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991U -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991U
KR20170002991U KR2020160000826U KR20160000826U KR20170002991U KR 20170002991 U KR20170002991 U KR 20170002991U KR 2020160000826 U KR2020160000826 U KR 2020160000826U KR 20160000826 U KR20160000826 U KR 20160000826U KR 20170002991 U KR20170002991 U KR 201700029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icide
spraying
extension part
distributo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환
Original Assignee
이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환 filed Critical 이주환
Priority to KR20201600008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991U/ko
Publication of KR201700029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9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에 의해 이동되는 농약이 분사부에 구비된 나선형 홈을 따라 나선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유체 회오리가 생성되어 농약의 분사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는 상단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L"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농약이 이동시키는 배관(10)의 끝단에 체결되는 연결구(100); 상기 연결구(100)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T"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관(10)을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좌, 우측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200); 상기 분배기(2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분배기(2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연장부(300); 상기 분배기(200)와 상기 연장부(300)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300)의 길이 및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 조절부(400); 상기 연장부(300)의 하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500)는, 상기 연장부(30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대(310)에 나사 체결되는 노즐캡(510); 상기 노즐캡(510)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중앙에 분사공(521)이 형성된 플레이트(520); 및 상기 노즐캡(51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된 농약이 상기 분사공(521)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제1나선형 노즐(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형 노즐(53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플레이트(520)와 밀착 고정되는 제1몸체(531); 상기 제1몸체(531)의 테두리에 천공되어 형성된 관통공(532); 상기 제1몸체(531)의 저면에 상기 관통공(53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32)을 통해 이동된 농약이 나선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나선형 홈(533); 및 상기 제1몸체(531) 중앙에 형성되고, 고압으로 이동되는 농약에 의해 상기 제1몸체(531)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주대(534);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FOR PESTICIDE SPRAYING DEVICE}
본 고안은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약이 고압에 의해 이송되며 분사부에 구비된 나선형 홈을 따라 나선형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유체 회오리가 발생하여 농약의 분사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충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농작물에 농약을 살포하고 있다. 농작물에 농약을 살포하는 방법에는 고압 분무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등에 짊어지고 사용하는 수동 분무기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고압 분무기를 이용하는 경우의 농약 분사구와 수동 분무기를 이용하는 경우의 농약 분사구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하나의 농약 분사구로 고압 분무기와 수동 분무기에 겸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고압 분무기를 이용하여 농약을 살포하는 경우 고압에 의해 농약이 멀리 분사되므로 분무기에서 분사되는 농약이 방해를 받지 않고 멀리 분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수동 분무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농약이 원하는 곳 이외로 분무 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분무 된 농약이 사용자의 호흡기나 피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갖추어야 한다.
(문헌 1)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34392호(2001년 06월 04일 등록) (문헌 2) : 국내등록특허 제10-0611944호(2006년 08월 07일 등록) (문헌 3) : 국내공개실용신안 제20-1991-0006538호(1991년 07월 29일 공개) (문헌 4) :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36568호(2007년 08월 31일 등록)
본 고안은 농약이 고압에 의해 이송되며 분사부에 구비된 나선형 홈을 따라 나선형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유체 회오리가 발생하여 농약의 분사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 방향 및 연장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 조절부를 사용함으로써, 보호캡의 크기에 맞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특히, 연장부에 구비된 고정대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판 형상의 제1나선형 노즐에 지주대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고압으로 이동되는 농약에 의해 제1나선형 노즐이 노즐캡 내부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는 상단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L"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농약이 이동시키는 배관(10)의 끝단에 체결되는 연결구(100); 상기 연결구(100)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T"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관(10)을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좌, 우측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200); 상기 분배기(2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분배기(2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연장부(300); 상기 분배기(200)와 상기 연장부(300)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300)의 길이 및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 조절부(400); 상기 연장부(300)의 하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500)는, 상기 연장부(30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대(310)에 나사 체결되는 노즐캡(510); 상기 노즐캡(510)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중앙에 분사공(521)이 형성된 플레이트(520); 및 상기 노즐캡(51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된 농약이 상기 분사공(521)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제1나선형 노즐(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형 노즐(53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플레이트(520)와 밀착 고정되는 제1몸체(531); 상기 제1몸체(531)의 테두리에 천공되어 형성된 관통공(532); 상기 제1몸체(531)의 저면에 상기 관통공(53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32)을 통해 이동된 농약이 나선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나선형 홈(533); 및 상기 제1몸체(531) 중앙에 형성되고, 고압으로 이동되는 농약에 의해 상기 제1몸체(531)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주대(5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L"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농약이 이동시키는 배관(10)의 끝단에 체결되는 연결구(100); 상기 연결구(100)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T"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관(10)을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좌, 우측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200); 상기 분배기(2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분배기(2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연장부(300); 상기 분배기(200)와 상기 연장부(300)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300)의 길이 및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 조절부(400); 상기 연장부(300)의 하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500)는, 상기 연장부(30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대(310)에 나사 체결되는 노즐캡(510); 상기 노즐캡(51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된 농약이 상기 분사공(521)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제2나선형 노즐(540);을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형 노즐(540)은, 상부가 좁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면을 갖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캡(510)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제2몸체(541); 및 상기 제2몸체(541)의 경사면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나선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된 농약이 나선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나선형 홈(5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기(200)는, 상기 연결구(100)의 하단에 나사로 체결 고정되는 수직 관(210); 및 상기 수직 관(210)의 내부와 통하도록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좌, 우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는 나사 산이 형성된 수평 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는 고압에 의해 이동되는 농약이 분사부에 구비된 나선형 홈을 따라 나선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강력한 유체 회오리가 생성되어 농약의 분사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는 연장부의 길이 및 회전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 조절부를 사용함으로써, 보호캡의 크기에 맞게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특히, 연장부에 구비된 고정대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는 판 형상의 제1나선형 노즐에 지주대를 형성하여 사용함으로써, 고압으로 이동되는 농약에 의해 제1나선형 노즐이 노즐캡 내부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에서 나선형 노즐유닛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에서 나선형 노즐유닛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에서 나선형 노즐유닛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는 연결구(100), 분배기(200), 연장부(300) 및 분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구(100)는 상단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L"자 형태의 파이프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농약 저장부(미도시)에서 고압에 의해 농약을 이동시키는 배관(10)의 끝단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분배기(200)는 연결구(100)의 하단에 나사로 체결 고정되는 수직 관(210)과, 수직 관(210)의 내부와 통하도록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좌, 우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수평 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분배기(200)는 "T"자 형태의 파이프 관으로 형성되고, 배관(10)을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좌, 우측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수평 관(220)은 수직 관(210) 내부와 통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양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관 형태로 형성되고, 분배기(2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고, 분배기(200)와 근접한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300)는 분배기(2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분사부(500)로 이동되도록 통로역할을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1개의 노즐을 이용하여 농약을 분사하는 종래 방법은 작업자가 배관(10)을 좌우로 흔들면서 이동하여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종래 방식은 농약을 살포할 시 장시간 작업으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급상승하고, 특히, 농약을 살포하면서 좌우로 흔들면 농작물에 농약이 일정하게 공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연장부(30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배관(10)을 흔들지 않고 농약을 살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장부(300)는 분배기(200)와 체결되는 반대 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대(310)는 연장부(300)의 내부와 통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장부(300)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농약을 수직 방향으로 전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회전 조절부(40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좌, 우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 산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조절부(400)는 일측이 분배기(200)에 형성된 나사 산과 나사 체결되고, 타측은 연장부(300)에 형성된 나사 산에 나사 체결되어 분배기(200)와 연장부(300)의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조절부(400)는 연장부(300)의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연장부(300)에 구비된 고정대(310)가 수직 방향으로 향하도록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로 들면, 농약이 지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고정대(310)가 지면을 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장부(300)를 회전 조절부(400)에 고정되게 하는데, 이때, 연장부(300)는 회전 조절부(400)의 나사 산에 의해 회전되면서 좌, 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조절부(400)를 사용하게 되면 연장부(300)의 길이 조절 및 회전 방향 조절이 쉽고 편리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분사부(500)는 연장부(300)에 구비된 고정대(310)에 체결되고, 연장부(300)를 통해 이송되는 농약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500)는 노즐캡(510), 플레이트(520) 및 제1나선형 노즐(53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캡(510)은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어 고정대(310)에 탈착 가능하도록 나사 체결되며, 플레이트(520) 및 제1나선형 노즐(53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520)는 중앙에 분사공(521)이 형성된 얇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노즐캡(510)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분사공(521)을 통해 농약이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나선형 노즐(530)은 노즐캡(510) 내부에 삽입되고, 플레이트(520) 위에 위치하며, 노즐캡(510) 내부로 이동된 농약이 나선형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나선형 노즐(530)은 제1몸체(531) 및 지주대(5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531)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플레이트(520)와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제1몸체(531)는 테두리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공(532)과, 관통공(532)과 연결되고 플레이트(520)와 맞닿는 부분의 저면에 일정 깊이 파인 형태의 제1나선형 홈(53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압에 의해 노즐캡(510) 내부로 이동된 농약이 관통공(532)을 통해 제1나선형 홈(533)으로 이동되고, 제1나선형 홈(533)을 따라 이동된 농약은 다시 플레이트(520)에 형성된 분사공(521)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데, 이때, 농약의 유속은 제1나선형 홈(533)에 의해 강력한 유체 회오리가 생성되어 분사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주대(534)는 제1몸체(531)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고압으로 이동되는 농약에 의해 제1몸체(531)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압으로 이동되는 농약이 연장부(300)를 통해 노즐캡(510) 내부로 이동될 때, 강한 유속에 의해 제1몸체(531)가 상부로 뜨거나 노즐캡(510) 내부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면서 기울어져 농약이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 에서는 제1몸체(531)의 중앙에 지주대(534)를 형성하여 제1몸체(53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제1나선형 노즐(530)의 구조는 다양한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병기하고, 동일한 구성은 작용과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만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에서 나선형 노즐유닛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의 제2 실시예에서 제2나선형 노즐(540)은 제2몸체(541) 및 제2나선형 홈(5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몸체(541)는 상부가 좁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면을 갖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노즐캡(510) 내부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노즐캡(510)의 내부는 제2몸체(541)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제2몸체(5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나선형 홈(542)은 제2몸체(541)의 경사면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나선형 형태로 형성되고, 노즐캡(510) 내부로 이동된 농약이 나선형 방향으로 이동되어 노즐캡(510) 외부로 와류형태가 유지되면서 분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압의 농약이 연장부(300) 내부를 통해 노즐캡(510) 내부로 이동되면, 제2나선형 홈(542)을 따라 회전되면서 노즐캡(510) 외부로 분사될 수 있는데, 이때, 회전력이 가해진 농약은 강력한 유체 회오리가 생성되어 분사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나선형 홈(542)은 제2몸체(541)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나선형 홈(542)의 크기를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하게 되면, 유체의 회전력을 극대화하여 분사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2나선형 노즐(540)은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연장부(300)에 체결되는 노즐캡(510)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될 수 있고, 반대 측의 다른 하나의 노즐캡(510)에는 제1나선형 노즐(530)이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분배기(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노즐캡(510)에 제1나선형 노즐(530)이 각각 설치되거나, 제2나선형 노즐(540)이 각각 설치되거나 또는 일측에 형성된 노즐캡(510)에 제1나선형 노즐(530)이 설치되고 타측에 형성된 노즐캡(510)에 제2나선형 노즐(540)을 설치하여 제1나선형 노즐(530)과 제2나선형 노즐(540)을 동시에 사용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배관 100; 연결구
200; 분배기 210; 수직 관
220; 수평 관 300; 연장부
310; 고정대 400; 회전 조절부
500; 분사부 510; 노즐캡
520; 플레이트 521; 분사공
530; 제1나선형 노즐 531; 제1몸체
532; 관통공 533; 제1나선형 홈
534; 지주대 540; 제2나선형 노즐
541; 제2몸체 542; 제2나선형 홈

Claims (3)

  1. 상단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L"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농약을 이동시키는 배관(10)의 끝단에 체결되는 연결구(100);
    상기 연결구(100)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T"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관(10)을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좌, 우측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200);
    상기 분배기(2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분배기(2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연장부(300);
    상기 분배기(200)와 상기 연장부(300)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300)의 길이 및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 조절부(400);
    상기 연장부(300)의 하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500)는,
    상기 연장부(30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대(310)에 나사 체결되는 노즐캡(510);
    상기 노즐캡(510) 내부에 삽입 고정되고, 중앙에 분사공(521)이 형성된 플레이트(520); 및
    상기 노즐캡(51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된 농약이 상기 분사공(521)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제1나선형 노즐(5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형 노즐(530)은,
    일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고, 플레이트(520)와 밀착 고정되는 제1몸체(531);
    상기 제1몸체(531)의 테두리에 천공되어 형성된 관통공(532);
    상기 제1몸체(531)의 저면에 상기 관통공(532)과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32)을 통해 이동된 농약이 나선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나선형 홈(533); 및
    상기 제1몸체(531) 중앙에 형성되고, 고압으로 이동되는 농약에 의해 상기 제1몸체(531)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주대(5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2. 상단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L"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농약이 이동시키는 배관(10)의 끝단에 체결되는 연결구(100);
    상기 연결구(100)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고, "T"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관(10)을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좌, 우측으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기(200);
    상기 분배기(2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분배기(2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한 연장부(300);
    상기 분배기(200)와 상기 연장부(300) 사이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300)의 길이 및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회전 조절부(400);
    상기 연장부(300)의 하부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되는 농약을 외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500)는,
    상기 연장부(30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된 고정대(310)에 나사 체결되는 노즐캡(510);
    상기 노즐캡(51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된 농약이 상기 분사공(521)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제2나선형 노즐(540);을 포함하고,
    상기 제2나선형 노즐(540)은,
    상부가 좁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경사면을 갖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노즐캡(510) 내부로 삽입 고정되는 제2몸체(541); 및
    상기 제2몸체(541)의 경사면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나선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00)를 통해 이동된 농약이 나선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2나선형 홈(5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200)는,
    상기 연결구(100)의 하단에 나사로 체결 고정되는 수직 관(210); 및
    상기 수직 관(210)의 내부와 통하도록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좌, 우측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 외주면에는 나사 산이 형성된 수평 관(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KR2020160000826U 2016-02-17 2016-02-17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KR2017000299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26U KR20170002991U (ko) 2016-02-17 2016-02-17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26U KR20170002991U (ko) 2016-02-17 2016-02-17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91U true KR20170002991U (ko) 2017-08-25

Family

ID=6062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26U KR20170002991U (ko) 2016-02-17 2016-02-17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99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087B1 (ko) * 2021-01-19 2021-07-09 (주)그린피아산업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미세 분사노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538Y1 (ko) 1989-12-07 1991-08-26 재광산업공사 농약살포용 분사기
KR200234392Y1 (ko) 2001-03-19 2001-10-18 김옥련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KR20040036568A (ko) 2002-10-24 2004-04-30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인덱스 테이블
KR100611944B1 (ko) 2005-08-11 2006-08-11 구진섭 농약분사대의 호스 꼬임 방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538Y1 (ko) 1989-12-07 1991-08-26 재광산업공사 농약살포용 분사기
KR200234392Y1 (ko) 2001-03-19 2001-10-18 김옥련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KR20040036568A (ko) 2002-10-24 2004-04-30 츠다코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인덱스 테이블
KR100611944B1 (ko) 2005-08-11 2006-08-11 구진섭 농약분사대의 호스 꼬임 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087B1 (ko) * 2021-01-19 2021-07-09 (주)그린피아산업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미세 분사노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483B2 (en) Adjustable trajectory spray nozzles
AU699956B2 (en) Plastic spray nozzle with improved distribution
US20110000983A1 (en) Shower Head
US3385525A (en) Lawn sprinkler
US4220283A (en) Vegetation sprinkler having a hand adjustment to direct the spray
US7726587B2 (en) Rotary irrigation sprinkler nozzle
KR101665289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US20060273202A1 (en) Adjustable lawn sprinkler
KR102145195B1 (ko) 미스트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샤워헤드
KR200478546Y1 (ko) 식물재배용 회전 분출식 분수 호스
KR101880552B1 (ko) 분무기용 분사노즐
US20170225178A1 (en) Spray Orifice Structure
KR20140138321A (ko) 샤워 헤드
KR101667181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KR20170002991U (ko)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JP6671710B2 (ja) ノズル
CN208018809U (zh) Cmp设备腔室保湿用喷雾器
US7007867B1 (en) Trigger sprayer nozzle providing flow in various directions
KR200480168Y1 (ko)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US20130292494A1 (en) Garden sprayer
KR20070007822A (ko) 압착에 의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병을 위한, 조절 및밀봉이 가능한 제트 분무기
KR102154396B1 (ko) 유체 분출기
US20140224904A1 (en) Foaming Nozzle
KR102220995B1 (ko) 분무 노즐
RU2006116283A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