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289B1 -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 Google Patents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289B1
KR101665289B1 KR1020160048078A KR20160048078A KR101665289B1 KR 101665289 B1 KR101665289 B1 KR 101665289B1 KR 1020160048078 A KR1020160048078 A KR 1020160048078A KR 20160048078 A KR20160048078 A KR 20160048078A KR 101665289 B1 KR101665289 B1 KR 101665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ap
fixing
spray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주
Original Assignee
(주)씨앤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씨테크 filed Critical (주)씨앤씨테크
Priority to KR1020160048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관(20)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액을 분사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20)에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기둥부(120)와, 상기 기둥부(120)의 상단부에 연장되며 상기 공급관(20)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액이 토출되는 노즐부(130)로 이루어진 노즐본체(100)와; 상기 기둥부(120)와 노즐부(130)를 감싸도록 상기 기둥부(120)와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분사구멍(232)이 형성되어 있는 캡(200)과, 상기 캡(200)이 상기 기둥부(120)로부터 회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캡(200)을 임시고정하는 고정장치(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SPRAY ANGLE ADJUSTABLE NOZZLE FOR SPEED SPRAYER}
본 발명은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액의 분사각도를 간단한 조작으로 자유롭게 변경하여 과수목의 수형에 맞게 분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에 관한 것이다.
과수원 전용방제기인 스피드 스프레이어(Speed Sprayer)는 작업자가 앞좌석에서 운전을 하고 본체의 후미에서 고압분무기로 분사되는 농약을 고속의 팬으로 송풍하여 과수에 살포하는 농약분사작업기기이다.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농약을 후미에서 살포하므로 작업자에게 안전하고, 작업능률이 뛰어나서 대규모 과수원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지상부 반원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일정한 작업반경까지 약액을 균일하게 분무하게 되므로, 본체의 45도 방향에 있는 과수의 상단부에는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약액이 분무 되거나 도달하지 않게 되고 90도 방향으로 분무 되는 농약은 불필요하게 낭비되며, 45도 방향에 잇는 과수의 상단까지 약액을 분무하기 위해서는 송풍팬을 더욱 고속회전시켜야 하므로 농약살포가 비효율적이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등록특허 제10-1118777호에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분무유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약액을 분무유도장치를 통하여 과수의 상단까지 분사되게 유도해줌으로써 약액이 골고루 살포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약액이 분사되는 노즐을 직접 조작하여 분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므로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반원방향을 따라 약액의 미세한 분사각도 및 분사거리의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스피드 스프레이어에 별도로 장착되는 형태가 아닌 분사노즐의 조작을 통하여 약액의 분사각도 및 분사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삭제
(한국등록특허 제10-1118777, 2012년 02월 1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피드 스프레이어를 이용하여 농약 살포 작업시 약액의 분사각도에 따른 분사거리를 노즐의 간단한 조작으로 조절함으로써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의 반원 방향을 따라 약액을 과수목의 수형에 맞춰 분사할 수 있는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 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용 분사노즐은, 공급관(20)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액을 분사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20)에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기둥부(120)와, 상기 기둥부(120)의 상단부에 연장되며 상기 공급관(20)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액이 토출되는 노즐부(130)로 이루어진 노즐본체(100)와; 상기 기둥부(120)와 노즐부(130)를 감싸도록 상기 기둥부(120)와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분사구멍(232)이 형성되어 있는 캡(200)과, 상기 캡(200)이 상기 기둥부(120)로부터 회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캡(200)을 임시고정하는 고정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13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단부에 연장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토출구(131)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목(132)과; 상기 노즐목(132)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노즐목(132)의 직경보다 더 돌출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짐에 따라 측면이 경사지고, 상기 경사진 측면에 사선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유출홈(133)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머리(1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캡(200)은, 상기 기둥부(120) 및 노즐부(130)가 삽입되며 양단부가 개방되고, 외측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고정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캡(210)과; 상기 제1 캡(210)의 상단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 원형의 개구부(222)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캡(220)과; 상기 제1 캡(210)의 상부와 상기 제2 캡(220)의 내측 상단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분사구멍(232)이 형성되어 있는 세라믹분판(23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장치(300)는, 상기 결합부(110)로부터 회전축(311)을 기점으로 선회하는 회전부(312)와, 상기 회전부(312)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고정홈(212)에 삽입되는 걸림부(314)와, 상기 회전부(312)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회전부(312)와 둔간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는 누름부(316)로 이루어진 고정핀(310)과, 상기 고정핀(310)의 걸림부(314)가 상기 고정홈(212)에 밀착되도록 상기 누름부(316)와 상기 결합부(11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캡(200)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산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두 개의 고무링(1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장치(300)는 상기 결합부(110)의 외측에 두 개가 배치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부(314) 및 상기 고정홈(212)의 단면은 서로 정합되는 'V'자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은 농약의 살포 작업 시 캡의 수직이동을 통하여 노즐부와 분사구멍 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에 따라 약액의 분사각도가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각도 조절에 따라 분사거리가 달라지므로 스피드 스프레이어 본체의 반원 방향을 따라 약액을 방재대상의 조건에 따라 맞춤형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장치를 통하여 캡이 쉽게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해줌으로써, 약액의 분사 시 분사 압력에 의하여 캡이 노즐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10)은, 공급관(20)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액을 분사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에 있어서, 공급관(20)에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본체(100)와, 상측에 분사구멍(232)을 갖으며 노즐본체(100)의 상단부로부터 상하 이동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캡(200)과, 상기 캡(200)이 노즐본체(100)로부터 쉽게 회동하지 못하도록 캡(200)을 임시고정하는 고정장치(300)를 포함한다.
공급관(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약액이 분사노즐(10)을 통하여 분사될 수 있도록 스피드 스프레이어로부터 약액을 전달받아 공급하는 부분이다. 공급관(20)은접속부(26), 공급부(22), 연결부(24)로 이루어진다.
접속부(26)는 스피드 스프레이어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이 분사노즐(10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스피드 스프레이어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접속부(26)는 분사노즐의 교체 및 탈부착을 위하여 스피드 스프레이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접속부(26)는 너트의 형태로 제작된다.
공급부(22)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속부(26)와 내측이 연결되어 있다. 공급부(22)의 외측면에는 연결부(24)가 마련된다. 연결부(24)는 원통형의 호퍼(Hopper)모양으로 연결부(24)의 내측은 공급부(22)의 내부와 연통된다. 연결부(24)의 외측면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연결부(24)는 노즐본체(100)와 상호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공급관(20)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성 및 구조이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노즐본체(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관(20)의 연결부(24)로부터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를 살펴보면, 노즐본체(100)는 결합부(110)와, 기둥부(120), 노즐부(130), 고무패킹(140)을 포함한다.
결합부(110)는 공급관(20)의 연결부(24)와 상호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본 도면에서는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결합부(110)의 내측면에는 연결부(24)의 외측 나사 산과 정합되는 나사 산을 갖는다. 도 4를 살펴보면, 연결부(24)와 결합부(110)의 내측 사이에는 거름망(400)이 위치한다. 거름망(400)은 다수의 원형 타공이 되어 있는 금속판으로서 연결부(24)를 거쳐 노즐본체(100)로 전달되는 약액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노즐본체(100)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걸러 주 역할을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결합부(110)의 외측면이 육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결합부(110)의 상측 중심부에는 원통모양의 기둥부(120)가 돌출, 연장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기둥부(1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110)의 상부로부터 연장된다. 기둥부(120)는 내측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모양을 갖는다. 기둥부(120)는 결합부(110)의 상측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며 기둥부(120)의 단부에는 노즐부(130)가 구비된다. 기둥부(120)의 상단부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 산은 후기하는 제1 캡(210)의 내측 나사 산과 정합된다. 기둥부(120)의 하단부에는 기둥부(120)의 외측둘레를 따라 안쪽으로 파인 두 개의 패킹홈(122)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패킹홈(122)에 고무패킹(140)이 삽입, 고정된다.
고무패킹(140)은 링의 형태를 갖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부(120)의 패킹홈(122)에 고정된다. 고무패킹(140)은 탄성력을 갖는 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재질의 특성으로 인하여, 후기하는 기둥부(120)와 제1 캡(310) 사이의 공간을 기밀하게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와 같이 기둥부(120)에 두 개의 고무패킹(140)이 구비됨에 따라 더욱 확실히 기둥부(120)와 제1 캡(310) 사이 공간을 밀폐시켜주는 효과를 갖게된다.
노즐부(130)는 기둥부(120)의 단부에 연결된다. 노즐부(130)는 기둥부(120)를 통하여 약액이 분사구멍(232)으로 분사될 시 고르게 퍼져 나갈 수 있도록 약액에 와류를 형성시켜준다. 이와 같은 노즐부(130)는 노즐목(132)과, 노즐머리(134)로 구성된다.
노즐목(132)은 기둥부(120)의 단부에 연결된다. 노즐목(132)은 기둥부(1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모양을 갖는다. 노즐목(132)의 내부는 기둥부(120)의 내부와 연결된다. 노즐목(132)의 둘레를 따라 토출구(132)가 형성되며, 토출구(131)는 노즐목(132)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도록 노즐목(132)의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타공된다. 토출구(131)는 노즐목(132)을 따라 다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목(132)의 둘레를 따라 두 개의 토출구(1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노즐목(132)의 상측에는 노즐머리(134)가 연결된다. 노즐머리(134)는 전체적으로 노즐목(13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노즐머리(134)는 노즐목(132)의 외측 둘레보다 더 돌출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측면이 경사를 갖도록 구비된다. 노즐머리(134)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사선으로 홈이 파인 유출홈(133)이 마련된다. 유출홈(133)은 노즐머리(134)의 측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4개의 유출홈(13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상기와 같이 유출홈(133)이 사선방향으로 구비됨에 따라, 유출홈(133)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약액에 와류가 생겨 약액이 분사구멍(232)을 통해 분사될 시 고르게 퍼지며 분사가 되는 효과가 있다.
캡(200)은 노즐본체(100)의 기둥부(120)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200)은 제1 캡(210)과, 제2 캡(220), 세라믹분판(230)을 구비한다.
제1 캡(210)은 기둥부(120)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하단부가 모두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캡(210)의 내측 상단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며, 이와 같은 제1 캡(210)의 내측 상단부의 경사는 노즐머리(134)의 측면 경사와 같은 각도로 제작됨에 따라 기둥부(120)가 제1 캡(210)에 완전히 삽입되어 결합되었을 경우, 제1 캡(210)의 내측 상단과 노즐머리(134)의 측면경사는 서로 정합된다. 아울러, 제1 캡(210)의 내측에는 상술한 기둥부(120)의 나사 산과 정합되는 모양과 크기의 나사 산이 형성됨에 따라, 제1 캡(210)은 기둥부(120)로부터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캡(210)의 외측 상단부에는 후기하는 제2 캡(220)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산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고정홈(212)이 마련된다. 고정홈(212)은 제1 캡(210)의 외측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마련된다. 이와 같은 고정홈(320)은 제1 캡(2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안쪽으로 파인 'V' 형태로 구비된다.
제2 캡(220)은 제1 캡(210)의 상단부로부터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캡(210)의 외측 상단부와 제2 캡(220)의 내측면에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도록 나사 산이 구비된다. 제2 캡(220)의 상면에는 원형의 개구부(222)가 형성되며, 제2 캡(220)이 제1 캡(21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캡(210)과 제2 캡(220) 사이에는 세라믹분판(230)이 위치한다.
세라믹분판(2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캡(210)과 제2 캡(220) 사이에 끼워지도록 위치하며, 중심부에 분사구멍(232)을 갖는다. 세라믹분판(23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캡(210)의 상단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으며, 제2 캡(220)의 내측 상단부의 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캡(210)의 상단에 얹혀져 있는 상태에서 제2 캡(220)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라믹분판(230)은 제1 캡(210) 및 제2 캡(220)과 분리 가능하게 제작됨에 따라 분사구멍(232)의 직경을 달리하는 세라믹분판(230)을 다수 개 준비하여 과수원의 상황이나 환경에 맞게 세라믹분판(230)만 교체하여 약액을 분사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고정장치(300)는 액약의 분사시 약액의 분사압력에 의하여 캡(200)이 노즐본체(100)로부터 회동하지 않도록, 캡(200)을 노즐본체(100)에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고정장치(300)는 고정핀(310)과, 탄성부재(320)를 포함한다.
고정핀(310)은 결합부(110)의 외측면으로부터 회동축(311)을 중심으로 선회하며, 제1 캡(210)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212)에 일단부가 삽입되어 노즐본체(110)로부터 캡(200)이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고정핀(310)은 회전부(312)와, 걸림부(314), 누름부(316)로 이루어진다.
회전부(312)는 결합부(110)로부터 회동축(311)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부분으로 상방 연장된다. 회전부(312)의 상단부에는 고정홈(212) 방향으로 걸림부(314)가 돌출된다. 도 3을 살펴보면, 걸림부(314)의 단면과 고정홈(212)의 단면은 'V' 모양으로 마련된다. 걸림부(314)는 상기와 같이 회전부(312)의 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한 고정홈(212)에 삽입된다. 누름부(316)는 회전부(312)의 하단부으로부터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110)의 외측면과 누름부(316)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탄성부재(320)가 장착된다.
탄성부재(320)는 상기와 같이 누름부(316)와 결합부(110) 사이에 위치한다. 탄성부재(320)는 결합부(110)의 외측으로부터 누름부(316)를 밀어냄에 따라 회동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걸림부(314)가 고정홈(212)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바이어싱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홈(212)에 고정핀(310)의 걸림부(314)가 탄성적으로 밀착되며, 이에 따라 캡(200)이 기둥부(120)로부터 쉽게 회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해주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장치(300)는 결합부(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다수 개가 마련될 수도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서로 대향하도록 두 개의 고정장치(3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부터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10)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은 노즐본체(100)의 기둥부(120)에 캡(200)이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노즐부(130)의 노즐머리(134)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캡(210)의 내측 상단부에 정합되며, 공급관(20)을 통하여 전달, 이동되는 약액은 토출구(131)와 유출홈(133)을 통과하여 제1 캡(210)의 상측에 고정되어 있는 세라믹분판(230)의 분사구멍(232)을 통하여 분사된다.
이때, 노즐부(130)와 세라믹분판(230)은 서로 근접하게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약액이 압축되어 분출되므로 분사구멍(232)을 통하여 분사되는 약액은 넓은 각도로 퍼지며 분사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약액이 분사되는 각도가 넓지만 분사각도에 비례하여 분사거리가 짧게 형성된다.
약액의 분사를 각도를 줄이고 분사거리를 늘리고자 할 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316)를 가압해줌으로써 회동축(311)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걸림부(314)를 제1 캡(210)의 고정홈(212)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캡(200)을 원하는 만큼 기둥부(120)로부터 상측으로 이동시켜준다. 그리고 난 후 다시 걸림부(314)가 고정홈(212)에 삽입되도록 고정핀(310)을 원위치시켜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캡(200)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노즐부(130)와 세라믹분판(230) 사이의 공간이 확보되며, 확보된 공간에서 약액이 보다 자유롭게 이동되어 분사구멍(232)을 통하여 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하며 분사된다. 이때, 분사각도에 비례하는 분사거리는 길게 형성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분사노즐 20:공급관
100:노즐본체 110:결합부
120:기둥부 122:패킹홈
130:노즐부 132:노즐목
134:노즐머리 140:고무패킹
200:캡 210:제1 캡
220:제2 캡 230:세라믹분판
232:분사구멍 300:고정장치
310:고정핀 320:탄성부재

Claims (6)

  1. 공급관(20)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액을 분사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20)에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110)의 상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기둥부(120)와, 상기 기둥부(120)의 상단부에 연장되며 상기 공급관(20)으로부터 전달되는 약액이 토출되는 노즐부(130)로 이루어진 노즐본체(100)와;
    상기 기둥부(120)와 노즐부(130)를 감싸도록 상기 기둥부(120)와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분사구멍(232)이 형성되고 외측둘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고정홈(212)이 형성되어 있는 캡(200)과;
    상기 캡(200)이 상기 기둥부(120)로부터 회동하지 못하도록 상기 캡(200)을 임시고정하는 고정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130)는,
    상기 기둥부(120)의 상단부에 연장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토출구(131)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목(132)과;
    상기 노즐목(132)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노즐목(132)의 직경보다 더 돌출되며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짐에 따라 측면이 경사지고, 상기 경사진 측면에 사선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유출홈(133)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머리(134)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장치(300)는,
    상기 결합부(110)로부터 회전축(311)을 기점으로 선회하는 회전부(312)와, 상기 회전부(312)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고정홈(212)에 삽입되는 걸림부(314)와, 상기 회전부(312)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회전부(312)와 둔각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는 누름부(316)로 이루어진 고정핀(310)과,
    상기 고정핀(310)의 걸림부(314)가 상기 고정홈(212)에 밀착되도록 상기 누름부(316)와 상기 결합부(11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20)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본체(100)의 기둥부(120)로부터 캡(200)을 회전시켜 상기 캡(200)이 기둥부(120)로부터 상하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310)의 걸림부(314)를 상기 고정홈(212)에 삽입시켜 고정시켜줌으로써 약액의 분사각도 및 분사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1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캡(200)과 나사 결합하기 위한 나사 산이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두 개의 고무링(1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300)는 상기 결합부(110)의 외측에 두 개가 배치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314) 및 상기 고정홈(212)의 단면은 서로 정합되는 'V'자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KR1020160048078A 2016-04-20 2016-04-20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KR101665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78A KR101665289B1 (ko) 2016-04-20 2016-04-20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78A KR101665289B1 (ko) 2016-04-20 2016-04-20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289B1 true KR101665289B1 (ko) 2016-10-11

Family

ID=5716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078A KR101665289B1 (ko) 2016-04-20 2016-04-20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28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42B1 (ko) * 2017-07-31 2018-08-30 워텍 주식회사 물놀이 분수용 다기능 안전노즐 조립체
KR20190012912A (ko) * 2017-07-31 2019-02-11 워텍 주식회사 분수용 다기능 노즐 조립체
KR20190094636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하나에드텍 코팅액 분사 조립체
KR102089569B1 (ko) * 2019-12-04 2020-03-16 조규식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CN111957448A (zh) * 2020-08-07 2020-11-20 深圳市辉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喷射角度可调的高压清洗机用喷嘴
KR102275087B1 (ko) 2021-01-19 2021-07-09 (주)그린피아산업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미세 분사노즐
KR102285425B1 (ko) * 2020-03-26 2021-08-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방제드론용 노즐구조
KR102603280B1 (ko) 2023-04-17 2023-11-17 금오이엠에스(주) 다이캐스팅 주조물의 스프레이 냉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491Y1 (ko) * 2005-11-02 2006-01-31 이장복 분무기의 노즐 구조
KR100957840B1 (ko) * 2009-09-10 2010-05-14 플러스파운틴(주) 분수 노즐 어셈블리
KR101118777B1 (ko) 2009-07-22 2012-03-20 송준복 스피드 스프레이어(100)의 분무유도장치(200)
KR20140098293A (ko) * 2013-01-30 2014-08-08 (주)하이레벤 태양광 모듈의 난류형 냉각수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491Y1 (ko) * 2005-11-02 2006-01-31 이장복 분무기의 노즐 구조
KR101118777B1 (ko) 2009-07-22 2012-03-20 송준복 스피드 스프레이어(100)의 분무유도장치(200)
KR100957840B1 (ko) * 2009-09-10 2010-05-14 플러스파운틴(주) 분수 노즐 어셈블리
KR20140098293A (ko) * 2013-01-30 2014-08-08 (주)하이레벤 태양광 모듈의 난류형 냉각수 분사노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042B1 (ko) * 2017-07-31 2018-08-30 워텍 주식회사 물놀이 분수용 다기능 안전노즐 조립체
KR20190012912A (ko) * 2017-07-31 2019-02-11 워텍 주식회사 분수용 다기능 노즐 조립체
KR101978447B1 (ko) * 2017-07-31 2019-05-14 워텍 주식회사 분수용 다기능 노즐 조립체
KR20190094636A (ko) * 2018-02-05 2019-08-14 주식회사 하나에드텍 코팅액 분사 조립체
KR102025344B1 (ko) * 2018-02-05 2019-09-25 주식회사 하나에드텍 코팅액 분사 조립체
KR102089569B1 (ko) * 2019-12-04 2020-03-16 조규식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KR102285425B1 (ko) * 2020-03-26 2021-08-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방제드론용 노즐구조
CN111957448A (zh) * 2020-08-07 2020-11-20 深圳市辉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喷射角度可调的高压清洗机用喷嘴
KR102275087B1 (ko) 2021-01-19 2021-07-09 (주)그린피아산업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미세 분사노즐
KR102603280B1 (ko) 2023-04-17 2023-11-17 금오이엠에스(주) 다이캐스팅 주조물의 스프레이 냉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289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KR101667181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KR200478546Y1 (ko) 식물재배용 회전 분출식 분수 호스
EP2496359B1 (en) Outlet for a washing installation
KR101505309B1 (ko) 액체분무기와 그 노즐바디
US3593920A (en) Spray head
KR20180009683A (ko) 농약 살포 및 방제용 분사기
KR20190037654A (ko) 장단거리분사형 분사노즐을 가지는 분사노즐장치
KR102017888B1 (ko) 방제용 회전살포노즐
KR101270127B1 (ko) 분무 노즐체
KR200438965Y1 (ko) 분사각의 가변이 가능한 분무기용 노즐헤드
CN105344507B (zh) 用于园林绿化喷雾器的流量可调式喷头
KR20170099104A (ko)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
KR101981495B1 (ko) 포그 드립
KR102388774B1 (ko) 약제 노즐 분무기
AU2017326640B2 (en) Spray nozzle assembly with one piece spray nozzle and quick disconnect retention cap
KR101833296B1 (ko) 센서탑재형 회전분무노즐
CN215030156U (zh) 喷头
KR20170002991U (ko)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KR200484312Y1 (ko) 낙수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용 회전 분출식 분수 호스
CN107670872A (zh) 区域限制调整雾化液滴力度的喷头
RU2653988C2 (ru) Форсунка стареевой а.м.
CN210449584U (zh) 一种喷头及喷枪
JP3228584U (ja) 材料供給装置を取り替えて取り付けるために両側に材料入口通路を有する手動の吹付け装置
RU2347625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жидкости турбинного ти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