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569B1 -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 Google Patents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569B1
KR102089569B1 KR1020190159798A KR20190159798A KR102089569B1 KR 102089569 B1 KR102089569 B1 KR 102089569B1 KR 1020190159798 A KR1020190159798 A KR 1020190159798A KR 20190159798 A KR20190159798 A KR 20190159798A KR 102089569 B1 KR102089569 B1 KR 102089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ocket
sprinkler
couple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식
Original Assignee
조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식 filed Critical 조규식
Priority to KR102019015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569B1/ko
Priority to PCT/KR2020/014388 priority patent/WO20210803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8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 B05B1/26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 B05B1/267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eans for mechanically breaking-up or deflecting the jet after discharge, e.g. with fixed deflectors; Breaking-up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y impinging jets with fixed deflectors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eflected in determined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 B05B15/62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ground-penet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 하부에 매설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부가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급수관과 연통하는 몸체; 상기 중공부 내에 수용되되, 상기 급수관으로부터의 물 공급에 따라 상승하여 분사구를 통해 일정한 각도 범위로 물을 분사하는 헤드; 및 상기 몸체 상단에 결합하되,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몸체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헤드의 상승 폭을 달리하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sprinkler for control of head rising}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의 부분 함몰 등에 대응하여 헤드의 상승 폭이 간단히 조절됨으로써 헤드를 통한 지면으로의 물 분사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에 관한 것이다.
농지의 작물 관리, 잔디밭의 잔디 관리 또는 운동장의 먼지 관리 등을 위하여 스프링클러가 이용되고 있다.
일반 스프링클러는, 지면 하부에 매설되되,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급수관과 연통하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몸체; 및 상기 중공부 내에 수용되되, 상기 급수관으로부터의 물 공급에 따라 상승하여 물을 일정한 각도 범위로 분사하는 분사구를 구비하는 헤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헤드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농지, 잔디밭 또는 운동장의 지면에 고르게 미침으로써 농지의 작물 관리, 잔디밭의 잔디 관리 또는 운동장의 먼지 관리가 용이해진다.
다만, 일반 스프링클러는 몸체가 매설되는 해당 부위의 지면이 부분 함몰되거나 할 때 헤드로부터 물 분사 범위가 제한되어 농지의 작물 관리, 잔디밭의 잔디 관리 또는 운동장의 먼지 관리가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일반 스프링클러는 애초 설치 상태에서 지면이 부분 함몰되거나 하면 몸체 및 헤드가 애초에 비해 하부로 내려앉게 되는바, 헤드에서 분사되는 물의 상당 부분이 함몰 부위 내측에만 미치게 되므로 애초에 비해 지면으로의 물 분사 범위가 극히 좁아질 수밖에 없어 농지, 잔디밭 또는 운동장 등의 관리가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지면의 부분 함몰 정도 등에 따라 헤드의 상승 폭을 높여줌으로써 해소될 수 있으나, 몸체가 지중에 매설되고, 헤드가 몸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헤드의 상승 폭을 높이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실제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지면의 부분 함몰 등에 대응하여 헤드의 상승 폭이 간단히 조절됨으로써 헤드를 통한 지면으로의 물 분사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0678호(2001. 11. 17.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지면의 부분 함몰 등에 대응하여 헤드의 상승 폭이 간단히 조절됨으로써 헤드를 통한 지면으로의 물 분사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클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 하부에 매설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부가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급수관과 연통하는 몸체; 상기 중공부 내에 수용되되, 상기 급수관을 통한 물 공급에 따라 상승하여 분사구를 통해 일정한 각도 범위로 물을 분사하는 헤드; 및 상기 몸체 상단에 결합하되,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몸체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헤드의 상승 폭을 달리하는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는,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몸체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소켓을 포함하는바, 몸체에 결합하는 소켓의 높이에 따라 헤드의 상승 폭이 가감되므로 지면이 함몰되거나 할 때 소켓 교체를 통해 헤드의 상승 폭을 이전에 비해 높임으로써 헤드를 통한 지면으로의 물 분사가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는, 몸체가 소켓과의 사이에 결합하여 소켓을 상부로 이격시키는 간격유지구를 포함할 수 있는바, 간격유지구의 높이에 따라 헤드의 상승 폭이 세밀하게 가감되므로 이해 의해 헤드의 상승 폭 조절이 세밀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지면이 함몰된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에서 소켓 교체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 조절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에서 몸체와 소켓의 결합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에서 몸체와 소켓의 다른 결합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에서 몸체와 소켓의 또 다른 결합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에서 몸체와 소켓의 또 다른 결합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에서 몸체가 간격유지구를 포함할 때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에서 몸체에 복수의 간격유지가 결합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에서 몸체와 간격유지구의 결합 형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A)는, 몸체(10); 헤드(20); 및 소켓(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몸체(10)는, 지면 하부에 매설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부(11)가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급수관(100)과 연통한다.
따라서, 급수관(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몸체(10)의 중공부(11) 내에 수용되는 헤드(20)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몸체(10)는 상단 둘레를 따라 플랜지부(12)가 형성됨으로써 플랜지부(12)에 의해 소켓(30)과의 결합이 안정된다.
한편, 몸체(10)는, 소켓(30)과의 사이에 결합하여 소켓(30)을 상부로 이격시키는 간격유지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유지구(13)의 높이에 의해 소켓(30)은 몸체(10) 상단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간격유지구(13)는 끼움 방식에 의해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즉, 간격유지구(13)의 가장자리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13b)가 몸체(10)의 플랜지부(12) 가장자리에 끼워짐로써 간격유지구(13)가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간격유지구(1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걸림 방식에 의해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간격유지구(13) 저면에 방사상으로 후크(13c)를 형성하고, 몸체(10)의 플랜지부(12) 상면에 방사상으로 후크삽입홀(12a)을 형성하여 간격유지구(13)의 후크(13c)가 몸체(10)의 후크삽입홀(12a)에 삽입됨으로써 간격유지구(13)가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간격유지구(13)는 그 높이가 1-2mm로 형성됨으로써 간격유지구(13)에 의한 소켓(30)의 이격이 비교적 세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간격유지구(13)는 몸체(10)와 소켓(30) 사이에 단일 또는 복수로 결합할 수 있다.
간격유지구(13)가 몸체(10)와 소켓(30) 사이에 복수로 결합하면 소켓(30)의 이격 정도가 배가될 수 있다.
간격유지구(13)가 몸체(10)와 소켓(30) 사이에 복수로 결합할 때 간격유지구(13) 상호 간의 결합은 통상의 어떠한 결합 방식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끼움 방식 또는 후크 걸림 방식이 될 수 있다.
한편, 간격유지구(13)는 몸체(10)의 중공부(11)와 연통하는 개방부(13a)를 구비함으로써 개방부(13a)를 거쳐 중공부(11) 내측으로 헤드(20) 및 소켓(30)의 일부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헤드(20)는, 중공부(11) 내에 수용되되, 급수관(100)을 통한 물 공급에 따라 상승하여 분사구(21)를 통해 일정한 각도 범위로 물을 분사한다.
따라서, 분사구(21)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지면에 미침에 의해 농지의 작물 관리, 잔디밭의 잔디 관리 또는 운동장의 먼지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헤드(20)는 하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탄성부재(22)를 구비함으로써 수압 작용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서 수압 작용이 중단될 때 수축상태의 탄성부재(22)가 신장됨에 따라 상승 이전 상태로 원활히 복귀한다.
여기서, 탄성부재(22)의 상단에는 링 형태의 별도 지지부재(도면부호 미표시)가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재는 헤드(20) 상승 과정에서 소켓(30)의 키홈(32)에 삽입되는 키와 접촉하므로 탄성부재(22) 상단이 키와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탄성부재(22)의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헤드(20)는 타 부위에 비해 직경이 더 큰 하부 마감캡(23)을 구비함으로써 하부 마감캡(23)에 의해 탄성부재(22) 하단이 지지됨에 따라 탄성부재(22)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소켓(30)은, 몸체(10) 상단에 결합하되,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몸체(10)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헤드(20)의 상승 폭을 달리한다.
따라서, 몸체(10)가 매설되는 해당 지면이 부분 함몰되거나 할 때 소켓(30) 교체에 의해 헤드(20)의 상승 폭이 커짐으로써 헤드(20)를 통한 지면으로의 물 분사가 원활하다.
이때, 소켓(30)은, 몸체(10)의 중공부(11)와 연통하는 개방부(31); 상기 개방부(3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키(도면부호 미표시)가 삽입되는 키홈(32);을 구비함으로써 헤드(20)가 개방부(31)를 관통함에 따라 소켓(30) 외부까지 상승하게 되고, 헤드(20)의 탄성부재(22) 상단(탄성부재 상단에 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지지부재의 상단일 수 있음)이 키홈(32)에 삽입된 키에 걸림에 따라 헤드(20) 상승 과정에서 탄성부재(22)의 수축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헤드(20)의 상승 폭이 제한된다.
이때, 키홈(32)은 개방부(31)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둔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소켓(30)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키홈(32)이 몸체(10) 상단으로부터 더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헤드(20)의 상승 폭이 커지게 되고, 반대로 소켓(30)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키홈(32)이 몸체(10) 상단으로부터 더 하부에 위치하게 되어 헤드(20)의 상승 폭이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소켓(30)은 몸체(10)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어느 하나의 상단이 상기 몸체(10)가 매설되는 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지면으로부터 소켓(30)의 돌출로 인한 보행 간섭 등이 최소화된다.
그리고 소켓(30)은 상단 둘레를 따라 플랜지부(33)가 형성됨으로써 플랜지부(33)에 의해 몸체(10)와의 결합이 안정된다.
한편, 소켓(30)은 나선 물림 방식에 의해 몸체(10)(간격유지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음)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소켓(30)의 하단부 외주면에 나선(34)을 형성하고, 몸체(10)의 중공부(11) 내주면에 나선(11a)을 형성하여 소켓(30)의 나선(34)과 몸체(10)의 나선(11a)이 상호 물림으로써 소켓(30)이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소켓(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걸림 방식에 의해 몸체(10)(간격유지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음)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소켓(30)의 플랜지부(33) 저면에 방사상으로 후크(35)를 형성하고, 몸체(10)의 플랜지부(12)(몸체에 간격유지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간격유지구일 수 있음) 상면에 방사상으로 후크삽입홀(12a)을 형성하여 소켓(30)의 후크(35)가 몸체(10)의 후크삽입홀(12a)에 삽입됨으로써 소켓(30)이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소켓(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체결 방식에 의해 몸체(10)(간격유지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음)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소켓(30)의 플랜지부(33)에 방사상으로 볼트관통공(36)을 형성하고, 몸체(10)의 플랜지부(12)(몸체에 간격유지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간격유지구일 수 있음)에 방사상으로 볼트체결구(12b)를 형성하여 소켓(30)의 볼트관통공(36)을 거쳐 몸체(10)의 볼트체결구(12b)로 볼트(도면부호 미표시)가 체결됨으로써 소켓(30)이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체결구(12b)는, 자체의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거나, 내측에 너트(도면상 미도시)가 결합됨으로써 볼트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켓(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 방식에 의해 몸체(10)(간격유지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음)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소켓(30)의 플랜지부(33) 가장자리를 따라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37)가 몸체(10)의 플랜지부(12) 가장자리(몸체에 간격유지구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간격유지구의 가장자리일 수 있음)에 끼워짐으로써 소켓(30)이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소켓(30)은 그 높이가 10~50mm 형성됨으로써 소켓(30)에 의해 헤드(20)의 상승 폭 조절이 비교적 확연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A)의 사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지면 하부에 매설되는 몸체(10)의 중공부(11)는 급수관(100)과 연통하고, 헤드(20)는 중공부(11) 내에 수용되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1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헤드(20)로 유입된 후 분사구(21)를 통해 분사되어 지면에 미치므로 이에 의해 농지의 작물 관리, 잔디밭의 잔디 관리 또는 운동장의 먼지 관리가 이루어진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가 매설되는 해당 지면이 부분 함몰되거나 하면 몸체(10) 및 헤드(20)가 애초에 비해 하부로 내려앉게 되는바, 헤드(20)에서 분사되는 물의 상당 부분이 함몰 부위 내측으로만 미칠 뿐 함몰 부위 외측의 지면으로는 미치지 못하므로 애초 설치 상태에 비해 물 분사 범위가 극히 좁아질 수밖에 없어 농지의 작물 관리, 잔디밭의 잔디 관리 또는 운동장의 먼지 관리가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몸체(10)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소켓(30)을 포함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30)의 높이에 따라 헤드(20)의 상승 폭이 달라지므로 몸체(10)에 지면의 함몰 정도에 상응하는 높이의 소켓(30)을 결합함으로써 헤드(20)를 통해 분사되는 물이 지면으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어 농지의 작물 관리, 잔디밭의 잔디 관리 또는 운동장의 먼지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예컨대, 애초 높이 10mm의 소켓(30)이 결합된 몸체(10)가 매설되는 지면이 애초에 비해 30mm 부분 함몰 되었을 때 이전의 소켓(30)을 제거한 후 높이에 차등을 둔 복수 개의 소켓(30) 중에서 40mm의 높이를 갖는 소켓(30)을 몸체(10)에 결합함으로써 몸체(10) 내의 헤드(20)는 이전에 비해 30mm 더 상승하게 되므로 헤드(20)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지면으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어 농지의 작물 관리, 잔디밭의 잔디 관리 또는 운동장의 먼지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소켓(30)은 수십 mm, 예컨대 10-50mm의 높이를 갖는바, 헤드(20) 상승 폭의 세밀한 조절이 곤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몸체(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30)과의 사이에 결합하여 소켓(30)을 상부로 이격시키는 간격유지구(13)를 포함할 수 있는바, 헤드(20) 상승 폭의 세밀한 조절, 예컨대 2mm 상승이 요구될 때 몸체(10)와 소켓(30) 사이에 2mm 높이를 갖는 간격유지구(13)를 결합함으로써 소켓(30)이 2mm 상부로 상승하여 헤드(20)가 이전에 비해 2mm 더 상승하게 되므로 이에 의해 헤드(20) 상승 폭의 세밀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간격유지구(13)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결합할 수 있는바, 예컨대 헤드(20)의 6mm 상승이 요구될 때 몸체(10)와 소켓(30) 사이에 2mm 높이를 갖는 간격유지구(13) 3개를 결합함으로써 헤드(20)가 이전에 비해 6mm 더 상승하게 된다.
한편, 소켓(30) 또는 간격유지구(13)가 몸체(10)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이탈하게 되면 헤드(20) 상승 폭의 조절이 불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소켓(30)은 나선 물림 방식, 볼트 체결 방식, 후크 걸림 방식 또는 끼움 방식에 의해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간격유지구(13)는 후크 걸림 방식 또는 끼움 방식에 의해 몸체(10)에 결합할 수 있는바, 결합 방식의 특성상 몸체(10)와 소켓(30) 또는 몸체(10)와 간격유지구(13)의 결합 상태가 비교적 견고히 유지되므로 소켓(30) 또는 간격유지구(13)의 의도하지 않은 이탈이 방지될 수 있어 소켓(30) 또는 간격유지구(13)를 통한 헤드(20) 상승 폭 조절이 원활할 수 있다.
이때, 소켓(30) 또는 간격유지구(13)는 나선 물림 해제, 볼트 체결 해제, 후크 걸림 해제 또는 끼움 해제에 의해 몸체(10)로부터 간단히 분리되므로 소켓(30)의 교체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중공부
11a : 나선 12 : 플랜지부
12a : 후크삽입홀 12b : 볼트체결구
13 : 간격유지구 13a : 개방부
13b : 걸림돌기 20 : 헤드
21 : 분사구 22 : 탄성부재
23 : 하부 마감캡 30 : 소켓
31 : 개방부 32 : 키홈
33 : 플랜지부 34 : 나선
35 : 후크 36 : 볼트관통공
37 : 걸림돌기 100 : 급수관
A : 스프링클러

Claims (5)

  1. 지면 하부에 매설되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중공부(11)가 외부로부터 이어지는 급수관(100)과 연통하는 몸체(10);
    상기 중공부(11) 내에 수용되되, 상기 급수관(100)을 통한 물 공급에 따라 상승하여 분사구(21)를 통해 일정한 각도 범위로 물을 분사하는 헤드(20); 및
    상기 몸체(10) 상단에 결합하되, 높이에 차등을 두고 마련되는 복수 개 중의 어느 하나가 상기 몸체(10)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헤드(20)의 상승 폭을 달리하는 소켓(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소켓(30)과의 사이에 결합하여 상기 소켓(30)을 상부로 이격시키는 간격유지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0)은, 상기 몸체(10)의 상기 중공부(11)와 연통하는 개방부(31); 상기 개방부(3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키가 삽입되는 키홈(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키홈(32)은, 상기 개방부(31) 상단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둔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30)은, 상기 몸체(10) 상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어느 하나의 상단이 상기 몸체(10)가 매설되는 지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KR1020190159798A 2019-10-24 2019-12-04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KR102089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98A KR102089569B1 (ko) 2019-12-04 2019-12-04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PCT/KR2020/014388 WO2021080306A1 (ko) 2019-10-24 2020-10-21 스프링클러용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798A KR102089569B1 (ko) 2019-12-04 2019-12-04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569B1 true KR102089569B1 (ko) 2020-03-16

Family

ID=6994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98A KR102089569B1 (ko) 2019-10-24 2019-12-04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5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306A1 (ko) * 2019-10-24 2021-04-29 조규식 스프링클러용 높이 조절 장치
WO2022103135A1 (ko) * 2020-11-16 2022-05-19 조규식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631A (ja) * 1996-06-26 1998-01-13 Shinsei:Kk スプリンクラー
KR200250678Y1 (ko) 2001-07-19 2001-11-17 조하연 운동장 설치용 스프링클러 높이 조절장치
US20050103901A1 (en) * 2001-07-25 2005-05-19 Kah Carl L.Jr. Selected range arc settable spray nozzle with pre-set proportional connected upstream flow throttling
KR101665289B1 (ko) * 2016-04-20 2016-10-11 (주)씨앤씨테크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631A (ja) * 1996-06-26 1998-01-13 Shinsei:Kk スプリンクラー
KR200250678Y1 (ko) 2001-07-19 2001-11-17 조하연 운동장 설치용 스프링클러 높이 조절장치
US20050103901A1 (en) * 2001-07-25 2005-05-19 Kah Carl L.Jr. Selected range arc settable spray nozzle with pre-set proportional connected upstream flow throttling
KR101665289B1 (ko) * 2016-04-20 2016-10-11 (주)씨앤씨테크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306A1 (ko) * 2019-10-24 2021-04-29 조규식 스프링클러용 높이 조절 장치
WO2022103135A1 (ko) * 2020-11-16 2022-05-19 조규식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클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569B1 (ko) 헤드의 상승 폭이 조절되는 스프링클러
US9022300B2 (en) Vertical rising sprinkler apparatus with stabilized base unit
US8496193B2 (en) Fluid control devices particularly useful in drip irrigation emitters
US6530531B2 (en) Riser tube with slotted ratchet gear for pop-up irrigation sprinklers
JP6863554B2 (ja) 膨張圧力に応じた液体流量制御を伴う散布ノズルアセンブリ
CN211671774U (zh) 一种水利工程灌溉装置
KR102247842B1 (ko) 수경 및 토양 재배용 균일 물분사장치
WO2014026080A1 (en) Lawn sprinkler flow control device
KR101416299B1 (ko) 낙수방지 및 압력보정 기능을 갖는 스프링클러
US7066403B2 (en) Sprinkling system and method
US5201605A (en) Positively closing nozzle and method of use in underground irrigation
KR101946427B1 (ko) 비닐하우스 분사노즐용 파이프 고정 브라켓
US4284241A (en) Spray nozzle for distribution of liquid which is intended to be affixed transversely to the wall of a conduit
US4892256A (en) Up-spray deflector cup for spraying the underside of plant foliage
US2879946A (en) Self-projectable and retractable sprinkler heads
KR102256529B1 (ko) 관수 시스템용 밸브
US1938511A (en) Underground lawn sprinkler head
CN108855655B (zh) 颈部头部旋转调节式喷水枪
US3404841A (en) Pop-up sprinkler assembly
KR200483978Y1 (ko) 공중재배포트용 분무호스설치구
KR20200106803A (ko) 농업 및 원예용 스프링클러
KR101858098B1 (ko) 스프링클러 및 이를 이용한 살수 시스템
JP3901628B2 (ja) 薬液の散布装置
CN219961558U (zh) 一种灌溉高度可调的浇灌器
CN215843668U (zh) 一种可调节的喷雾喷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