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823B1 - 초고항복점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획득되는 시트 또는 부품 - Google Patents

초고항복점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획득되는 시트 또는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823B1
KR101903823B1 KR1020137032959A KR20137032959A KR101903823B1 KR 101903823 B1 KR101903823 B1 KR 101903823B1 KR 1020137032959 A KR1020137032959 A KR 1020137032959A KR 20137032959 A KR20137032959 A KR 20137032959A KR 101903823 B1 KR101903823 B1 KR 101903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temperature
semi
finished product
a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8382A (ko
Inventor
캉잉 주
올리비에 부아지즈
Original Assignee
아르셀러미탈 인베스티가시온 와이 데살롤로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러미탈 인베스티가시온 와이 데살롤로 에스엘 filed Critical 아르셀러미탈 인베스티가시온 와이 데살롤로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14001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300 ㎫ 초과의 항복 응력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방법은, 강 반제품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강 반제품의 조성은, 중량% 로, 0.15% ≤ C ≤ 0.40%, 1.5% ≤ Mn ≤ 3%, 0.005% ≤ Si ≤ 2%, 0.005% ≤ Al ≤0.1%, 0 < S ≤ 0.05%, 0 < P ≤ 0.1%, 0.025% ≤ Nb ≤ 0.1% 이고, 선택적으로, 0.01% ≤ Ti ≤ 0.1%, 0% ≤ Cr ≤ 4%, 0% ≤ Mo ≤ 2%, 0.0005% ≤ B ≤ 0.005%, 0.0005% ≤ Ca ≤ 0.005% 이며, 상기 조성의 잔부는 철, 및 프로세싱으로부터 유발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강 반제품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제품은, 1,050 ℃ ~ 1,250 ℃ 의 온도 (T1) 로 가열되고, 그 후, 가열된 반제품은 1,050 ~ 1,150 ℃ 의 온도 (T2) 에서 100% 초과의 누적 감소율 (εa) 로 조압연되어, 40 ㎛ 미만, 바람직하게는 5 ㎛ 미만의 평균 입도를 갖는, 완전히 재결정화되지 않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는 시트가 획득된다. 그 후, 시트는, 오스테나이트의 변태를 방지하기 위해 2 ℃/s 보다 큰 속도 (VR1) 로 970 ℃ ~ Ar3 + 30 ℃ 의 온도 (T3) 로 냉각된 후, 냉각된 시트의 상기 온도 (T3) 에서 50% 보다 큰 누적 감소율 (εb) 로 마무리 열간 압연되어, 시트가 획득되고, 그 후, 시트는 임계 마텐자이트 담금질 속도보다 큰 속도 (VR2) 로 냉각된다.

Description

초고항복점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획득되는 시트 또는 부품{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ARTENSITIC STEEL HAVING A VERY HIGH YIELD POINT AND SHEET OR PART THUS OBTAINED}
본 발명은, 마텐자이트 담금질 (martensitic quenching) 과 단순 급속 냉각 처리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기계적 강도보다 더 큰 기계적 강도, 및 자동차의 에너지 흡수 부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기계적 강도와 연신 특성을 가지는 마텐자이트 조직을 갖는 강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적용에서, 목적은 매우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강 시트로부터 부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조합은, 차량의 중량을 상당히 감소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에서 특히 요구된다. 이 중량 감소는 매우 높은 기계적 특성과 마텐자이트 미세조직을 갖는 강 부품의 사용에 대해 특히 달성될 수 있다. 침입 방지 및 구조 부품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범퍼, 도어 또는 센터 필러 보강부 및 휠 암과 같은 자동차의 안전성에 기여하는 다른 부품들은 그러한 특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부품들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 ㎜ 미만이다.
목적은 더욱 큰 기계적 강도를 갖는 시트를 획득하는 것이다. 탄소의 첨가에 의해 마텐자이트 조직을 갖는 강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는 능력은 잘 알려져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더 높은 탄소 함량은 시트 또는 이 시트로부터 제조되는 부품의 용접성을 감소시키고 수소의 존재와 연관된 크래킹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오스테나이트화 및 후속의 당해 강의 단순 마텐자이트 담금질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강도보다 50 ㎫ 초과만큼 더 큰 최종 강도를 강 시트가 가지도록, 전술한 단점들을 가지지 않는 강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0.15 ~ 0.40 중량% 의 탄소 함량의 경우, 전체 오스테나이트화 및 후속의 단순 마텐자이트 담금질에 의해 제조된 강 시트의 최종 인장 강도 (Rm) 는 실제로 탄소 함량에만 의존하고 식 (1): Rm (메가파스칼) = 3220(C) + 908 에 기술된 대로 매우 높은 정밀도로 탄소 함량과 연관되는 것을 밝혀냈다. 이 식에서, (C) 는 중량퍼센트로 표현된 강의 탄소 함량을 표시한다. 따라서, 강의 주어진 탄소 함량 (C) 에서, 목적은 식 (1) 에서 50 ㎫ 보다 큰 최종 강도, 즉 이 강에 대해 3,220(C) + 958 ㎫ 보다 큰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목적은 매우 높은, 즉 1,300 ㎫ 보다 큰 항복 응력을 가지는 강 시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목적은 또한 즉시, 즉 담금질 후 템퍼링 (tempering) 처리할 필요없이 사용될 수 있는 강 시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강 시트는 종래의 용접 방법을 사용해 용접가능해야 하고 값비싼 합금 원소의 첨가를 요구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목적은 1,300 ㎫ 보다 큰 항복 응력, 메가파스칼로 표현했을 때, (3,220)(C)+958 ㎫ 보다 큰 기계적 인장 강도, 및 바람직하게 3% 보다 큰 총 연신율을 가지는 강 시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주제는, 1,300 ㎫ 초과의 항복 응력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하에서 열거하는 순서대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강 시트의 제조 방법이다:
― 강 반제품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강 반제품의 조성은, 중량% 로, 0.15% ≤ C ≤ 0.40%, 1.5% ≤ Mn ≤ 3%, 0.005% ≤ Si ≤ 2%, 0.005% ≤ Al ≤0.1%, 0 < S ≤ 0.05%, 0 < P ≤ 0.1%, 0.025% ≤ Nb ≤ 0.1% 이고, 선택적으로, 0.01% ≤ Ti ≤ 0.1%, 0% ≤ Cr ≤ 4%, 0% ≤ Mo ≤ 2%, 0.0005% ≤ B ≤ 0.005%, 0.0005% ≤ Ca ≤ 0.005% 이며, 상기 조성의 잔부는 철, 및 프로세싱으로부터 유발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강 반제품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반제품을 1,050 ℃ ~ 1,250 ℃ 의 온도 (T1) 로 가열하는 단계;
― 가열된 상기 반제품을 1,050 ~ 1,150 ℃ 의 온도 (T2) 에서 100% 초과의 누적 감소율 (εa) 로 조압연기에서 압연하여, 40 ㎛ 미만의 평균 입도를 갖는, 완전히 재결정화되지 않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는 시트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시트를, 2 ℃/s 보다 큰 속도 (VR1) 로 970 ℃ ~ Ar3 + 30 ℃ 의 온도 (T3) 로 불완전 냉각시키는 단계;
― 불완전 냉각된 상기 시트를, 상기 온도 (T3) 에서 50% 보다 큰 누적 감소율 (εb) 로 마무리 압연기에서 압연하여, 시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상기 시트를 임계 마텐자이트 담금질 속도보다 큰 속도 (VR2) 로 냉각시키는 단계.
바람직한 모드에서, 오스테나이트 평균 입도가 5 ㎛ 미만이다.
시트는 5 ~ 30 분의 기간 동안 150 ~ 600 ℃ 인 온도 (T4) 에서 후속 템퍼링 열 처리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주제는, 전술한 제조 모드 중 하나에 따른 방법에 의해 획득되는 템퍼링되지 않은 강 시트로서, 1300 ㎫ 초과의 항복 응력을 갖고, 1.2 ㎛ 미만의 평균 라스 (lath) 입도를 갖는 전부 (totally) 마텐자이트 조직을 구비하고, 상기 라스의 평균 연신 인자가 2 ~ 5 인 강 시트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주제는, 전술한 템퍼링 처리를 갖는 방법을 통해 획득되는 강 시트로서, 1.2 ㎛ 미만의 평균 라스 입도를 갖는 전부 마텐자이트 조직을 구비하고, 상기 라스의 평균 연신 인자가 2 ~ 5 인 강 시트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강의 조성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강의 탄소 함량이 0.15 중량% 미만일 때, 사용된 방법을 고려하면, 강의 경화능은 불충분하고, 전부 마텐자이트 조직을 획득할 수 없다. 이 함량이 0.40% 를 초과할 때, 이 시트 또는 이 부품으로 제조된 용접 조인트는 불충분한 인성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용도를 위한 최적의 탄소 함량은 0.16 ~ 0.28% 이다.
망간은, 마텐자이트가 형성되기 시작하는 온도를 낮추어 오스테나이트의 분해 속도를 늦춘다. 충분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망간 함량은 1.5% 미만이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망간 함량이 3% 를 초과하는 때, 분리 구역 (segregated zones) 이 과도한 양으로 존재하고, 이는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방법의 수행에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방법의 수행에 대해 바람직한 범위는 1.8 ~ 2.5% Mn 이다.
규소 함량은 액체 상에서 강의 탈산에 참여하도록 0.005% 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의도가 시트를 금속 코팅 욕에 통과시켜 시트를 코팅, 특히 연속 용융 아연도금에 의해 코팅하려는 것이라면, 코팅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표면 산화물의 형성 때문에 규소 함량은 2 중량% 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강의 알루미늄 함량은 액체 상태에서 강의 충분한 탈산을 달성하기 위해서 0.005% 이상이다. 알루미늄 함량이 0.1 중량% 를 초과하는 때, 주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알루미나 개재물이 또한 과다한 양 또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인성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친다.
강에서의 황과 인의 레벨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부품 또는 시트의 연성 또는 인성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서 0.05% 및 0.1% 로 각각 제한된다.
강은 0.025 ~ 0.1% 의 양의 니오븀 및 선택적으로는 0.01 ~ 0.1% 의 양의 티타늄을 또한 함유한다.
니오븀 및 선택적으로는 티타늄의 이러한 첨가는 고온에서의 오스테나이트의 재결정화를 감속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방법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고온에서의 충분하게 미세한 입도의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크롬 및 몰리브덴은 오스테나이트의 변태를 지연시키기에 매우 효과적이고,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방법의 실행을 위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원소들이다. 이 원소들의 효과는, 페라이트-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 변태 범위를 분리시켜서, 페라이트-펄라이트 변태가 베이나이트 변태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그러면, 이 변태 범위들은 등온 변태 다이어그램 (TTT; 변태-온도-시간) 에서 2 개의 뚜렷한 "노우즈 (noses)" 의 형태로 발생한다.
크롬 함량은 4 % 이하이어야 한다. 이 레벨을 초과하면, 경화능에 미치는 크롬의 영향이 실질적으로 포화되고; 임의의 추가 첨가는 비용이 많이 들고 대응하는 유리한 효과가 전혀 얻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몰리브덴 함량은 몰리브덴의 높은 비용 때문에 2% 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선택적으로, 강은 또한 붕소를 함유할 수 있고; 오스테나이트의 상당한 변형은 냉각 중 페라이트로의 변태를 가속화할 수 있는데, 이 현상은 방지되어야 한다. 0.0005 ~ 0.005 중량% 의 붕소의 첨가는, 조기 (premature) 페라이트 변태에 대한 대비책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강은 칼슘을 0.0005 ~ 0.005% 의 양으로 또한 함유할 수 있고; 산소 및 황과 조합함으로써, 칼슘은 시트 또는 시트로부터 제조된 부품의 연성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큰 개재물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강의 조성 중 잔부는 철 및 프로세싱으로부터 유발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된 대로 제조된 강 시트는 매우 미세한 라스와 전부 마텐자이트 조직을 특징으로 하는데; 열 기계적 사이클 및 특정 조성 때문에, 마텐자이트 라스의 평균 입도는 1.2 ㎛ 미만이고 그것의 평균 연신 계수는 2 ~ 5 이다. 이 미세조직 특성은, 예를 들어, EBSD ("전자 후방 산란 회절") 검출기와 결합된, 1200x 보다 높은 배율에서, 전계 방출 전자총 ("MEB-FEG") 기술에 의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을 통하여 미세조직을 관찰함으로써 결정된다. 2 개의 인접한 라스는 그것의 배향이탈 (misorientation) 이 5 도보다 클 때 분리된 것으로 규정된다. 라스의 평균 입도는 자체로 공지되어 있는 인터셉트 방법에 의해 규정되고; 미세조직에 대해 랜덤하게 규정된 라인에 의해 인터셉트된 라스들의 평균 입도가 평가된다. 대표 평균값을 얻기 위해서 적어도 1,000 개의 마텐자이트 라스에 대해 측정된다. 그 후, 개별화된 라스의 모폴리지는 자체로 공지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이미지 분석에 의해 결정되고; 각 마텐자이트 라스의 최대 치수 (lmax) 및 최소 치수 (lmin) 뿐만 아니라 그것의 연신 인자 (
Figure 112013113527209-pct00001
) 가 결정된다. 통계적으로 대표적이도록, 이 관찰은 적어도 1,000 개의 마텐자이트 라스를 포함해야 한다. 그 후, 관찰된 이 라스들 전부에 대해 평균 연신 인자 (
Figure 112013113527209-pct00002
) 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열간 압연 시트의 제조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먼저, 위에서 명시된 조성을 갖는 강 반제품이 획득된다. 이 반제품은 연속 주조 슬래브, 예컨대 얇은 슬래브 또는 잉곳의 형태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연속 주조 슬래브는 대략 200 ㎜ 의 두께를 갖고, 얇은 슬래브는 대략 50 ~ 80 ㎜ 의 두께를 갖는다. 이 반제품은 1,050 ℃ ~ 1,250 ℃ 의 온도 (T1) 로 가열된다. 온도 T1 은, 가열 동안 전체 오스테나이트 변태 온도인 Ac3 보다 더 높다. 따라서, 이 가열은 반제품에 존재할 수도 있는 임의의 니오븀 탄질화물의 용해뿐만 아니라 강의 완전한 오스테나이트화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가열 단계는 후술하는 부가적인 열간 압연 작업을 행하는 것을 또한 가능하게 한다. 반제품은 조압연을 거친다. 이 조압연은 1,050 ~ 1,150 ℃ 의 온도 (T2) 에서 행해진다. 상이한 조압연 단계들의 누적 감소율이 εa 로 표시된다. eia 가 열간 조압연 전의 반제품의 두께를 표시하고, efa 가 이 압연 후의 시트의 두께를 표시한다면, 누적 감소율은
Figure 112013113527209-pct00003
에 의해 규정된다. 본 발명은, 누적 감소율 (εa) 이 100% 보다 커야 한다는 것, 즉 1 초과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러한 압연 조건 하에서, 니오븀 및 선택적으로는 티타늄의 존재는 재결정화를 지연시키고, 고온에서 전부 재결정화되지 않은 오스테나이트의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획득되는 오스테나이트 평균 입도는 니오븀 함량이 0.030 ~ 0.050 % 인 때에 40 ㎛ 미만이거나 또는 심지어 5 ㎛ 미만이다. 이 입도는 예컨대 시트가 압연 직후에 템퍼링되는 실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의 폴리싱 및 에칭된 부분을 관찰한다. 에칭은 이전의 (former)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를 보여주는 예컨대 Bechet-Beaujard 시약과 같은, 자체로 공지되어 있는 시약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그리고 나서, 시트는 오스테나이트의 변태 및 잠재적인 재결정화를 방지하기 위해 2 ℃/s 보다 큰 속도 (VR1) 로 불완전하게, 즉 중간 온도 (T3) 로 냉각되고, 그 후, 시트는 50 % 보다 큰 누적 감소율 (εb) 로 마무리 압연기에서 열간 압연된다. eib 가 마무리 압연 전의 시트의 두께를 표시하고, efb 가 이 압연 후의 시트의 두께를 표시한다면, 누적 감소율은
Figure 112014001204174-pct00004
에 의해 규정된다. 이 마무리 압연은 970 ~ Ar3 + 30 ℃ 의 온도 (T3) 에서 행해지고, 여기서 Ar3 은 냉각 동안 오스테나이트 변태가 시작되는 온도를 나타낸다. 이는 마무리 압연의 종료시에, 재결정화 경향을 갖지 않는 변형된 미세-입자의 오스테나이트의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그 후, 이 시트는 임계 마텐자이트 담금질 속도보다 더 큰 속도 (VR2) 로 냉각되고, 그 결과는, 매우 미세한 마텐자이트 조직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로서, 기계적 특성이 단순 열적 담금질 처리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특성에 비해 우수한 시트이다.
상기한 방법이 시트, 즉 슬래브에 기초한 편평한 제품의 제조를 기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기하학적 형상 또는 이러한 타입의 제품으로 제한되지 않고, 후속 열간 성형 단계에 의해 기다란 제품, 바아 (bars) 및 형상의 제조에 적합할 수도 있다.
강 시트는 그대로 활용될 수 있거나 또는 5 ~ 30 분의 시간 동안 150 ~ 600 ℃ 의 온도 (T4) 에서 열적 템퍼링 처리를 거칠 수 있다. 이 템퍼링 처리는 항복 응력 및 강도의 감소라는 대가로 연성을 일반적으로 증가시킨다. 그렇지만,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방법 (종래 담금질 후에 획득될 수 있는 것보다 적어도 50 ㎫ 더 높은 기계적 인장 강도를 강에 제공함) 이 150 ~ 600 ℃ 의 범위일 수 있는 온도에서의 템퍼링 처리 후에도 이러한 이점을 유지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미세조직의 미세도 (fineness) 특성은 이 템퍼 어닐링 처리에 의해 유지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 이하의 결과들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유리한 특징들을 보여준다.
예:
중량% 로 표현된, 이하 열거된 원소를 함유하는 강 반제품이 획득된다:
Figure 112013113527209-pct00005
두께 31 ㎜ 의 반제품을 1,250 ℃ 의 온도 (T1) 에서 30 분 동안 가열 및 유지하였고, 그 후 164 % 의 누적 감소율 (ε1) 로, 즉 6 ㎜ 의 두께로 1,100 ℃ 의 온도 (T2) 에서 4 번의 패스 (passes) 로 압연하였다. 이 스테이지에서, 조압연 후 고온에서, 조직은, 불완전하게 재결정화되고 평균 입도가 30 ㎛ 인 전부 오스테나이트이다. 그 후, 이렇게 획득된 시트를 3 ℃/s 의 속도로 955 ℃ ~ 840 ℃ 의 온도 (T3) (이 후자의 온도는 Ar3 + 60 ℃ 와 동일함) 로 냉각시키고, 그 후 이 온도에서 시트를 76 % 의 누적 감소율 (εb) 로, 즉 2.8 ㎜ 의 두께로 5 번의 패스로서 압연하였고, 그 후 80 ℃/s 의 속도로 주위 온도로 냉각시켜서, 완전히 마텐자이트의 미세조직을 획득하였다.
대조적으로, 상기한 조성을 갖는 강 시트를 1,250 ℃ 의 온도로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30 분 동안 유지한 후, 물로 냉각시켜 완전히 마텐자이트의 미세조직을 획득하였다 (기준 조건).
인장 테스트에 의하여, 이러한 상이한 제조 모드에 의해 획득된 시트들의 항복 응력 (Re), 극한 강도 (Rm) 및 총 연신율 (A) 을 결정하였다. 하기 표는 단순 마텐자이트 담금질 후의 강도의 추정값 (3220(C)+908) (㎫), 및 이 추정값과 실제로 측정된 저항 사이의 차이 (ΔRm) 를 또한 보여준다.
Figure 112013113527209-pct00006
강 B 는 충분한 니오븀을 함유하지 않는다: 그 경우, 단순 마텐자이트 담금질 후에도 (테스트 B2), 그리고 온도 T3 에서의 조압연 및 마무리 압연으로 압연된 경우에도 (테스트 B1), 1,300 ㎫ 의 항복 응력이 획득되지 않는다.
테스트 B2 (단순 마텐자이트 담금질) 의 경우, 식 (1) 에 기초하여 추정된 강도 값 (1,545 ㎫) 은 실험적으로 결정된 값 (1,576 ㎫) 에 가깝다는 것이 관찰된다.
획득된 시트의 미세조직은 전계 방출 전자총 ("MEB-FEG" 기술) 을 이용한 주사 전자 현미경 및 EBSD 검출기에 의해 또한 관찰되었다. 마텐자이트 조직의 라스들의 평균 입도 및 라스들의 평균 연신 인자 (
Figure 112013113527209-pct00007
) 가 또한 수량화되었다.
테스트 A1 및 A2 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방법은 평균 라스 입도가 0.9 ㎛ 이고 연신 인자가 3 인 마텐자이트 조직의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 이 조직은 단순 마텐자이트 담금질 후에 관찰되는 것 (라스들의 평균 입도가 대략 2 ㎛ 임) 보다 훨씬 더 미세하다.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테스트 A1 및 A2 에서, ΔRm 의 값은 각각 63 ㎫ 및 172 ㎫ 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방법에 의하면, 단순 마텐자이트 담금질에 의해 획득되는 것보다 훨씬 더 높은 기계적 강도 값을 얻을 수 있다. 예컨대, 테스트 A2 의 경우, 이러한 강도의 증가 (172 ㎫) 는, 대략 0.05 % 의 부가량이 첨가된 강에 적용되는 단순 마텐자이트 담금질 덕분에, 식 (1) 에 따라 얻어지는 것과 동등하다. 그러나, 탄소 함량에서의 이러한 타입의 증가는 용접성과 인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오지만, 본 발명에 의해 청구되는 방법에 의하면 이러한 단점 없이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대로 제조된 시트는, 더 낮은 탄소 함량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한 용접, 특히 스폿 저항 용접에 양호한 적합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청구되는 대로 제조된 시트는, 예컨대 용융 아연도금 또는 알루미늄 도금에 의해, 코팅되기에 양호한 적합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만족스러운 경제적 조건 하에서 매우 높은 기계적 특성을 갖는 날 (bare) 또는 코팅된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5)

1,300 ㎫ 초과의 항복 응력을 갖고, 1.2 ㎛ 미만의 평균 라스 (lath) 입도를 갖는 전부 마텐자이트 조직을 구비한 마텐자이트 강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이하에서 열거하는 순서대로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고, 템퍼링 공정을 포함하지 않는 강 시트의 제조 방법:
― 강 반제품을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강 반제품의 조성은, 중량% 로,
0.15% ≤ C ≤ 0.40%,
1.5% ≤ Mn ≤ 3%,
0.005% ≤ Si ≤ 2%,
0.005% ≤ Al ≤0.1%,
0 < S ≤ 0.05%,
0 < P ≤ 0.1%,
0.025% ≤ Nb ≤ 0.1% 이고,
선택적으로,
0.01% ≤ Ti ≤ 0.1%,
0% ≤ Cr ≤ 4%,
0% ≤ Mo ≤ 2%,
0.0005% ≤ B ≤ 0.005%,
0.0005% ≤ Ca ≤ 0.005% 이며,
상기 조성의 잔부는 철, 및 프로세싱으로부터 유발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상기 강 반제품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반제품을 1,050 ℃ ~ 1,250 ℃ 의 온도 (T1) 로 가열하는 단계;
― 가열된 상기 반제품을 1,050 ~ 1,150 ℃ 의 온도 (T2) 에서 100% 초과의 누적 감소율 (εa) 로 조압연기에서 압연하여, 40 ㎛ 미만의 평균 입도를 갖는, 완전히 재결정화되지 않은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갖는 시트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시트를, 2 ℃/s 보다 큰 속도 (VR1) 로 970 ℃ ~ Ar3 + 30 ℃ 의 온도 (T3) 로 불완전 냉각시키는 단계;
― 불완전 냉각된 상기 시트를, 상기 온도 (T3) 에서 50% 보다 큰 누적 감소율 (εb) 로 마무리 압연기에서 압연하여, 시트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상기 시트를 임계 마텐자이트 담금질 (quenching) 속도보다 큰 속도 (VR2) 로 냉각시키는 단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의 평균 입도가 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시트의 제조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5 ~ 30 분의 기간 동안 150 ~ 600 ℃ 인 온도 (T4) 에서 후속 템퍼링 열 처리를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시트의 제조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방법으로 획득되는 강 시트로서,
1300 ㎫ 초과의 항복 응력을 갖고,
1.2 ㎛ 미만의 평균 라스 (lath) 입도를 갖는 전부 (totally) 마텐자이트 조직을 구비하고,
상기 라스의 평균 연신 인자가 2 ~ 5 인 강 시트.
제 3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획득되는 강 시트로서,
1.2 ㎛ 미만의 평균 라스 입도를 갖는 전부 마텐자이트 조직을 구비하고,
상기 라스의 평균 연신 인자가 2 ~ 5 인 강 시트.
KR1020137032959A 2011-05-12 2012-04-20 초고항복점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획득되는 시트 또는 부품 KR101903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PCT/FR2011/000295 2011-05-12
PCT/FR2011/000295 WO2012153009A1 (fr) 2011-05-12 2011-05-12 Procede de fabrication d'acier martensitique a tres haute resistance et tole ainsi obtenue
PCT/FR2012/000156 WO2012153013A1 (fr) 2011-05-12 2012-04-20 Procede de fabrication d'acier martensitique a tres haute limite elastique tole ou piece ainsi obtenu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295A Division KR20160066007A (ko) 2011-05-12 2012-04-20 초고항복점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획득되는 시트 또는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382A KR20140018382A (ko) 2014-02-12
KR101903823B1 true KR101903823B1 (ko) 2018-10-02

Family

ID=461975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295A KR20160066007A (ko) 2011-05-12 2012-04-20 초고항복점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획득되는 시트 또는 부품
KR1020137032959A KR101903823B1 (ko) 2011-05-12 2012-04-20 초고항복점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획득되는 시트 또는 부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295A KR20160066007A (ko) 2011-05-12 2012-04-20 초고항복점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획득되는 시트 또는 부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963756B2 (ko)
EP (1) EP2707515B1 (ko)
JP (1) JP6161597B2 (ko)
KR (2) KR20160066007A (ko)
CN (1) CN103517996B (ko)
BR (1) BR112013029012B1 (ko)
CA (1) CA2834967C (ko)
ES (1) ES2551005T3 (ko)
HU (1) HUE027986T2 (ko)
MA (1) MA35059B1 (ko)
MX (1) MX356324B (ko)
PL (1) PL2707515T3 (ko)
RU (1) RU2550682C1 (ko)
UA (1) UA111200C2 (ko)
WO (2) WO2012153009A1 (ko)
ZA (1) ZA2013078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223A1 (ja) * 2012-02-23 2013-08-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電磁鋼板の製造方法
CN103146997B (zh) 2013-03-28 2015-08-26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合金高韧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UA116699C2 (uk) 2013-12-11 2018-04-25 Арселорміттал Лист з мартенситної сталі і спосіб його отримання, а також деталь і конструктивний елемент транспортного засобу, виконані з вказаного листа, і сам транспортний засіб
PL3197755T3 (pl) 2014-09-22 2020-02-28 Arcelormittal Struktura podwoziowa pojazdu i karoseria pojazdu
CN107429376B (zh) 2015-02-25 2020-10-09 安赛乐米塔尔公司 具有改进的屈服强度和扩孔率的经后退火的高拉伸强度涂覆钢板
WO2019226197A1 (en) * 2018-05-25 2019-11-28 Kingston William R Impact resistant high strength steel
JP6477980B1 (ja) * 2018-03-29 2019-03-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ホットスタンプ成形体
TW202003873A (zh) 2018-05-07 2020-01-16 日商日本製鐵股份有限公司 熱軋鋼板及其製造方法
KR102109271B1 (ko) * 2018-10-01 2020-05-11 주식회사 포스코 표면 품질이 우수하고, 재질편차가 적은 초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0129670B (zh) * 2019-04-25 2020-12-15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1300MPa级高强高塑性热冲压用钢及其制备方法
CN113528944B (zh) * 2021-06-17 2022-12-16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1000MPa易成形耐磨钢板及其制备方法
CN113755758B (zh) * 2021-09-03 2023-02-03 本钢板材股份有限公司 一种添加铈微合金制备的8mm厚热冲压钢以及其热冲压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2945A (ja) * 2008-12-03 2010-06-17 Nippon Steel Corp 耐遅れ破壊特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る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38735B2 (ja) * 2001-08-29 2011-08-03 アルセロールミタル フランス 超高張力鋼シート、超高張力鋼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前記方法により得られた超高張力鋼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9714A (en) * 1984-08-06 1986-10-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ntrolled rolling process for dual phase steels and application to rod, wire, sheet and other shapes
JPS63134628A (ja) * 1986-11-25 1988-06-07 Sumitomo Metal Ind Ltd 高強度高靭性を有する熱延厚鋼板の製造法
JPH01275719A (ja) * 1988-04-26 1989-11-06 Sumitomo Metal Ind Ltd 高強度高靭性を有する厚鋼板の製造法
CN1106070A (zh) * 1994-01-31 1995-08-02 沈阳重型机器厂 耐低温可焊接细晶粒厚度方向钢板
BR9811051A (pt) * 1997-07-28 2000-08-15 Exxonmobil Upstream Res Co Placa de aço, e, processo para preparar a mesma
TW459052B (en) * 1997-12-19 2001-10-11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Ultra-high strength steels with excellent cryogenic temperature toughness
JP2004010971A (ja) * 2002-06-07 2004-01-15 Nippon Steel Corp 強度・靭性に優れ、かつ平坦度の良好な鋼板の高効率製造方法
US6811624B2 (en) * 2002-11-26 2004-11-02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tion of dual phase sheet steel
FR2849864B1 (fr) * 2003-01-15 2005-02-18 Usinor Acier lamine a chaud a tres haute resistance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bandes
FR2885142B1 (fr) * 2005-04-27 2007-07-27 Aubert & Duval Soc Par Actions Acier martensitique durci, procede de fabrication d'une piece a partir de cet acier, et piece ainsi obtenue
JP2007154305A (ja) * 2005-07-05 2007-06-21 Jfe Steel Kk 強度、延性及び靱性に優れた機械構造用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832667A1 (fr) * 2006-03-07 2007-09-12 ARCELOR France Procédé de fabrication de tôles d'acier à très hautes caractéristiques de résistance, de ductilité et de tenacité, et tôles ainsi produites
JP5277648B2 (ja) * 2007-01-31 2013-08-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5266804B2 (ja) * 2008-03-07 2013-08-2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圧延非調質鋼材の製造方法
BR122017002730B1 (pt) * 2008-09-17 2018-02-06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Method of production of a high resistance steel sheet
CN101676425B (zh) * 2008-09-18 2011-07-2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高强度马氏体耐磨钢
JP2010106287A (ja) * 2008-10-28 2010-05-13 Jfe Steel Corp 疲労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PI0905378B1 (pt) * 2008-11-11 2017-06-2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igh resistance steel sheet
KR101091306B1 (ko) * 2008-12-26 2011-12-07 주식회사 포스코 원자로 격납 용기용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5439819B2 (ja) 2009-01-09 2014-03-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疲労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12915B2 (ja) * 2009-03-27 2014-02-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フェライト・パーライト型圧延非調質鋼材の製造方法
CN101586217B (zh) * 2009-06-25 2011-03-16 莱芜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低成本超高强韧马氏体钢及其制造方法
JP5609383B2 (ja) * 2009-08-06 2014-10-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14691B2 (ja) * 2010-06-14 2013-01-0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ホットスタンプ成形体、ホットスタンプ用鋼板の製造方法及びホットスタンプ成形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8735B2 (ja) * 2001-08-29 2011-08-03 アルセロールミタル フランス 超高張力鋼シート、超高張力鋼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前記方法により得られた超高張力鋼シート
JP2010132945A (ja) * 2008-12-03 2010-06-17 Nippon Steel Corp 耐遅れ破壊特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る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63756B2 (en) 2018-05-08
WO2012153009A1 (fr) 2012-11-15
KR20160066007A (ko) 2016-06-09
CN103517996B (zh) 2016-05-11
PL2707515T3 (pl) 2016-01-29
JP6161597B2 (ja) 2017-07-12
KR20140018382A (ko) 2014-02-12
HUE027986T2 (en) 2016-11-28
CA2834967C (fr) 2017-02-21
CA2834967A1 (fr) 2012-11-15
MX2013013218A (es) 2013-12-12
ES2551005T3 (es) 2015-11-13
MX356324B (es) 2018-05-23
WO2012153013A1 (fr) 2012-11-15
BR112013029012A2 (pt) 2017-01-17
US20140144559A1 (en) 2014-05-29
BR112013029012B1 (pt) 2018-10-09
CN103517996A (zh) 2014-01-15
EP2707515A1 (fr) 2014-03-19
UA111200C2 (uk) 2016-04-11
JP2014517873A (ja) 2014-07-24
RU2550682C1 (ru) 2015-05-10
EP2707515B1 (fr) 2015-08-19
ZA201307845B (en) 2015-06-24
MA35059B1 (fr)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823B1 (ko) 초고항복점을 갖는 마텐자이트 강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획득되는 시트 또는 부품
KR102231817B1 (ko) 고강도 및 고성형성의 냉간 압연 및 열 처리된 강판 및 제조 방법
US11578381B2 (en) Production method for high-strength steel sheet
JP6686035B2 (ja) 高強度鋼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よって得られる鋼製品
KR101590689B1 (ko) 초고강도 마텐자이트 강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획득된 시트 또는 부품
US11268162B2 (en) High strength annealed steel products
US11401595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21502484A (ja) 冷間圧延熱処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99867A (ko)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CA3156151C (en) Cold rolled and heat-treated steel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560606B2 (en) Methods of producing continuously cast hot rolled high strength steel sheet products
US11993823B2 (en) High strength annealed steel products and annealing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CA3182944A1 (en) Heat treated cold roll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220095240A (ko) 열처리 냉간압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16218A (ko) 열처리 냉연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440370B2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7607A (ko) 내충격 특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1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527

Effective date: 2018061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