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232B1 - 곡물 껍질 분쇄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껍질 분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232B1
KR101898232B1 KR1020160105580A KR20160105580A KR101898232B1 KR 101898232 B1 KR101898232 B1 KR 101898232B1 KR 1020160105580 A KR1020160105580 A KR 1020160105580A KR 20160105580 A KR20160105580 A KR 20160105580A KR 101898232 B1 KR101898232 B1 KR 101898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or
stator
shaft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746A (ko
Inventor
이우춘
Original Assignee
이우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춘 filed Critical 이우춘
Priority to KR102016010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2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껍질 분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의 껍질 분쇄가 다중으로 이루어져 효과적인 껍질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껍질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껍질 분쇄 장치{GRAIN CRUSHER}
본 발명은 곡물 껍질 분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물의 껍질 분쇄가 다중으로 이루어져 효과적인 껍질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껍질 분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은 그 배아뿐만 아니라, 껍질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옥수수의 껍질인 옥피의 경우, 식이섬유의 추출, 식용 재료, 가식성 필름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곡물의 껍질은 곡물에서 분리된 후, 분쇄되어 해당 분야에 활용되기도 한다. 곡물의 껍질 분쇄 장치는 이러한 곡물의 껍질의 분쇄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회전하는 분쇄롤러가 구비되어 회전력을 이용하여 곡물의 껍질을 분쇄한다.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껍질을 분쇄할 때, 껍질 분쇄 효율은 제품의 신뢰성 및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의 경우, 껍질 분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또는 껍질 분쇄 및 운반을 위해 과도한 전력과 장치가 필요하였고, 껍질이 분쇄된 껍질이 일정 지점에 집중되어 통로가 막혀서 껍질의 운반이 저하되거나, 또는 마찰열로 인해 분쇄된 껍질이 발화하여 폭발하는 위험도 발생하였다.
특히, 옥수수 껍질인 옥피의 경우 가수로 인해 수분이 높고 질기며 유연성이 뛰어난 옥피의 분쇄에 특화된 장치가 마련되지 아니하여 여러 단계의 분쇄 단계를 거쳐야 함으로써 분쇄 효율이 매우 떨어지고 분쇄 설비, 및 분쇄 공정에 따른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곡물의 껍질 분쇄 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201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곡물의 껍질 분쇄가 다중으로 이루어져 효과적인 껍질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는 껍질 분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쇄된 껍질의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전력과 비용을 저감시키고 마찰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껍질 분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는, 소정의 동력 장치와 연결되며 소정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축부; 상기 축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통형의 로터부; 위치 고정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으로 상기 로터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스테이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축부는, 회전축을 구성하며 동력 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며 위로부터 껍질이 투입될 수 있는 원판형의 회전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부는 상기 회전 베이스 상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반경을 갖는 이너 로터, 상기 제1 반경보다 큰 제2 반경을 갖는 아우터 로터, 및 상기 이너 로터와 상기 아우터 로터 사이에 형성된 제1 내삽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로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통과 공간을 갖고, 상기 아우터 로터는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통과 공간을 가지며, 상기 스테이터부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3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내삽 공간 내에 위치하는 이너 스테이터, 및 제4 반경을 가지며 상기 아우터 로터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스테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이너 스테이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커팅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커팅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커팅 공간을 갖고,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커팅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커팅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커팅 공간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직경 방향에 대해서 40° 내지 80° 의 사이각을 갖고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부는, 상기 회전 베이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동축으로 구성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회전 베이스 상부의 공기를 하방향으로 흡기하는 흡기 팬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터부 및 상기 스테이터부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밑면이 상기 스테이터부부의 상면과 연결되는 어퍼 하우징, 상기 어퍼 하우징의 외측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어퍼 사이드 하우징, 및 상기 어퍼 사이드 하우징의 하면에 연결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회전 베이스의 외측의 밑면에 소정의 상하 간격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대면하게 배치되도록 원환 형태를 갖는 미들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베이스의 외측 하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하우징의 상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 치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미들 하우징의 외측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흡기 팬의 외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바텀 사이드 하우징, 상기 바텀 사이드 하우징의 하면에 연결되되 반경 방향 중심부에 내공간을 갖는 바텀 하우징, 및 상기 바텀 하우징의 내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가 통과할 수 있는 축공을 갖는 이너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수 순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어퍼 사이드 하우징은,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이너 드럼, 및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너 드럼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 아우터 드럼을 포함하여 이중 드럼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이너 드럼과 상기 아우터 드럼 사이에 냉각수가 충진되어 순환될 수 있는 냉각수 순환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냉각수 순환 모듈은 상기 냉각수 순환 공간에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관, 및 상기 냉각수 순환 공간으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껍질 분쇄 장치는 껍질이 1 차, 2 차, 및 3 차 분쇄 과정을 거치므로 보다 효과적인 껍질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옥피의 분쇄에 특화될 수 있다.
또한, 껍질 분쇄 공간 아래의 흡기 팬에 의해서 껍질의 이동이 가속되므로, 껍질 분쇄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기 팬은 로터를 회전시키는 샤프트와 일체로 구성되어 회전하므로 별도의 흡기 장치, 이송 장치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 및 비용 면에서 더욱 경제적이다.
아울러, 회전 베이스와 미들 하우징 사이의 제1 치부 및 제2 치부는 껍질의 일 부분 치우침 및 그로 인한 막힘을 방지하여 360° 방향으로 균일한 흐름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순환 모듈이 구비되어 고속 회전하는 장치 내의 마찰열이 냉각되므로 축열로 인한 폭발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의 본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의 본체부의 분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도 2 의 S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의 스테이터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의 로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의 회전 베이스 및 흡기 팬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의 하우징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의 냉각수 순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는, 곡물의 껍질 분쇄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장치(10), 본체 장치(10)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장치(20), 본체 장치(10)에 껍질을 투입시키는 투입 장치(30), 본체 장치(10)에서 껍질이 배출되는 배출 장치(40), 배출 장치(40)로부터 분쇄된 껍질이 전달되는 전달 장치(50), 및 전달된 껍질이 반출되는 반출 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 장치(10)는 곡물이 껍질이 투입되어 껍질 분쇄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로서, 전체적으로 드럼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에 껍질 분쇄에 이용되는 소정의 부재들이 내장되어 있다.
동력 장치(20)는 본체 장치(10)에 대해 동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예컨대 회전력을 제공하는 소정의 엔진,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동력 장치(20)의 회전력을 본체 장치(10)에 대해 전달하도록 하는 소정의 벨트(22), 및 풀리가 마련될 수 있다.
투입 장치(30)는 본체 장치(10)에 대해 껍질을 투입할 수 있게 마련된 장치로서, 껍질 외에 공기의 유입량 또한 조절 가능하도록 소정의 개폐 밸브를 가질 수 있다.
배출 장치(40)는 본체 장치(10)에서 분쇄된 껍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며, 공기 순환을 위해 소정의 배관 및 개폐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달 장치(50)는 소정의 배관 구조로서, 배출 장치(40)와 연결되어 분쇄된 곡물 껍질들이 외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반출 장치(60)는 전달 장치(50)를 통해 분쇄된 곡물 껍질들을 제공받으며, 껍질의 반출에 사용되는 소정의 흡기 장치, 에어락(air lock)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의 실질적인 본체를 구성하는 본체 장치(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체 장치(10)는 축부(100), 로터부(200), 스테이터부(300), 하우징부, 및 냉각수 순환 모듈(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축부(100)는 샤프트(110), 회전 베이스(120), 및 흡기 팬(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1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샤프트(110)의 하단에는 소정의 벨트(22)가 연결되어 동력 장치(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풀리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베이스(120)는 샤프트(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회전 베이스(120)는 전체적으로 샤프트(110)를 중심으로 하며 소정의 직경 및 두께를 갖는 원판형 구성을 가진다.
한편, 회전 베이스(120)의 하면의 외측부에는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제1 경사면(1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122)은 반경 방향 외측 상방향에서 반경 방향 내측 하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며 경사지게 구성된다.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경사면(122)에는 복수 개의 제1 치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치부(124)는 상기 제1 경사면(122) 상에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의 제1 치부(124)는 소정의 두께, 폭, 및 길이를 갖는 바(ba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제1 치부(124)의 길이 방향은 상기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직경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즉, 각각의 제1 치부(124)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반경 방향에 대해 소정의 사이각을 갖고 어긋나게 연장될 수 있다.
흡기 팬(130)은 상단이 상기 회전 베이스(120)의 하면에 연결되되 내측은 상기 샤프트(110)의 외측 둘레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흡기 팬(130)은 샤프트(110) 및 회전 베이스(1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흡기 팬(130)은 상기 회전 베이스(120)의 하면에 연결되는 상판(132), 상판(132) 아래의 원통형의 회전 드럼(136), 회전 드럼(136) 아래의 하판(134) 및, 상기 상판(132)과 하판(134) 사이에 배치되며 회전 드럼(136)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는 소정의 팬 날개(138)를 포함하며,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 베이스(120) 위쪽의 공기를 아래쪽으로 흡입하는 방향으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로터부(200)는 상기 회전 베이스(120) 상에 고정되어 회전 베이스(120)와 함께 회전한다. 로터부(200)는 원통형의 이너 로터(210), 및 상기 이너 로터(2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아우터 로터(220)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로터(210)와 아우터 로터(220) 사이에 소정의 내삽 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로터부(200)는 상기 이너 로터(210)와 상기 아우터 로터(220)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회전 베이스(120) 상에 고정되는 원형, 또는 원환형의 로터 베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로터(210)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크기의 제1 반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따라서 이너 로터(210)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로터(210)의 둘레면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214)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4)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통과 공간(216)을 갖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플레이트(21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 상단 링(21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214)는 소정의 높이, 두께, 및 폭을 가지며 세워진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플레이트(214)의 폭을 형성하는 면은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직경 방향에 대해 소정의 크기의 사이각을 갖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축 RC 을 지나는 직경 방향 라인 L1 과, 제1 플레이트(214)의 폭 방향을 형성하는 라인 L2 는 서로 제1 사이각 θ1 을 가지며 어긋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사이각의 크기는 40° 내지 80° 일 수 있다.
아우터 로터(220) 또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되 소정의 제2 반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 구성된다. 아우터 로터(220)의 상기 제2 반경의 크기는 제1 반경보다 크게 구성된다. 따라서, 아우터 로터(220)가 이너 로터(2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이너 로터(210)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아우터 로터(220)의 둘레면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224)와, 상기 제2 플레이트(224)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통과 공간(226)을 갖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 플레이트(22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 상단 링(22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플레이트(224)는 소정의 높이, 두께, 및 폭을 가지며 세워진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플레이트(224)의 폭을 형성하는 면은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직경 방향에 대해 소정의 크기의 사이각을 갖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축 RC 을 지나는 직경 방향 라인 L1 과, 제2 플레이트(224)의 폭 방향을 형성하는 라인 L3 은 서로 제2 사이각 θ2 을 가지며 어긋난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사이각의 크기는 40°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이너 로터(210)와 상기 아우터 로터(220)는 반경 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되어, 상기 이너 로터(210)와 상기 아우터 로터(220) 사이에는 상기 이너 로터(210) 및 아우터 로터(220)의 높이 만큼의 깊이를 갖고 상방향으로 개방되는 원통형의 제1 내삽 공간(230)이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너 로터(210)와 아우터 로터(220)의 하부를 연결하는 로터 베이스(2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로터 베이스(240)는 상기 제1 내삽 공간(230)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스테이터부(300)는 후술하는 하우징(400)에 고정되어 위치 고정되는 부재로서, 이너 스테이터(310)와 아우터 스테이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테이터부(300)는 원통형의 이너 스테이터(310), 및 상기 이너 스테이터(3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아우터 스테이터(320)를 포함하며, 상기 이너 스테이터(310)와 아우터 스테이터(320) 사이에 소정의 제2 내삽 공간(330)이 형성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스테이터부(300)는 상기 이너 스테이터(310)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320)의 상부를 연결하며 하우징(400)에 고정되는 원형, 또는 원환형의 스테이터 베이스(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스테이터(310)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제3 반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갖는 부재이다. 이때, 제3 반경은 상기 제1 반경보다 크되, 제2 반경보다 작다.
도 6 은 이너 스테이터(310)의 하부분의 일부를 뒤집어서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이너 스테이터(310)의 둘레면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반경 방향 내측에 날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커팅 블레이드(316)와, 상기 제1 커팅 블레이드(316)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 커팅 공간(314)을 갖게 구성된다. 이때, 제1 커팅 공간(314)의 둘레 방향 간격 P 는 3~5 mm 일 수 있다. . 한편, 상기 복수 개의 제1 커팅 블레이드(216)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스테이터 링(31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1 커팅 블레이드(316)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을 갖되, 반경 방향 내측에 날부가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커팅 블레이드(316)의 날부를 구성하는 2 개의 면은 서로 비대칭으로 구성되어 2 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직경 방향에 대해 소정의 크기의 사이각을 갖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우터 스테이터(320) 또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제4 반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 구성된다. 아우터 스테이터(320)의 상기 제4 반경의 크기는 제3 반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이너 스테이터(31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이너 스테이터(310)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4 반경의 크기는 아우터 로터(220)의 제2 반경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된다.
아우터 스테이터(320)의 구성은 이너 스테이터(310)의 구성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반경 방향 내측에 날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커팅 블레이드와, 상기 제2 커팅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커팅 공간을 갖게 구성된다. 이때, 제2 커팅 공간의 둘레 방향 간격 또한 3~5 mm 일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제2 커팅 블레이드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을 갖되, 반경 방향 내측에 날부가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2 커팅 블레이드의 날부를 구성하는 2 개의 면은 서로 비대칭으로 구성되어 2 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직경 방향에 대해 소정의 크기의 사이각을 갖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스테이터(310)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320)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서로 이격되어, 상기 이너 스테이터(310)와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320) 사이에는 상기 이너 스테이터(310) 및 아우터 스테이터(320)의 상하 방향 높이만큼의 깊이를 갖되 하방향으로 개방되는 원통형의 제2 내삽 공간(330)이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너 스테이터(310)와 아우터 스테이터(320)의 상부를 연결하는 스테이터 베이스(3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스테이터 베이스(340)는 상기 제2 내삽 공간(33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400)은 본체 장치(10)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400)의 구조는 도 2, 5, 9 를 참조한다.
하우징(400)은 어퍼 하우징(410), 미들 하우징(420), 바텀 하우징(430), 어퍼 사이드 하우징(440), 바텀 사이드 하우징(450), 및 이너 하우징(46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퍼 하우징(410)이 상부면을 구성하고, 미들 하우징(420)이 중간 부분을 구성하며, 바텀 하우징(430)이 바닥면을 구성하되, 어퍼 사이드 하우징(440)이 어퍼 하우징(410)과 미들 하우징(420) 사이를 잇는 측면 상부분을 구성하고 바텀 사이드 하우징(450)이 미들 하우징(420)과 바텀 하우징(430) 사이를 잇는 측면 하부분을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이너 하우징(460)은 상기 바텀 사이드 하우징(450)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먼저, 어퍼 하우징(410)은 본체 장치(10)의 상단에 위치하여 본체 장치(10)의 상부면을 구성하며, 스테이터부(300)와 로터부(200)를 위에서 덮을 수 있다. 어퍼 하우징(410)은 원형의 플레이트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중심부에는 껍질 등이 위쪽에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투입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어퍼 하우징(410)의 하면은 상기와 같이 스테이터부(300)와 연결되어 스테이터부(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 베이스(340)가 마련되어 스테이터 베이스(340)가 어퍼 하우징(41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음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서, 로터부(200)와 스테이터부(300)는 상하 방향으로 어퍼 하우징(410)과 회전 베이스(1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미들 하우징(420)은 어퍼 하우징(410)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아래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 베이스(120)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미들 하우징(420)은 반경 방향 중심부에 원형의 내공간을 가져서 소정의 내경과 외경을 갖는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미들 하우징(420)의 상기 내공간 내에 회전 베이스(1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 5 및 도 9 를 참조하면, 미들 하우징(420)은 상기 회전 베이스(120)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경부(421)와, 상기 외경부(421)의 하부분에서 내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외경부(42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상기 회전 베이스(120)의 하면의 외측에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게 위치하는 내경부(422)를 가질 수 있다. 도 9 는 어퍼 하우징(410), 미들 하우징(420), 및 어퍼 사이드 하우징(440)이 결합된 구조물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내경부(422)가 내경 방향으로 돌출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경부(422)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 베이스(120)의 하면에 형성된 제1 경사면(122)에 대응하여 같은 경사각을 갖고 상기 제1 경사면(122)에 대면하는 제2 경사면(4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경사면(424) 상에는 복수 개의 제2 치부(42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2 치부(426)는 상기 제2 경사면(424) 상에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각각의 제2 치부(426)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 폭, 및 길이를 갖는 바(ba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기 제2 치부(426)의 길이 방향은 상기 회전 중심축 RC 을 지나는 직경 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사이각을 가질 수 있다. 즉, 각각의 제2 치부(426)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반경 방향 라인 L1 에 대해 소정의 사이각 θ3 을 갖고 어긋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미들 하우징(420)과 상기 회전 베이스(120) 사이에는 원환형의 통로(40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경부(421)와 상기 회전 베이스(120)의 외측 둘레면 사이는 반경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부 통로(404A)가 형성되며, 상기 내경부(422)의 제2 경사면(424)과 상기 회전 베이스(120)의 제1 경사면(122) 사이도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하부 통로(404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된 곡물 껍질이 상기 상부 통로(404A)와 하부 통로(404B)를 통해서 상기 회전 베이스(120)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바텀 하우징(430)은 미들 하우징(420)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바텀 하우징(430)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축부(100)의 흡기 팬(130)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바텀 하우징(430) 또한, 반경 방향 중심부에 원형의 내공간을 가져서, 소정의 내경과 외경을 갖는 고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어퍼 사이드 하우징(440)은 어퍼 하우징(410)과 미들 하우징(420)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가져서 상단은 상기 어퍼 하우징(410)에 연결되고 하단은 미들 하우징(42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로터부(200)와 스테이터부(300)는 어퍼 사이드 하우징(440)의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어퍼 하우징(410), 사이드 하우징, 및 미들 하우징(420)이 구성하는 공간 내에 상기 로터부(200), 및 스테이터부(300)가 위치하여 껍질 분쇄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공간은 껍질 분쇄 공간(402)으로 기능한다.
어퍼 사이드 하우징(440)은 2 중벽 구조를 갖는다. 즉, 어퍼 사이드 하우징(440)은 동심의 제1 아우터 드럼(442)과 제1 이너 드럼(44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아우터 드럼(442)과 제1 이너 드럼(444) 사이에는 소정의 냉각수가 충진되어 순환할 수 있는 제1 냉각수 순환 공간(630)이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사이드 하우징(450)은 미들 하우징(420)과 바텀 하우징(430) 사이 간격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되,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내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을 가져서 상단은 상기 미들 하우징(420)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바텀 하우징(430)에 연결된다. 아울러, 바텀 사이드 하우징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샤프트(110), 및 흡기 팬(130)이 위치한다.
바텀 사이드 하우징(450) 또한, 2 중벽 구조를 갖는다. 즉, 바텀 사이드 하우징(450)은 동심의 제2 아우터 드럼(452)과 제2 이너 드럼(45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 아우터 드럼(452)과 제2 이너 드럼(454) 사이에는 소정의 냉각수가 충진되어 순환할 수 있는 제2 냉각수 순환 공간(64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냉각수 순환 공간(630)과 제2 냉각수 순환 공간(640)이 서로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동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너 하우징(460)은 바텀 하우징(430)의 내공간 내에 위치하여 바텀 하우징(430)과 연결되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이너 하우징(460)은, 반경 방향 중심부에 샤프트(110)가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는 축공을 가질 수 있다. 이너 하우징(460)의 상면은 상기 회전 베이스(12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면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460)의 내주면은 상기 샤프트(110)의 외측 둘레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면하며, 이너 하우징(460)의 외주면은 상기 흡기 팬(130)의 내측 둘레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대면할 수 있다. 이때, 이너 하우징(460)의 내주면과 상기 샤프트(110)의 외측 둘레면 사이에는 소정의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너 하우징(460)이 마련됨으로써, 배출 공간(406)으로 배출된 껍질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샤프트(110)에 충돌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너 하우징(460) 또한, 2 중벽 구조를 갖는다. 즉, 이너 하우징(460)은 동심의 제3 아우터 드럼(462)과 제3 이너 드럼(46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3 아우터 드럼(462)과 제3 이너 드럼(464) 사이에는 소정의 냉각수가 충진되어 순환할 수 있는 제3 냉각수 순환 공간(65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냉각수 순환 공간(640)과 제3 냉각수 순환 공간(650)이 서로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동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미들 하우징(420), 바텀 하우징(430), 바텀 사이드 하우징, 및 이너 하우징(460)이 구성하는 공간은 분쇄된 곡물 껍질이 낙하하여 모이는 공간이므로, 배출 공간(406)으로 기능한다.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하우징이 형성하는 공간과 축부(100), 로터부(200), 및 스테이터부(300)의 배치 관계를 고찰하면 아래와 같다.
도 4 와 같이, 먼저, 어퍼 하우징(410)의 하면에 스테이터부(300)가 화살표 Q1, Q2 와 같이 결합된다. 어퍼 하우징(410)에 결합됨으로써, 스테이터부(300)는 축부(100) 및 로터부(200)의 회전과 무관하게 위치를 유지한다.
아울러, 로터부(200)는 화살표 R1 과 같이 회전 베이스(120)의 상면에 결합된다. 또한, 어퍼 사이드 하우징(440)은 화살표 R1 과 같이 미들 하우징(420)에 결합된다.
이어서, 어퍼 사이드 하우징(440) 상에 어퍼 하우징(410)을 결합시키되, 도 3 과 같이 스테이터부(300)와 로터부(200)가 동심의 배치를 갖도록 함으로써, 화살표 P2 와 같이 이너 로터(210)와 아우터 로터(220) 사이의 제1 내삽 공간(230) 내에 이너 스테이터(310)가 위치하며, 화살표 P3 와 같이 이너 스테이터(310)와 아우터 스테이터(320) 사이의 제2 내삽 공간(330) 내에 아우터 로터(220)가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P1 과 같이 이너 로터(210)는 이너 스테이터(310) 내에 위치한다. 즉,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너 로터(210) - 이너 스테이터(310) - 아우터 로터(220) - 아우터 스테이터(320)가 동심으로 배치되게 된다.
아울러, 흡기 팬(130)이 샤프트(110)에 연결된 상태에서 바텀 사이드 하우징(450) 아래에 이너 하우징(460)과 바텀 하우징(430)의 결합체를 연결시키면, 반경 방향으로 이너 하우징(460)과 바텀 사이드 하우징(450) 사이이며,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는 미들 하우징(420)과 바텀 하우징(430) 사이의 공간에 상기 흡기 팬(130)이 위치하게 된다.
도 10 을 참조하여, 본체 장치(10)의 냉각수 순환 모듈(600)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냉각수 순환 모듈(600)은 냉각수가 주입되는 주입관(610),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배출관(620)을 갖는다. 주입관(610)과 배출관(620)은 각각 소정의 분기부(K)를 가져서, 어퍼 사이드 하우징(440)의 제1 냉각수 순환 공간(630), 바텀 사이드 하우징의 제2 냉각수 순환 공간(640), 및 이너 하우징(460)의 제3 냉각수 순환 공간(650)으로 각각 주입되어 순환되도록 하고, 순환된 냉각수가 집합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수 순환 모듈(600)이 마련됨으로써, 고속 회전하는 장치 내의 마찰열이 냉각되므로 축열로 인한 폭발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 장치(10)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력 장치(2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으면 로터부(200)가 회전한다. 이때, 로터부(200)의 회전은 약 3500 RPM 의 고속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 의 화살표 A 와 같이 상기 투입 장치(30)를 통해 상기 투입구(412)를 통과하여 껍질 분쇄 공간(402) 내로 껍질이 투입되면 로터부(200)의 회전에 의해서 껍질이 원심력을 받는다.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214)와 상기 제1 플레이트(214) 사이의 제1 통과 공간(216)을 갖는 이너 로터(210)에 의해서, 껍질들은 균일하게 외측으로 고속으로 뿌려지게 되며, 이너 스테이터(310)의 제1 커팅 블레이드(316)와 충돌하여 제1 커팅 블레이드(316)의 날부에 의해서 1차 분쇄된다. 이때, 이너 로터(210)에 마련된 제1 플레이트(214)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라인과 제1 사이각을 가져서 공기 저항을 줄이면서 상기 제1 커팅 블레이드(316)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부드러우면서 고속으로 껍질을 뿌려줄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사용량이 절감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껍질들은 제1 커팅 블레이드(316) 사이의 커팅 공간을 통과하며, 다시 아우터 로터(220)에 의해서 원심력을 받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뿌려지게 된다. 제2 플레이트(224)와 제2 플레이트(224) 사이의 제2 통과 공간(226)을 갖는 아우터 로터(220)를 지나면서 다시 껍질들은 균일하게 외측으로 퍼져서 이동하며, 아우터 스테이터(320)의 제2 커팅 블레이드와 충돌하여 제2 커팅 블레이드의 날부에 의해서 2 차 분쇄된다. 이때, 아우터 로터(220)에 마련된 제2 플레이트(224)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라인과 제2 사이각을 가지므로 공기 저항을 줄이면서 상기 제2 커팅 블레이드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부드러우면서 고속으로 껍질을 뿌려줄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커팅 블레이드에 충돌한 후, 커팅 블레이드 사이의 커팅 공간을 지날 때, 상기 커팅 공간의 폭은 3~5 mm 로서 껍질의 통과가 속도를 유지하며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샤프트(110) 하부에 위치한 흡기 팬(130)이 회전하여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흡기를 발생시키므로, 껍질의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흡기에 의해서 가속되어 스테이터부(300)의 제1 커팅 블레이드(316) 및 제2 커팅 블레이드와 빠른 속도로 부딪히게 되어 충격이 극대화되며 더욱 효과적인 껍질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때 상기 투입 장치(30)에 마련된 소정의 개폐 밸브를 통해 공기 유입량을 조절함으로써, 유속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과정은 도 2 의 화살표 B 와 같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분쇄된 곡물 껍질은 상기 회전 베이스(120)와 미들 하우징(420) 사이의 통로를 통해서 화살표 C 와 같이 아래로 이동한다. 즉, 미들 하우징(420)과 바텀 하우징(430) 사이의 배출 공간(406)으로 이동한다.
상기 통로(404)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하부 통로(404B)를 지나게 되는데, 이때, 회전 베이스(120)에 마련된 제1 치부(124)와 미들 하우징(420)의 내경부(422)에 마련된 제2 치부(426) 사이를 지나되, 상기 제1 치부(124)는 회전 베이스(120)와 함께 회전하므로, 분쇄된 곡물 껍질에 대해서 3 차 분쇄가 이루어지며, 분쇄된 곡물 껍질은 일 부분에 치우침이 없이 둘레 방향에 걸쳐서 고르게 퍼져서 막힘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중심축 RC 에 대한 제1 치부(124)의 경사 방향과 제2 치부(426)의 경사 방향은 서로 반대이거나, 또는 같을 수 있다.
배출 공간(406) 내로 이동된 껍질은 화살표 D 와 같이 전달 장치(50)를 거쳐서 반출 장치(60)로 이동하게 된다. 반출 장치(60)로 이동된 껍질은 소정의 반출 과정을 거쳐서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껍질 분쇄 장치는 껍질이 1 차, 2 차, 및 3 차 분쇄 과정을 거치므로 보다 효과적인 껍질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껍질 분쇄 공간(402) 아래의 흡기 팬(130)에 의해서 껍질의 이동이 가속되므로, 껍질 분쇄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기 팬(130)은 로터를 회전시키는 샤프트(110)와 일체로 구성되어 회전하므로 별도의 흡기 장치, 이송 장치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 및 비용 면에서 더욱 경제적이다. 아울러, 회전 베이스(120)와 미들 하우징(420) 사이의 제1 치부(124) 및 제2 치부(426)는 껍질의 일 부분 치우침 및 그로 인한 막힘(block)을 방지하여 360° 방향으로 균일한 흐름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순환 모듈(600)이 구비되어 고속 회전하는 장치 내의 마찰열이 냉각되므로 축열로 인한 폭발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는 특히 옥수수의 껍질인 옥피의 분쇄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종래의 옥피 분쇄는 옥피 분쇄에 특화된 기계가 없어서 효율이 떨어지며, 여러 대의 껍질 분쇄 장치를 거쳐야 할 필요가 있어서 껍질 분쇄에 큰 비용이 소모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껍질 분쇄 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팅 블레이드 사이에 옥피 분쇄에 적절한 3~5mm 의 폭의 간격을 가짐으로써, 옥수수의 껍질을 매우 효과적으로 분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본체 장치
20: 동력 장치
22: 벨트
30: 투입 장치
40: 배출 장치
50: 전달 장치
60: 반출 장치
100: 축부
110: 샤프트
120: 회전 베이스
122: 제1 경사면
124: 제1 치부
130: 흡기 팬
132: 상판
134: 하판
136: 회전 드럼
138: 팬 날개
200: 로터부
210: 이너 로터
212: 제1 상단 링
214: 제1 플레이트
216: 제1 통과 공간
220: 아우터 로터
222: 제2 상단 링
224: 제2 플레이트
226: 제2 통과 공간
230: 제1 내삽 공간
240: 로터 베이스
300: 스테이터부
310: 이너 스테이터
312: 스테이터 링
314: 커팅 공간
316: 커팅 블레이트
320: 아우터 스테이터
330: 제2 내삽 공간
340: 스테이터 베이스
400: 하우징
402: 껍질 분쇄 공간
404: 통로
404A: 상부 통로
404B: 하부 통로
406: 배출 공간
410: 어퍼 하우징
412: 투입구
420: 미들 하우징
421: 외경부
422: 내경부
424: 제2 경사면
426: 제2 치부
430: 바텀 하우징
440: 어퍼 사이드 하우징
442: 제1 아우터 드럼
444: 제1 이너 드럼
450: 바텀 사이드 하우징
452: 제2 아우터 드럼
454: 제2 이너 드럼
460: 이너 하우징
462: 제3 아우터 드럼
464: 제3 이너 드럼
600: 냉각수 순환 모듈
610: 주입관
620: 배출관
630: 제1 냉각수 순환 공간
640: 제2 냉각수 순환 공간
650: 제3 냉각수 순환 공간

Claims (6)

  1. 껍질 분쇄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동력 장치와 연결되며 소정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축부;
    상기 축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원통형의 로터부;
    위치 고정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경 방향으로 상기 로터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통형의 스테이터부; 및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축부는,
    회전축을 구성하며 동력 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며 위로부터 껍질이 투입될 수 있는 원판형의 회전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부는 상기 회전 베이스 상에 고정되되,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반경을 갖는 이너 로터, 상기 제1 반경보다 큰 제2 반경을 갖는 아우터 로터, 및 상기 이너 로터와 상기 아우터 로터 사이에 형성된 제1 내삽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로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통과 공간을 갖고, 상기 아우터 로터는 복수 개의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통과 공간을 가지며,
    상기 스테이터부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3 반경을 가지며 상기 제1 내삽 공간 내에 위치하는 이너 스테이터, 및 제4 반경을 가지며 상기 아우터 로터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스테이터를 포함하되
    상기 이너 스테이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커팅 블레이드, 및 상기 제1 커팅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커팅 공간을 갖고,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커팅 블레이드, 및 상기 제2 커팅 블레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커팅 공간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로터부 및 상기 스테이터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밑면이 상기 스테이터부의 상면과 연결되는 어퍼 하우징,
    상기 어퍼 하우징의 외측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아우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어퍼 사이드 하우징, 및
    상기 어퍼 사이드 하우징의 하면에 연결되되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회전 베이스의 외측의 밑면에 소정의 상하 간격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대면하게 배치되도록 원환 형태를 갖는 미들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베이스의 외측 하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1 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하우징의 상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제2 치부가 형성되는 껍질 분쇄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지나는 직경 방향에 대해서 40° 내지 80° 의 사이각을 갖고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껍질 분쇄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회전 베이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와 동축으로 구성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기 회전 베이스 상부의 공기를 하방향으로 흡기하는 흡기 팬을 포함하는 껍질 분쇄 장치.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미들 하우징의 외측 하면에 연결되며 상기 흡기 팬의 외측에 배치되는 원통형의 바텀 사이드 하우징,
    상기 바텀 사이드 하우징의 하면에 연결되되 반경 방향 중심부에 내공간을 갖는 바텀 하우징, 및
    상기 바텀 하우징의 내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가 통과할 수 있는 축공을 갖는 이너 하우징을 포함하는 껍질 분쇄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냉각수 순환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어퍼 사이드 하우징은,
    상기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이너 드럼, 및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너 드럼과 소정의 간격을 갖는 제1 아우터 드럼을 포함하여 이중 드럼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이너 드럼과 상기 제1 아우터 드럼 사이에 냉각수가 충진되어 순환될 수 있는 제1 냉각수 순환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냉각수 순환 모듈은 상기 제1 냉각수 순환 공간에 냉각수를 주입할 수 있는 주입관, 및 상기 냉각수 순환 공간으로부터 냉각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껍질 분쇄 장치.
KR1020160105580A 2016-08-19 2016-08-19 곡물 껍질 분쇄 장치 KR101898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580A KR101898232B1 (ko) 2016-08-19 2016-08-19 곡물 껍질 분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580A KR101898232B1 (ko) 2016-08-19 2016-08-19 곡물 껍질 분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46A KR20180020746A (ko) 2018-02-28
KR101898232B1 true KR101898232B1 (ko) 2018-10-04

Family

ID=6140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580A KR101898232B1 (ko) 2016-08-19 2016-08-19 곡물 껍질 분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2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701A (ja) * 2003-12-22 2005-07-07 Mizuho Kogyo Kk 二段式ホモジナイザ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701A (ja) * 2003-12-22 2005-07-07 Mizuho Kogyo Kk 二段式ホモジナイザ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46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892B2 (en) Conical-shaped impact mill
KR101596908B1 (ko) 정미기용 절삭 링 조립체
US7900860B2 (en) Conical-shaped impact mill
CN107755050A (zh) 一种用于中药材制备的粉碎研磨一体机
KR101483762B1 (ko) 정미기
KR101703438B1 (ko) 농산물 분쇄장치
CN206661319U (zh) 一种卧式锤片式饲料粉碎机
KR101147934B1 (ko) 수직형 분쇄기
JP5681754B2 (ja) 粉砕機
US3640475A (en) Apparatus for breaking up lumpy material
CN206911432U (zh) 中药材磨碎机
US5544820A (en) Clear-trajectory rotary-driven impact comminuter
KR101898232B1 (ko) 곡물 껍질 분쇄 장치
RU2620652C1 (ru) Дезинтегратор
CN108687838B (zh) 一种中药材烘干切片一体机
US1621409A (en) Manufacture of cocoa, chocolate, and the like
CN104399604B (zh) 一种离心机的布料装置
KR101907137B1 (ko) 곡물분쇄기의 내부분쇄망 및 분쇄칼날 구조
CN105149061A (zh) 一种粉碎机
US8893996B1 (en) Mill
JP2017202438A (ja) 縦型ミル
US2582509A (en) Centrifugal impact miller for cereals
KR101256168B1 (ko)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CN105581347A (zh) 芒果打浆机用送料机构
US1380023A (en) Nut-crac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