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611B1 -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 Google Patents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611B1
KR101462611B1 KR20140040108A KR20140040108A KR101462611B1 KR 101462611 B1 KR101462611 B1 KR 101462611B1 KR 20140040108 A KR20140040108 A KR 20140040108A KR 20140040108 A KR20140040108 A KR 20140040108A KR 101462611 B1 KR101462611 B1 KR 101462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terminal
overcurrent
signal terminal
eleme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래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래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래비스
Priority to KR2014004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01R9/244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은 블록 케이스와, 신호 단자와, 소자 홀더와, 제1 소자 접속 단자, 및 제2 소자 접속 단자를 포함한다. 블록 케이스는 상부가 각각 개구된 신호 단자 수납부와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가 적어도 1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신호 단자는 신호 단자 수납부 내에 지지되며, 외부 기기의 케이블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소자 홀더는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된다. 제1 소자 접속 단자는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 내에 지지되며, 소자 홀더에 의해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에 수납된 과전류 차단 소자의 제1 리드와 접속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신호 단자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제2 소자 접속 단자는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 내에 제1 소자 접속 단자와 절연된 상태로 지지되며, 과전류 차단 소자의 제2 리드와 접속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입출력 모듈의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 of input/output module}
본 발명은 입출력 모듈에 구비되어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터미널 블록에 관한 것이다.
필드버스(fieldbus)는 각종 제어 및 자동화 시스템에서 필드에 설치된 기기들 간에 실시간으로 데이터 전달을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망이다. 필드버스는 입출력 모듈을 통해 센서, 루프제어기,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모터, 밸브 등의 각종 외부 기기들과 접속되어 전기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입출력 모듈은 내부에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고, 외부에 터미널 블록이 장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미널 블록에는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입출력단자가 다수 마련된다. 입출력단자는 외부 기기의 케이블과 접속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외부 기기와 인쇄회로기판 간에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입출력 모듈은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가 입력단자를 거쳐 인쇄회로기판으로 직접 전송되고,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가 출력단자를 거쳐 외부 기기로 직접 전송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외부 기기로부터 과전류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과전류 신호가 인쇄회로기판으로 흘러 들어가서 인쇄회로기판을 소손(burning)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과전류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과전류 신호가 외부 기기로 흘러 들어가서 외부 기기를 소손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터미널 블록에 과전류 차단을 위한 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0379665호(1995.12.26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과전류 신호의 입출력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또는 외부 기기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고, 과전류 차단 소자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는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은 블록 케이스와, 신호 단자와, 소자 홀더와, 제1 소자 접속 단자, 및 제2 소자 접속 단자를 포함한다. 블록 케이스는 상부가 각각 개구된 신호 단자 수납부와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가 적어도 1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신호 단자는 신호 단자 수납부 내에 지지되며, 외부 기기의 케이블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소자 홀더는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된다. 제1 소자 접속 단자는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 내에 지지되며, 소자 홀더에 의해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에 수납된 과전류 차단 소자의 제1 리드와 접속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신호 단자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제2 소자 접속 단자는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 내에 제1 소자 접속 단자와 절연된 상태로 지지되며, 과전류 차단 소자의 제2 리드와 접속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입출력 모듈의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 신호는 과전류 차단 소자를 거쳐 외부 기기와 인쇄회로기판 간에 입출력되므로, 외부 기기나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과전류로 출력되더라도 과전류 차단 소자에 의해 과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과전류로 인한 인쇄회로기판이나 외부 기기의 소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전류 차단 소자의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과전류 차단 소자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과전류 차단 소자는 소자 홀더에 의해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므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 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신호 단자에 케이블이 접속되고, 제1,2 소자 접속 단자에 과전류 차단 소자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전기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터미널 블록이 입출력 모듈에 장착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터미널 블록이 입출력 모듈에 장착된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블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 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신호 단자에 케이블이 접속되고, 제1,2 소자 접속 단자에 과전류 차단 소자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있어서, 전기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터미널 블록(100)은 블록 케이스(110)와, 신호 단자(120)와, 소자 홀더(130)와, 제1 소자 접속 단자(140), 및 제2 소자 접속 단자(150)를 포함한다.
블록 케이스(110)는 상부가 각각 개구된 신호 단자 수납부(111)와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가 적어도 1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신호 단자 수납부(111)는 일 방향으로 복수 개로 배열되고,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들은 신호 단자 수납부(111)들의 각 옆에 하나씩 대응되게 배열되어 복수 조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단자 수납부(111)는 신호 단자(120)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신호 단자 수납부(111)의 상부에는 외부 기기의 케이블(10)이 삽입되는 케이블 삽입 홀(112a)이 형성된다. 케이블 삽입 홀(112a)의 옆에는 케이블(10)을 신호 단자(12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 홀(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는 제1,2 소자 접속 단자(140)(150)를 수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다.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의 내부 공간은 상부 개구를 통해 소자 홀더(130)가 과전류 차단 소자(160)와 함께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 내에는 제1,2 소자 접속 단자(140)(150)를 서로 절연시켜 수납하도록 격벽(115)이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단자(120)는 신호 단자 수납부(111) 내에 지지되며, 케이블(10)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신호 단자(120)는 도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신호 단자(120)는 하측 부위가 신호 단자 수납부(111) 내의 저면에 안착되고, 상측 부위가 제1 소자 접속 단자(140)의 러그(lug, 142) 쪽으로 연장되어 탄성력에 의해 러그(142)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단자 수납부(111) 내의 저면에는 신호 단자(120)의 하측 부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턱(113)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단자(120)와 러그 사이(142)로 케이블(10)이 삽입되면, 신호 단자(120)의 상측 부위가 변형되면서 복원력을 발생시킨다. 케이블(10)은 신호 단자(120)의 복원력에 의해 신호 단자(120)와 러그(140)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10)이 신호 단자(120)와 러그(142)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핀 삽입 홀(112b)을 통해 핀을 삽입해서 신호 단자(120)의 상측 부위를 누르게 되면, 신호 단자(120)의 상측 부위가 러그(142)로부터 벌어지면서 케이블(10)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신호 단자(120)에 케이블(10)을 용이하게 접속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소자 홀더(130)는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에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져,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과전류 차단 소자(160)는 퓨즈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소자 홀더(130)는 하측 수평 지지부(131)와, 상측 수평 지지부(132), 및 수직 지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수평 지지부(131)는 절개 홈(131a)들을 통해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제1,2 리드(161)(162)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수평 지지부(131)는 판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개 홈(131a)들은 하측 수평 지지부(131)의 단부로부터 각각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제1,2 리드(161)(162)를 삽입시키도록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수평 지지부(132)는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상부를 지지한다.
수직 지지부(133)는 하측 부위가 하측 수평 지지부(131)에 연결되고 상측 부위가 상측 수평 지지부(132)보다 높게 돌출된 형태로 상측 수평 지지부(132)에 연결된다. 과전류 차단 소자(160)가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직 지지부(133)의 상측 부위가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직 지지부(133)의 상측 돌출 부위를 쥐고서 소자 홀더(130)를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에 편리하게 장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수직 지지부(133)는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 내의 걸림 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돌기(133a)들을 갖는다. 수직 지지부(133)는 판상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 돌기(133a)들은 수직 지지부(133)의 양 옆으로부터 걸림 턱 쪽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제1 소자 접속 단자(140)는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 내에 지지된다. 제1 소자 접속 단자(140)는 소자 홀더(130)에 의해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에 수납된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제1 리드(161)와 접속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신호 단자(120)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제1 소자 접속 단자(140)는 도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 소자 접속 단자(140)는 제1 접속 편(141) 및 러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속 편(141)은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제1 리드(161)를 삽입시키는 양단부가 중앙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굽어져 탄성력에 의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다. 제1 접속 편(141)의 양단부는 서로 맞닿은 부위로부터 서로 멀어지게 굽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속 편(141)의 양단부 사이로 케이블(10)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러그(142)는 제1 접속 편(141)으로부터 신호 단자 수납부(114) 내로 돌출되어 신호 단자(120)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러그(142)는 신호 단자(120)와의 사이로 케이블(10)이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러그(142)는 신호 단자 수납부(111)의 한쪽 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신호 단자 수납부(111)는 러그(142)를 삽입시키도록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와의 사이에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소자 접속 단자(150)는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 내에 제1 소자 접속 단자(140)와 절연된 상태로 지지된다. 제2 소자 접속 단자(150)는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제2 리드(162)와 접속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입출력 모듈의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제2 소자 접속 단자(150)는 도전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2 소자 접속 단자(150)는 제2 접속 편(151) 및 연장 단자 편(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 편(151)은 제1 접속 편(141)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접속 편(151)은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제2 리드(162)를 삽입시키는 양단부가 중앙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굽어져 탄성력에 의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다. 제2 접속 편(151)의 양단부는 서로 맞닿은 부위로부터 서로 멀어지게 굽어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장 단자 편(152)은 제2 접속 편(151)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된다.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는 하부에 연장 단자 편(152)을 하방으로 인출하도록 절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단자 편(152)은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탄성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연장 단자 편(152)들의 각 둘레를 감싸는 플러그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터미널 블록(100)에 의해, 외부 기기와 인쇄회로기판 간에 전기 신호가 입출력되는 과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과전류 차단 소자(160)가 소자 홀더(130)에 의해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에 수납되어 제1,2 소자 접속 단자(140)(150)에 접속되고, 외부 기기의 케이블(10)이 신호 단자(120)에 접속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단자(120)가 입력단자인 경우,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케이블(10)을 통해 신호 단자(120)와 러그(142)로 입력된다. 그러면, 전기 신호는 러그(142)와 연결된 제1 접속 편(141)을 거쳐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제1 리드(161)로 입력된 후, 과전류 차단 소자(160)를 거쳐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제2 리드(162)로부터 출력된다. 그러면, 전기 신호는 제2 접속 편(151)과 연장 단자 편(152)을 차례로 거쳐 인쇄회로기판으로 입력된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신호 단자(120)가 출력단자인 경우,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연장 단자 편(152)과 제2 접속 편(151)을 거쳐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제2 리드(162)로 입력된 후, 과전류 차단 소자(160)를 거쳐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제1 리드(161)로부터 출력된다. 그러면, 전기 신호는 제1 접속 편(141)을 거쳐 러그(142)와 신호 단자(120)로 출력된 후, 케이블(10)을 통해 외부 기기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전기 신호는 과전류 차단 소자(160)를 거쳐 외부 기기와 인쇄회로기판 간에 입출력되므로, 외부 기기나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과전류로 출력되더라도 과전류 차단 소자(160)에 의해 과전류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과전류로 인한 인쇄회로기판이나 외부 기기의 소손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과전류 차단 소자(160)의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과전류 차단 소자(160)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경우, 과전류 차단 소자(160)는 소자 홀더(130)에 의해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에 착탈 가능하므로,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에 과전류 차단 소자(160)를 수납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1,2 소자 접속 단자(140)(150) 간에 통전시키기 위한 통전용 소자를 소자 홀더(130)에 의해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에 수납시켜 둘 수 있다.
블록 케이스(110)에는 상부가 개구된 공통 단자 수납부(117)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 단자 수납부(117)는 쌍으로 이루어져 신호 단자 수납부(111)와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게 배열될 수 있다.
공통 단자 수납부(117)의 상부에는 신호 단자 삽입부(111)와 마찬가지로 케이블 삽입 홀(118a)과 핀 삽입 홀(118b)이 형성될 수 있다. 공통 단자 수납부(117)는 내부 공간에 공통 단자(170)를 수납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공통 단자(170)는 공통 단자 수납부(117) 내에 지지되며, 외부 기기의 케이블(10)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공통 단자(170)는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는 제1 공통 단자부(171)와, 케이블(10)과 접속되는 제2 공통 단자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통 단자부(171)는 공통 단자 수납부(117) 내의 저면과 한쪽 내벽에 지지되는 단자 베이스부(171a)와, 단자 베이스부(171a)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접점에 탄성 접촉되는 탄성 편(171b)을 갖는다.
제2 공통 단자부(172)는 하측 부위가 제1 공통 단자부(171)와 연결되어 공통 단자 수납부(117)의 반대쪽 내벽에 지지되고, 상측 부위가 단자 베이스부(171a) 쪽으로 연장되어 탄성력에 의해 단자 베이스부(171a)에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통 단자부(172)는 신호 단자(120)와 동일한 방식으로 케이블(10)을 접속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블록 케이스(110)는 신호 단자 수납부(111)와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114)와 공통 단자 수납부(117)의 각 양쪽 부위를 개방시키도록 양쪽 측면이 개구되고 개구된 부위들에 커버(101)들이 장착될 수 있다. 커버(101)들을 블록 케이스(110)로부터 분리 또는 결합시킴에 따라, 신호 단자(120)와, 제1,2 소자 접속 단자(140)(150)와 공통 단자(170)의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블록(100)은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입출력 모듈(1000)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블록(100)의 조립 또는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입출력 모듈(1000)은 모듈 케이스(1100)와, 모듈 케이스(1100) 내에 장착된 인쇄회로기판(1200)을 구비한다. 블록 케이스(110)는 모듈 케이스(1100)에 착탈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모듈 케이스(1100)는 상부에 블록 케이스(110)가 장착되는 장착 홈(1110)이 형성될 수 있다. 모듈 케이스(1100)는 장착 홈(1110)의 가장자리에 힌지 턱(1120)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케이스(110)는 일측 하단에 힌지 턱(1120)을 끼우는 힌지 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케이스(110)는 힌지 턱(1120)의 안내를 받아 모듈 케이스(1100)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케이스(110)의 타측에는 고정 해제 기구(180)가 장착된다. 고정 해제 기구(180)는 블록 케이스를 모듈 케이스에 대해 고정 또는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고정 해제 기구(180)는 블록 케이스(110)가 모듈 케이스(1100)에 장착될 때 고정 돌기(181)가 모듈 케이스(1100)의 고정 홈에 탄성력에 의해 끼워지며, 사용자가 고정 해제 기구(180)의 레버(182)를 당기면 고정 돌기(181)가 모듈 케이스(1100)의 고정 홈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 해제 기구(180)는 공지된 다양한 기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블록 베이스
111..신호 단자 수납부
114..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
120..소자 홀더
130..신호 단자
140..제1 소자 접속 단자
150..제2 소자 접속 단자
160..과전류 차단 소자

Claims (5)

  1. 상부가 각각 개구된 신호 단자 수납부와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가 적어도 1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블록 케이스;
    상기 신호 단자 수납부 내에 지지되며, 외부 기기의 케이블과 접속되도록 형성된 신호 단자;
    상기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에 착탈 가능하게 된 소자 홀더;
    상기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 내에 지지되며, 상기 소자 홀더에 의해 상기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에 수납된 과전류 차단 소자의 제1 리드와 접속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신호 단자와 맞닿도록 형성된 제1 소자 접속 단자; 및
    상기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 내에 상기 제1 소자 접속 단자와 절연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과전류 차단 소자의 제2 리드와 접속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입출력 모듈의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도록 형성된 제2 소자 접속 단자;
    를 포함하는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 접속 단자는,
    상기 과전류 차단 소자의 제1 리드를 삽입시키는 양단부가 중앙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굽어져 탄성력에 의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 제1 접속 편, 및 상기 제1 접속 편으로부터 상기 신호 단자 수납부 내로 돌출되어 상기 신호 단자와 맞닿도록 형성된 러그(lug)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소자 접속 단자는,
    상기 과전류 차단 소자의 제2 리드를 삽입시키는 양단부가 중앙으로부터 동일 방향으로 굽어져 탄성력에 의해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 제2 접속 편, 및 상기 제2 접속 편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도록 형성된 연장 단자 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단자는 하측 부위가 상기 신호 단자 수납부 내의 저면에 안착되고 상측 부위가 상기 러그 쪽으로 연장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러그에 맞닿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 홀더는,
    절개 홈들을 통해 상기 과전류 차단 소자의 제1,2 리드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과전류 차단 소자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측 수평 지지부;
    상기 과전류 차단 소자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측 수평 지지부; 및
    하측 부위가 상기 하측 수평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측 부위가 상기 상측 수평 지지부보다 높게 돌출된 형태로 상기 상측 수평 지지부에 연결되며, 소자 접속 단자 수납부 내의 걸림 턱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 돌기들을 갖는 수직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케이스는 상기 입출력 모듈의 모듈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KR20140040108A 2014-04-03 2014-04-03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KR10146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0108A KR101462611B1 (ko) 2014-04-03 2014-04-03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0108A KR101462611B1 (ko) 2014-04-03 2014-04-03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611B1 true KR101462611B1 (ko) 2014-11-20

Family

ID=5229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0108A KR101462611B1 (ko) 2014-04-03 2014-04-03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6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298B1 (ko) * 2016-12-14 2018-09-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
KR101928382B1 (ko) 2017-06-27 2018-12-12 주식회사 크래비스 이형 재질 접합 구조의 접속 단자를 가진 산업용 제어기의 입출력 모듈
KR20190029497A (ko) 2018-12-06 2019-03-20 김승환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6658A (ja) * 1996-09-30 1998-04-24 Morimatsu:Kk 着脱容易なヒューズ内蔵端子台
JP2003037914A (ja) 2001-07-23 2003-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100405990B1 (ko) * 2000-10-04 2003-11-20 김성준 유기게르마늄 함유 동충하초의 제조방법
KR20110115900A (ko) * 2010-04-16 2011-10-24 정유철 퓨즈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6658A (ja) * 1996-09-30 1998-04-24 Morimatsu:Kk 着脱容易なヒューズ内蔵端子台
KR100405990B1 (ko) * 2000-10-04 2003-11-20 김성준 유기게르마늄 함유 동충하초의 제조방법
JP2003037914A (ja) 2001-07-23 2003-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電気接続箱
KR20110115900A (ko) * 2010-04-16 2011-10-24 정유철 퓨즈 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298B1 (ko) * 2016-12-14 2018-09-2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퓨즈 젠더를 구비한 퓨즈 블록
KR101928382B1 (ko) 2017-06-27 2018-12-12 주식회사 크래비스 이형 재질 접합 구조의 접속 단자를 가진 산업용 제어기의 입출력 모듈
KR20190029497A (ko) 2018-12-06 2019-03-20 김승환 원격 제어용 터미널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3794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9462702B2 (en) Power distribution box
KR101462611B1 (ko) 입출력 모듈의 터미널 블록
US9357663B2 (en) Electronic unit of a fluid sensor or valve and fluid sensor or fluid valve unit
JP2008512848A (ja) 交換可能な電源プラグユニットを有するプラグイン電源
EP3136512B1 (en) Connector
KR102567271B1 (ko) 전원 커넥터
CN108025688B (zh) 带有可插接电子器件的配电器
US9859649B2 (en) Plug adapter for an electrical device for plugging in supply lines, and system formed by a plug adapter and a device
US9837731B2 (en) Field installable connector
JP2023501855A (ja) 電気コネクタ
KR101702344B1 (ko) 정션박스의 암전류 차단 스위치
ES2877138T3 (es) Disposición de una parte de soporte, de una parte, superior y de una tapa de un dispositivo de conmutación con componentes de un sistema electrónico integrados en la disposición
US9653858B2 (en) Wall feed-through device
US3157732A (en) Multi-part electrical junction box and plug-in accessory
CN108475864B (zh) 尤其用于印刷电路板的电连接的接线盒
RU2490764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онтактный элемент
CN105679576B (zh) 具有辅助输出端的用于电气连接的装置及有其的开关设备
JP2019003759A (ja) 大電流用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2008198419A (ja) インレット装置
JP2015126639A (ja) 電気回路装置
KR101447309B1 (ko) 전기적 보호 장치
US10644438B2 (en) Power plug with leakage current protection device
US20150008109A1 (en) Electronic housing for switching devices, in particular for low-voltage switching devices
JP7133780B2 (ja) プラグ装置及び配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