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392Y1 -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 Google Patents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392Y1
KR200234392Y1 KR2020010007391U KR20010007391U KR200234392Y1 KR 200234392 Y1 KR200234392 Y1 KR 200234392Y1 KR 2020010007391 U KR2020010007391 U KR 2020010007391U KR 20010007391 U KR20010007391 U KR 20010007391U KR 200234392 Y1 KR200234392 Y1 KR 200234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spraying
pipe
liquid inlet
chem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련
Original Assignee
김옥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련 filed Critical 김옥련
Priority to KR2020010007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3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392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며 농약을 근거리 확산분사와 원거리 직선분사의 조절을 간편히 하며 그 구조를 간단히 하는 분사 조절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며 겉파이프와 속파이프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원거리 직선분사와 근거리 확산분사가 이루어지는 농약분사대에서 속파이프의 후부에 전환축봉을 연결하고 동축봉에 약액유입공과 약액통로면을 구비하여 그 후부 일측에는 약액통로면이 약액유입관 몸통의 약통로입구에 위치되는 지점에 고정면을 형성하여 약액 유입관 몸통의 고정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전환축봉과 결합되는 손잡이를 돌려 약액유입관 몸통의 약액유입구에 전환축봉의 약액유입공과 연결되면 약액이 속파이프로 유입되어 원거리 직선분사가 이루어지고, 약액통로면이 위치되면 속파이프는 차단되고 속파이프의 외곽으로 약액이 유입되어 근거리 확산분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양산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 The injection control structure of agricultural chemicals' injection stand }
본 고안은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며 농약을 단거리 확산분사와 장거리 직선분사의 조절을 간편히 하고 구조를 간단히 한 것이다.
종래에 약액의 방제과정은 고압분무기에서 약액을 고압으로 압축시켜 이를 약액호스로 공급되고 약액호스 선단에 연결한 약액분사대에서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과수 또는 벼등의 경우에는 원거리 분사가 요구되고 각종채소등의 경우에는 근거리 확산분사가 요구된다.
이에 사용되는 약액분사대는 국내 실용신안등록제102678호 농약분무기, 또는 국내공개실용신안 2000-5852호의 농약분무기와 같이 약액분사대에 속파이프와 겉파이프를 구성하여 약액이 속파이프로 유입되어 분사되면 원거리 직선분사가 이루어지고 겉파이프로 유입되어 분사되면 근거리 확산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안에서 약액을 속파이프 또는 겉파이프로 공급을 전환하는 수단으로는 전자는 후부의 조절손잡이로 연결된 작동봉을 전진시켜 선단의 속파이프를 차단하여 약액을 겉파이프로 공급하여 근거리 확산분사가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후퇴시켜서 약액을 속파이프로 공급하게 되면 원거리 직선분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속파이프 끝단에 가림판을 이용하여 겉파이프에 지지하고 후방의 개폐봉에는 손잡이와 연결하여 개폐봉을 후진시키면 약액이 속파이프로 유입되어 원거리 직선분사가 이루어지고 개폐봉을 전진시켜 속파이프를 막게 되면 약액이 겉파이프내로 유입되어 근거리 확산분사가 이루어지게 구성되는데 이와같은 고안은 그 구조가 복잡하며 전환동작이 신속하지 못하고 특히 겉파이프의 약액 통로를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폐단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농약분사대의 속파이프 또는 겉파이프로 약액공급의 전환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와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사용하지 않는 약액통로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직선분사시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확산분사시 종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도3의 B-B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전환축봉을 발췌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겉파이프 2 : 분사노즐
3 : 약액유입관 몸통 3a : 약액유입관
4 : 속파이프 10 : 전환축봉
11 : 약액통로 12 : 약액유입공
13 : 약액통로면 14 : 고정면
20 : 고정나사
겉파이프(1)의 선단에는 분사노즐(2)을, 후부에는 약액유입관몸통(3)을 형성하고, 겉파이프(1)내에 속파이프(4)를 내장 구성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속파이프(4)의 후부에 전환축봉(10)을 연결하며 동 전환축봉(10)의 중심으로는 속파이프(4)와 통하는 약액통로(11)를 구비하고 외면에는 약액유입공(12)을, 또 다른 일측에는 겉파이프(1)로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통로면(13)을, 약액통로면(13)이 약액유입관(3a)에 위치되면 약액유입관 몸통(3)의 고정나사(20)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면(14)을 형성하여서 된 구성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0은 손잡이, 31은 손잡이조절나사, 32는 너트, 36은 약액몸통, 37은 지지원판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약액분사대를 구성하는 약액유입관 몸통(3)의 약액유입관(3a)에 고압분무기에서 고압으로 조성된 약액이 공급되는 고압호스를 연결하게 되면 약액분사대에는 고압의 약액이 유입된다.
이 때 약액을 과수나 벼등 원거리에 분사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1과 및 도2에서와 같이 손잡이(30)를 이용하여 전환축봉(10)을 돌려서 전환축봉(10)의 약액유입공(12)을 약액유입관몸통(3)의 약액유입관(3a)과 일치시키게 되면 약액유입관(3a)으로 유입되는 약액은 전환축봉(10)의 약액유입공(12)과 약액통로(11)를 따라 속파이프(4)로 유입되어 선단의 분사노즐(2)을 통하여 원거리 직선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전환축봉(10)의 약액통로면(13)은 약액유입관몸통(3)의 내면에서 차단되어 약액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또 농약분사대에 약액을 근거리 확산분사시켜 각종 채소등을 방제하고자 할 때에는 도3 및 도4에서와 같이 약액유입관몸통(3)의 고정나사(20)를 풀고 전환축봉(10) 후부에 연결된 손잡이(30)를 돌리면 전환축봉(10)과 속파이프(4)가 함께 회전된다.
이 때 전환축봉(10)의 고정면(14)을 고정나사(14)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돌린 다음 고정나사(20)를 조여 고정면(14)에서 전환축봉(10)을 약액유입관몸통(3)에 고정시키면 전환축봉(10)의 약액통로면(13)이 약액유입관 몸통(3)의 약액유입관(3a)에 위치되어 전환축봉(10)이 약액유입관몸통(3)에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약액유입관(3a)으로 유입되는 약액은 전환축봉(10)의 약액통로면(13)으로 유입되어 속파이프(4) 외곽으로 유입되어 선단의 약액통로(36)를 거쳐 분사노즐(2)에서 확산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전환축봉(10)의 약액유입공(12)은 약액유입관몸통(3)의 내벽에서 차단되어 약액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전환축봉(10)은 손잡이(30)를 돌리면 속파이프(4)와 함께 회전되는데 속파이프(4) 선단은 지지원판(37)에 지지되고 전환축봉(10)은 약액유입관몸통(3) 내벽에서 지지되고 또 오링(33)에 의해 밀봉되므로 누수가 없고, 또 전환축봉(10)으로 약액의 공급위치를 전환하게 되면 약액호스의 약액이 연결되는 공급통로외에는 완벽하게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본 고안의 전환축봉(10)은 가공과 조립이 용이하여 양산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또 본 고안은 약액유입관 몸통(3)의 약액유입관(3a)에 밸브를 구성하여 약액의 유입과 차단기능을 간단히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겉파이프와 속파이프를 이중으로 구성하여 원거리 직선분사와 근거리 확산분사를 수행하는 농약분사대에서 약액의 분사전환을 간단히 할 수 있게 구성되므로서 농약분사대의 제조와 사용이 편리한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겉파이프(1)의 선단에는 분사노즐(2)을, 후부에는 약액유입관몸통(3)을 형성하고, 겉파이프(1)내에 속파이프(4)를 내장 구성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속파이프(4)의 후부에 전환축봉(10)을 연결하며 동 전환축봉(10)의 중심으로는 속파이프(4)와 통하는 약액통로(11)를 구비하고 외면에는 약액유입공(12)을, 또 다른 일측에는 겉파이프(1)로 약액이 유입되는 약액통로면(13)을, 약액통로면(13)이 약액유입구(3a)에 위치되면 약액유입관몸통(3)의 고정나사(20)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면(14)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KR2020010007391U 2001-03-19 2001-03-19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KR200234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91U KR200234392Y1 (ko) 2001-03-19 2001-03-19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91U KR200234392Y1 (ko) 2001-03-19 2001-03-19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392Y1 true KR200234392Y1 (ko) 2001-10-18

Family

ID=73097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391U KR200234392Y1 (ko) 2001-03-19 2001-03-19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3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48B1 (ko) 2008-07-21 2011-03-04 구진섭 꼬임방지기능을 갖는 약액분사대의 밀봉구조
KR20170002991U (ko) 2016-02-17 2017-08-25 이주환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848B1 (ko) 2008-07-21 2011-03-04 구진섭 꼬임방지기능을 갖는 약액분사대의 밀봉구조
KR20170002991U (ko) 2016-02-17 2017-08-25 이주환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489B2 (en) High-pressure pulse nozzle assembly
EP0713426B1 (en) Lawn sprinkler with cam controlled variable spray pattern
US11744171B2 (en) Ready-to-use hose end sprayer
KR200234392Y1 (ko) 농약분사대의 분사조절구조
CA2411216A1 (en) Dual closure nozzle
AU672237B2 (en) High frequency fluid pulsator
US3829018A (en) Oscillating water sprinkler
KR20080105452A (ko) 광각분사용 비데 노즐팁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N111692352A (zh) 与喷体和电磁阀一起使用的转接件
US4702417A (en) Water sprinklers for irrigation systems
KR200255180Y1 (ko) 약액 분사대
CN114985139B (zh) 一种具有调节开关的喷头
KR102540996B1 (ko) 외부혼합 방식의 이류체 노즐
JPS6388065A (ja) 散水用ノズル
JPH01104361A (ja) 散水用ノズル
KR200335142Y1 (ko) 농약분사대의 약액공급관
CN212297662U (zh) 与喷体和电磁阀一起使用的转接件
JPH0523239Y2 (ko)
KR910006538Y1 (ko) 농약살포용 분사기
KR200250672Y1 (ko) 농업용 분무기
JPH0838947A (ja) 散水用ノズル
KR200292206Y1 (ko) 휴대용 약액 살포기
KR200231386Y1 (ko) 분무기용 노즐
KR200192499Y1 (ko) 농약 살포기
JPH04910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