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104A -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104A
KR20170099104A KR1020160021064A KR20160021064A KR20170099104A KR 20170099104 A KR20170099104 A KR 20170099104A KR 1020160021064 A KR1020160021064 A KR 1020160021064A KR 20160021064 A KR20160021064 A KR 20160021064A KR 20170099104 A KR20170099104 A KR 20170099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cap
supply
pesticide
out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주
Original Assignee
(주)씨앤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씨테크 filed Critical (주)씨앤씨테크
Priority to KR102016002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9104A/ko
Publication of KR20170099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1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공급관(110)과 상기 공급관(110)의 외면에 양방향으로 결합되는 두 개의 공급통(120,120`)으로 이루어진 분사본체(100)를 통하여 농약을 분사하도록 스피드 스프레이어에 장착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공급통(120)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본체(220)와, 상기 노즐본체(22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상측에 분사구멍(236)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캡(230)으로 이루어진 제1 분사노즐(200)과; 상기 다른 한 하나의 공급통(120`) 내측에 삽입되며 외측 둘레에 나선형의 제2 유출홈(322)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코어(320)와, 상기 공급통(120`)과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제2 분사구멍(332)이 구비되어 있는 제2 캡(330)으로 이루어진 제2 분사노즐(300)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본체(220)는 상기 하나의 공급통(120)과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222)와, 상기 결합부(22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며 외측에 고무링(225)이 체결되어 있는 이음부(224)와, 상기 이음부(224)의 단부에 연결되는 노즐부(22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캡(230)은 상기 노즐부(226)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음부(224)와 나사 결합된다.

Description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NOZZLE IN THE SPRAYER FOR SPEED SPRAYER}
본 발명은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에 장착되며 농약의 살포 작업시 농약의 분사각도 및 분사형태를 간단한 조작으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수원용 전용방제기인 스피드 스프레이어(Speed Sprayer)는 작업자가 앞좌석에서 운전을 하고 본체의 후미에서 고압분무기로 분사되는 농약을 고속의 팬으로 송풍하여 과수에 살포하는 농약분사작업기기이다.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농약을 후미에서 살포하므로 안전하고, 작업 능률이 뛰어나서 대규모 과수원에 적합하다.
스피드 스프레이어는 지상부 반원 방향으로 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일정한 작업반경까지 약액을 균일하게 분무하게 되므로, 본체의 45도 방향에 있는 과수의 상단부에는 상대적으로 가장 적은 약액이 분무되거나 도달하지 않게 되고 90도 상향으로 분무되는 농약은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45도 방향에 있는 과수의 상단까지 약액을 분무하기 위해서는 송풍팬을 더욱 고속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수원에 농약 살포작업시 스피드 스프레이에 설치되어 있는 농약분사장치의 분사각도 및 분사형태를 각각 조절하여 스피드 스프레이어의 반원 방향을 따라 효율적인 농약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 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는 공급관(110)과 상기 공급관(110)의 외면에 양방향으로 결합되는 두 개의 공급통(120,120`)으로 이루어진 분사본체(100)를 통하여 농약을 분사하도록 스피드 스프레이어에 장착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공급통(120)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본체(220)와, 상기 노즐본체(22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상측에 분사구멍(236)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캡(230)으로 이루어진 제1 분사노즐(200)과; 상기 다른 한 하나의 공급통(120`) 내측에 삽입되며 외측 둘레에 나선형의 제2 유출홈(322)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코어(320)와, 상기 공급통(120`)과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제2 분사구멍(332)이 구비되어 있는 제2 캡(330)으로 이루어진 제2 분사노즐(300)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본체(220)는 상기 하나의 공급통(120)과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222)와, 상기 결합부(22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며 외측에 고무링(225)이 체결되어 있는 이음부(224)와, 상기 이음부(224)의 단부에 연결되는 노즐부(22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캡(230)은 상기 노즐부(226)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음부(224)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부(226)는, 상기 이음부(224)로부터 연장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토출구(227)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목(226a)과; 상기 노즐목(226a)의 긱경보다 더 돌출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짐에 따라 측면이 경사지며, 상기 측면에 사선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1 유출홈(228)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머리(22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캡(230)의 외측에 고정돌기케이스(24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케이스40)의 내측에는 압축스프링(244)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고정돌기(242)가 내장되며, 상기 결합부(22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고정홈(223)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홈(223)에 상기 고정돌기(242)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즐코어(320)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움푹 파인 유출공간(324)이 마련되며, 상기 유출공간(324)과 상기 제2 유출홈(322)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개의 공급통(120,120`)은 상기 공급관(1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는 농약의 살포 작업시 스피드 스프레이어에 설치되어 있는 분사장치의 분사각도 및 분사형태를 각각 조절함에 따라 분사환경과 상황에 맞도록 농약의 양을 조절하여 분사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농약 살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분사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제1 분사노즐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분사노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1 분사노즐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부터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의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는, 공급관(110)을 통해 농약을 전달하는 분사본체(100)와, 이 분사본체(100)와 연결되어 분사본체(100)로 공급되는 농약을 분사하는 제1 분사노즐(200)과, 제2 분사노즐(300)을 구비한다.
본사분체(100)는 공급관(110)과, 공급관(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공급통(120,120`)과, 공급관(11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접속부재(130)를 포함한다.
공급관(110)은 원통형의 관의 형태이며, 내부가 비어 있다. 공급관(110)의 일단부는 막혀 있으며, 타단부에는 스피드 스프레이어로부터 농약이 전달되도록 결합되는 접속부재(130)가 마련된다.
두 개의 공급통(120,120`)은 공급관(110)의 외면에 구비된다. 공급통(120)은 공급관(110)과 내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일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공급통(120,120`)의 외측면에는 제1 분사노즐(200)과 제2 분사노즐(300)이 각각 나사결합 되도록 볼트모양을 갖는다.
두 개의 공급통(120,120`)중 하나의 공급통(120)에는 제1 분사노즐(200)이 결합되며, 다른 하나의 공급통(120`)에는 제2 분사노즐(300)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측의 공급통(120)에 제1 분사노즐(200)이 결합되며, 다른 일측의 공급통(120`)에는 제2 분사노즐(300)이 결합되어 있으나 이를 한정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분사노즐(200)이 공급통(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즉, 두 개의 공급통(120,120`)은 크기와 형태가 동일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두 개의 공급통(12,120`)은 공급관(110)의 둘레를 따라 서로 다른 양방향으로 구비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공급관(1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두 개의 공급통(120,120`)이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분사노즐(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급통(120)으로부터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과 도 4를 살펴보면, 제1 분사노즐(200)은 제1 패킹(210)과, 노즐본체(220), 제1 캡(230)을 구비한다.
제1 패킹(210)은 공급통(120)에 노즐본체(220)가 결합될 시 공급통(120)으로부터 공급되는 농약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공급통(120)과 노즐본체(220) 사이를 기밀하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1 패킹(210)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력 재질로 제작된다. 제1 패킹(210)은 링의 형태를 갖으며, 노즐본체(220)의 결합부(222) 내측 상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통(120)의 단부와 맞닿게 된다.
도 3 내지 도 5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노즐본체(220)는 분사본체(100)로부터 유입되는 농약이 후기하는 제1 캡(230)의 제1 분사구멍(236)을 통해 다양한 각도로 분사되도록 분사본체(100)와 제1 캡(23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노즐본체(220)는 결합부(222)와, 이음부(224), 노즐부(226)로 이루어진다.
결합부(222)는 공급통(120)에 고정된다. 결합부(222)는 너트형태로 이루어지며, 결합부(222)와 공급통(120)은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부(222)의 내측면과 공급통(120)의 외측면은 나사결합 방식으로 체결된다. 결합부(222)의 상측에는 고정홈(223)이 마련된다. 고정홈(223)은 결합부(222)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고정홈(223)은 후기하는 고정돌기(242)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움푹 파인 홈의 형태를 갖는다. 결합부(222)의 중심부에는 원통형의 이음부(224)가 연장된다.
이음부(224)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222)로부터 연장된다. 이음부(224)는 대략 원통형의 형태를 갖는다. 이음부(224)의 외면은 제1 캡(230)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볼트형태로 구비된다. 이음부(224)의 일측에는 고무링(225)이 끼워진다. 고무링(225)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력 재질로 제작되며, 제1 캡(230)이 이음부(224)와 겹합될 시 제1 캡(230)의 내측과 이음부(224)의 외측 사이에 밀착되어 내부공간을 기밀하게 폐쇄한다. 아울러, 고무링(225)은 이음부(224)에 장착될 시 이음부(224)로부터 유동 없이 고정하기 위하여 고무링(225)이 결합되는 이음부(222)의 위치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음부(222)는 내측 공간이 비어 있으며 결합부(222)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부는 개방되어 공급통(120)과 연통된다. 또한, 타단부에는 이음부(222)를 통하여 공급되는 농약이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227) 및 제1 유출홈(228)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부(226)가 위치한다.
도 4와 도 5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노즐부(226)는 이음부(224)의 단부에 연결된다. 노즐부(226)는 노즐목(226a)과 노즐머리(226b)로 구성된다.
노즐목(226a)은 이음부(224)의 단부에 연결된다. 노즐목(226a)은 이음부(22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노즐목(226a)의 내부는 이음부(224)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노즐목(226a)의 둘레에는 토출구(227)가 형성되어 있으며, 토출구(227)는 노즐목(226a)의 내측과 외측을 연결하도록 노즐목(226a)을 둘레를 따라 원형으로 타공되어 있다. 토출구(227)는 노즐목(226a)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목(226a)의 둘레를 따라 두 개의 토출구(227)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노즐목(226a)의 상측에는 노즐머리(226b)가 구비된다. 노즐머리(226b)는 전체적으로는 노즐목(226a)보다 더 큰 직경을 갖음으로써 노즐목(226a)의 외측 둘레보다 더 돌출되되, 상방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짐에 따라 측면이 경사를 갖도록 구비된다. 노즐머리(226b)의 측면에는 사선방향으로 홈이 파인 제1 유출홈(228)이 마련된다. 제1 유출홈(228)은 상기와 같이 노즐머리(226b)의 측면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제1 유출홈(228)이 등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같이 4개의 제1 유출홈(228)이 구비되는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캡(230)은 노즐본체(220)로부터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과 도 5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캡(230)은 연장부(232)와, 막음캡(234), 고정돌기케이스(240)를 포함한다.
연장부(232)는 원통의 모양으로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연장부(232)의 내측에는 상기한 이음부(224)와 노즐부(226)가 삽입된다. 연장부(232)는 볼트형태의 이음부(224)와 나사결합 되도록 너트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이음부(224)와 연장부(232)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노즐본체(220)로부터 제1 캡(230)이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노즐부(226)가 내장되는 연장부(232)의 선단 내측은 노즐부(226)의 측면 경사와 정합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연장부(232)의 선단부에는 막음캡(234)이 결합된다.
막음캡(234)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장부(232)의 선단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232)와 막음캡(234)이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장부(232)와 막음캡(234)이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막음캡(234)의 상면에는 원형으로 타공되어 있는 제1 분사구멍(236)이 구비된다.
고정돌기케이스(240)는 연장부(232)의 측면에 구비된다. 고정돌기케이스(240)의 내측은 비어 있으며 하방으로 향하여 있는 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고정돌기케이스(240)의 내측 공간에는 고정돌기(242)와, 압축스프링(244)이 마련된다. 고정돌기(242)는 압축스프링(244)에 의하여 하방으로 바이어싱되며 개방되어 있는 고정돌기케이스(240)의 단부로부터 출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정돌기케이스(240)로부터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고정돌기(242)는 상기한 결합부(222) 상측 가장자리의 고정홈(223)에 일부가 삽입, 고정된다.
도 5a 와 도 5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분사노즐(200)의 작용을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노즐본체(220)에 제1 캡(230)이 완전히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노즐본체(220)의 노즐부(226)는 제1 캡(230)의 내측에 정합되며, 공급관(110)과 공급통(120)을 통하여 전달되는 농약은 노즐목(226a)의 토출구(227)와 노즐머리(226b)의 제1 유출홈(228)을 통과하여 제1 캡(230)의 제1 분사구멍(236)으로 분사된다. 그러나 이때, 노즐부(226)와 제1 캡(230)은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농약이 압축되어 분출되므로 제1 분사구멍(236)을 통해 분사되는 농약은 넓게 퍼지는 분사각도를 갖으며 분출되게 된다.
농약의 분사를 넓게 퍼지는 것이 아닌, 직선으로 분사하고자 할 시에는 도 5b와 같이 노즐본체(220)로부터 제1 캡(230)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 캡(230)은 노즐본체(220)의 이음부(224)로와 나사 결합되어 있어 제1 캡(230)을 회동을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 캡(230)의 회동시 고정돌기(242)가 다수개의 고정홈(223)에 차례로 삽입, 고정됨에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제1 캡(2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캡(230)이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노즐부(226)와 제1 캡(230) 사이의 공간이 확보됨에 따라 공급관(110)과, 공급통(120), 토출구(227), 노즐머리(226b)를 거쳐 통과되는 농약이 제1 분사구멍(236)을 통하여 직분사되게 된다.
이처럼, 제1 캡(230)의 회동에 따라 노즐부(226)와 제1 캡(230)의 제1 분사구멍(236)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조절 거리에 따라 농약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2 분사노즐(300)은 공급통(120`)에 장착된다. 도 6과 도 7을 ㅊ마조하여 살펴보면 제2 분사노즐(300)은 제2 패킹(310)과, 노즐코어(320), 제2 캡(330)을 포함한다.
제2 패킹(310)은 공급통(120`)에 후기하는 제2 캡(330)이 결합될 시 공급통(120`)으로부터 공급되는 농약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공급통(120`)과 제2 캡(330) 사이를 기밀하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제2 패킹(310)은 고무 또는 실리콘과 같은 탄성력 재질로 제작된다. 제2 패킹(310)은 상기한 제1 패킹(210)과 같은 링의 형태를 갖으며, 제2 캡(330)의 내측 상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통(120`)의 단부와 맞닿게 된다.
노즐코어(320)는 공급통(120`)의 내측에 삽입된다. 노즐코어(320)의 상단부는 안쪽으로 움푹 파인 유출공간(324)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코어(320)의 외측 둘레에는 나선형의 제2 유출홈(3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유출홈(322)은 측면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두 개가 마련되며, 공급통(120`) 하단부의 공간과 노즐코어(320)의 유출공간(324)을 연결한다. 이로 인하여 공급통(120`)으로부터 유입되는 농약이 노즐코어(320)의 제2 유출홈(322)을 지나 유출공간(324)으로 공급되며 다시 후기하는 제2 캡(330)의 제2 분사구멍(332)을 통하여 분사되게 된다. 이때, 제2 유출홈(322)이 노즐코어(320) 측면으로부터 나선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제2 유출홈(322)을 지나 유출공간(324)으로 유입되는 농약에 와류가 생겨 제2 분사구멍(332)을 통해 분사될 시 넓게 퍼져 나가는 형태로 분사되게 된다.
제2 캡(33)은 공급통(120`)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제2 캡(330)은 너트형태를 갖는다. 제2 캡(33)의 상측에는 원형의 제2 분사구멍(332)이 구비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약분사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사본체(100)가 연결부재(140)를 통하여 다수 개 연결되며, 분사본체(100)의 공급통(120.120`)에 제1 분사노즐(200)과 제2 분사노즐(300)이 각각 결합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한 일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한 분사본체(100)와, 제1 분사노즐(200), 제2 분사노즐(300)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제2 실시예와 구성이 상이한 연결부재(14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재(140)는 각각의 분사본체(100) 사이에 구비된다. 연결부재(140)는 각각의 공급관(110)의 단부에 결합되며 공급관(110)들의 내부 공간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분사본체(100)와, 그 사이에 결합되는 하나의 연결부재(140)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수개의 분사본체(100)와, 다수개의 연결부재(14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연결부재(14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분사본체(100)들은 연결부재(14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분사본체 110:공급관 120,120`:공급통
130:접속부재 140:연결부재 200:제1 분사노즐
210:제1 패킹 220:노즐본체 222:결합부
224:이음부 225:고무링 226:노즐부
226a:노즐목 226b:노즐머리 227:토출구
228:제1 유출홈 230:제1 캡 232:연장부
234:막음캡 236:제1 분사구멍 240:고정돌기케이스
242:고정돌기 244:압축스프링 300:제2 분사노즐
310:제1 패킹 320:노즐코어 322:제2 유출홈
324:유출공간 330:제2 캡 332:제2 분사구멍

Claims (5)

  1. 공급관(110)과 상기 공급관(110)의 외면에 양방향으로 결합되는 두 개의 공급통(120,120`)으로 이루어진 분사본체(100)를 통하여 농약을 분사하도록 스피드 스프레이어에 장착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공급통(120)과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노즐본체(220)와, 상기 노즐본체(22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결합되며 상측에 분사구멍(236)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캡(230)으로 이루어진 제1 분사노즐(200)과;
    상기 다른 한 하나의 공급통(120`) 내측에 삽입되며 외측 둘레에 나선형의 제2 유출홈(322)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코어(320)와, 상기 공급통(120`)과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제2 분사구멍(332)이 구비되어 있는 제2 캡(330)으로 이루어진 제2 분사노즐(300)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본체(220)는 상기 하나의 공급통(120)과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결합부(222)와, 상기 결합부(22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며 외측에 고무링(225)이 체결되어 있는 이음부(224)와, 상기 이음부(224)의 단부에 연결되는 노즐부(226)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캡(230)은 상기 노즐부(226)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이음부(224)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226)는,
    상기 이음부(224)로부터 연장되며 외측 둘레를 따라 토출구(227)가 형성되어 있는 노즐목(226a)과;
    상기 노즐목(226a)의 긱경보다 더 돌출되고,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짐에 따라 측면이 경사지며, 상기 측면에 사선으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제1 유출홈(228)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머리(226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230)의 외측에 고정돌기케이스(24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케이스40)의 내측에는 압축스프링(244)에 의하여 하방으로 탄성지지되는 고정돌기(242)가 내장되며,
    상기 결합부(222)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고정홈(223)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홈(223)에 상기 고정돌기(242)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분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코어(320)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움푹 파인 유출공간(324)이 마련되며, 상기 유출공간(324)과 상기 제2 유출홈(322)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분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공급통(120,120`)은 상기 공급관(1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약분사장치.
KR1020160021064A 2016-02-23 2016-02-23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 KR20170099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64A KR20170099104A (ko) 2016-02-23 2016-02-23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064A KR20170099104A (ko) 2016-02-23 2016-02-23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104A true KR20170099104A (ko) 2017-08-31

Family

ID=5976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064A KR20170099104A (ko) 2016-02-23 2016-02-23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91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5797A (zh) * 2018-08-09 2018-11-02 广州天翔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喷头组件、植保无人机及喷洒方法
RU2756646C1 (ru) * 2021-03-23 2021-10-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агроинженерный центр ВИМ» (ФГБНУ ФНАЦ ВИМ) Распылитель для внесения пестицидов в виде пен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5797A (zh) * 2018-08-09 2018-11-02 广州天翔航空科技有限公司 一种喷头组件、植保无人机及喷洒方法
RU2756646C1 (ru) * 2021-03-23 2021-10-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агроинженерный центр ВИМ» (ФГБНУ ФНАЦ ВИМ) Распылитель для внесения пестицидов в виде пен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289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KR101667181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US7780098B2 (en) Fan spray pattern indexing nozzle for a trigger sprayer
ES2851723T3 (es) Dispositivo de aplicación
BR102012012110B1 (pt) combinação para um misturador estático de aspersão
US20170225178A1 (en) Spray Orifice Structure
CN104428069A (zh) 用于自重进料喷射装置的通风系统
KR101966067B1 (ko) 약액 분무기
KR101880552B1 (ko) 분무기용 분사노즐
KR20170099104A (ko)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농약분사장치
KR20180009683A (ko) 농약 살포 및 방제용 분사기
CN106029238A (zh) 喷枪
KR200407491Y1 (ko) 분무기의 노즐 구조
KR101834120B1 (ko) 방제용 분사장치
JP6261554B2 (ja) 液体散布杆
KR20110117316A (ko) 살수기
CN208018809U (zh) Cmp设备腔室保湿用喷雾器
US20140224904A1 (en) Foaming Nozzle
KR102494943B1 (ko) 약액 분무장치
KR200485414Y1 (ko) 노즐 일체형 약제살포장치
KR20160111804A (ko) 물 분사장치
JP2006175397A (ja) 静電噴霧装置
JP2006035081A (ja) 薬液散布用ノズル及び散布器
KR20200002008U (ko) 방제용 분사장치
KR20170002991U (ko) 농약 살포용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