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861Y1 -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 Google Patents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861Y1
KR200331861Y1 KR20-2003-0026156U KR20030026156U KR200331861Y1 KR 200331861 Y1 KR200331861 Y1 KR 200331861Y1 KR 20030026156 U KR20030026156 U KR 20030026156U KR 200331861 Y1 KR200331861 Y1 KR 200331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upport
support bar
cassette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일
Original Assignee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to KR20-2003-0026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 H01L21/673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large square shape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글래스 카세트는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 그리고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 글래스를 수용하는 수납실을 구비하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 양쪽 측방의 사이드 프레임에 다수개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글래스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다수의 서포트 핑거와; 상기 글래스의 밑면 양쪽을 직접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쪽의 서포트 핑거들 및 다른 한쪽의 서포트 핑거들에 상기 수납실의 전후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는 서포트 바들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글래스의 밑면과 선접촉을 이루며 지지하는 서포트 바를 구비함으로써 글래스의 특정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글래스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바를 통해 글래스의 중앙부분도 받쳐 지지함으로써 글래스의 휨변형을 최대한 저감시키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FLAT PANEL DISPLAY GLASS CASSETTE}
본 고안은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평판디스플레이 제조에 사용되는 글래스는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간격을 두고 수납할 수 있는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에 의해 보관되거나 운반된다.
이러한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 프레임(1)과 보텀 프레임(3) 그리고 톱 프레임(1)과 보텀 프레임(3)의 양측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5)들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사이드 프레임(5)들은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서포트 핑거(7)를 갖추고 있는데, 이 서포트 핑거(7)는 서로 마주보면서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G)의 밑면 가장자리 양쪽을 받쳐 지지한다. 여기서, 서포트 핑거(7)는 경질의 합성수지 성형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주보는 서포트 핑거(7)의 위에 글래스(G)를 올려 놓는다. 그러면, 글래스(G)는 서포트 핑거(7)에 그 밑면 가장자리가 지지되면서 카세트 내부에 수평하게 적재되고, 이로써 글래스(G)를 다층으로 적재하여 보관 및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의 뒤쪽면에는 글래스(G)의 이동을 제한하는 복수의 스톱바(9)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는, 서포트 핑거 (7)와 접촉하는 글래스(G)의 부분에 집중하중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카세트는 서포트 핑거(7)를 통해 글래스(G)의 밑면을 군데 군데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서포트 핑거(7)가 지지하는 글래스(G)의 밑면에는 글래스(G)의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며, 이같은 집중하중은 글래스(G)를 변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최근에는 글래스(G)가 대형화되어 그 무게가 점차 무거워짐에 따라 서포트 핑거(7)와 접촉하는 글래스(G)의 부분이 더욱 변형되기 쉽다.
또한, 종래의 글래스 카세트는, 글래스(G)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바, 대형의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G)를 재치할 경우, 글래스(G)의 중앙부가 아래로 휨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상태에서 카세트를 이동시키게 되면, 글래스(G)의 중앙부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글래스(G)를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없고, 심지어는 글래스(G)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가 나타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글래스의 밑면에 부분으로 집중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글래스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글래스를 휨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보관 및 운반할 수있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글래스 카세트를 구성하는 서포트 바의 구성 및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글래스 카세트에 글래스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글래스 카세트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글래스 카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글래스 카세트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톱 프레임 20: 보텀 프레임
30: 사이드 프레임 32: 수납실
40: 서포트 핑거 50: 서포트 바
52: 볼트 54: 보조 고정구
54a: 곡면부 54b: 수직면부
56: 보호층 58; 고정브라켓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 그리고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 글래스를 수용하는 수납실을 구비하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 양쪽 측방의 사이드 프레임에 다수개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글래스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다수의 서포트 핑거와; 상기 글래스의 밑면 양쪽을 직접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쪽의 서포트 핑거들 및 다른 한쪽의 서포트 핑거들에 상기 수납실의 전후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는 서포트 바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카세트는 톱 프레임(10)과 보텀 프레임(20) 그리고 톱 프레임(10)과 보텀 프레임(20)의 양측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30)에 의해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G)를 수용하는 수납실(32)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수납실(32) 측방의 각 사이드 프레임(30)에는 다수개의 서포트 핑거 (40)가 등간격을 이루며 내측으로 뻗어 있다. 내측으로 뻗어 있는 서포트 핑거(40)들은 양쪽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서포트 핑거(40)는 수평하게 수납되는 글래스(G)의 밑면 양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글래스 카세트는 글래스(G)의 밑면을 직접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수납실(32)의 한쪽 측방에 배열되는 서포트 핑거(40)들 및 수납실 (32)의 다른 한쪽 측방에 배치되는 서포트 핑거(40)들에 설치되는 서포트 바(50)를 구비한다.
서포트 바(50)는 카세트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핑거(40)들의 단부에 고정수단, 예를 들어 볼트(52)에 의해 고정된다(다른 쪽의 서포트 바(50)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도 3에서는 한쪽의 서포트 바(50)만을 도시한다.).
한편, 서포트 바(50)와 볼트(52)의 사이, 및 서포트 바(50)와 서포트 핑거 (40)의 사이에는 보조 고정구(54)가 각각 배치된다. 보조 고정구(54)는 일측의 곡면부(54a)와 타측의 수직면부(54b)를 갖춘 것으로, 원형단면을 갖는 서포트 바(50)를 서포트 핑거(40)의 단부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보조 고정구(54)의 곡면부(54a)는 서포트 바(50)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며, 보조 고정구(54)의 수직면부(54b)는 서포트 핑거(40)의 단부 및 볼트(52)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보조 고정구(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바(50)의 상부면보다 더 돌출되면 안된다. 이는 서포트 바(50)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면, 자칫 서포트 바(50)에 지지된 글래스(G)와 접촉하여 상기 글래스(G)를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서포트 바(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경량의 비금속성 탄성소재, 예들 들면 프리프레그(prepreg)를 소재로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프리프레그는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 등의 강화 섬유에 합성 수지를 함침시켜 만들어지는 것으로, 가볍고, 물리적 강도가 우수하여 속이 빈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서포트 바(50)를 구성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그리고 서포트 바(50)는 그 외면에 보호층(56)이 피복되어 있다. 보호층(56)은 열적/기계적 특성이 뛰어나고 대전 방지 기능을 갖는 고기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예를 들면 PEEK(Polyether Ether Ketone), PTFE(Poly Tetra Fluor Ethylene), PFA(Perfluoroalkoxy)등으로 구성되며, 글래스(G)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글래스(G)의 표면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서포트 바(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수평면상에 배치되는 양쪽의 서포트 핑거(40)들에 설치됨으로써 글래스(G)의 밑면을 직접적으로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서포트 바(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므로 글래스(G)와 선접촉을 이루면서 상기 글래스(G)를 지지하게 되며, 따라서 글래스(G)에 가해지는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킴으로써 글래스(G)의 특정부분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걸리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글래스(G)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과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글래스 카세트는 양쪽의 서포트 핑거(40)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로 구성하고, 하나로 구성된 서포트 핑거(40)의 상면에 글래스(G)를 직접받쳐주는 서포트 바(50)를 전후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는 구성을 갖는다.
특히, 서포트 바(50)는 글래스(G)의 밑면 가장자리 양쪽과, 밑면 중앙부 양쪽을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핑거(40)에 4개가 설치된다. 4개의 서포트 바 (50)는 글래스(G)의 가장자리 양쪽 뿐만 아니라 글래스(G)의 밑면 중앙부분도 받쳐 지지함으로써 글래스(G)의 중앙부분이 하부로 휨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서포트 바(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58)과 볼트(52)를 통해 서포트 핑거(4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브라켓(58)과 서포트 바(50)의 사이, 및 서포트 바(50)와 볼트(52)의 사이에는 보조 고정구(54)가 각각 배치된다. 보조 고정구(54)는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원형단면의 서포트 바(50)를 고정브라켓(58)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글래스 카세트는, 서포트 바(50)의 위에 글래스(G)를 올려 놓으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바(50)가 글래스(G)의 양쪽 밑면 가장자리를 받쳐 지지함과 동시에, 글래스(G)의 중간부분도 받쳐 지지하므로, 글래스(G)를 수평으로 휨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글래스 카세트는, 상기 서포트 바(50)가 글래스(G)의 밑면과 선접촉하므로 글래스(G)의 하중이 골고루 분산되며, 따라서 글래스(G)의 특정부분에 하중의 집중되어 글래스(G)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에 의하면, 글래스의 밑면과 선접촉을 이루며 지지하는 서포트 바를 구비함으로써 글래스의 특정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글래스의 손상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바를 통해 글래스의 중앙부분도 받쳐 지지함으로써 글래스의 휨변형을 최대한 저감시키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 그리고 톱 프레임과 보텀 프레임의 양측을 연결하는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 글래스를 수용하는 수납실을 구비하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 양쪽 측방의 사이드 프레임에 다수개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글래스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는 다수의 서포트 핑거와;
    상기 글래스의 밑면 양쪽을 직접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도록 한쪽의 서포트 핑거들 및 다른 한쪽의 서포트 핑거들에 상기 수납실의 전후 수평으로 길게 설치되는 서포트 바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는 속이 빈 원통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경량의 비금속성 탄성소재로 제조되고, 그 외면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의 보호층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바는 상기 서포트 핑거들의 단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서포트 바를 관통하여 상기 서포트 핑거에 체결되는 볼트와, 상기 서포트 바와 서포트 핑거의 사이 및 상기 서포트 바와 볼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고정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의 서포트 핑거를 서로 연결하고, 연결된 서포트 핑거에 상기 글래스의 밑면 양쪽과 중앙부 양쪽을 직접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서포트 바를 상기 수납실의 전후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KR20-2003-0026156U 2003-08-13 2003-08-13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KR200331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156U KR200331861Y1 (ko) 2003-08-13 2003-08-13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156U KR200331861Y1 (ko) 2003-08-13 2003-08-13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861Y1 true KR200331861Y1 (ko) 2003-11-01

Family

ID=49339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156U KR200331861Y1 (ko) 2003-08-13 2003-08-13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8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926B1 (ko) 2004-12-29 2009-1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실 경화공정 중 얼룩무늬 발생을감소시키는 랙 바구조를 가지는 실 경화로
CN111532787A (zh) * 2020-04-28 2020-08-14 佛山市高明雅奇钢化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储存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926B1 (ko) 2004-12-29 2009-1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실 경화공정 중 얼룩무늬 발생을감소시키는 랙 바구조를 가지는 실 경화로
CN111532787A (zh) * 2020-04-28 2020-08-14 佛山市高明雅奇钢化玻璃有限公司 一种玻璃储存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701B1 (en) Elongated rib for cassette and substrate cassette
US7334690B2 (en) Substrate supporting rod and substrate cassette using the same
US20060226094A1 (en) Glass cassette for loading glass substrates of display panels
KR101903485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JP5336157B2 (ja) 板状物品搬送用トレイ
JP2007281251A (ja) サポートバーおよび基板カセット
US10906718B2 (en) Tray with buffering members for carrying display panel
JPWO2004113205A1 (ja) 薄板支持体、並びにエンドエフェクタ及び薄板収納カセット
KR200331861Y1 (ko)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JP2004146578A (ja) カセット用基板支持部材および基板用カセット
US20220089325A1 (en) Modularized large-sized carrier
KR20040044374A (ko) 기판 수납 트레이
JP2010120691A (ja) 板材搬送用トレイの緩衝部材、およびその緩衝部材が取付けられた板材搬送用トレイ
KR100551683B1 (ko) 글래스 수납 카세트
JP2005138858A (ja) 大型基板用カセット
KR200328186Y1 (ko) 평판디스플레이용 글래스 카세트
KR20020059328A (ko) 피가공물 반송장치
WO2021181919A1 (ja) 搬送システム
KR101104849B1 (ko) 디스플레이 유닛 운반 장치
KR100447964B1 (ko) 기판 적재용 카세트
JP5357261B2 (ja) 収納トレイ
KR101928269B1 (ko) 사이드 지지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100973816B1 (ko) 대형 기판용 카세트
JP2014072274A (ja) 基板保持部材
KR20080050285A (ko) 매엽 반송용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