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504Y1 - 거푸집 고정구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504Y1
KR200492504Y1 KR2020190002424U KR20190002424U KR200492504Y1 KR 200492504 Y1 KR200492504 Y1 KR 200492504Y1 KR 2020190002424 U KR2020190002424 U KR 2020190002424U KR 20190002424 U KR20190002424 U KR 20190002424U KR 200492504 Y1 KR200492504 Y1 KR 200492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formwork
members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윤
한성환
한정호
김유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티
Priority to KR2020190002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5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5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의 한 가지 양태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에 대하여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보강하는 제1 및 제2 보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는 서로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 중 적어도 제1 보강 부재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는 중공(中空)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 형성된 제1 결합공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중앙 부분은 폭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로 구성되고, 각각의 보강 부재는 상기 절취부에서 서로 결합되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공에 대하여 길이 방향 내측에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의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폭방향과 수직한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쌍의 벽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에는 그 길이 방향-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는 그 중앙 관통홀이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과 정렬된 채,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로터 폭방향 양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구{FIXTURE FOR CONCRETE FORM}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은 건축물의 시공시,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판을 소재로 하여 일정규격으로 제작된 목재폼과, 철재를 소재로 하여 일정규격으로 제작된 강철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거푸집은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하도록 배근된 철근의 양측에서 내/외측 거푸집의 측면을 웨지핀(wedge pin)으로 결합/고정하여 설치하면서, 내/외측 거푸집을 체결 부재로 연결한 다음에, 내/외측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한다.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한 내/외측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에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보강부재를 철사와 같은 고정부재로 감아 보강하기도 한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20-196694호는 거푸집 및 인접 거푸집과 웨지핀과 같은 조인트로 결합된 결합구에 휨방직 파이프를 설치하는 거푸집 휨방지 파이프 결합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개시에 따르면, 상기 파이프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파이프를 수용하는 수직변형부가 변형되는 문제에 대한 개선책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거푸집 고정구와 관련하여, 최근 십자 조인트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십자 조인트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가 교차하는 부분에 고정되어, 거푸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보강하면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십자 조인트에는 거푸집의 웨지핀과 결합되는 연결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연결부는 볼트나 너트와 같은 체결 요소를 통해, 십자 조인트를 구성하는 보강 부재에 소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연결부의 양단은 보강 부재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으로 돌출된 채 보강 부재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연결부가 보강 부재로부터 돌출되면, 십자 조인트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에 특별한 문제가 없지만, 보관 등에 있어서 불편함이 야기된다.
즉, 후술하는 본 고안의 예비적 사항에서도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가 보강 부재로부터 돌출되는 구성의 십자 조인트(혹은 단일의 조인트)는 체계적으로 적재하거나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십자 조인트 혹은 단일의 조인트는 그 특성상 건설 현장에서 수십 내지 수 백개(혹은 수천 개)에 이를 정도로 다수의 조인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조인트에서 연결부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조인트들을 서로 연결하여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하나의 조인트의 연결부가 다른 조인트와의 연결이나 결합을 방해하기 때문에, 두 조인트를 서로 연결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조인트는 별개로 관리, 저장, 운반되고, 체계적으로 적재할 수 없어, 보관 등에 있어서 불편함 내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공사 후, 수거되는 수 많은 조인트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기 때문에, 분실 등의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반드시 십자 조인트를 이용할 필요 없이 거푸집의 수평벽부 또는 수직벽부를 보강할 수 있는 고정구(조인트)에 대한 요구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도 고려하여야 하지만, 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196694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거푸집을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보강할 수 있는 거푸집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거푸집 고정구를 체계적으로 상호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관리, 보관, 운반 등에 있어서 분실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한 가지 양태에 따라서, 거푸집 고정구가 제공된다. 상기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에 대하여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보강하는 제1 및 제2 보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는 서로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 중 적어도 제1 보강 부재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는 중공(中空)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 형성된 제1 결합공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중앙 부분은 폭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로 구성되고, 각각의 보강 부재는 상기 절취부에서 서로 결합되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공에 대하여 길이 방향 내측에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의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폭방향과 수직한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쌍의 벽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에는 그 길이 방향-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는 그 중앙 관통홀이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과 정렬된 채,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로터 폭방향 양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제1 보강 부재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제1 보강 부재와 달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고 중앙 부분이 폭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로 구성되는 중공의 본체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은 상기 결합 부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체결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의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결합 부재의 대응 방향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돌출하는 두 결합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제1 쌍의 벽 중 어느 한 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오목부의 저벽부와, 상기 어느 한 벽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2 결합공 중 상기 오목부와 반대쪽 단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공의 상기 저벽부를 향해 있는 일단부 사이의 거리(L2)와 실질상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성되어, 다른 거푸집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제2 결합공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보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에 대하여 설치되어 상기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보강하는 제1 및 제2 보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는 서로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 중 적어도 제1 보강 부재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는 중공(中空)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서 본체부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외부로 돌출된 채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고정된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중앙 부분은 폭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로 구성되고, 각각의 보강 부재는 상기 절취부에서 서로 결합되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상기 결합 부재의 돌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 중 상기 결합 부재가 돌출하여 있는 제1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 중 제2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제1 결합공에 대하여 상기 본체부 길이 방향 내측에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벽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폭방향과 수직한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단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정렬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는 제2 관통홀이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과 정렬된 채,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i)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제1 보강 부재와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ii)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제1 보강 부재와 달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고 중앙 부분이 폭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로 구성되는 중공의 본체부로 구성되거나, (iii)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상하 방향 크기가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절취부의 상항 방향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 크기가 상기 절취부의 좌우 방향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절취부에 끼워지게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중공의 본체부로서, 제1 보강 부재의 절취부에 대응되는 절취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서 본체부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외부로 돌출된 채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고정된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iv)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상하 방향 크기가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절취부의 상항 방향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 크기가 상기 절취부의 좌우 방향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절취부에 끼워지게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중공의 본체부로서, 제1 보강 부재의 절취부에 대응되는 절취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본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은 상기 결합 부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의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결합 부재의 대응 방향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돌출하는 두 결합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제2 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오목부의 저벽부와, 상기 제2 벽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2 결합공 중 상기 오목부와 반대쪽 단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공의 상기 저벽부를 향해 있는 일단부 사이의 거리(L2)와 실질상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성되어, 다른 거푸집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제2 결합공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또는 수직벽부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벽부 또는 수직벽부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는 중공(中空)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 형성된 제1 결합공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공에 대하여 길이 방향 내측에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의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폭방향과 수직한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쌍의 벽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에는 그 길이 방향-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는 그 중앙 관통홀이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과 정렬된 채,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로터 폭방향 양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또는 수직벽부에 대하여 설치되어 상기 수평벽부 또는 수직벽부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는 중공(中空)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서 본체부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외부로 돌출된 채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고정된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상기 결합 부재의 돌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 중 상기 결합 부재가 돌출하여 있는 제1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 중 제2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제1 결합공에 대하여 상기 본체부 길이 방향 내측에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벽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폭방향과 수직한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단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정렬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는 제2 관통홀이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과 정렬된 채,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의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결합 부재의 대응 방향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돌출하는 두 결합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오목부의 저벽부와, 상기 오목부와 반대쪽 단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결합공의 상기 저벽부를 향해 있는 일단부 사이의 거리(L2)와 실질상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성되어, 다른 거푸집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제2 결합공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거푸집 고정구에 따르면, 동일하게 구성되는 복수 개의 거푸집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체결하면서 적층할 수 있어, 보관, 관리, 운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 개별적인 아니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공사 현장에서의 분실 위험도 줄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과 관련된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당업계에 이미 널리 알려진 관련 기술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컨대, 거푸집의 구성이라든지, 거푸집을 이용하여 벽체를 구성하는 방식 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부기한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이며, 본 고안이 상기 방향과 관련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토대를 구성하는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를 설명한다. 예비적 사항에 기재한 거푸집 고정구는 본 고안자가 본 고안을 적용하기에 앞서 고안해 낸 십자 조인트이다. 이러한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는 본 고안의 특징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된 것으로서, 공지의 거푸집 고정구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1.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
도 1은 본 고안의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보강 부재(A,B)로 구성되며, 이들 보강 부재는 금속, 예컨대 강철로 구성되며, 용접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된다. 도면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보강 부재(A,B)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나의 보강 부재(A)에 대해서 설명하며, 이러한 설명은 다른 보강 부재(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부재(A)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본체부(100)와, 이 본체부의 양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 부재(300)에 의해 본체부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 개(본 예의 경우 2개)의 결합 부재(2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그 내부가 비어 있고 길이 방향(도 2에서 좌우 방향)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본체부(100)는 대략 중앙 부분이 폭방향(도 2에서 상하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110)를 포함한다. 각 보강 부재(A, B)가 이러한 절취부(110)를 포함하고 있어, 절취부(110)를 매개로 각 보강 부재를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절취부(110)끼리 서로 결합한 후, 해당 결합 부분을 용접하면, 보강 부재(A, B)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의 거푸집 고정구를 구성하게 되고, 각 보강 부재의 표면은 모두 동일 평면 상에 놓이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하 방향(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의 양단부의 각 단부 부근에는 결합 부재(200)가 관통하고 또 결합 부재에 대응하는 형태(예컨대, 길이 방향(도 2에서,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로 구성된 결합공(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상하 방향과 수직한 전후 방향(도 2 참조;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체결 부재(300)가 관통하는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 부재(200)의 중앙 관통홀(210)이 상기 관통홀(130)과 정렬되도록 결합 부재를 상기 결합공(120)을 통해 본체부(100) 내로 삽입한 후, 체결 부재(300)의 볼트 부재(310)를 상기 관통홀(130)을 통해 삽입하여 돌출하도록 하여 너트 부재(320)를 볼트 부재(310)와 체결하면, 결합 부재(200)가 본체부(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200)는 본 고안의 거푸집 고정구를 거푸집의 프레임(P)(도 3 등 참조)에 설치되는 거푸집용 체결 요소(WP)와 결합하여, 거푸집 고정구를 거푸집에 대하여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 관통홀(210)과 양단부의 제1 및 제2 체결 관통홀(220-1, 220-2)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관통홀(210)과, 제1 및 제2 체결 관통홀(220-1, 220-2)은 결합 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결합 부재(2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체결되었을 때 볼트 부재(3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거푸집용 체결 요소(WP)와 정밀한 위치 정렬 없이도 체결 요소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강 부재(B) 역시 상기 보강 부재(A)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보강 부재(A, B)의 절취부(110)를 그 개방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 후, 절취부(110)끼리 삽입 결합되도록 어느 하나의 보강 부재를 다른 보강 부재에 대해 끼운다. 이어서, 상기 절취부(110)에 대해 용접 작업을 수행하여, 보강 부재(A, B)를 서로에 대해 고정 결합하여, 일체화된 하나의 거푸집 고정구를 구성한다(도 2 참조).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거푸집 고정구를 거푸집의 프레임(P)에 대하여 고정 설치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면접촉하는 거푸집 프레임(P)들에 의해 벽체용 거푸집이 구성된다. 거푸집은 수직 프레임 부분과 수평 프레임 부분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 부분과 수평 프레임 부분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그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홀(h)과 거푸집용 체결 요소(WP)가 통과하는 홀(h)이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한편, 거푸집용 체결 요소(WP)는 제1 웨지핀(WP1)과 제2 웨지핀(WP2)이 한 쌍으로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거푸집 고정구를 거푸집 프레임(P)에 설치할 때, 네 개의 거푸집용 체결 요소(WP)가 필요하다. 거푸집 고정구를 수직 프레임 부분에 대해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거푸집 고정구 중 보강 부재(A)가 수직 프레임 부분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거푸집 고정구의 보강 부재(A)가 수직 프레임 부분에 대해 면접촉하고, 보강 부재(B)가 수평 프레임 부분에 대해 면접촉하도록 거푸집 고정구를 거푸집 프레임에 대하여 배치한다. 이때, 보강 부재(A)의 각 결합 부재(200)를 수직 프레임 부분에 형성된 홀(h)에 삽입한다. 이어서, 제2 웨지핀(420)을 상기 결합 부재의 삽입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수직 프레임의 홀(h)을 통해 삽입하면서, 결합 부재(200)의 제2 체결 관통홀(220-2)을 통과하도록 한 다음에, 제2 웨지핀에 형성된 핀홀을 통해 제1 웨지핀(410)을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한다(예컨대, 제1 웨지핀은 제2 웨지핀에 대하여 망치 등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작업을 보강 부재(B)에 대해서도 수행한다(단, 이 보강 부재(B)는 수평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고정 설치된다). 프레임 내부로 삽입된 결합 부재(200)와 제2 웨지핀이 결합되고, 이 웨지핀에 제1 웨지핀을 억지끼움식으로 결합함으로써, 보강 부재가 대응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밀착하여 결합될 뿐만 아니라, 웨지핀에 의해 프레임들이 서로 조여지게 되어, 거푸집 프레임끼리도 강하게 결합된다. 반대로, 거푸집을 해체할 때에는 제1 웨지핀에 대하여 망치 등에 의해 힘을 가해 제2 웨지핀으부터 분리하고, 제2 웨지핀을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거푸집으로부터 거푸집 고정구를 분리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한 것과 같은 거푸집 고정구가 거푸집의 수평 프레임 부분과 수직 프레임 부분이 교차하는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양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 고정구가 거푸집에 대해 고정 설치됨으로써, 거푸집의 수평 프레임 부분과 수직 프레임 부분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프레임을 보강할 수 있어,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을 거푸집이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직 프레임 부분과 수직 푸레임 부분이 교차하는 부분에 결합 부재(200)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어, 거푸집을 보강한다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거푸집 고정구의 구성을 보면, 결합 부재(200)가 보강 부재로부터 양방향, 즉 상항 방향의 양방향으로 돌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돌출되는 결합 부재로 인하여, 2개 이상의 거푸집 고정구를 저장, 수송하는 데에 있어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가 없고, 각각의 거푸집 고정구가 따로따로 관리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분실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와 같은 2개 이상의 거푸집 고정구를 일시적으로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여, 복수의 거푸집 고정구를 체계적으로 관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 고정구을 제공한다. 이하, 각각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2. 제1 실시예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2개 이상의 거푸집 고정구를 상호 체결하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은 수 많은 거푸집 고정구가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거푸집 고정구가 거푸집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단순화한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는 상기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와 외형상 거의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2개의 보강 부재가 절취부(110)를 매개로 서로 연결된 후, 용접을 통해 서로에 대해 고정 결합하여, 일체화된 하나의 거푸집 고정구를 구성한다. 각 보강 부재(A1, B1)의 구성을 설명한다. 한편, 한 쌍의 보강 부재(A1,B1)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나의 보강 부재(A1)에 대해서 설명하며, 이러한 설명은 다른 보강 부재(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강 부재(A1)의 본체부(100)는 그 내부가 비어 있고 길이 방향(도 2에서 좌우 방향)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본체부(100)는 대략 중앙 부분이 폭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110)를 포함한다. 각 보강 부재(A1, B1)가 이러한 절취부(110)를 포함하고 있어, 절취부(110)를 매개로 각 보강 부재를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절취부(110)끼리 서로 결합한 후, 해당 결합 부분을 용접하면, 보강 부재(A1, B1)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의 거푸집 고정구를 구성하게 되고, 각 보강 부재의 표면은 모두 동일 평면 상에 놓이게 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도 5에서, 상측벽 및 하측벽) 각각에는 결합 부재(200)가 관통할 수 있고 또 결합 부재에 대응하는 형태(예컨대, 길이 방향(예컨대,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로 구성된 제1 및 제2 결합공(120a1, 120a2)이 각 단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상하 방향과 수직한 전후 방향(도 5 참조;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체결 부재(300)가 관통하는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 부호로 구체적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측벽의 각각의 단부 부근에도 한 쌍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결합공은 모두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며, 상측벽의 각 결합공과 하측벽의 각 결합공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결합 부재(200)가 그 대응되는 상하벽의 결합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각 결합공의 폭(w2), 즉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결합공의 폭은 그 결합공을 결합 부재(200)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결합 부재(200)의 대응 방향의 폭(w1)과 거의 동일하거나(w2≒w1) 상기 폭(w1)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결합 부재(200)의 중앙 관통홀(210)이 상기 관통홀(130)과 정렬되도록 결합 부재를 제1 및 제2 결합공(120a1, 120a2) 중 단부측을 향해 있는 제1 결합공(120a1)을 통해 본체부(100) 내로 삽입한 후, 체결 부재(300)의 볼트 부재(310)를 상기 관통홀(130)을 통해 삽입하여 돌출하도록 하여 너트 부재(320)를 볼트 부재(310)와 체결하면, 결합 부재(200)가 본체부(1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공(120a1, 120a2)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벽, 즉 상측벽 및 하측벽의 각 단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400)가 각각 형성되어, 다른 거푸집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결합 부재(200)는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를 거푸집의 프레임(P)(도 3 등 참조)에 설치되는 거푸집용 체결 요소(WP; 도 3 참조)와 결합하여, 거푸집 고정구를 거푸집에 대하여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 관통홀(210)과 양단부의 제1 및 제2 체결 관통홀(220-1, 220-2)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관통홀(210)과, 제1 및 제2 체결 관통홀(220-1, 220-2)은 결합 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결합 부재(2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체결되었을 때 볼트 부재(31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거푸집용 체결 요소(WP)와 정밀한 위치 정렬 없이도 체결 요소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강 부재(B1) 역시 상기 보강 부재(A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보강 부재(B1)는 보강 부재(A1)와 실질상 동일한 형태, 동일한 크기,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는 예비적 사항의 거푸집 고정구와 달리, 서로 체결 및 결합될 수 있어, 보관, 수송 등에 있어서 유리한 효과를 달성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3개의 거푸집 고정구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한 예비적 사항의 거푸집 고정구나 종래 기술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거푸집 고정구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게 마련되는 결합 부재(200)로 인하여, 예컨대 도 6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형태로 적층할 수가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복수 개의 거푸집 고정구를 적층하여 체결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가장 상측의 거푸집 고정구(제1 고정구)를 중앙의 거푸집 고정구(제2 고정구)에 체결하는 경우, 제1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200) 중 하나를 제2 고정구의 상측벽에 형성된 제2 결합공(120a2)과 위치 맞춤하고 다른 결합 부재(200)를 제2 고정구의 상기 제2 결합공(120a2)과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400)와 위치 맞춤한 다음에 제1 고정구를 제2 고정구에 대해 밀어 넣으면, 제1 고정구의 상기 하나의 결합 부재(200)가 제2 고정구의 제2 결합공(120a2)을 통해 제2 고정구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결합 부재(200)가 제2 고정구의 상기 오목부(400)에 끼워짐으로써,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제1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의 거리(L1)는 제2 고정구의 상기 오목부의 저벽(오목부의 개방단과 반대쪽 부분)과 상기 제2 결합공(120a2)의 일단(즉, 제2 결합공의 길이 방향 양단 중 상기 오목부의 저벽을 향해 있는 단부)까지의 거리(L2)와 실질상 동일하여, 제1 고정구는 제2 고정구에 대하여 밀착하여 결합된다. 한편, 상기 거리(L1, L2)는 반드시 실질상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한 결합 부재를 제2 결합공에 삽입하였을 때 다른 결합 부재의 일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된다(즉, L1≥L2). 이와 관련하여,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가 제2 고정구의 오목부에 대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도록 거리(L1)는 거리(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약간의 공극을 두고 체결되도록 거리(L1)는 거리(L2)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를 결합하면, 두 고정구가 위치적으로 서로 어긋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는 치수, 형태 등과 관련하여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것과 같이, 제1 고정구의 어느 한 보강 부재를 제2 고정구의 대응 보강 부재에 대해 삽입하면, 두 고정구는 위치적으로 어긋난 채 결합된다(도 6 참조).
한편,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가 끼워지는 제2 고정구의 오목부(400)에 인접한 제2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는 제1 고정구의 하측벽의 제2 결합공(120a2)에 삽입되게 구성되어 있어, 두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체결할 때 결합 부재(200)가 방해되지 않는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구의 상측벽과 하측벽의 각 단부 부근에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결합공(120a1, 120a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중 단부에 인접한 제1 결합공(120a1)에는 결합 부재(200)가 돌출된 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나머지 제2 결합공(120a2)은 다른 고정구의 결합 부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각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와 제2 결합공(120a2)는 두 고정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예컨대,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를 제2 고정구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결합할 때, 제1 고정구의 하측으로 돌출하는 한 결합 부재(200)를 제2 고정구의 상벽에 형성된 제2 결합공(120a2)에 삽입하고 다른 결합 부재(200)를 제2 고정구의 상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공과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400)에 끼우게 되면, 제2 고정구의 상측으로 돌출하는 2개의 결합 부재(200) 중 상기 제2 결합공(120a2)에 삽입되는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에 인접하는 결합 부재(200)는 제1 고정구의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400)를 통해 제1 고정구 내부로 삽입되고(이때,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가 제2 고정구의 오목부(400)에 끼워지는 양태와 동일하게, 제2 고정구의 결합 부재는 제1 고정구의 오목부(400)에 일부가 끼워지고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된다), 제2 고정구의 상측으로 돌출하는 2개의 결합 부재(200) 중 상기 제1 고정구의 결합부재가 끼워지는 오목부(400)에 인접한 결합 부재(200)는 제1 고정구의 하측벽에 형성된 제2 결합공(120a2)을 통해 제1 고정구 내부로 삽입된다. 한편, 제2 고정구에 대하여 결합되지 않는 제1 고정구의 보강 부재는 제2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어긋난 채 배치된다(도 6 참조).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구의 오목부(400), 결합 부재(400) 및 제2 결합공(120a2)를 구성함으로써, 두 고정구를 상호 체결할 때 결합 부재가 방해물로 작용하지 않게 되어, 두 고정구를 단순히 위치적으로 어긋난 채 안정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체결하여 결합시킬 수가 있게 된다(도 6 참조).
이어서, 제2 고정구를 제일 하측의 고정구(제3 고정구)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체결한다. 이때, 제1 고정구를 제2 고정구에 대하여 결합할 때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 고정구를 제3 고정구에 대하여 결합하게 되면, 제2 고정구가 제1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 어긋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 고정구가 제2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되므로(전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고정구가 사선 형태로 적층된다), 적층 형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2 고정구를 제3 고정구에 대하여 체결할 때에는, 제2 고정구의 결합 부재, 즉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가 끼워진 제2 고정구의 오목부(400)와 반대쪽에 위치한 결합 부재가 제3 고정구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한다(도 6 참조). 이와 같이 제2 고정구와 제3 고정구를 결합하게 되면, 제2 고정구가 제1 고정구에 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되지만, 제3 고정구는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2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되고, 결국 제1 고정구와 제3 고정구는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위치적으로 어긋나지 않게 되고, 제2 고정구만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된다(도 6의 우측 도면 참조). 따라서, 복수 개의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예컨대 홀수 번째의 고정구끼리는 위치 맞춤되고, 짝수 번째의 고정구끼리는 서로 위치 맞춤된 채 적층되어, 어느 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지그재그 형태로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는 종래의 고정구와 달리, 서로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어, 관리, 보관, 운송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고정구를 개별적으로 흐트린 채 관리 등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체결한 채 보관 등을 할 수 있으므로, 관리, 운송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또 분실의 위험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는 예비적 사항의 거푸집 고정구와 동일한 방식으로 거푸집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 부분에 대해 체결 및 고정할 수 있으며(도 8 참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3. 제2 실시예
도 9 내지 도 12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2개 이상의 거푸집 고정구를 상호 체결하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은 수 많은 거푸집 고정구가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거푸집 고정구가 거푸집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 내지 제1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단순화한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는 그 두 개의 보강 부재 중 어느 한 보강 부재(B2)가 거푸집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 부분 중 어느 한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체결요소(WP)을 매개로 고정되고, 다른 보강 부재(A2)는 다른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는 밀착하여 접촉되거나 혹은 철사와 같은 스트링 요소를 매개로 그 다른 프레임에 대하여 고정되어, 거푸집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즉, 현장에 따라서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거푸집을 보강하는 것 보다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더 보강하는 것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예비적 사항의 거푸집 고정구나 제1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를 사용하는 경우,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즉, 예컨대 수직 방향으로 보강하는 것이 더 중요하고, 수평 방향으로의 보강은 덜 요구되는 공사 현장에, 제1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를 사용하게 되면, 불필요한 비용 증가가 수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의 보강이 덜 요구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구성의 보강 부재를 채택하여, 거푸집 고정구의 전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거푸집 고정구를 제공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보강 부재(A2, B2)로 구성된다. 이 중 제2 보강 부재(B2)는 제1 실시예의 보강 부재(A1, B1)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보강 부재(B2)와 비교하여 제1 보강 부재(A2)는 단순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강 부재(A2)는 제2 보강 부재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는 중공의 본체부(100)로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그 내부가 비어 있고 길이 방향(도 9에서 전후 방향)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본체부(100)는 대략 중앙 부분이 폭방향(도 9에서 상하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110)를 포함하고 있어, 절취부(110)를 매개로 제2 보강 부재(B2)와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9 참조). 절취부(110)끼리 서로 결합한 후, 해당 결합 부분을 용접하면, 보강 부재(A2, B2)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의 거푸집 고정구를 구성하게 되고, 각 보강 부재의 표면은 모두 동일 평면 상에 놓이게 된다. 제1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제1 보강 부재(A2)는 결합 부재(200) 등의 구성 요소가 생략되어 있고, 또 길이 방향으로의 길이 역시 제2 보강 부재(B2)보다 짧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보강 부재(B2)와 비교하여, 제1 보강 부재(A2)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즉, 제2 보강 부재(B2)를 제조할 때, 절취부(110)를 가공하여야 할뿐만 아니라, 결합공(120b1, 120b2), 관통홀(130), 오목부(400)를 가공하여야 하고, 결합 부재(200), 체결 부재(300) 등의 구성 요소를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제1 보강 부재(A2)에 대하여는 절취부(110)의 가공 외에, 상기 제2 보강 부재에 대해 수행하여야 하는 가공을 생략할 수 있고, 각종 구성 요소를 제공할 필요가 없으며, 또 제2 보강 부재보다 그 길이를 짧게 구성하여도 되므로, 제2 보강 부재(B2)와 비교하여, 그 제조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를 복수 개 적층하여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에서 가장 상측의 거푸집 고정구(제1 고정구)를 중앙의 거푸집 고정구(제2 고정구)에 체결하는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고정구의 보강 부재가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정렬한다. 이어서, 제1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200) 중 하나를 제2 고정구의 상측벽에 형성된 제2 결합공(120b2)과 위치 맞춤하고 다른 결합 부재(200)를 제2 고정구의 상기 제2 결합공(120b2)과 길이 방향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400)와 위치 맞춤한 다음에 제1 고정구를 제2 고정구에 대해 밀어 넣으면, 제1 고정구의 상기 하나의 결합 부재(200)가 제2 고정구의 제2 결합공(120b2)을 통해 제2 고정구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결합 부재(200)가 제2 고정구의 상기 오목부(400)에 끼워짐으로써,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제1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의 거리(L1)는 제2 고정구의 상기 오목부의 저벽과 상기 제2 결합공(120b2)의 상기 오목부의 저벽측 단부까지의 거리(L2)와 실질상 동일하여, 제1 고정구는 제2 고정구에 대하여 밀착하여 결합된다. 한편,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거리(L1, L2)는 반드시 실질상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한 결합 부재를 제2 결합공에 삽입하였을 때 다른 결합 부재의 일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된다(즉, L1≥L2). 이와 관련하여,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가 제2 고정구의 오목부에 대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도록 거리(L1)는 거리(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약간의 공극을 두고 체결되도록 거리(L1)는 거리(L2)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를 결합하면, 두 고정구가 위치적으로 서로 어긋난다. 즉,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는 치수, 형태 등과 관련하여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것과 같이, 제1 고정구의 어느 한 보강 부재를 제2 고정구의 대응 보강 부재에 대해 삽입하면, 두 고정구는 위치적으로 어긋난 채 결합된다(도 10 참조).
한편,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가 끼워지는 제2 고정구의 오목부(400)에 인접한 제2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는 제1 고정구의 하측벽의 제2 결합공(120b2)에 삽입되게 구성되어 있어, 두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체결할 때 결합 부재(200)가 방해되지 않는다. 제2 보강 부재(B2)는 제1 실시예의 보강 부재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러한 결합은 상기 제1 실시예를 참고하면 되고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제2 고정구를 제일 하측의 고정구(제3 고정구)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체결한다. 이때, 제1 고정구를 제2 고정구에 대하여 결합할 때와 동일한 방향으로, 제2 고정구를 제3 고정구에 대하여 결합하게 되면, 제2 고정구가 제1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 어긋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 고정구가 제2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되므로(전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고정구가 사선 형태로 적층된다), 적층 형태가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2 고정구를 제3 고정구에 대하여 체결할 때에는, 제2 고정구의 결합 부재, 즉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가 끼워진 제2 고정구의 오목부(400)와 길이 방향 반대쪽에 위치한 결합 부재가 제3 고정구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한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제2 고정구와 제3 고정구를 결합하게 되면, 제2 고정구가 제1 고정구에 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되지만, 제3 고정구는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2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되고, 결국 제1 고정구와 제3 고정구는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위치적으로 어긋나지 않게 되고, 제2 고정구만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된다(도 10의 우측 도면 참조). 따라서, 복수 개의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예컨대 홀수 번째의 고정구끼리는 위치 맞춤되고, 짝수 번째의 고정구끼리는 서로 위치 맞춤된 채 적층되어, 어느 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지그재그 형태로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게 된다(도 11 참조).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는 예비적 사항의 거푸집 고정구와 동일한 방식으로 거푸집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 부분에 대해 체결 및 고정할 수 있으며(도 12 참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서는 제2 보강 부재(B2)가 거푸집의 수직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러나, 제2 보강 부재(B2)를 수평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보강 부재(A2)의 경우, 제2 보강 부재(B2)와는 달리 수평 프레임 부분 또는 수직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단순히 밀착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아니면 철사와 같은 스트링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부분에 대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기타,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 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4. 제3 실시예
도 13 내지 도 16에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2개 이상의 거푸집 고정구를 상호 체결하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5는 수 많은 거푸집 고정구가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거푸집 고정구가 거푸집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 내지 제1, 제2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단순화한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200)는 보강 부재에 삽입되는 방향의 양방향으로 본체부(100)로부터 돌출되게 또 본체부(10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결합 부재(200)를 본체부(100)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하면, 거푸집 고정구의 장착 방향과 관련한 특별한 고려 없이도 쉽게 거푸집의 프레임에 대하여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일측에 대해서 장착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200)를 어느 한 방향으로만 돌출되게 구성하여도, 거푸집의 체결 요소(WP)와 결합하여, 고정구를 거푸집에 대하여 특별한 문제 없이 체결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 역시 한 쌍의 보강 부재(A3, B3)로 구성되며, 각 보강 부재(A3,B3)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나의 보강 부재(A3)에 대해서 설명하며, 이러한 설명은 다른 보강 부재(B3)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강 부재(A3)의 본체부(100)는 그 내부가 비어 있고 길이 방향(도 13에서 좌우 방향) 양단부가 개방되어 있다. 본체부(100)는 대략 중앙 부분이 폭방향(도 13에서 상하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110)를 포함한다. 각 보강 부재의 절취부(110)끼리 서로 결합한 후, 해당 결합 부분을 용접하면, 보강 부재(A3, B3)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의 거푸집 고정구를 구성하게 되고, 각 보강 부재의 표면은 모두 동일 평면 상에 놓이게 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하측벽 및 상측벽(제1 쌍의 벽) 각각에는 결합 부재(200)가 관통할 수 있고 또 결합 부재에 대응하는 형태(예컨대, 길이 방향(예컨대, 좌우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로 구성된 한 쌍의 제1 결합공(120c1) 및 한 쌍의 제2 결합공(120c2)이 각 단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상하 방향과 수직한 전후 방향(도 13 참조;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체결 부재(300)가 관통하는 관통홀(130)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결합공은 모두 동일한 형태(동일 모양 및 동일 크기)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제1 결합공(120c1)은 하측벽으로부터 결합 부재(200)를 삽입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고, 제2 결합공(120c2)은 다른 거푸집 고정구의 결합 부재를 해당 거푸집 고정구에 대하여 체결할 때 삽입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한편, 상측벽에 형성된 제2 결합공(120c2)은 하측벽에 형성된 제1 결합공(120c1)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결합공이 도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제2 결합공이 제1 결합공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중앙부를 향해 더 가깝게 형성되어, 다른 거푸집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c)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결합 부재(200)가 본체부(100)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부로부터 일방향(도시된 예에서는, 하측 방향)으로만 돌출하도록 본체부(100)에 대하여 결합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결합공(120c2)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벽의 양단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400)가 각각 형성되어, 다른 거푸집 고정구의 결합 부재(200)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본체부(100)에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상측벽의 양단부에만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벽의 양단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200)를 본체부로부터 양방향으로 돌출시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한 방향으로만 돌출하도록 본체부(100)에 대하여 고정 장착되므로, 두 개의 거푸집 고정구를 상호 체결할 때, 그 체결 방향이 어느 한 방향으로 고정되므로, 거푸집 고정구가 체결되지 않는 벽(예컨대, 하측벽)에 오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결합 부재(200)는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를 거푸집의 프레임(P)(도 3 등 참조)에 설치되는 거푸집용 체결 요소(WP)와 결합하여, 거푸집 고정구를 거푸집에 대하여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단부에 체결 관통홀(210c)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 체결 부재(300)가 통과하는 관통홀(220c)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 관통홀(210c)은 결합 부재(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거푸집용 체결 요소(WP)와 정밀한 위치 정렬 없이도 체결 요소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200)의 관통홀(220c)이 관통홀(130)과 정렬되도록 결합 부재를 제1 결합공(120c1)을 통해 본체부(100) 내로 삽입한 후, 체결 부재(300)의 볼트 부재(310)를 상기 관통홀(130)을 통해 삽입하여 돌출하도록 하여 너트 부재(320)를 볼트 부재(310)와 체결하면, 결합 부재(200)가 본체부(100)에 대해 고정 장착된다.
보강 부재(B3) 역시 상기 보강 부재(A3)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보강 부재(B3)는 보강 부재(A3)와 실질상 동일한 형태, 동일한 크기,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1 실시예의 보강 부재(A1, B1)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보강 부재(A3, B3)는 단순하게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보강 부재의 경우, 상측벽 및 하측벽에 각각 한 쌍의 결합공을 형성하고 있으며(제1 실시예의 경우, 두 쌍의 결합공), 또한 다른 거푸집 고정구가 결합되지 않는 벽(예컨대, 하측벽)에는 오목부(400)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실시에와 비교하여 가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는 결합 부재(200)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를 복수 개 적층하여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4에서 가장 상측의 거푸집 고정구(제1 고정구)를 중앙의 거푸집 고정구(제2 고정구)에 체결하는 경우,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고정구의 보강 부재가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정렬한다. 이어서, 제1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200) 중 하나를 제2 고정구의 상측벽에 형성된 제2 결합공(120c2)과 위치 맞춤하고 다른 결합 부재(200)를 제2 고정구의 상기 제2 결합공(120c2)과 길이 방향 반대쪽 단부에 형성된 오목부(400)와 위치 맞춤한 다음에 제1 고정구를 제2 고정구에 대해 밀어 넣으면, 제1 고정구의 상기 하나의 결합 부재(200)가 제2 고정구의 제2 결합공(120c2)을 통해 제2 고정구 내부로 삽입되고, 다른 결합 부재(200)가 제2 고정구의 상기 오목부(400)에 끼워짐으로써,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가 서로 결합된다. 이때, 제1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의 거리(L1)는 제2 고정구의 상기 오목부의 저벽과 상기 제2 결합공(120c2)의 상기 오목부의 저벽측 단부까지의 거리(L2)와 실질상 동일하여, 제1 고정구는 제2 고정구에 대하여 밀착하여 결합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거리(L1, L2)는 반드시 실질상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한 결합 부재를 제2 결합공에 삽입하였을 때 다른 결합 부재의 일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면 된다(즉, L1≥L2). 이와 관련하여,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가 제2 고정구의 오목부에 대하여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도록 거리(L1)는 거리(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기 결합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대하여 약간의 공극을 두고 체결되도록 거리(L1)는 거리(L2)보다 약간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를 결합하면, 두 고정구가 위치적으로 서로 어긋난다. 즉,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는 치수, 형태 등과 관련하여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것과 같이, 제1 고정구의 어느 한 보강 부재를 제2 고정구의 대응 보강 부재에 대해 삽입하면, 두 고정구는 위치적으로 어긋난 채 결합된다(도 14 참조).
한편, 고정구의 제2 결합공(120c2)은 결합 부재(200)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체결할 때 결합 부재(200)가 방해되지 않는다.
이어서, 제2 고정구를 제일 하측의 고정구(제3 고정구)에 대하여 상기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체결한다. 이때, 제2 고정구를 제3 고정구에 대하여 체결할 때에는, 제2 고정구의 결합 부재, 즉 제1 고정구의 결합 부재가 끼워진 제2 고정구의 오목부(400)와 길이 방향 반대쪽에 위치한 결합 부재가 제3 고정구의 오목부에 끼워지도록 한다(도 14 참조). 이와 같이 제2 고정구와 제3 고정구를 결합하게 되면, 제2 고정구가 제1 고정구에 대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되지만, 제3 고정구는 상기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2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되고, 결국 제1 고정구와 제3 고정구는 평면적으로 보았을 때, 위치적으로 어긋나지 않게 되고, 제2 고정구만 제1 고정구 및 제3 고정구에 대하여 위치적으로 어긋나게 된다(도 14의 우측 도면 참조). 따라서, 복수 개의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예컨대 홀수 번째의 고정구끼리는 위치 맞춤되고, 짝수 번째의 고정구끼리는 서로 위치 맞춤된 채 적층되어, 어느 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지그재그 형태로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게 된다(도 15 참조).
본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는 예비적 사항의 거푸집 고정구와 동일한 방식으로 거푸집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 부분에 대해 체결 및 고정할 수 있으며(도 16 참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기타,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 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추가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보강 부재의 구성을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고 또 가공 절차도 줄일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5. 제4 실시예
도 17 내지 도 20에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2개 이상의 거푸집 고정구를 상호 체결하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9는 수 많은 거푸집 고정구가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0은 거푸집 고정구가 거푸집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 내지 상기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단순화한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7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제3 실시예를 조합한 것이다. 즉, 제2 실시예의 제1 보강 부재(A2)와 제3 실시예의 보강 부재(A3 또는 B3)을 조합하면, 제4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2 및 제3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6. 제5 실시예
도 21 내지 도 24에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는 2개 이상의 거푸집 고정구를 상호 체결하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3은 수 많은 거푸집 고정구가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4는 거푸집 고정구가 거푸집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 내지 상기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단순화한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1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 역시 제1 및 제2 보강 부재(A5, B5)로 구성된다. 이 중 제1 보강 부재(A4)는 상기 제3 및 제4 실시예의 보강 부재(A3, A4)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보강 부재(B5)는 제1 보강 부재(A5)와 달리 그 길이 방향 중앙부가 폭방향으로 절취된 절취부(110)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대신에, 제2 보강 부재(B5)는 제1 보강 부재(A5)의 절취부(110) 내에 끼워지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2 보강 부재(B5)의 상하 방향 크기는 제1 보강 부재(A5)의 절취부(110)의 상하 방향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 크기는 절취부(110)의 좌우 방향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2 보강 부재(B5)를 제1 보강 부재(A5)의 절취부(110) 내에 끼울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보강 부재(B5)를 제1 보강 부재(A5)의 절취부(110)에 끼운 후, 그 결합 부위를 용접하면, 보강 부재(A5, B5)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십자 형태의 거푸집 고정구를 구성하게 되고, 각 보강 부재의 하면이 동일 평면 상에 놓이게 된다.
또한, 제2 보강 부재(B5)의 단부 부근의 하측벽에는 결합 부재(도면 부호 생략)가 통과하는 관통홀(도면 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좌우 측벽에는 체결 부재(도면 부호 생략)가 통과하는 체결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 부재(200c)를 제1 보강 부재(A5)에 대하여 고정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 부재를 제2 보강 부재(B5)에 대하여 고정 장착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보강 부재는 거푸집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 부분에 대해 장착되어 거푸집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제1 실시예 등과 달리, 본 실시예의 제2 보강 부재(B5)는 다른 거푸집 고정구와 체결되지 않고, 제1 보강 부재(A5)끼리만 서로 체결된다. 그 외, 복수 개의 거푸집 고정구를 서로 체결하도록 하는 구성, 그 체결 과정, 효과 등은 상기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제2 보강 부재가 제1 보강 부재에 비하여, 가공 절차가 단순하고 또 크기가 작아 전체 거푸집 고정구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추가의 이점이 있다.
7. 제6 실시예
도 25 내지 도 28에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2개 이상의 거푸집 고정구를 상호 체결하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7은 수 많은 거푸집 고정구가 수직 방향으로 체결되어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8은 거푸집 고정구가 거푸집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 내지 상기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단순화한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5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6 실시예는 제2 내지 제5 실시예를 조합한 것이다. 즉, 제2 및 제4 실시예의 제1 보강 부재(A2. A4)에 대하여 제5 실시예의 제2 보강 부재의 본체부의 구성(즉, 절취부가 없는 구성)을 적용하고, 제3 내지 제5 실시예의 보강 부재(A3, B4, A5)의 구성을 조합하면, 제6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6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2 내지 제5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8. 제7 실시예
도 29 내지 도 31에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C)가 도시되어 있다. 도 2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0은 2개 이상의 거푸집 고정구를 상호 체결하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1은 거푸집 고정구가 거푸집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 내지 상기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단순화한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거푸집의 수평 프레임 부분 또는 수직 프레임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거푸집 고정구를 수직 방향으로 체결 및 적층하여, 관리나 보관 등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즉, 거푸집의 프레임을 보강할 때, 제1 내지 제6 실시예처럼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동시에 보강할 수도 있지만, 십자형 조인트를 사용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 부분 또는 수직 프레임 부분만을 보강하는 형태의 고정구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자 형태의 거푸집 고정구 역시, 거푸집의 체결 요소(WP)와 결합되는 결합 부재(200)가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 부재는 보강 부재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 부분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보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도 29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7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보강 부재(A1; B1)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다만 절취부(110)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도 3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실시예 등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7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C)를 복수 개 체결하여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제7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1 실시예 등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9. 제8 실시예
도 32 내지 도 34에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D)가 도시되어 있다. 도 3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3은 2개 이상의 거푸집 고정구를 상호 체결하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4는 거푸집 고정구가 거푸집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예비적 사항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 내지 상기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단순화한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거푸집의 수평 프레임 부분 또는 수직 프레임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7 실시예의 변형예라 말할 수 있다.
도 32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8 실시예는 제3 실시예의 보강 부재(A3)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다만 절취부(110)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제3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도 3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 실시예 등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8 실시예의 거푸집 고정구(D)를 복수 개 체결하여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제8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2 실시예 등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고안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 역시 본 고안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5)

  1. 거푸집 고정구로서,
    상기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에 대하여 각각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보강하는 제1 및 제2 보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는 서로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 중 적어도 제1 보강 부재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는 중공(中空)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 형성된 제1 결합공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중앙 부분은 폭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로 구성되고, 각각의 보강 부재는 상기 절취부에서 서로 결합되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공에 대하여 길이 방향 내측에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의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폭방향과 수직한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쌍의 벽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에는 그 길이 방향-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는 그 중앙 관통홀이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과 정렬된 채,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로터 폭방향 양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제1 보강 부재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또는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제1 보강 부재와 달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고 중앙 부분이 폭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로 구성되는 중공의 본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은 상기 결합 부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체결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의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결합 부재의 대응 방향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돌출하는 두 결합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제1 쌍의 벽 중 어느 한 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오목부의 저벽부와, 상기 어느 한 벽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2 결합공 중 상기 오목부와 반대쪽 단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공의 상기 저벽부를 향해 있는 일단부 사이의 거리(L2)와 실질상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성되어, 다른 거푸집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제2 결합공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7. 거푸집 고정구로서,
    상기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에 대하여 설치되어 상기 수평벽부 및 수직벽부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보강하는 제1 및 제2 보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는 서로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보강 부재 중 적어도 제1 보강 부재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는 중공(中空)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서 본체부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외부로 돌출된 채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고정된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중앙 부분은 폭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로 구성되고, 각각의 보강 부재는 상기 절취부에서 서로 결합되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상기 결합 부재의 돌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 중 상기 결합 부재가 돌출하여 있는 제1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 중 제2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제1 결합공에 대하여 상기 본체부 길이 방향 내측에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벽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폭방향과 수직한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단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정렬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는 제2 관통홀이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과 정렬된 채,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i)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제1 보강 부재와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ii)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제1 보강 부재와 달리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고 중앙 부분이 폭 방향으로 대략 절반에 걸쳐 절취된 절취부로 구성되는 중공의 본체부로 구성되거나,
    (iii)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상하 방향 크기가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절취부의 상항 방향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 크기가 상기 절취부의 좌우 방향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절취부에 끼워지게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중공의 본체부로서, 제1 보강 부재의 절취부에 대응되는 절취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서 본체부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외부로 돌출된 채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고정된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iv) 상기 제2 보강 부재는 상하 방향 크기가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절취부의 상항 방향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 크기가 상기 절취부의 좌우 방향 크기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절취부에 끼워지게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중공의 본체부로서, 제1 보강 부재의 절취부에 대응되는 절취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본체부로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은 상기 결합 부재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의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결합 부재의 대응 방향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부재의 돌출하는 두 결합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제2 벽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오목부의 저벽부와, 상기 제2 벽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제2 결합공 중 상기 오목부와 반대쪽 단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결합공의 상기 저벽부를 향해 있는 일단부 사이의 거리(L2)와 실질상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성되어, 다른 거푸집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제2 결합공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12. 거푸집 고정구로서,
    상기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또는 수직벽부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어 상기 수평벽부 또는 수직벽부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는 중공(中空)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 형성된 제1 결합공을 통해 삽입되어, 체결 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결합공에 대하여 길이 방향 내측에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의 제1 결합공과 제2 결합공은 각각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폭방향과 수직한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쌍의 벽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에는 그 길이 방향-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는 그 중앙 관통홀이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과 정렬된 채,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부로터 폭방향 양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13. 거푸집 고정구로서,
    상기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의 수평벽부 또는 수직벽부에 대하여 설치되어 상기 수평벽부 또는 수직벽부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보강하는 보강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보강 부재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외형을 갖고 있는 중공(中空)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부근에서 본체부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외부로 돌출된 채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고정된 복수 개의 결합 부재와,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를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하는 복수 개의 체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상기 결합 부재의 돌출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제1 쌍의 벽 중 상기 결합 부재가 돌출하여 있는 제1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제1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 중 제2 벽의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제1 결합공에 대하여 상기 본체부 길이 방향 내측에 제2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벽의 양단부에는 길이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절취된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쌍의 벽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폭방향과 수직한 두께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쌍의 벽에는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단부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관통홀과 정렬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결합 부재는 제2 관통홀이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과 정렬된 채, 상기 본체부의 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상기 체결 부재가 통과하여 체결됨으로써, 상기 본체부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합공의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결합 부재의 대응 방향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돌출하는 두 결합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오목부의 저벽부와, 상기 오목부와 반대쪽 단부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 결합공의 상기 저벽부를 향해 있는 일단부 사이의 거리(L2)와 실질상 동일하거나 더 크게 구성되어, 다른 거푸집 고정구의 두 결합 부재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제2 결합공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KR2020190002424U 2019-06-14 2019-06-14 거푸집 고정구 KR200492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24U KR200492504Y1 (ko) 2019-06-14 2019-06-14 거푸집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424U KR200492504Y1 (ko) 2019-06-14 2019-06-14 거푸집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504Y1 true KR200492504Y1 (ko) 2020-10-28

Family

ID=7300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424U KR200492504Y1 (ko) 2019-06-14 2019-06-14 거푸집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504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694Y1 (ko) 2000-03-22 2000-09-15 강정기 거푸집 휨방지 파이프 결합구
KR200267876Y1 (ko) * 2001-12-14 2002-03-12 이팔만 거푸집용 각목고정구
KR200445494Y1 (ko) * 2007-09-21 2009-08-04 윤안구 유로폼 고정구
KR101702459B1 (ko) * 2015-07-10 2017-02-03 (주)영동가설재 건축용 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조립체 시공방법
KR20170002270U (ko) * 2015-12-16 2017-06-26 (주)진명에프앤씨 유로폼 클램핑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694Y1 (ko) 2000-03-22 2000-09-15 강정기 거푸집 휨방지 파이프 결합구
KR200267876Y1 (ko) * 2001-12-14 2002-03-12 이팔만 거푸집용 각목고정구
KR200445494Y1 (ko) * 2007-09-21 2009-08-04 윤안구 유로폼 고정구
KR101702459B1 (ko) * 2015-07-10 2017-02-03 (주)영동가설재 건축용 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조립체 시공방법
KR20170002270U (ko) * 2015-12-16 2017-06-26 (주)진명에프앤씨 유로폼 클램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8929B1 (ko) 모듈식 빌딩 커넥터
SK8312003A3 (en) Connecting device
KR101705260B1 (ko) 모듈러건축물의 코아구조물과 모듈러구조물의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00114876A (ko) 모듈화된 리브보강 ㄷ강판과 클립강판을 이용한 보 강판거푸집
KR101233537B1 (ko) 모듈러 유닛 접합부 구조
KR200492504Y1 (ko) 거푸집 고정구
JPH08333891A (ja) 型枠用中空パネ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型枠システム
CN112543831A (zh) 箱型建筑物单元及建筑物
JP5574316B2 (ja) 組立式収納家具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連結具
KR101907748B1 (ko) 기둥 수직 결합용 브라켓을 갖는 모듈러 유닛과 하중전달 기둥을 이용한 초고층형 모듈러 건축물
KR20110140067A (ko) 보조 판넬 결합용 클램프
KR20210152146A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JP6813979B2 (ja) 構造部材
JP6155363B2 (ja) 組立式パレット
KR101914674B1 (ko) 결합부재가 구비된 강관 버팀보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JP7352003B2 (ja) 構造物や物体からなるモジュール構造用連結装置
KR102459395B1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JP5687132B2 (ja) 角パイプの直交連結構造
KR101680773B1 (ko) 조립식 팔레트
JP7104599B2 (ja) 補強対象物の補強構造
KR102337116B1 (ko) 친환경 단면접착 조립식 박스
JP5118510B2 (ja) 合成樹脂製のパレット
JP2007112203A (ja) 車両骨格部材
JP4328429B2 (ja) 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