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485B1 - 기판 적재용 카세트 - Google Patents

기판 적재용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485B1
KR101903485B1 KR1020180034950A KR20180034950A KR101903485B1 KR 101903485 B1 KR101903485 B1 KR 101903485B1 KR 1020180034950 A KR1020180034950 A KR 1020180034950A KR 20180034950 A KR20180034950 A KR 20180034950A KR 101903485 B1 KR101903485 B1 KR 101903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frames
suppor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일
Original Assignee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to KR1020180034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4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03Vertical boat type carrier whereby the substrates are horizontally supported, e.g. comprising rod-shaped elements
    • H01L21/67309Vertical boat type carrier whereby the substrates are horizontally supported, e.g. comprising rod-shaped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substrate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characterized by being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single substrate or by comprising a stack of such individual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기판 적재용 카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는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후방측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리어 프레임; 제1리어 프레임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제1리어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되, 타측이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 바;를 포함하고,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및 복수의 서포트 바 각각은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판 적재용 카세트{Cassette for loading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 적재용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패널의 제조 공정 중 개별 공정 사이에 기판을 이송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카세트(Cassette)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카세트는 다수의 기판이 각각 낱장으로 적재되어 한꺼번에 기판을 이송할 수 있다. 여기서, 카세트에는 다수의 서포트 바가 높이방향으로 부설되어 다수의 기판이 상호 이격된 형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카세트는 산업용 로봇에 의해 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산업용 로봇은 운반 대상이 무거울수록 더 복잡하고 정밀한 메커니즘과 더 강건한 몸체가 요구된다. 이에 의해, 카세트의 중량은 운반에 이용되는 산업용 로봇의 가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저가의 산업용 로봇을 사용하여 전체 제조 비용을 경감할 수 있도록 카세트의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KR 10-1300688 B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체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기판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측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리어 프레임; 상기 제1리어 프레임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상기 제1리어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되, 타측이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 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서포트 바 각각은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각각은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제1리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 각각은 직각으로 절곡된 판 형상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은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은 상기 중공부가 2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단차부로부터 형성되는 일층의 중공부의 폭이 타층의 중공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프레임은 일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리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의 일측이 삽입되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각각은 상기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에 결합되는 면에서 상기 중공부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에 결합되는 연장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리어 프레임은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 및 측면에 체결용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 각각은 상기 중공부를 포함하는 몸체; 일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기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중공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공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서포트 바 각각은 상기 중공부를 포함하는 몸체; 일측이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제1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몸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판은 탄소 섬유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 각각은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지지체;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장하되,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체가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다른 하나의 지지체가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는 위치보다 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 적재용 카세트는 상기 제1리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보강판; 및 상기 제1리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는 중공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체 중량을 경감시킴으로써, 재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전체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적재용 카세트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저렴한 산업용 로봇을 이용하여 카세트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를 위한 기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 형상의 사이드 지지구조체를 구비함으로써, 기판의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기판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에서 기판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상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상부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상부 프레임 및 사이드 지지구조체와 사이드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리어 프레임과 서포트 바와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서포트 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사이드 지지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서 사이드 지지구조체가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1)를 설명함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카세트(1)에 기판(S)이 적재되는 방향을 카세트(1)의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1)는 상부 프레임(2,3,7), 하부 프레임(2a,3a,7a),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4), 제1리어 프레임(5),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6),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10), 및 복수의 서포트 바(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적재용 카세트(1)는 기판(S)을 반입하여 적재해두고 적재된 기판(S)을 다시 반출하는 과정 동안 기판(S)을 안정적으로 적재해 두고 일련의 생산 과정 동안 기판(S)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2,7), 하부 프레임(2a,7a), 사이드 프레임(4), 사이드 프레임(4), 및 서포트 바(20)는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프레임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전체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중공부 만큼 각 프레임의 재료의 사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전체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때, 중공부를 포함하는 각 프레임은 중공부의 형성에 의해 강도가 약화되며, 다른 부위와의 체결에 용이하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 프레임의 결합 부분에 강도를 보강하면서 다른 프레임과의 체결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에 의해, 기판(S)을 지지하기 위한 안정성을 제공하면서도 기판 적재용 카세트(1)를 이루는 각 프레임에 대한 재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전체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부 프레임(2,3,7) 및 하부 프레임(2a,3a,7a) 각각은 한 쌍의 제1프레임(3,3a), 복수의 제2프레임(2,2a) 및 제3프레임(7,7a)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프레임(2,3,7)과 하부 프레임(2a,3a,7a)은 배치되는 방향만 상이할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상부 프레임(2,3,7)을 기준으로 구조를 설명하며 이는 하부 프레임(2a,3a,7a)에도 적용 가능하다.
사이드 프레임(4)은 상부 프레임(2,3,7)과 하부 프레임(2a,3a,7a)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프레임(4)은 제2프레임(2,2a) 및 제3프레임(7,7a)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4)은 상부 프레임(2,3,7) 및 하부 프레임(2a,3a,7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리어 프레임(5)은 상부 프레임(2,3,7) 및 하부 프레임(2a,3a,7a)의 후방측의 대략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리어 프레임(5)은 서포트 바(2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6)은 제1리어 프레임(5)의 양측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리어 프레임(6)은 상부 프레임(2,3,7) 및 하부 프레임(2a,3a,7a)을 연결함과 아울러 기판 적재용 카세트(1)에 적재되는 기판(S)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제2리어 프레임(6)은 제1리어 프레임(5)과 유사하게 상부 프레임(2,3,7) 및 하부 프레임(2a,3a,7a)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지지구조체(10)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4)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의 봉부재에 비하여,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4)에 결합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기판 적재용 카세트(1)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10)는 사이드 프레임(4)의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지지구조체(10)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1)에 적재되는 기판(S)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 바(20)는 제1리어 프레임(5)에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포트 바(20)는 제1리어 프레임(5)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바(20)는 타측이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트 바(20)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1)에 적재되는 기판(S)의 중앙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기판 적재용 카세트(1)는 제1보강판(8) 및 제2보강판(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보강판(8)은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보강판(8)은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의 후면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리어 프레임(5)과 제2리어 프레임(6)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특히,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각 프레임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보강판(8)은 판 평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보강판(8)은 제1리어 프레임(5)과 제2리어 프레임(6)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부분에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리어 프레임(5)과 제2리어 프레임(6)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다.
제2보강판(9)은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의 일측과 하부 프레임(2a,3a,7a)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보강판(9)은 제1리어 프레임(5), 제2리어 프레임(6) 및 하부 프레임(2a,3a,7a)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보강판(9)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2보강판(9)은 상부는 제1리어 프레임(5)과 제2리어 프레임(6) 사이를 지지하고, 하부는 사이드 프레임(4) 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과 제3프레임(7')의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서포트 바(20)의 결합에 따라 다른 부분에 비하여 하중이 많이 걸리는 제1리어 프레임(5)의 하단부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보강판(9)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2보강판(9)은 제1리어 프레임(5)과 제2리어 프레임(6)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는 부분에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리어 프레임(5)의 하부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서 상부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부 프레임(2,3,7)은 제1프레임(3), 제2프레임(2) 및 제3프레임(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하부 프레임(2a,3a,7a)은 한 쌍의 제1프레임(3a), 복수의 제2프레임(2a) 및 제3프레임(7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3)은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이드 프레임(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프레임(3)은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측(31)은 제2프레임(2)에 결합되고, 제2측(32)은 사이드 프레임(4)에 결합될 수 있다.
제2프레임(2)은 양단이 제1프레임(3)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프레임(2)은 제1프레임(3)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프레임(2)은 양단에 형성되는 단차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23)는 제2프레임(2)의 제1측(3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부(23)는 제1프레임(3)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용 홀(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프레임(3)과 제2프레임(2)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2)은 중공부(22,24)가 2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프레임(2)은 상단부(21)와 단차부(23)를 포함하는 하단부에 각각 중공부(22,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차부(23)는 제1프레임(3)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중앙의 일부에만 중공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부(23)로부터 형성되는 중공부(24)의 폭은 상단부(21)에 형성되는 중공부(2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량을 감소하기 위한 중공부의 형성에 의해 약화되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특히, 제1프레임(3)과 결합되는 부위에 중공부를 작게 형성하여 외벽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결합 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제3프레임(7)은 양단이 제1프레임(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프레임(7)은 제1프레임(3) 사이에서 후방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프레임(2)은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3프레임(7)은 전반적인 구조가 제2프레임(2)과 유사하지만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과 결합되는 구조가 상이하므로,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서 상부 프레임과 리어 프레임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제3프레임(7)은 양단에 형성되는 단차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차부(73)는 제1프레임(3)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용 홀(7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프레임(3)과 제3프레임(7)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프레임(7)은 중공부(72a,73a)가 2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프레임(7)은 상단부(72)와 단차부(73)를 포함하는 하단부에 각각 중공부(72a,7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차부(73)는 제1프레임(3)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중앙의 일부에만 중공부(73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차부(73)로부터 형성되는 중공부(73a)의 폭은 상단부(72)에 형성되는 중공부(72a)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량을 감소하기 위한 중공부의 형성에 의해 약화되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특히, 제1프레임(3)과 결합되는 부위에 중공부를 작게 형성하여 외벽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결합 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3프레임(7)은 일면(도면에서 하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기부(71)는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의 일측이 삽입되는 복수의 홈부(75,7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부(71)는 대략 중앙에 제1리어 프레임(5)이 삽입되는 한 쌍의 홈부(75)가 형성되고, 그 양측에 제2리어 프레임(6)이 삽입되는 한 쌍의 홈부(76)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부(75,76) 사이의 돌기부(71)에는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용 홀(7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3프레임(7)과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중공부가 형성되지 않은 돌기부(71)를 통해 제1리어 프레임(5) 및 제2리어 프레임(6)과의 결합됨으로써 결합 부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제1리어 프레임(5)은 대략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리어 프레임(5)은 전면(53) 및 측면(51,52)에 체결용 홀(54,55,5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용 홀(54,55)은 서포트 바(20)와 결합하기 위한 것이고, 체결용 홀(56)은 제3프레임(7)과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
제2리어 프레임(6)은 몸체(61), 돌출부(62), 홈부(64) 및 완충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리어 프레임(6)은 전체적으로 일측이 돌출된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결합 부위의 모서리를 형성하고 추가적인 지지면을 형성함으로써 결합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몸체(61)는 내부에 중공부(61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62)는 몸체(61)의 일면(도면에서 후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62)는 내부에 중공부(6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공부(61a,62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2)의 양측(63)에는 제3프레임(7)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용 횰(6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리어 프레임(6)과 제3프레임(7)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홈부(64)는 돌출부(62)의 반대측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65)는 홈부(64)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65)는 기판(S)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기판(S)이 기판 적재용 카세트(1)에 적재되는 경우, 기판(S)을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완충부(65)는 제1리어 프레임(5)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65)는 기판(S)을 보호하기 위해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S)은 제1리어 프레임(5)보다 완충부(65)에 먼저 도달하게 되고, 따라서 기판(S)의 충돌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서 상부 프레임 및 사이드 지지구조체와 사이드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사이드 프레임(4)은 중공부(42)를 포함하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4)은 사이드 지지구조체(10)에 결합되는 면에서 중공부(42)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판(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판(41)은 사이드 지지구조체(10)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용 홀(4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이드 프레임(4)은 연장판(41)의 체결용 홀(45) 및 사이드 지지구조체(10)의 체결용 홀(19)을 통하여 사이드 지지구조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10)에 면접하면서 결합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10)를 일정 간격으로 조립하기 용이하여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4)은 사이드 지지구조체(10)와 결합되는 반대면에 체결용 홀(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1프레임(3)의 제2측(32)에 구비된 체결용 홀(35)에 대응하는 것이다. 즉, 사이드 프레임(4)은 체결용 홀(44)과 제1프레임(3)의 체결용 홀(35)을 통하여 제1프레임(3)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 프레임(4)은 중공부(42)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단차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체결용 홀(44)이 형성되는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결합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3)은 제2측(32)의 외면이 단차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33)는 하부(34)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프레임(3)과 사이드 프레임(4)의 결합 부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서 리어 프레임과 서포트 바와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서포트 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서포트 바(20)는 몸체(201), 지지판(202) 및 체결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01)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몸체(201)는 체결부(203)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03)는 제1리어 프레임(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203)는 일측이 몸체(201)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제1리어 프레임(5)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체결부(203)는 몸체(201)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02)은 기판(S)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201)의 일면(도면에서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판(202)은 탄소 섬유 강화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카본 필름, 유리강화필름, 및 아라미드 필름일 수 있다. 이때, 탄소 섬유 강화플라스틱(CFRP)이란 비강도(specific strength), 강성(rigidity), 파단강도(rupture strength)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직물 또는 시트에 에폭시 수지를 함침시켜 경화시킨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사이드 지지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에서 사이드 지지구조체가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사이드 지지구조체(10)는 제1지지부(11), 제2지지부(12), 연장부(13), 및 지지체(16,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는 제1폭을 갖는 기판(S)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부(11)는 안착면(11c)에 지지체(16)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11)는 그 양측에서 지지체(16)가 안착되는 안착면(11c)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가이드부(11a,1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가이드부(11a,11b)는 안착면(11c)으로부터 수직 돌출된 일측이 절곡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부(11a,11b)는 지지체(16)의 돌기부(16c,16d)가 삽입될 수 있다.
제2지지부(12)는 제1폭보다 큰 제2폭을 갖는 기판(S)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적재용 카세트(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지지부(12)는 제1지지부(11)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부(12)는 안착면(12c)에 지지체(16')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12)는 지지체(16')가 안착되는 안착면(12c)을 포함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지지부(12)는 상기 안착부의 양측에서 안착면(12c)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가이드부(12a,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가이드부(12a,12b)는 안착면(12c)으로부터 수직 돌출된 일측이 절곡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가이드부(12a,12b)는 지지체(16')의 돌기부(16c,16d)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지지부(11) 및 제2지지부(12)와 지지체(16,16')의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체(16)가 제1지지부(11)에 결합되는 안착면(11c)의 위치는 지지체(16')가 제2지지부(12)에 결합되는 안착면(12c)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지지부(12)는 상기 안착부의 하측에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제1공간부(1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부(12)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이드 프레임(4)에 결합되는 결합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지지부(12)는 제1지지부(11) 측에 연장부(13)가 연결되고, 타측에 결합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5)의 일면은 사이드 프레임(4)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5)는 그 내부에 제2공간부(1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5)는 제2지지부(12)의 제2가이드부(12b)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15)의 상면은 제2가이드부(12b)의 높이만큼 안착면(12c)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 형성되는 제2공간부(14b)는 제1공간부(14a)보다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공간부(14a)와 제2공간부(14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는 제1지지부(11)와 제2지지부(12)를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3)는 제2지지부(12)의 안착면(12c)으로부터 제1지지부(11)의 안착면(11c)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16,16')는 기판(S)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16,16')는 제1지지부(11) 및 제2지지부(12)의 안착면(11c) 및 안착면(12c)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체(16,16')가 기판(S)에 면접하기 때문에 기판(S)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판(S)의 파손 등과 같은 제조공정상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체(16,16')는 스토퍼(16b) 및 돌기부(16c,16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6b)는 기판(S)이 안착되는 일면(16a)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16b)는 기판(S)의 폭방향으로 적재되는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면(16a)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6b)는 돌기부(16d)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16b)는 기판(S)을 그 폭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돌기부(16c,16d)는 스토퍼(16b)가 형성되는 반대면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16c,16d)는 제1지지부(11) 및 제2지지부(12)의 제1가이드부(11a,11b) 및 제2가이드부(12a,12b)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지지체(16,16')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Polyetheretherketon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은 강도가 우수하면서도 탄성률이 우수한 재질이다. 이에 의해, 기판(S)이 지지체(16,16')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기판(S)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판 적재용 카세트는 재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전체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저렴한 산업용 로봇을 이용하여 카세트를 운반할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를 위한 기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판의 지지력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기판에 대한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에서 기판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기판 적재용 카세트 2,2a : 제2프레임
3,3a : 제1프레임 4 : 사이드 프레임
5 : 제1리어 프레임 6 : 제2리어 프레임
7 : 제3프레임 8 : 제1보강판
9 : 제2보강판 10 : 사이드 지지구조체
20 : 서포트 바

Claims (11)

  1.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후방측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리어 프레임;
    상기 제1리어 프레임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일측의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의 동일 높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상기 제1리어 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되, 타측이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서포트 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서포트 바 각각은 내부에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 각각은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되, 직각으로 절곡된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제1프레임;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 사이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프레임; 및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제1리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은 그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프레임의 일면에 결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부가 2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단차부로부터 형성되는 일층의 중공부의 폭이 타층의 중공부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프레임은 일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리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의 일측이 삽입되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중공부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단차부가 형성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드 프레임 각각은 상기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에 결합되는 면에서 상기 중공부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에 결합되는 연장판을 포함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어 프레임은 H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 및 측면에 체결용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 각각은,
    상기 중공부를 포함하는 몸체;
    일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돌출부;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부; 및
    상기 홈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기판의 위치를 결정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중공부는 상기 돌출부의 중공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포트 바 각각은,
    상기 중공부를 포함하는 몸체;
    일측이 상기 몸체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제1리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몸체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탄소 섬유 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기판 적재용 카세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이드 지지구조체 각각은,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판 형상을 갖는 한 쌍의 지지체;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지지체 중 다른 하나가 결합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를 연장하되, 경사지게 형성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체가 상기 제1지지부에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다른 하나의 지지체가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는 위치보다 낮은 기판 적재용 카세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보강판; 및
    상기 제1리어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리어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20180034950A 2018-03-27 2018-03-27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1903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950A KR101903485B1 (ko) 2018-03-27 2018-03-27 기판 적재용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950A KR101903485B1 (ko) 2018-03-27 2018-03-27 기판 적재용 카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3485B1 true KR101903485B1 (ko) 2018-10-02

Family

ID=6386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950A KR101903485B1 (ko) 2018-03-27 2018-03-27 기판 적재용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34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5020A1 (ko) * 2019-03-12 2020-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를 포함하는 기판의 적재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기판의 적재방법
US11437308B2 (en) 2019-03-29 2022-09-06 Absolics Inc. Packaging glass substrate for semiconductor, a packaging substrate for semiconductor, and a semiconductor apparatus
US11469167B2 (en) 2019-08-23 2022-10-11 Absolics Inc. Packaging substrate having electric power transmitting elements on non-circular core via of core vias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652039B2 (en) 2019-03-12 2023-05-16 Absolics Inc. Packaging substrate with core layer and cavity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653120B1 (ko) 2023-04-27 2024-04-01 (주)한국엔지니어링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
US11967542B2 (en) 2019-03-12 2024-04-23 Absolics Inc.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3032A (ja) * 2004-02-04 2005-08-18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基板搬送カセット
KR101300688B1 (ko) * 2011-05-04 2013-08-26 (주)케이엠 기판적재 카세트용 서포트바 및 그 제조방법
JP6069871B2 (ja) * 2012-03-30 2017-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保持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23032A (ja) * 2004-02-04 2005-08-18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基板搬送カセット
KR101300688B1 (ko) * 2011-05-04 2013-08-26 (주)케이엠 기판적재 카세트용 서포트바 및 그 제조방법
JP6069871B2 (ja) * 2012-03-30 2017-02-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保持部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5020A1 (ko) * 2019-03-12 2020-09-1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를 포함하는 기판의 적재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기판의 적재방법
KR20210068578A (ko) * 2019-03-12 2021-06-09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를 포함하는 기판의 적재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기판의 적재방법
US11652039B2 (en) 2019-03-12 2023-05-16 Absolics Inc. Packaging substrate with core layer and cavity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537005B1 (ko) * 2019-03-12 2023-05-26 앱솔릭스 인코포레이티드 유리를 포함하는 기판의 적재 카세트 및 이를 적용한 기판의 적재방법
US11967542B2 (en) 2019-03-12 2024-04-23 Absolics Inc. Packaging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same
US11981501B2 (en) 2019-03-12 2024-05-14 Absolics Inc. Loading cassette for substrate including glass and substrate loading method to which same is applied
US11437308B2 (en) 2019-03-29 2022-09-06 Absolics Inc. Packaging glass substrate for semiconductor, a packaging substrate for semiconductor, and a semiconductor apparatus
US11469167B2 (en) 2019-08-23 2022-10-11 Absolics Inc. Packaging substrate having electric power transmitting elements on non-circular core via of core vias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728259B2 (en) 2019-08-23 2023-08-15 Absolics Inc. Packaging substrate having electric power transmitting elements on non-circular core via of core vias and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653120B1 (ko) 2023-04-27 2024-04-01 (주)한국엔지니어링 운반물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3485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1944718B1 (ko) 인서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US7640867B2 (en) Pallet assembly
US8251220B2 (en) Packing structure
JP2006062747A (ja) 基板積載用カセット
US8991601B2 (en) Plate-shaped member holding system, plate-shape member packing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a plate-shaped member
JP2010120690A (ja) 板状物品搬送用トレイ
JP6881716B2 (ja) パネル収納容器
KR100548745B1 (ko) 기판 수납 트레이
JP2007153572A (ja) 液晶基板搬送用フォーク
KR200477573Y1 (ko) 운반용 조립식 트레이
JP5015328B2 (ja) クロスビームを利用したコンテナ運搬船の隔壁構造物
KR101928269B1 (ko)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JP5145203B2 (ja) 板状物品搬送用トレイ
JP5978894B2 (ja) 基板保持部材
JP4215622B2 (ja) 基板収納用トレイ
KR100447964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0551683B1 (ko) 글래스 수납 카세트
KR200492504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331861Y1 (ko)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US20050167318A1 (en) Cassette for substrate
KR20080050285A (ko) 매엽 반송용 트레이
JP5665526B2 (ja) 被運搬板状物品の搬送用トレイ
CN219619635U (zh) 侧板强化结构及具有侧板强化结构的基板容器
JPH1120825A (ja) パレットサポ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