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298B1 -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 - Google Patents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298B1
KR101902298B1 KR1020160170466A KR20160170466A KR101902298B1 KR 101902298 B1 KR101902298 B1 KR 101902298B1 KR 1020160170466 A KR1020160170466 A KR 1020160170466A KR 20160170466 A KR20160170466 A KR 20160170466A KR 101902298 B1 KR101902298 B1 KR 101902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gender
block
terminal
fus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603A (ko
Inventor
박찬규
조홍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6017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2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4Means for preventing insertion of incorrect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면의 일부가 개구 형성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그 판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버스바와 연결되는 제1퓨즈홀더와; 상면의 일부가 개구 형성되어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그 판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와이어 터미널과 연결되는 제2퓨즈홀더와; 상기 제1퓨즈홀더와 제2퓨즈홀더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도록 상기 제1퓨즈홀더과 제2퓨즈홀더 사이에 양단부가 물리도록 배치되는 고전압 퓨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FUSE BLOCK HAVING FUSE GENDER}
본 발명은 퓨즈 블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정션블록의 변경없이 퓨즈를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전자제품들은 많은 전장품(電裝品)들을 함께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그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전원을 인가하는 과정에서 전압변동 등의 외부요인이나 전장품의 쇼트(short)등에 의한 과전류가 인입되게 되면, 전장품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혀 고장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 화재를 불러 일으킬 우려가 매우 많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경로에 퓨즈를 구비하여, 과전류의 인입시 퓨즈가 오픈(open)되도록 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퓨즈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퓨즈 블록(10)은 복수의 퓨즈(11)가 열과 행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과전류의 인입시 상기 퓨즈(11)가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면에 상기 퓨즈(11)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12)이 함몰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퓨즈 블록(10)은 장방 형상의 부재로서 그 둘레면 복수의 개소에는 퓨즈 블록(10)을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공이 관통 형성된 체결부재가 판면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의 중앙 영역에는 복수의 퓨즈(11)가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퓨즈 블록(10)의 내부에 구비된 포크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12)이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퓨즈 블록(10)은 정션박스의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과전류가 인입시에 퓨즈(11)가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하여 전장품이 손상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퓨즈 블록에 있어서, 차량의 시스템 추가 및 전자 시스템들의 단독 퓨즈 적용 요구로 인하여 퓨즈 블록(10)의 퓨즈 여유율 부족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나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퓨즈 블록(10) 자체를 더 큰 퓨즈 블록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자재의 낭비를 유발하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경제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제조자의 입장에서는 큰 퓨즈 블록을 생산하기 위하여 금형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금형을 제작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션블록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금형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금형을 제작할 필요없이 정션블록의 퓨즈 확장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존의 퓨즈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은, 복수의 퓨즈가 열과 행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과전류의 인입시 상기 퓨즈가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면에 상기 퓨즈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함몰 형성된 퓨즈 블록과; 일측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퓨즈 블록 내부의 포크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젠더 단자가 구비되고, 타측에 추가될 퓨즈가 삽입되는 복수의 퓨즈삽입슬롯이 구비된 퓨즈 젠더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퓨즈삽입슬롯은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젠더 단자는 상기 퓨즈삽입슬롯의 측면 일측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퓨즈 젠더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퓨즈를 삽입할 수 있는 상기 퓨즈삽입슬롯은 상기 젠더 단자의 상면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퓨즈 젠더를 상기 퓨즈 블록에 연결시에는 상기 퓨즈 블록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퓨즈를 인출한 후에 상기 젠더 단자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하고, 인출된 상기 퓨즈는 상기 젠더 단자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퓨즈삽입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퓨즈 젠더의 일측면에는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커넥터 체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퓨즈 젠더의 양측면에는 상기 퓨즈 젠더를 상기 퓨즈 블록과 전기적으로 접속시에 유동함을 방지하도록 상기 퓨즈 블록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정션블록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금형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금형을 제작할 필요없이 정션블록의 퓨즈 확장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존의 퓨즈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퓨즈 블록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퓨즈 젠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퓨즈 젠더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퓨즈 젠더를 퓨즈 블록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조립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퓨즈 젠더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퓨즈 젠더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퓨즈 젠더를 퓨즈 블록에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조립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은, 복수의 퓨즈(110)가 열과 행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과전류의 인입시 상기 퓨즈(110)가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면에 상기 퓨즈(110)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120)이 함몰 형성된 퓨즈 블록(100)과, 일측에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어 상기 퓨즈 블록(100) 내부의 포크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젠더 단자(210)가 구비되고, 타측에 추가될 퓨즈가 삽입되는 복수의 퓨즈삽입슬롯(220)이 구비된 퓨즈 젠더(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퓨즈 블록(100)은 장방 형상의 부재로서 그 둘레면 복수의 개소에는 퓨즈 블록(100)을 체결할 수 있도록 볼트공이 관통 형성된 체결부재(101)가 판면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되는 상면의 중앙 영역에는 복수의 퓨즈(110)가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퓨즈 블록(100)의 내부에 구비된 포크단자(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120)이 열과 행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퓨즈 블록(100)은 정션박스의 일측에 구비됨으로써 과전류가 인입시에 퓨즈(110)가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하여 전장품이 손상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퓨즈 젠더(200)는 퓨즈 블록(10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홈(120) 모두에 퓨즈(110)가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 추가적으로 퓨즈(110)를 설치하기 위하여 퓨즈 블록(1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부재이다.
퓨즈 젠더(200)의 내부에는 피씨비(201)가 구비되어 있으며, 피씨비(201)의 상면에는 회로패턴(201a)이 인쇄되는데 회로패턴(201a)의 일측은 퓨즈 젠더(200)에 체결되는 커넥터(1)에 구비된 접속핀과 일대일로 대응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회로패턴(201a)의 타측은 버스바(202)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패턴(201a)의 타측과 버스바(202) 사이에 복수의 퓨즈(110)가 삽입되어 회로패턴(201a)의 타측과 버스바(202)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로 한다.
이러한 퓨즈 젠더(200)는 일측에 삽입홈(120)에 구비된 포크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젠더 단자(210)가 구비되고, 그 상면에는 추가적으로 설치될 퓨즈(11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퓨즈삽입슬롯(220)이 구비되어 있다.
퓨즈삽입슬롯(220)은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젠더 단자(210)는 퓨즈삽입슬롯(220)의 측면 일측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퓨즈 젠더(200)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젠더 단자(210)가 돌출되게 배치되어 퓨즈 젠더(200)가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의 평면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퓨즈 젠더(200)를 퓨즈 블록(100)에 연결시에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돌출되게 배치된 젠더 단자(210)가 삽입홈(120)에 삽입되어 젠더 단자(210)와 퓨즈 블록(100)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퓨즈삽입슬롯(220)은 가장자리에 위치한 삽입홈(120)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퓨즈 젠더(200)가 차지하는 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퓨즈(110)를 삽입할 수 있는 퓨즈삽입슬롯(220)은 젠더 단자(210)의 상면에도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젠더 단자(210)의 삽입을 위하여 퓨즈 블록(100)에서 인출시킨 퓨즈(110)를 퓨즈 젠더(200)의 젠더 단자(210)가 형성된 상면의 퓨즈삽입슬롯(220)에 삽입 설치되도록 하여, 최대한 많은 개수의 퓨즈삽입슬롯(220)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퓨즈 젠더(200)를 퓨즈 블록(100)에 연결시에는 퓨즈 블록(100)의 삽입홈(120)에 삽입된 퓨즈(110)를 인출한 후에 젠더 단자(210)를 삽입홈(120)에 삽입하고, 인출된 퓨즈(110)는 퓨즈 젠더(200)의 상면에 구비된 퓨즈삽입슬롯(220)에 삽입하도록 한다.
또한, 퓨즈 젠더(200)의 일측면에는 커넥터(1)와의 체결을 위한 커넥터 체결부(230)가 구비되어 퓨즈 젠더(200)와 퓨즈 블록(100)과 전기적으로 접속 완료된 후에 커넥터(1)가 퓨즈 젠더(2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퓨즈 젠더(200)를 통하여 퓨즈 블록(100)이 다른 기기와 접속되도록 함으로써 퓨즈 젠더(200)의 설치를 완료한다.
퓨즈 젠더(200)의 양측면에는 퓨즈 젠더(200)를 퓨즈 블록(100)과 전기적으로 접속시에 유동함을 방지하도록 퓨즈 블록(100)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40)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퓨즈 블록(100)에 퓨즈 젠더(200)가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박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퓨즈 젠더(200)를 연결하고자 하는 퓨즈 블록(100) 가장자리의 최상측에 삽입 설치된 퓨즈(110)를 퓨즈 블록(100)에서 인출시킨 후에, 퓨즈 젠더(200)의 젠더 단자(210)를 퓨즈(110)가 인출된 삽입홈(120)에 삽입하여 퓨즈 젠더(200)와 퓨즈 블록(1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그 후, 퓨즈 블록(100)에서 인출된 퓨즈(110)는 퓨즈 젠더(200)의 상면에 구비된 퓨즈삽입슬롯(220)에 삽입하여 설치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퓨즈 젠더(200)의 양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체결부재(240)가 퓨즈 블록(100)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퓨즈 젠더(200)가 견고하게 퓨즈 블록(100)에 결합되도록 한다.
퓨즈 젠더(200)가 퓨즈 블록(100)에 연결되면 조립자는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퓨즈(110)를 퓨즈 젠더(200)의 상면에 복수로 구비된 퓨즈삽입슬롯(220)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퓨즈 젠더(200)의 측면에 마련된 커넥터 체결부(230)에 다른 기기측에 마련된 커넥터(1)를 삽입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은 정션블록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금형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금형을 제작할 필요없이 정션블록의 퓨즈 확장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존의 퓨즈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커넥터 100 : 퓨즈 블록
110 : 퓨즈 120 : 삽입홈
200 : 퓨즈 젠더 210 : 젠더 단자
220 : 퓨즈삽입슬롯 230 : 커넥터 체결부
240 : 체결부재

Claims (6)

  1. 복수의 퓨즈(110)가 열과 행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과전류의 인입시 상기 퓨즈(110)가 오픈되도록 함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면에 상기 퓨즈(110)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120)이 함몰 형성된 퓨즈 블록(100)과;
    일측에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되어 상기 퓨즈 블록(100) 내부의 포크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젠더 단자(210)가 구비되고, 타측에 추가될 퓨즈가 삽입되는 복수의 퓨즈삽입슬롯(220)이 구비된 퓨즈 젠더(200)를; 포함하고,
    상기 퓨즈삽입슬롯(220)은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젠더 단자(210)는 상기 퓨즈삽입슬롯(220)의 측면 일측에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퓨즈 젠더(200)는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퓨즈(110)를 삽입할 수 있는 상기 퓨즈삽입슬롯(220)은 상기 젠더 단자(210)의 상면에도 구비되고, 상기 퓨즈 젠더(200)를 상기 퓨즈 블록(100)에 연결시에는 상기 퓨즈 블록(100)의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된 퓨즈(110)를 인출한 후에 상기 젠더 단자(210)를 상기 삽입홈(120)에 삽입하고, 인출된 상기 퓨즈(110)는 상기 젠더 단자(210)의 상면에 구비된 상기 퓨즈삽입슬롯(220)에 삽입되며,
    상기 퓨즈 젠더(200)의 일측면에는 커넥터와의 체결을 위한 커넥터 체결부(230)가 구비되고, 상기 퓨즈 젠더(200)의 양측면에는 상기 퓨즈 젠더(200)를 상기 퓨즈 블록(100)과 전기적으로 접속시에 유동함을 방지하도록 상기 퓨즈 블록(100)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4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70466A 2016-12-14 2016-12-14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 KR101902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66A KR101902298B1 (ko) 2016-12-14 2016-12-14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466A KR101902298B1 (ko) 2016-12-14 2016-12-14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03A KR20180068603A (ko) 2018-06-22
KR101902298B1 true KR101902298B1 (ko) 2018-09-28

Family

ID=6276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466A KR101902298B1 (ko) 2016-12-14 2016-12-14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2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611B1 (ko) * 2014-04-03 2014-11-20 주식회사 크래비스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611B1 (ko) * 2014-04-03 2014-11-20 주식회사 크래비스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603A (ko) 2018-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3042C2 (ru) Модульная клеммная колодка
US667752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for a vehicle
US7541670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erminals
KR101114462B1 (ko) 정션박스용 pcb 모듈
US10247757B2 (en) Electricity meter forms module
JP2018101617A (ja) バッテリ接続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デバイス
JP5707503B2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装置の製造方法
JP2015208124A (ja) インサートバスバー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117259B2 (ja) バスバープレート、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EP2867914B1 (en) Fus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902298B1 (ko)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
US11343921B2 (en) Electronic unit
KR20140044900A (ko)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2007059393A (ja) パワー半導体モジュールと端子コネクタとの配置装置
KR101909248B1 (ko) 버스바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7084927A (ja) コイル組立体および電気接続箱
US9578771B2 (en) Backplane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4175867B (zh) 电子模块
US646810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wiring board, and electric connection box
KR102567485B1 (ko) 배터리용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240105363A1 (en) Insulating Holder for Multi-phase Bus bar
JP2003070127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および該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形成方法
KR20170096354A (ko) 전압 센싱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03087943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S587397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