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869A -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869A
KR20200117869A KR1020200036717A KR20200036717A KR20200117869A KR 20200117869 A KR20200117869 A KR 20200117869A KR 1020200036717 A KR1020200036717 A KR 1020200036717A KR 20200036717 A KR20200036717 A KR 20200036717A KR 20200117869 A KR20200117869 A KR 20200117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ay
fine dust
vehicl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수영
문정술
Original Assignee
문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영 filed Critical 문수영
Publication of KR2020011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60P3/2215Mounting of tanks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6Silo or fluid transpor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운전석 및 바퀴를 포함한 차량본체(10); 상기 차량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물탱크(20);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대기중으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30); 및 상기 물탱크와 살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살수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호스(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차량을 통한 이동 중에 노즐의 각 분무팁에서 분무형태의 물을 대기 중으로 발산시키는 동시에 방산팬의 고압 강풍에 의해 물의 분무가 극대화되면서 미세먼지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SPRAY VEHICLE FOR REMOVING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을 통한 이동에 의해 물을 분무형태로 대기 중에 발산시켜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화석연료의 사용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대기 중에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대기 중의 미세먼지는 특별한 제거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자연적인 바람이나 강우에 의존하다시피 하는 게 현실정이다.
한편, 이와 같은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대기 중으로 물을 살포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제시된 대기 중의 미세먼지 제거방법의 일례를 살펴보면, 길다란 호스를 포함한 살수장치를 설치하여 분무시스템에 의해 물을 살포하거나 또는 먼지의 흡입장치와 집진설비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방지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살수장치를 설치하여 분무시스템에 의해 물을 살포하는 경우에는 분무시스템의 살수를 통해 비산되는 미세먼지를 어느 정도 저감하여 방지할 수는 있지만, 단순히 제자리에서 길다란 호스에만 의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동이 어렵고 좁은 범위에서의 살수에 한정되어 제대로 미세먼지 제거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0602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써, 이동이 가능하도록 운전석 및 바퀴를 포함한 차량본체와, 상기 차량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대기중으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 및 상기 물탱크와 살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살수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호스를 포함하여, 차량을 통한 이동 중에 분무형태의 물을 대기 중으로 발산시켜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운전석 및 바퀴를 포함한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대기중으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 및 상기 물탱크와 살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살수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는 일측에 분사되는 물에 강풍을 제공하여 물이 분무되면서 대기중으로 비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산팬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는,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노즐하우징; 상기 노즐하우징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물공급호스와 연결되며 일측에 니플을 갖는 연결관체; 및 상기 니플과 연결되어 물이 대기중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는 링 형상으로 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연결관체의 링 형상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체의 니플과 체결을 위해 상부에는 제1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구의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제2체결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구의 하부로 축선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노즐관과, 상기 물이 분리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관의 선단부위 주변에서 하향 경사로 관통 형성되어 외주연에 대칭 배치되는 다수의 분배관 및 상기 각 분배관의 선단부위에서 확장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헤드부; 및 상기 각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각 분배관에 내부의 분무통로가 동일 축선상으로 연통되며 상기 물을 분무하는 분무팁;을 포함하며, 상기 분무통로는, 축선방향을 따라 내경이 일정하다가 출구에 근접하여 비선형적으로 축소되며 단부에서 확장되는 구조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있어서, 상기 분무통로의 비선형적 내경 축소부위는 축선방향을 따라 볼록한 형태로 만곡된 구조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제2체결구에 체결되며 상기 분배관의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의 플러그가 더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하부에는 상기 노즐관의 상대적인 내경축소로 형성되는 단턱 위에 안치되며 하부로 구비되는 오링과 상기 플러그에 의해 가압 고정되는 여과망이 더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별도의 흡착재와 물을 혼합한 혼합제를 형성하고, 상기 분무통로는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상기 혼합제를 재차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제재혼합부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가 제자리 축 회전되면서 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축회전 구조가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운전석 및 바퀴를 포함한 차량본체와, 상기 차량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대기중으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 및 상기 물탱크와 살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살수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호스를 포함하여, 차량을 통한 이동 중에 노즐의 각 분무팁에서 분무형태의 물을 대기 중으로 발산시키는 동시에 방산팬의 고압 강풍에 의해 물의 분무가 극대화되면서 미세먼지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을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을 나타낸 개략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의 노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노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몸체부 및 헤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분무팁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용 노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의 노즐 중 분무통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의 살수부가 축회전 작동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복합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은 차량본체(10)와, 물탱크(20)와, 살수부(30) 및 물공급호스(4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본체(10)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운전석(11) 및 바퀴(12)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차체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20)는 상기 차량본체(10)의 후방에 마련되고 살수용 물을 수용하는 대형 용기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살수부(30)는 상기 물탱크(20)의 후방 상단에 연결되어 대기중으로 물을 분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물공급호스(40)는 상기 물탱크(20)와 살수부(30)를 연결하여 소정의 펌프(미도시)를 통해 상기 물탱크(20)의 물을 상기 살수부(30)로 공급하는 관체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살수부(30)는 일측에 분사되는 물에 강풍을 제공하여 물이 강력하게 분무되면서 대기중으로 비산될 수 있도록 하는 방산팬(60)이 더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살수부(30)는, 상기 물탱크(20)의 후방 상단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노즐하우징(31)과, 상기 노즐하우징(31)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물공급호스(40)와 연결되며 일측에 니플(32a)을 갖는 연결관체(32) 및 상기 니플(32a)과 연결되어 물이 대기중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33)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체(32)는 링 형상으로 되고, 상기 노즐(33)은 상기 연결관체(32)의 링 형상을 따라 등 간격으로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노즐(33)은, 헤드부(200)에 형성된 노즐관(210)의 선단부위 주변으로 다수의 분배관(220)이 분기 형성되어 대칭 배치되고, 상기 각 분배관(220) 별로 분무팁(300)이 구비되어, 이에 따라 유입된 물이 상기 분배관(220)에서 미리 분기된 뒤 상기 분무팁(300)에서 분무 방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노즐(33)은 물을 공급하는 연결관체(32)의 니플(32a)에 체결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노즐관(210) 및 분배관(220)이 형성된 헤드부(200)와, 상기 헤드부(200)에 체결되어 상기 각 분배관(220)과 연통하는 다수의 분무팁(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0)는 상기 연결관체(32)와 체결될 수 있도록 안측에 제1체결구(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구(110)의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은 제2체결구(120)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부(100)의 외주연은 상기 연결관체(32)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육각너트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0)는 외경이 일정하다가 하부에서 확장되고, 확장된 하부는 하향 절단된 4곳의 대칭면을 갖는 외형상으로써, 내부는 내경이 일정하다가 선형적으로 축소되는 노즐관(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관(210)은 상기 제2체결구(120) 및 제1체결구(110)와 축선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노즐관(210)은 상기 제2체결구(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경이 작기 때문에 상단에 단턱(210a)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관(210)의 하부 선단부위 즉 내경이 축소되는 부위에 다수개로 분기 형성된 분배관(220)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분배관(220)은 예시된 것처럼 4개가 약 90ㅀ각도별로 대칭 형성되며, 이에 따라 노즐관(210)을 통해 물이 유입될 경우 노즐관(210) 하부에서 각 분배관(220)으로 미리 분배되어 각 분무팁(300)을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00)의 제2체결구(120)에 플러그(400)가 마련되며, 상기 플러그(400)는 비교적 두꺼운 원판 형태로서,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2체결구(120)에 체결된다.
그리고, 4개의 관통구(4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400)가 상기 제2체결구(120)에 완전히 체결되면, 상기 각 관통구(410)는 상기 각 분배관(220)의 배치구조에 상응하여 위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방에서 볼 경우 상기 각 관통구(410)의 연직하방에 각 분배관(220)이 대응하여 위치하게 된다.
그래서, 물이 유입될 경우 상기 플러그(400)의 관통구(410)를 통해 4 갈래로 분리되면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다시 분배관(220)에 의해 미리 분배되어 방출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400)의 하부에는 물에 내포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망(50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관(210)의 상부에 형성된 단턱(210a) 위에는 오링(510)이 놓여진다. 상기 플러그(400)는 체결됨에 따라 상기 단턱(210a) 직전까지 압박하여 진입하고, 이때 상기 오링(510)과의 사이로 상기 여과망(500)이 개재됨으로써 상기 여과망(500)은 상기 오링(510)과 플러그(400)에 의해 압박 고정된다.
그리고, 분무팁(300)은 각 분배관(220)에 대응하여 헤드부(200)에 체결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헤드부(200)의 외주연에는 상기 분배관(220)의 출구 주변으로 체결공(230)이 확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분무팁(300)은 상기 체결공(230)에 체결된다.
상기 분무팁(300)은 이를 위해 일측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 중앙부위는 체결이 용이하도록 육각너트형상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분무팁(300)은 내부에 축선방향을 따라 분무통로(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무통로(310)는 상기 체결공(230)에 분무팁(300)이 체결되면서 분배관(220)에 연통하게 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분무통로(310)는 분무팁(300)의 입구에서 출구로 가면서 내경이 일정하다가 출구에 이르러 내경이 축소되는 형상이며 또한 출구 선단부위에서는 급격하게 내경이 확장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내경이 축소되는 부분은 비선형적으로 축소되는데, 축선방향을 따라 볼록하게 만곡되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는 제1체결구(110)와 제2체결구(120)가 동일축선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며, 각각 연결관체(32) 및 플러그(40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내주연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체결구(110)에 비해 상기 제2체결구(120)의 내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200)는 상기 제2체결구(120)와 동일축선 상으로 노즐관(2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관(210)의 내경이 제2체결구(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직경 구조에 의해 단턱(210a)이 형성되는데, 상기 플러그(400)는 제2체결구(120)에 체결되면서 상기 단턱(210a) 바로 직전까지 진입된다.
상기 단턱(210a)은 여과망(500)이 재치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단턱(210a) 상에는 오링(510)이 구비되어 여과망(500)의 저면을 떠받치고 있고 상기 플러그(400)가 단턱(210a) 바로 직전까지 진입해옴으로 플러그(400)와 오링(510)에 의해 상기 여과망(500)이 압박 고정된다.
상기 노즐관(210)은 하부의 내경이 선형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으로, 그 선단부위 테두리에 약 90ㅀ각도별로 분배관(220)이 대칭 형성되어 있다. 각 분배관(220)은 약 70ㅀ정도 하향 경사져 4개가 대칭 형성되며 헤드부(200)의 외주연까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배관(220)의 출구부위에는 분무팁(300)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230)이 확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체결공(230)의 형성부위를 중심으로 헤드부(200)의 외주연은 하향 절단된 4개의 대칭면을 갖는 형상을 취하고 있다.
아울러 분무팁(300)은 상기 체결공(230)에 체결되면서 상기 분배관(220)과 동일축선 상으로 분무통로(310)가 형성된다. 상기 분무통로(310)는 일정내경이 이어지다가 출구측으로 갈수록 비선형적으로 내경이 줄어들며 출구 선단부위에 이르러 내경이 급격하게 확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분무통로(310)의 형상은, 분배관(22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분무통로(310)를 지나 분무될 경우 미세한 액적으로 분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무통로(310)에 만일 물이 유입될 경우 내경이 서서히 줄어드는 분무통로(310)를 지나면서 압력수두보다 속도수두가 상대적으로 커진다.
그러다가 선단부위에 이르러 갑자기 급격한 내경확장부위를 통과하면 갑자기 압력수두가 커지면서 물이 무수한 액적으로 분리되면서 분무되는 배출형태를 갖는 구조가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노즐(33)은 물이 공급되는 연결관체(32)에 몸체부(100)의 제1체결구(110)가 체결된다.
그러면 물이 제1체결구(110)를 통해 제2체결구(120)에 도달하고, 제2체결구(120) 내에 위치한 플러그(400)에 이르러 4개의 관통구(410)를 통해 4갈래로 분리되어 헤드부(200)의 노즐관(210)으로 주입된다.
이 때 각 관통구(410)별로 대응 배치된 4개의 분배관(220)에는 상기 4갈래로 분리된 물이 바로 유입되고, 분배되어 각 분무팁(300)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에 따라 각 분무팁(300)에서 물이 분무되어 방출되면서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분무팁(300)의 분무통로(310)의 형상이 내경이 서서히 줄어들다가 출구 선단부위에 이르러 갑자기 확장되는 구조임으로 물은 분무통로(310)를 지나고 방출되면서 미세한 액적(액체방울) 형태로 분리되어 분무된다.
이러한 분무형태로 물이 방출될 경우 미세한 액적이 연속하여 퍼져나가게 됨으로써, 각 액적간의 간극이 매우 작아 그 사이로 산소가 통과하는 양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4개의 분무팁(300)이 구비되며 각 분무팁(300)에서 방출되는 분무각도를 감안하면 서로간에 겹치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으로, 각 분무팁(30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산소의 흐름 또한 어느 정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 배출구조를 갖는 소화용 노즐(33)에서, 상기 분배관(220) 및 분무팁(300)의 개수는 예시된 4개 이외에, 헤드부(200)의 크기가 허용하는 범위 및 설계범위 이내에서 더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노즐관(210)의 하부에 동일 축선방향으로 분배관(220)을 연장 형성시킨 구조 및 이에 대응하여 분무팁(300)을 결합한 구조의 사용도 응당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400)는 제2체결구(120)에 대해 나사드라이버로 체결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면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분배관(220)의 경사각도는 예시된 70ㅀ이외에, 분배관(220)의 물 또는 소화액제 배출각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 70ㅀ∼ 90ㅀ에서 사용하고, 배출각도를 낮추고자 할 경우 45ㅀ∼ 70ㅀ사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은 차량이 이동하면서 상기와 같은 노즐(33)의 각 분무팁(300)에서 물이 분무되어 방출되는 동시에 방산팬(60)에 의한 고압 강풍을 상기 분무되는 물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운전석 및 바퀴를 포함한 차량본체와, 상기 차량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대기중으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 및 상기 물탱크와 살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살수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호스를 포함하여, 차량을 통한 이동 중에 노즐의 각 분무팁에서 분무형태의 물을 대기 중으로 발산시키는 동시에 방산팬의 고압 강풍에 의해 물의 분무가 극대화되면서 미세먼지를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탱크(20)의 물만을 살수하는 이외에 미세먼지를 보다 더 잘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흡착제를 상기 물탱크(20)에 투입하여 물과 혼합된 혼합제로 만들어서 분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혼합재가 재차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을 상기 분무통로(310)에 마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분무통로(310) 내에는 물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혼합제를 재차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제재혼합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상기 혼합제재혼합부는, 내부공간을 갖는 관체 구조의 재혼합부본체(331)와, 상기 재혼합부본체(331) 내부공간의 상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호스(미도시)에서 공급된 혼합제 및 제트에어노즐(미도시)을 통한 고압의 에어에 의해 축 회전되는 혼합날개(332c)가 마련된 제1재혼합부(332) 및 상기 재혼합부본체(331)의 내부공간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재혼합부(332)에서 1차적으로 혼합된 혼합제를 재차 혼합시키는 제2재혼합부(333)에 의해 2단계에 걸쳐 혼합제가 재혼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재혼합부(332)는, 상기 재혼합부본체(331)의 내부공간 상측의 내벽면에 양단부가 고정 지지되는 길다란 막대 형상의 지지대(332a)와, 상기 지지대(332a)의 중앙에서 상향 직립 연장되는 회전축(332b)과, 상기 회전축(332b)에 축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혼합날개(332c)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332a)와 회전축(332b)은 베어링(332d) 구조로 연결되어 고정 연결된 지지대(332a) 상에서 상기 회전축(332b)이 축 회전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날개(332c)는 상기 회전축(332b)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혼합날개(332c)들은 상기 회전축(332b)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측이 나선 형상으로 비틀어져(일반적인 프로펠러 구조 등)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편(332c1)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332b) 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각각의 혼합날개(332c)들은 서로의 날개편(332c1)들이 상대적으로 어긋나게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2재혼합부(333)는 상기 제1재혼합부(332)의 하방에 배치되되, 상기 제1재혼합부(332)에서 일차적으로 혼합된 혼합제가 하단의 토출구(334)를 향해 나선 형상으로 진행되면서 재차 혼합될 수 있도록 하는 나선유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재혼합부(333)는 진행방향을 따라 유로가 좁아지고(캐필러리 효과) 넓어짐을 연속적으로 반복하여 유속에 변화를 주기 위한 광협유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물탱크(20)로 투입된 흡착제를 상기 물탱크(20)내에서 일차적으로 혼합하고 다시 상기 혼합제재혼합부에서 이차적으로 재혼합하여 대기 중으로 분사함으로써 미세먼지의 제거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살수부(30)가 제자리 축 회전되면서 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살수부(30)의 하단에 축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600)을 설치하고 그 하방의 실린더(700)의 승강로드(710)의 승강에 의해 상기 턴테이블(600)이 좌우로 선회되면서 살수부(30)가 다양한 방향으로 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턴테이블(600)은 내부에 상향 오목하게 패이고 하단부가 개방된 오목부(61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610)의 내주면에는 상하 나선형으로 오목한 가이드홈(6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620)의 전체 나선길이는 일례로 상기 살수부(30)가 차량본체(10)의 직선 후방을 향해 놓인 상태에서 좌우 직각방향을 향하는 정도로 좌우 축회전되도록 하는 나선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620)의 나선길이 정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홈(620)의 깊이보다 더 깊게 패인 스톱퍼홈(6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700)는 상하로 소정 길이 승강되는 상기 승강로드(71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로드(710)는 상기 가이드홈(620)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720)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돌기(720)는 상기 승강로드(71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프링(7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721은 상기 슬라이딩돌기(720)가 승강로드(7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승강로드(710)의 내측면에 걸리도록 된 걸림편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620)은 상기 오목부(610)의 내주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대칭 구조로 한 쌍이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딩돌기(720)는 상기 승강로드(710)의 상단부 외주면의 대칭되는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살수부의 제자리 축회전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0에서와 같이, 살수부(30)는 차량의 직선 후방을 향해 정지된 상태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때 상기 실린더(700)의 승강로드(710)의 슬라이딩돌기(720)의 오목부(610)의 가이드홈(620)의 중앙부에 위치된 스톱퍼홈(621)에 삽입된 상태로 의도치않는 승강로드(710)의 승강 유동이 억제된 상태를 유지하여 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도 11에서와 같이, 실린더(700)가 작동하여 승강로드(710)가 상승하게 되면, 이때 상기 실린더(700)의 승강로드(710)의 슬라이딩돌기(720)는 오목부(610)의 가이드홈(620)의 중앙부에 위치된 스톱퍼홈(621)을 벗어나서 상향 슬라이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600)은 상기 슬라이딩돌기(720)의 상승에 따른 가이드홈(620)에 대한 상향 가압에 의해, 평면도로 볼 때, 시계방향으로 제자리 축회전하면서 살수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돌기(720)는 스톱퍼홈(621)을 벗어나는 동시에 가이드홈(620)의 바닥면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탄성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스프링(730)의 탄성 지지에 의해 축회전되는 턴테이블(600)이 덜거럭거림없이 안정적으로 선회된다.
그러고 나서, 도 12에서와 같이, 실린더(700)의 승강로드(710)의 상승이 완료되면 반대로 실린더(700)의 승강로드(710)가 하강하게 되며, 이때 승강로드(710)의 슬라이딩돌기(720)는 역으로 하향 슬라이딩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600)은 상기 슬라이딩돌기(720)의 하강에 따른 가이드홈(620)에 대한 하향 가압에 의해, 평면도로 볼 때, 이번에는 반시계방향으로 제자리 축회전하면서 살수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도 역시, 상기 슬라이딩돌기(720)는 가이드홈(620)의 바닥면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탄성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스프링(730)의 탄성 지지에 의해 축회전되는 턴테이블(600)이 덜거럭거림없이 안정적으로 선회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700)의 승강로드(710)가 지속적으로 승강됨에 따라 살수부(30)도 계속적인 좌우 축회전이 이루어지면서 후방 및 좌우 지역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에 걸친 살수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차량본체 11 : 운전석
12 : 바퀴 20 : 물탱크
30 : 살수부 31 : 노즐하우징
32 : 연결관체 32a : 니플
33 : 노즐 40 : 물공급호스
60 : 방산팬 100: 몸체부
110: 제1체결구 120: 제2체결구
200: 헤드부 210: 노즐관
210a: 단턱 220: 분배관
230: 체결공 300: 분무팁
310: 분무통로 331 : 재혼합부본체
332 : 제1재혼합부 332a : 지지대
332b : 회전축 332c : 혼합날개
332c1 : 날개편 332d : 베어링
333 : 제2재혼합부 334 : 토출구
400: 플러그 410: 관통구
500: 여과망 510: 오링
600 : 턴테이블 610 : 오목부
620 : 가이드홈 621 : 스톱퍼홈
700 : 실린더 710 : 승강로드
720 : 슬라이딩돌기 721 : 걸림편
730 : 스프링

Claims (5)

  1. 이동이 가능하도록 운전석 및 바퀴를 포함한 차량본체;
    상기 차량본체의 일측에 마련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연결되어 대기중으로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 및
    상기 물탱크와 살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살수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호스;
    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는,
    상기 물탱크의 일측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가 후방으로 연장되는 노즐하우징;
    상기 노즐하우징의 타단부에 마련되고 물공급호스와 연결되며 일측에 니플을 갖는 연결관체; 및
    상기 니플과 연결되어 물이 대기중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는 링 형상으로 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연결관체의 링 형상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물을 공급하는 상기 연결관체의 니플과 체결을 위해 상부에는 제1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구의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의 제2체결구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구의 하부로 축선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으로 형성되는 노즐관과, 상기 물이 분리 배출되도록 상기 노즐관의 선단부위 주변에서 하향 경사로 관통 형성되어 외주연에 대칭 배치되는 다수의 분배관 및 상기 각 분배관의 선단부위에서 확장 형성되는 체결공을 포함하는 헤드부; 및
    상기 각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각 분배관에 내부의 분무통로가 동일 축선상으로 연통되며 상기 물을 분무하는 분무팁;을 포함하며,
    상기 분무통로는, 축선방향을 따라 내경이 일정하다가 출구에 근접하여 비선형적으로 축소되며 단부에서 확장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별도의 흡착재와 물을 혼합한 혼합제를 형성하고,
    상기 분무통로는 상기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상기 혼합제를 재차 혼합시키기 위한 혼합제재혼합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처리장치.


KR1020200036717A 2019-04-03 2020-03-26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 KR202001178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8784 2019-04-03
KR1020190038784 2019-04-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869A true KR20200117869A (ko) 2020-10-14

Family

ID=7284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717A KR20200117869A (ko) 2019-04-03 2020-03-26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786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0736A (zh) * 2021-12-28 2022-03-29 漳州环境集团有限公司 一种雾炮车
CN115301430A (zh) * 2022-08-29 2022-11-08 安徽传旗重科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球形旋流雾化喷头的清洗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602B1 (ko) 2018-01-27 2018-10-23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도로건설현장용 미세먼지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602B1 (ko) 2018-01-27 2018-10-23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도로건설현장용 미세먼지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0736A (zh) * 2021-12-28 2022-03-29 漳州环境集团有限公司 一种雾炮车
CN115301430A (zh) * 2022-08-29 2022-11-08 安徽传旗重科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球形旋流雾化喷头的清洗车
CN115301430B (zh) * 2022-08-29 2024-04-12 安徽传旗重科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带有球形旋流雾化喷头的清洗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7869A (ko) 미세먼지 제거용 살수차량
DE2427693C2 (de) Vorrichtung zum innigen Vermischen eines Gases mit einer Flüssigkeit
CA2623056C (en) Multiple discharge orifice spray nozzle
CN101080255A (zh) 喷射介质的方法及喷嘴
DE3238149C2 (de) Vorrichtung zum Zerstäuben von Flüssigkeiten
RU2327530C1 (ru) Дождевальный насадок
KR101665289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KR200478546Y1 (ko) 식물재배용 회전 분출식 분수 호스
EP2969234A1 (de) Zerstäuberdüse für einen sanitären wasserauslauf sowie sanitäre auslaufarmatur mit einem wasserauslauf
DE3820537A1 (de) Spruehvorrichtung
RU2158151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и огнетушитель, снабженный распылителем
CN1113456A (zh) 带有环形肋液流破裂装置的泡沫喷嘴
FR2575082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mousse et generateur de mousse a debit d'air controle faisant application du procede
CH702598A1 (de) Einspritzdüse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Einspritzdüse.
US2949241A (en) Lawn and crop sprinkler
RU2380167C1 (ru) Дождевальный насадок
RU2635709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газопромыватель
RU2324348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RU2329872C1 (ru) Дождевальная дефлекторная насадка
RU2343992C1 (ru) Мелкодисперсный дождеватель
RU2319552C1 (ru) Дождевальный насадок
EP3429756B1 (de) Vorrichtung zur luftbehandlung
RU2347625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турбинного типа
CN1142404A (zh) 具有喷嘴组件的灭火器
US20070138325A1 (en) Spraying and atomization device of a saline m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