입용 밸브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키는 도료 혼화수단; 도료 혼화수단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도료 혼화수단에 의해 혼합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을 도로면 상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도료 분사수단; 및 도료 혼화수단과 도료 분사수단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Two-component nozzle system for lane painting}
본 발명을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액형 도료인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용 밸브와 이액형 도료를 혼합하는 혼화수단 및 혼합된 이액형 도료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의 구성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액형 도료의 원활한 혼합과 이액형 도료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 것은 운반수단으로 사용자가 편리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자동차는 단순한 운반수단의 차원을 넘어 자신의 생활은 물론, 사회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요소로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자동차의 보유대수로는 우리의 경우도 이미 선진국 대열에 진입하였으나, 인구 수에 비례하여 자동차 사고는 세계 1위의 불명예를 안고 있으며, 우리의 경우에는 교통신호 위반이나 차선 위반에 따른 사고 또한 다반사로 발생하는 경우가 선진국에 비해 많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증가에 따라 차량의 원활한 주행과 흐름을 통해 차량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차선이라는 것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차선으로는 고속도로나 국도 및 지방도 등의 상호 반대 차선 중앙을 가르는 중앙선이나 차량의 진행구간을 구분하는 차로선인 주행차선 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중앙선이나 주행차선 등의 차선은 운전자로 하여금 주행방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선으로, 이러한 차선은 차량의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기준이 되므로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시인성이 대단히 중요하다 할 수가 있다. 이처럼 차선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부터 차선의 도색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법들이 연구되고 실제로도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차선도색장치로는 도료를 도로면 상에 도포하기 위한 도포수단과 이 도포수단을 탑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되어진다. 이러한 차선도색장치는 도료가 저장된 이동수단을 작업자가 일일이 끌고 다니면서 도로면 상에 도료를 도포하는 수레형 차선도색장치와 차량에 설치되는 도색작업을 하는 차량형 차선도색장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차선도색장치로는 이액형의 도료를 도로면 상에 토출방식으로 토출시켜 차선을 도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액형 차선도색장치는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 저장되는 이액형 도료 탱크와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분사노즐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액형 차선도색장치의 경우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하나의 이액형 도료 탱크에 저장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액형 도료의 분사가 일정 시간 이상 멈추게 되면 이액형 도료 탱크 내부에 저장된 도료가 경화되어 이액형 도료의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액형 차선도색장치의 경우 도로면에 혼합된 상태의 이액형 도료를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한 다음, 이액형 도료의 분사를 일정 시간 이상 멈추게 되면 분사노즐 내부에 잔류된 이액형 도료가 흘러 내려 차선의 도색이 불량하게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이액형 차선도색장치는 도로면에 혼합된 상태의 이액형 도료를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과정에서 도료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분사노즐의 노즐구멍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로면에 차선을 도색하는데 여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만국 공개특허 제2010-0073465호(2010.07.01.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0715호(2012.06.08.자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2-0090966호(2002.12.05.자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6625호(2013.12.05.자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액형 도료인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용 밸브와 이액형 도료를 혼합하는 이액형 도료 혼화수단 및 혼합된 이액형 도료의 이물질을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분사하는 도료 분사수단의 구성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액형 도료의 균일한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도료 분사수단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통해 분사노즐로 유입되는 이액형 도료 혼합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하여 분사노즐의 노즐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또 다른 목적은 도료 분사수단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통해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경유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료 분사가 중지되는 과정에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이 분사노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는 주제와 경화제의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 있어서,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이 분리되어 유입되는 도료 유입용 밸브; 도료 유입용 밸브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키는 도료 혼화수단; 도료 혼화수단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도료 혼화수단에 의해 혼합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을 도로면 상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도료 분사수단; 및 도료 혼화수단과 도료 분사수단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도료 유입용 밸브는 입체형으로 이루어진 밸브몸체; 밸브몸체 하부면 중심에 형성되어지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결합부; 및 밸브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너트결합부로 각각 관통 형성되어지되 주제와 경화제가 분리되어 유입되는 유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유입용 밸브의 밸브몸체에 형성된 유로 각각의 유입구측에는 주제충진탱크와 경화제충진탱크에 충진된 주제와 경화제가 유로로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오토건이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도료 혼화수단은 도료 유입용 밸브의 하부측에 나사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혼화용 튜브; 혼화용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료 유입용 밸브의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 압력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혼화시키는 혼화용 스크류; 및 혼화용 튜브의 상·하단부에 설치되어 혼화용 스크류의 좌우 회전에 따른 상하 유동을 제한하되 중심에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튜브캡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도료 분사수단은 도료 혼화수단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어지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된 결합나사; 결합나사 하부에 위치되어 혼화된 이액형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 및 결합나사 하부측에 나사 결합되어 도료 분사노즐을 고정시키는 노즐 고정나사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필터는 일정 길이의 필터축; 필터축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가 이루어지는 2∼3개의 지지단이 내주면에 형성되어지되 지지단 사이에는 혼합된 이액형 도료가 경유하는 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필터링 와셔; 필터링 와셔 각각의 상부면 상에 동일 간격 다수 형성되어지되 필터축의 외주면 상에 다수 결합되는 상하 필터링 와셔 사이의 틈새가 일정 간격 유지되도록 하여 혼합된 이액형 도료에 포함된 이물질이 틈새를 통해 필터링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돌기; 및 필터링 와셔가 결합된 필터축의 하단이 결합 고정되어지되 필터링 와셔를 통해 필터링된 이액형 도료를 도료 분사수단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도료 유동홈이 관통 형성된 축받침대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필터를 구성하는 필터축은 원기둥 또는 육각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이액형 도료인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용 밸브와 이액형 도료를 혼합하는 이액형 도료 혼화수단 및 혼합된 이액형 도료의 이물질을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분사하는 도료 분사수단의 구성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액형 도료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료 분사수단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통해 분사노즐로 유입되는 이액형 도료 혼합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하여 분사노즐의 노즐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료 분사수단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통해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경유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료 분사가 중지되는 과정에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이 분사노즐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서 이액형 도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서 이액형 도료를 혼합하는 도료 혼합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서 이액형 도료를 혼합하는 도료 혼합수단을 결합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서 이액형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 분사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서 이액형 도료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의 전체 구성을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를 차선도색용 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구성도.
이하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를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서 이액형 도료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도료 유입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서 이액형 도료를 혼합하는 도료 혼합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서 이액형 도료를 혼합하는 도료 혼합수단을 결합하여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서 이액형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 분사수단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서 이액형 도료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보인 정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의 전체 구성을 결합하여 보인 사시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를 차선도색용 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100)는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이 분리되어 유입되는 도료 유입용 밸브(110), 도료 유입용 밸브(110)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키는 도료 혼화수단(120), 도료 혼화수단(1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도료 혼화수단(120)에 의해 혼합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을 도로면 상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도료 분사수단(130) 및 도료 혼화수단(120)과 도료 분사수단(130)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1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100)의 구성에서 도료 유입용 밸브(110)에는 주제와 경화제가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오토건(150)이 별도 구성된다. 이때, 오토건(150)은 주제충진탱크와 경화제충진탱크에 충진된 주제와 경화제 각각이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주제측 오토건(150)과 경화제측 오토건(150)이 별도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100)는 주제와 경화제가 충진된 충진탱크, 오토건(150), 도료 유입용 밸브(110), 도료 혼화수단(120), 필터(1140) 및 도료 분사수단(130)의 순서로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100)는 수레형 차선도색장치나 차량형 차선도색장치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10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수레형 차선도색장치나 차량형 차선도색장치에 설치되어 오토건(150)의 개방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의 오토건(150)을 경유하여 도료 유입용 밸브(110)를 통해 도료 혼화수단(120)으로 유입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도료 유입용 밸브(110)를 통해 도료 혼화수단(120)으로 유입된 주제와 경화제는 도료 혼화수단(120)을 통해 혼합되어 이액형 도료 혼합물로 조성되면서 필터(14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이액형 도료 혼합물은 필터(14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액형 도료 혼합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링되면서 도료 분사수단(130)을 통해 도로면 상에 분사되어 차선을 도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100)는 이액형 도료 혼합물을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과정에서는 도료 혼화수단(120)을 통해 주제와 경화제를 보다 균일하게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액형 도료 혼합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하여 도료 분사노즐(13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이액형 도료의 분사를 중지하는 과정에서는 필터(140)를 통해 도료 혼화수단(120)과 도료 분사수단(130) 사이에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을 붙잡아 두게 되어 이액형 도료 혼합물이 도료 분사수단(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액형 도료의 분사 중단시 도료 혼화수단(120)과 도료 분사수단(130) 사이에 설치된 필터(140)를 통해 이액형 도료 혼합물을 붙잡아 두기 때문에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료 유입용 밸브(110)는 이액형 도료를 구성하는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도료 유입용 밸브(110)는 도 1 내지 도 3 그리고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이 분리되어 유입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도료 유입용 밸브(110)는 입체형으로 이루어진 밸브몸체(112), 밸브몸체(112) 하부면 중심에 형성되어지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결합부(114) 및 밸브몸체(112)의 측면으로부터 너트결합부(114)로 각각 관통 형성되어지되 주제와 경화제가 분리되어 유입되는 유로(11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로(116)는 주제가 유입되는 주제유로와 경화제가 유입되는 경화제유로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유로(116)는 주제가 유입되는 주제유로와 경화제가 유입되는 경화제유로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112)의 양측으로부터 내부를 경유하여 너트결합부(114)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주제유로(116)와 경화제유로(116)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ㄱ"자의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몸체(112)의 양측으로부터 내부를 경유하여 너트결합부(114)로 관통 형성된 주제유로(116)와 경화제유로(116)로는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분리되어 유입되어 너트결합부(114) 상의 주제유로(116)와 경화제유로(116) 출구를 통해 도료 혼화수단(120)으로 토출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은 도료 유입용 밸브(110)의 구성에서 주제와 경화제가 분리되어 유입되도록 형성된 유로(116) 각각에는 유입된 주제와 경화제를 세척하기 위해 신너를 주입하기 위한 세척용 유로(118)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세척용 유로(118)는 밸브몸체(112)의 외측으로부터 주제유로(116)와 경화제유로(116)로 관통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유입용 밸브(110)의 밸브몸체(112)에 형성된 유로(116) 각각의 유입구측에는 주제충진탱크와 경화제충진탱크에 충진된 주제와 경화제가 유로(116)로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오토건(150)이 더 구성된다. 이때, 오토건(15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주제유로(116)와 경화제유로(116) 각각에 결합되어 케이블을 통해 조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료 혼화수단(120)은 도료 유입용 밸브(110)로부터 유입된 주제와 경화제를 혼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도료 혼화수단(120)은 도 1, 도 2,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유입용 밸브(110)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료 혼화수단(120)은 도료 유입용 밸브(110)의 하부측에 형성된 너트결합부(114) 상에 나사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혼화용 튜브(122), 혼화용 튜브(122)의 내부에 삽입되어 도료 유입용 밸브(110)의 유로(116)를 통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 압력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혼화시키는 혼화용 스크류(124) 및 혼화용 튜브(122)의 상·하단부에 설치되어 혼화용 스크류(124)의 좌우 회전에 따른 상하 유동을 제한하되 중심에 상하로 관통공(126-1)이 형성된 튜브캡(12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료 혼화수단(120)을 통한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은 오토건(150)의 개방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유로(116)를 통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가 너트결합부(114)의 유로(116) 출구를 거쳐 혼화용 튜브(122) 상단의 튜브캡(126)에 형성된 관통공(126-1)을 통해 혼화용 스크류(124) 상단으로 유입되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압력에 의해 혼화용 스크류(124)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압력에 의해 혼화용 스크류(124)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혼합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이액형 도료 혼합물은 혼화용 튜브(122) 하단의 튜브캡(126)에 형성된 관통공(126-1)을 통해 도료 분사수단(130)으로 유입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도료 분사수단(130)은 도료 혼화수단(120)에 의해 혼합된 주제와 경화제의 이액형 도료 혼합물을 도로면 상에 분사하는 것으로, 이러한 도료 분사수단(130)은 도 1, 도 2, 도 4, 도 5 및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혼화수단(120)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도료 혼화수단(120)에 의해 혼합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을 도로면 상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도료 분사수단(130)은 도료 혼화수단(120)을 구성하는 혼화용 튜브(122)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어지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된 결합나사(132), 결합나사(132) 하부에 위치되어 혼화된 이액형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134) 및 결합나사(132) 하부측에 나사 결합되어 도료 분사노즐(134)을 고정시키는 노즐 고정나사(13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도료 분사수단(130)은 도료 혼화수단(120)에 의해 혼합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을 결합나사(132)의 공동에 설치 고정되는 필터(140)를 통해 필터링하여 도료 분사노즐(134)을 통해 도로면에 분사함으로써 도로면에 차선을 도색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터(140)는 도료 혼화수단(120)을 통해 혼합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으로, 이러한 필터(140)는 도 4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혼화수단(120)과 도료 분사수단(130)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터(140)는 일정 길이의 필터축(142), 필터축(14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가 이루어지는 2∼3개의 지지단(144-1)이 내주면에 형성되어지되 지지단 사이에는 혼합된 이액형 도료가 경유하는 통공(144-2)이 형성된 다수의 필터링 와셔(144), 필터링 와셔(144) 각각의 상부면 상에 동일 간격 다수 형성되어지되 필터축(142)의 외주면 상에 다수 결합되는 상하 필터링 와셔(144) 사이의 틈새가 일정 간격 유지되도록 하여 혼합된 이액형 도료에 포함된 이물질이 틈새를 통해 필터링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돌기(146) 및 필터링 와셔(144)가 결합된 필터축(142)의 하단이 결합 고정되어지되 필터링 와셔(144)를 통해 필터링된 이액형 도료를 도료 분사수단(130)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도료 유동홈(148-1)이 관통 형성된 축받침대(148)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필터축(142)은 원기둥 또는 육각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필터(140)는 필터축(142)에 다수의 필터링 와셔(144)를 차례로 체결하되 필터링 와셔(144)의 지지단(144-1)이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통공(144-2)이 일직선 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처럼 필터링 와셔(144)를 필터축(142)에 체결한 다음에는 필터축(142)의 하단을 축받침대(148)에 결합하여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탑구조의 필터(140)를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필터(140)는 도료 혼화수단(120)에 의해 혼합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이 필터링 와셔(144)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되는 과정에서 이액형 도료 혼합물에 혼합된 입자상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된다. 즉, 필터링 와셔(144) 사이의 틈새보다 큰 입자상의 이물질은 필터링 와셔(144) 사이의 틈새 외측에 필터링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링 와셔(144) 사이의 틈새보다 큰 입자상의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필터링 와셔(144) 내측의 지지단(144-1) 사이에 형성된 통공(144-2)으로 유입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은 통공(144-2)을 통해 하부측으로 이동되어 축받침대(148) 상에 형성된 도료 유동홈(148-1)을 통해 도료 분사노즐(134)로 유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터(140)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축(142)에 필터링 와셔(144)가 다수 체결된 부분이 결합나사(132)의 공동에 삽입되어지되 축받침대(148)는 도료 분사수단(130)을 구성하는 결합나사(132)와 노즐 고정나사(136)의 나사 결합에 따라 도료 분사수단(130)의 결합나사(132) 하단과 도료 분사노즐(134)의 상단에 물린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필터(140)는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분사가 멈추는 경우 필터(140)의 필터링 와셔(144) 사이의 틈새가 이액형 도료 혼합물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되므로 도료 분사수단(130)으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누수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탱크, 오토컨(150), 도료 유입용 밸브(110), 도료 혼화수단(120), 필터(140) 및 도료 분사수단(130)이 체례로 결합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차선도색장치 또는 수례형 차선도색장치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도료 혼화수단(120)을 통해 주제와 경화제를 보다 균일하게 혼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액형 도료 혼합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 하여 도료 분사노즐(13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액형 도료의 분사 중단시 도료 혼화수단(120)과 도료 분사수단(130) 사이에 설치된 필터(140)를 통해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100. 노즐장치
110. 도료 유입용 밸브
112. 밸브몸체
114. 너트결합부
116. 유로
120. 도료 혼화수단
122. 혼화용 튜브
124. 혼화용 스크류
126. 튜브캡
130. 도료 분사수단
132. 결합나사
134. 도료 분사노즐
136. 노즐 고정나사
140. 필터
142. 필터축
144. 필터링 와셔
146. 간격유지돌기
148. 축받침대
150. 오토건

Claims (7)

  1. 주제와 경화제의 이액형 도료를 도로면 상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기 위한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에 있어서,
    입체형으로 이루어진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 하부면 중심에 형성되어지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결합부 및 상기 밸브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너트결합부로 각각 관통 형성되어지되 상기 주제와 경화제가 분리되어 유입되는 유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도료 유입용 밸브;
    상기 도료 유입용 밸브의 하부측에 나사 결합되는 일정 길이의 혼화용 튜브와 상기 혼화용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도료 유입용 밸브의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유입 압력에 의해 좌우로 회전되어 주제와 경화제를 혼화시키는 혼화용 스크류 및 상기 혼화용 튜브의 상·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혼화용 스크류의 좌우 회전에 따른 상하 유동을 제한하되 중심에 상하로 관통공이 형성된 튜브캡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유입되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시키는 도료 혼화수단;
    상기 도료 혼화수단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어지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된 결합나사와 상기 결합나사 하부에 위치되어 혼화된 상기 이액형 도료를 분사하는 도료 분사노즐 및 상기 결합나사 하부측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도료 분사노즐을 고정시키는 노즐 고정나사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도료 혼화수단에 의해 혼합된 이액형 도료 혼합물을 도로면 상에 분사하여 차선을 도색하는 도료 분사수단; 및
    상기 도료 혼화수단과 도료 분사수단 사이에 삽입 설치되지되 일정 길이의 필터축, 상기 필터축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지지가 이루어지는 2∼3개의 지지단이 내주면에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단 사이에는 혼합된 상기 이액형 도료가 경유하는 통공이 형성된 다수의 필터링 와셔, 상기 필터링 와셔 각각의 상부면 상에 동일 간격 다수 형성되어지되 상기 필터축의 외주면 상에 다수 결합되는 상하 필터링 와셔 사이의 틈새가 일정 간격 유지되도록 하여 혼합된 상기 이액형 도료에 포함된 이물질이 틈새를 통해 필터링되도록 하는 간격유지돌기 및 상기 필터링 와셔가 결합된 상기 필터축의 하단이 결합 고정되어지되 상기 필터링 와셔를 통해 필터링된 이액형 도료를 상기 도료 분사수단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도료 유동홈이 관통 형성된 축받침대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이액형 도료 혼합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에 형성된 상기 유로 각각의 유입구측에는 주제충진탱크와 경화제충진탱크에 충진된 주제와 경화제가 상기 유로로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하는 오토건이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구성하는 필터축은 원기둥 또는 육각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
KR1020160134119A 2016-10-17 2016-10-17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 KR101905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19A KR101905731B1 (ko) 2016-10-17 2016-10-17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119A KR101905731B1 (ko) 2016-10-17 2016-10-17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482A KR20180042482A (ko) 2018-04-26
KR101905731B1 true KR101905731B1 (ko) 2018-10-12

Family

ID=6208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119A KR101905731B1 (ko) 2016-10-17 2016-10-17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33A (ko) * 2019-05-31 2020-12-09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필터가 구비된 연주기용 2유체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14438A1 (de) * 2020-02-10 2021-08-1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elbstreinigend ausgebildete Kunststoffbeschichtungsvorricht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274B1 (ko) * 2005-01-28 2006-05-11 미래피앤씨(주) 주제와 경화제 혼합장치를 갖춘 이액형 스프레이 건
KR101214640B1 (ko) * 2011-07-22 2012-12-21 (주)일화건영 페인트 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274B1 (ko) * 2005-01-28 2006-05-11 미래피앤씨(주) 주제와 경화제 혼합장치를 갖춘 이액형 스프레이 건
KR101214640B1 (ko) * 2011-07-22 2012-12-21 (주)일화건영 페인트 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33A (ko) * 2019-05-31 2020-12-09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필터가 구비된 연주기용 2유체 노즐
KR102591953B1 (ko) * 2019-05-31 2023-10-23 스프레이시스템코리아 유한회사 필터가 구비된 연주기용 2유체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482A (ko)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731B1 (ko) 차선도색용 이액형 노즐장치
DE102015002974A1 (de) Vorrichtung zur Nachbehandlung von Abgas eines Kraftfahrzeugs
KR101757412B1 (ko) 2액형 도료 차선도색장치
EP2833991A1 (de) Sprühmischer zum mischen und sprühen von mindestens zwei fliessfähigen komponenten
DE102014010989B4 (de) Einfüllstutzen für einen Flüssigkeitsbehälter, insbesondere für einen Harnstoffbehälter
DE112012005017T5 (de) Duschkopf für Notfall-Waschsystem
DE3026067A1 (de) Dosiervorrichtung mit kugelventil und verfahren zum betrieb
KR101473169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20180042480A (ko) 차선도색용 필터장치
KR101150715B1 (ko) 이액형 차선 도색장치
KR101554451B1 (ko) 소형차선도색차량
KR101554450B1 (ko) 이액형 도료의 혼합기능이 부여되는 차선도색분사기기
KR101279431B1 (ko) 수동식 차선 도색장치
WO2021094278A1 (de) Zerstäuber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KR20200117869A (ko)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
KR101566659B1 (ko) 외부 혼합식 차선도색공법
DE102011075594A1 (de)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eines Sprühnebels für Abgasnachbehandlungssysteme
WO2021132351A1 (ja) 塗装液混合装置及び塗装液の混合方法
DE2502389A1 (de)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kraftfahrzeug-scheinwerfern
EP0167947B1 (de) Einrichtung zum Erzeugen von Schaum
KR102217894B1 (ko) 노면 표시용 도색기
DE102010043735A1 (de) Einspritzdüse
DE202012100702U1 (de) Einspüleinheit und Vorrichtung mit einer Einspüleinheit
KR101108873B1 (ko) 고휘도 우천형 비드 건을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차선 도색장치
KR101695414B1 (ko) 상온 경화형 도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