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168B1 -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 Google Patents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168B1
KR101256168B1 KR1020120139970A KR20120139970A KR101256168B1 KR 101256168 B1 KR101256168 B1 KR 101256168B1 KR 1020120139970 A KR1020120139970 A KR 1020120139970A KR 20120139970 A KR20120139970 A KR 20120139970A KR 101256168 B1 KR101256168 B1 KR 10125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c
rotor
discharge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텍
Priority to KR1020120139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168B1/ko
Priority to JP2013072815A priority patent/JP5521076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one or a few disintegrating members arrang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4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에 의해 분산 분쇄된 원료의 미립자를 배출시키되, 특히 원형으로 세워진 블레이드들과 방사상으로 눕혀진 블레이드들을 통해 미립자 선별 및 배출 성능을 향상시킨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는, 내부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는 상부 측 원료 공급부, 그리고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는 하부 측 미립자 배출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수용부에 배열되고, 원료 분산 및 분쇄를 위한 로터; 상기 로터를 위한 회전구동유닛; 및 상기 바디의 배출부 측에 배열되어 상기 로터에 의해 분쇄된 일정 입도 이하의 미립자만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케 하기 위한 소트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소트유닛은 상기 바디의 수용부에서 상기 배출부 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중심홀을 갖는 장착체, 상기 장착체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탑홀을 갖는 탑디스크, 상기 탑디스크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바텀홀을 갖는 바텀디스크, 상기 탑 및 바텀 디스크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체, 상기 탑디스크의 탑홀 하부 주변 둘레를 따라 일단부(一端部)가 지지되고 상기 바텀디스크의 바텀홀 상부 주변 둘레를 따라 타단부(他端部)가 지지되며 미립자 배출을 위한 사이공간부를 갖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블레이드,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 고정용 홀딩수단, 상기 바텀디스크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에 방사상(放射狀) 배열되는 다수의 상하 관통형 탑유통홀을 갖는 탑서포트, 상기 탑서포트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 둘레를 따라 하방 요입되는 환형(環形)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에 상기 각 탑유통홀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상하 관통형 바텀유통홀을 갖는 바텀서포트, 그리고 측부에 요입형 틈새공간부를 갖고 상기 바텀서포트의 리세스에 방사상으로 상호 밀착 배열되며 상기 탑서포트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수평블레이드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A DISPERSION MILL}
본 발명은 투입된 원료를 미립화 하되, 별도의 소트유닛을 더 마련하고, 이 소트유닛에 의해 일정 입도 이하의 크기로 미립화 된 미립자만을 하부 배출부 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에 관한 기술이다.
가공원료를 미립화하기 위한 분산 분쇄기에 관한 기술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42763호(2008.12.02.등록,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분산분쇄기용 임펠러』가 제시되어 있는바,
상기 선행기술은 모터에 연결되고 분쇄실린더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의 상측에 위치하여 고정 설치되고 분쇄실린더의 본체 내 최상단에 설치되며, 원판구조의 상부디스크 및 하부 디스크와 상기 상부디스크와 하부디스크 사이의 외곽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로 사선 배치되는 다수의 날개가 구비되며, 상기 날개의 배치에 의해 가공원료의 미립자를 유입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측공이 자연 형성되는 분산분쇄기용 임펠러에 있어서, 상기 상부디스크의 하면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하향 경사지는 하향구배면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하부디스크의 상면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는 상향구배면으로 형성되게 하여 분쇄실린더 내에 투입된 가공원료 분쇄용 볼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터의 회전력을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전달하여 분쇄실린더의 본체 내부 중앙에 설치된 회전축을 회전시켜 가공원료를 분쇄 및 분사하고, 분쇄 분산되는 가공원료의 미립자를 임펠러의 원심력에 의해 상승시켜 분리 배출하는 구조로서,
본 출원인은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 미립화 및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산 분쇄기를 개발하게 되었는데, 그 주 내용은 가공원료를 상부에서 투입한 후, 로터에 의해 분쇄 분산된 미립자를 하부 배출부 측으로 배출하되, 배출부 측에 설치한 소트유닛을 통해 일정 입도 이하 크기로 미립화 된 미립자만을 사방 및 하방으로 분산 낙하시켜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건식 분산 분쇄기에 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로터에 의해 분산 분쇄된 원료의 미립자가 낙하된 후, 소트유닛에 의해 일정 입도 이하의 크기로 미립화 된 미립자만을 배출부 측으로 안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는,
내부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는 상부 측 원료 공급부, 그리고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는 하부 측 미립자 배출부를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수용부에 배열되고, 원료 분산 및 분쇄를 위한 로터;
상기 로터를 위한 회전구동유닛; 및
상기 바디의 배출부 측에 배열되어 상기 로터에 의해 분쇄된 일정 입도 이하의 미립자만을 상기 배출부로 배출케 하기 위한 소트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소트유닛은
상기 바디의 수용부에서 상기 배출부 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중심홀을 갖는 장착체,
상기 장착체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탑홀을 갖는 탑디스크,
상기 탑디스크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바텀홀을 갖는 바텀디스크,
상기 탑 및 바텀 디스크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체,
상기 탑디스크의 탑홀 하부 주변 둘레를 따라 일단부(一端部)가 지지되고 상기 바텀디스크의 바텀홀 상부 주변 둘레를 따라 타단부(他端部)가 지지되며 미립자 배출을 위한 사이공간부를 갖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블레이드,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 고정용 홀딩수단,
상기 바텀디스크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에 방사상(放射狀) 배열되는 다수의 상하 관통형 탑유통홀을 갖는 탑서포트,
상기 탑서포트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 둘레를 따라 하방 요입되는 환형(環形)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에 상기 각 탑유통홀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상하 관통형 바텀유통홀을 갖는 바텀서포트, 그리고
측부에 요입형 틈새공간부를 갖고 상기 바텀서포트의 리세스에 방사상으로 상호 밀착 배열되며 상기 탑서포트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수평블레이드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탑디스크의 탑홀 하부 주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도브테일(dovetail)형 탑끼움공간부,
상기 바텀디스크의 바텀홀 상부 주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되 상기 각 탑끼움공간부와 대응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도브테일형 바텀끼움공간부, 그리고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두 도브테일형 끼움돌기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탑디스크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를 감싸 고정하는 탑홀딩링과, 상기 바텀디스크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를 감싸 고정하는 바텀홀딩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바디는 상하 분반(分半)된 탑바디와 바텀바디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텀바디의 하부에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텀바디 측 수용부에 상기 소트유닛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는,
로터를 감싸는 용기인 바디 내부에 별도의 소트유닛을 마련하고, 이 소트유닛을 통해 특정 크기의 미립자만을 배출시키며, 특히 로터 외에 수평 및 수직형 두 블레이드를 더 마련하여 이를 통해 원료의 미립화 성능을 높이면서 미립자의 사방 및 하방 배출 공간을 확보하고, 또한 블레이드 간의 설치 간격을 조절해 원하는 특정 크기로 미립화 한 후 배출시킬 수 있는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분쇄기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분쇄기의 소트유닛을 나타낸 결합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입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입체 구성도,
도 6은 소트유닛의 탑 및 바텀서포트와 수평블레이드를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7은 소트유닛의 탑디스크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8은 소트유닛의 수평블레이드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9는 소트유닛의 바텀디스크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을 기준으로 탑바디 측을 상부 또는 상방, 바텀바디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는,
크게 바디(10), 로터(20), 회전구동유닛(30) 및 소트유닛(40)으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바디(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용부(11),
상기 수용부(11)와 연결되는 상부 측 원료 공급부(12), 그리고
상기 수용부(11)와 연결되는 하부 측 미립자 배출부(13)
를 포함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디(10)는 상하로 분반(分半)된 탑바디(10A)와 바텀바디(10B)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탑바디(10A) 상부에 상기 공급부(12)가 배열되고,
상기 바텀바디(10B) 하부에 상기 배출부(13)가 배열되며,
상기 바텀바디(10B) 측 수용부(11)에 상기 소트유닛(40)이 배치되고,
상기 탑 및 바텀 바디(10A, 10B)는 클램핑수단(미도시)에 의해서 상호 조립된다.
일 예의 클램핑수단은 상기 탑바디(10A) 하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탑플랜지와, 상기 바텀바디(10B) 상단부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바텀플랜지와, 상기 탑 및 바텀 플랜지를 잡고 있기 위한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의 잡고 있는 동작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 등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상기 탑 및 바텀 바디(10A, 10B)의 상호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건을 충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상기 로터(20)의 회전 동작에 의한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쿨링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쿨링수단(14)은 상기 탑 및 바텀 바디(10A, 10B) 각각의 외벽 내에 형성되는 냉각수 순환로(141)와, 상기 순환로(141)에 연결되는 냉각수 입구 및 출구(142, 143)와, 상기 입구 및 출구(142, 143)에 연결되는 냉각수 순환장치(미도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텀바디(10B)의 상단 둘레에는 하방 요입된 환형(環形) 바디단턱부(15)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바디단턱부(15)에는 후술할 장착체(41)가 안착된다.
로터(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수용부(11)에 배열되어 상기 공급부(12)로 투입된 원료를 분산 및 분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디(10)의 수용부(11)에 세워지는 형태로 수용되는 로터축(21), 그리고
상기 로터축(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로터핀(2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로터핀(22)의 배치 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로터축(21)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 두 로터핀(22)이 설치되되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자 형태가 되게 설치되고,
또 상기 로터축(21)에서 상기 두 로터핀(22) 상부 측의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 또 다른 두 로터핀(22)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자 형태가 되게 설치되는데,
이때 하부 두 로터핀(22)과 상부 두 로터핀(22)이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십자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하부 두 로터핀(22)과 상부 두 로터핀(22)이 서로 엇갈리게 상기 로터축(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이다.
회전구동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터(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축(31)을 갖는 구동모터(32),
상기 구동축(31)에 결합되는 구동풀리(33),
상기 로터(20)의 로터축(21) 상부에 결합되는 종동풀리(34), 그리고
상기 구동 및 종동 풀리(33, 34)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3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소트유닛(40)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배출부(13) 측에 배열되어 상기 로터(20)에 의해 분쇄된 일정 입도 이하의 미립자만을 상기 배출부(13)로 배출케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디(10)의 수용부(11)에서 상기 배출부(13) 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중심홀(411)을 갖는 장착체(41),
상기 장착체(41)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탑홀(421)을 갖는 탑디스크(42),
상기 탑디스크(42)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바텀홀(431)을 갖는 바텀디스크(43),
상기 탑 및 바텀 디스크(42, 43)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체(44),
상기 탑디스크(42)의 탑홀(421) 하부 주변 둘레를 따라 일단부가 지지되고 상기 바텀디스크(43)의 바텀홀(431) 상부 주변 둘레를 따라 타단부가 지지되며 미립자 배출을 위한 사이공간부(S1)을 갖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블레이드(45),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45) 고정용 홀딩수단,
상기 바텀디스크(43)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에 방사상(放射狀) 배열되는 다수의 상하 관통형 탑유통홀(471)을 갖는 탑서포트(47),
상기 탑서포트(47)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 둘레를 따라 하방 요입되는 환형(環形) 리세스(recess)(481)와, 상기 리세스(481)에 상기 각 탑유통홀(471)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상하 관통형 바텀유통홀(482)을 갖는 바텀서포트(48), 그리고
측부에 요입형 틈새공간부(S2)를 갖고 상기 바텀서포트(48)의 리세스(481)에 방사상으로 상호 밀착 배열되며 상기 탑서포트(47)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수평블레이드(49)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장착체(41)는 상기 바텀바디(10B)의 바디단턱부(15)에 안착되고, 중심홀(411)로 상기 로터(20)가 지나가게 되며, 중심홀(411) 하부 주변 둘레를 따라 상방 요입형 중심단턱부(4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탑디스크(42)는 상기 장착체(41)의 중심단턱부(412)에 안착되고, 탑홀(421) 상부 둘레를 따라 상방 연장되어 상기 중심홀(411)에 삽입되는 탑끼움부(422)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중계체(44)는 다수의 기둥부재(441)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각 기둥부재(441)는 일단부가 후술할 탑홀딩링(464) 하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타단부가 후술할 바텀홀딩링(465) 상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기둥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각 기둥부재(441)는 상기 탑 및 바텀 홀딩링(464, 465)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도 4, 도 5 및 도 8에서와 같이, 각 수직블레이드(45)는 수직형 막대 구조이되,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45)가 상기 탑 및 바텀 디스크(42, 4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탑홀(421) 측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탑디스크(42)의 탑홀(421) 하부 주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도브테일(dovetail)형 탑끼움공간부(461)와, 상기 바텀디스크(43)의 바텀홀(431) 상부 주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되 상기 각 탑끼움공간부(461)와 대응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도브테일형 바텀끼움공간부(462)와,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45) 상하 단부(端部)에 각각 형성되는 두 도브테일형 끼움돌기부(463)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탑디스크(42)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45)를 감싸 고정하는 탑홀딩링(464)과, 상기 바텀디스크(43)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45)를 감싸 고정하는 바텀홀딩링(46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각 블레이드(45)는 이의 상하 단부에 형성된 두 끼움돌기부(463) 각각이 상기 탑끼움공간부(461)와 상기 바텀끼움공간부(46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탑홀딩링(464)과 상기 바텀홀딩링(465)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탑디스크(42)와 상기 탑홀딩링(464), 그리고 상기 바텀디스크(43)와 상기 바텀홀딩링(465) 각각은 볼트 등에 의해서 상호 조립된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탑서포트(47)는 볼트 등에 의해서 상기 바텀디스크(43) 하부에 결합되는 탑원형링(472)과, 상기 탑원형링(472) 중심에 배치되는 탑원형플레이트(473)과, 상기 탑원형링(472)과 상기 탑원형플레이트(473)를 상호 연결하되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사이사이에 상기 각 탑유통홀(471)이 형성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탑연결부(474)와, 상기 탑원형링(472) 상부 둘레를 따라 상방 연장되어 상기 바텀디스크(43)의 바텀홀(431)에 삽입되는 서포트끼움부(475)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끼움부(475) 상부면은 상기 탑원형플레이트(473) 중심을 향해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분쇄되어 낙하되는 미립자를 상기 각 탑유통홀(471) 측으로 유입되게 안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바텀서포트(48)는 볼트 등에 의해서 상기 탑서포트(47)의 탑원형링(472)에 결합되는 바텀원형링(483)과, 상기 바텀원형링(483) 중심에 배치되는 바텀원형플레이트(484)와, 상기 바텀원형링(483)과 상기 바텀원형플레이트(484)를 상호 연결하되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사이사이에 상기 각 바텀유통홀(482)이 형성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바텀연결부(485)와, 상기 바텀원형링(483)과 상기 바텀원형플레이트(484)의 각 마주하는 내벽 둘레를 따라 하방 요입되게 형성되는 상기 리세스(48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각 수평블레이드(49)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측부에 내측으로 요입된 상기 틈새공간부(S2)가 형성되고, 이러한 각 수평블레이드(49)가 상호 밀착되게 상기 바텀서포트(48)의 리세스(481)에 안착 배열되며, 분쇄되어 낙하되는 미립자가 상기 틈새공간부(S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리세스(481)에 안착된 상기 각 수평블레이드(49)의 내측 단부는 상기 탑서포트(47)의 탑원형플레이트(473)에 의해 지지되고, 또 외측 단부는 상기 탑서포트(47)의 탑원형링(472)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의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바디(10)의 공급부(12)로 투입된 가공원료는 상기 회전구동유닛(3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로터(20)의 로터핀(22)에 의해 분쇄되어 분산된다.
분쇄된 가공원료의 미립자는 낙하되어 상기 소트유닛(40) 측으로 낙하되고, 상기 장착체(41)의 중심홀(411)을 지나 상기 탑디스크(42)의 탑홀(421)로 유입된다.
낙하된 미립자는 상기 로터(20)의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분산되어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45)의 사이공간부(S1)로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사이공간부(S1)의 간격 보다 작은 크기로 미립화 된 미립자만이 통과하게 되고, 통과된 미립자는 낙하되어 상기 바디(10)의 배출부(13) 측으로 배출된다.
아울러 상기 바텀디스크(431)의 바텀홀(431)로 유입된 미립자는 상기 탑서포트(47)의 탑유통홀(471)을 지나 상기 각 수평블레이드(49)의 틈새공간부(S2)로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틈새공간부(S2) 보다 작은 크기로 미립화 된 미립자만이 통과하여 상기 바디(10)의 배출부(13) 측으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
10A : 탑바디 10B : 바텀바디
11 : 수용부 12 : 공급부
13 : 배출부 14 : 쿨링수단
141 : 순환로 142 : 입구
143 : 출구 15 : 바디단턱부
20 : 로터
21 : 로터축 22 : 로터핀
30 : 회전구동유닛
31 : 구동축 32 : 구동모터
33 : 구동풀리 34 : 종동풀리
35 : 벨트
40 : 소트유닛
41 : 장착체 411 : 중심홀
412 : 중심단턱부 42 : 탑디스크
421 : 탑홀 422 : 탑끼움부
43 : 바텀디스크 431 : 바텀홀
44 : 중계체 441 : 기둥부재
45 : 수직블레이드 461 : 탑끼움공간부
462 : 바텀끼움공간부 463 : 끼움돌기부
464 : 탑홀딩링 465 : 바텀홀딩링
47 : 탑서포트 471 : 탑유통홀
472 : 탑원형링 473 : 탑원형플레이트
474 : 탑연결부 475 : 서포트끼움부
48 : 바텀서포트 481 : 리세스
482 : 바텀유통홀 483 : 바텀원형링
484 : 바텀원형플레이트 485 : 바텀연결부
49 : 수평블레이드

Claims (4)

  1. 내부 수용부(11), 상기 수용부(11)와 연결되는 상부 측 원료 공급부(12), 그리고 상기 수용부(11)와 연결되는 하부 측 미립자 배출부(13)를 갖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수용부(11)에 배열되고, 원료 분산 및 분쇄를 위한 로터(20);
    상기 로터(20)를 위한 회전구동유닛(30); 및
    상기 바디(10)의 배출부(13) 측에 배열되어 상기 로터(20)에 의해 분쇄된 일정 입도 이하의 미립자만을 상기 배출부(13)로 배출케 하기 위한 소트유닛(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소트유닛(40)은
    상기 바디(10)의 수용부(11)에서 상기 배출부(13) 측에 설치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중심홀(411)을 갖는 장착체(41),
    상기 장착체(41)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탑홀(421)을 갖는 탑디스크(42),
    상기 탑디스크(42)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내부 중심에 상하 관통형 바텀홀(431)을 갖는 바텀디스크(43),
    상기 탑 및 바텀 디스크(42, 43)를 상호 연결하는 중계체(44),
    상기 탑디스크(42)의 탑홀(421) 하부 주변 둘레를 따라 일단부(一端部)가 지지되고 상기 바텀디스크(43)의 바텀홀(431) 상부 주변 둘레를 따라 타단부(他端部)가 지지되며 미립자 배출을 위한 사이공간부(S1)를 갖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블레이드(45),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45) 고정용 홀딩수단,
    상기 바텀디스크(43)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에 방사상(放射狀) 배열되는 다수의 상하 관통형 탑유통홀(471)을 갖는 탑서포트(47),
    상기 탑서포트(47) 하부에 결합되고 내부 중심 둘레를 따라 하방 요입되는 환형(環形) 리세스(481)와, 상기 리세스(481)에 상기 각 탑유통홀(471)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상하 관통형 바텀유통홀(482)을 갖는 바텀서포트(48), 그리고
    측부에 요입형 틈새공간부(S2)를 갖고 상기 바텀서포트(48)의 리세스(481)에 방사상으로 상호 밀착 배열되며 상기 탑서포트(47)에 의해 고정되는 다수의 수평블레이드(49)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탑디스크(42)의 탑홀(421) 하부 주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도브테일(dovetail)형 탑끼움공간부(461),
    상기 바텀디스크(43)의 바텀홀(431) 상부 주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되 상기 각 탑끼움공간부(461)와 대응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도브테일형 바텀끼움공간부(462), 그리고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45) 상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두 도브테일형 끼움돌기부(463)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수단은 상기 탑디스크(42)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45)를 감싸 고정하는 탑홀딩링(464)과, 상기 바텀디스크(43)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각 수직블레이드(45)를 감싸 고정하는 바텀홀딩링(46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상하 분반(分半)된 탑바디(10A)와 바텀바디(10B)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텀바디(10B)의 하부에 상기 배출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바텀바디(10B) 측 수용부(11)에 상기 소트유닛(4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KR1020120139970A 2012-12-05 2012-12-05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KR10125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70A KR101256168B1 (ko) 2012-12-05 2012-12-05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JP2013072815A JP5521076B1 (ja) 2012-12-05 2013-03-29 加工原料の分散粉砕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970A KR101256168B1 (ko) 2012-12-05 2012-12-05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168B1 true KR101256168B1 (ko) 2013-04-19

Family

ID=48443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970A KR101256168B1 (ko) 2012-12-05 2012-12-05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21076B1 (ko)
KR (1) KR1012561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5615A (zh) * 2022-03-11 2022-05-20 德清亮彩塑粉有限公司 一种环保热固性粉末涂料加工用定量投料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5403A (zh) * 2018-03-09 2018-08-24 河钢股份有限公司承德分公司 一种磨机研磨体清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4846B2 (ja) 2000-10-23 2005-03-30 株式会社ホーライ 回転式粉砕機
KR200442763Y1 (ko) 2007-05-29 2008-12-10 주식회사 디엔텍 분산분쇄기용 임펠러
KR20090110150A (ko) * 2008-04-17 2009-10-21 유니원기연(주)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KR20100087905A (ko) * 2009-01-29 2010-08-06 주식회사 디엔텍 이중분리구조를 갖는 분산분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0879B2 (ja) * 1995-11-13 2004-02-23 東レ株式会社 粉砕機、粉砕方法、耐摩耗スクリーン、スリット及び部材
KR100901429B1 (ko) * 2007-07-16 2009-06-05 나노인텍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분산을 위한 막힘 방지 기능을 가진 분쇄 및분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4846B2 (ja) 2000-10-23 2005-03-30 株式会社ホーライ 回転式粉砕機
KR200442763Y1 (ko) 2007-05-29 2008-12-10 주식회사 디엔텍 분산분쇄기용 임펠러
KR20090110150A (ko) * 2008-04-17 2009-10-21 유니원기연(주) 비드 분산밀의 분할타입 스크린
KR20100087905A (ko) * 2009-01-29 2010-08-06 주식회사 디엔텍 이중분리구조를 갖는 분산분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15615A (zh) * 2022-03-11 2022-05-20 德清亮彩塑粉有限公司 一种环保热固性粉末涂料加工用定量投料设备
CN114515615B (zh) * 2022-03-11 2023-08-25 德清亮彩塑粉有限公司 一种环保热固性粉末涂料加工用定量投料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21076B1 (ja) 2014-06-11
JP2014111249A (ja)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0133B2 (en) Apparatus for comminuting material having a cool air channel
US8820535B2 (en) Classifier with variable entry ports
JP2012518525A (ja) 攪拌ボールミル
KR101537053B1 (ko) 수평 배치형 건식 분산 분쇄기
KR101256168B1 (ko) 가공원료의 미립자 배출 성능 향상형 분산 분쇄기
RU2620652C1 (ru) Дезинтегратор
US4477028A (en) Comminuter with coacting discharge screening device
KR200182514Y1 (ko) 분쇄기
KR200438012Y1 (ko) 습식 분쇄 분산기의 미립자 배출장치
KR200442763Y1 (ko) 분산분쇄기용 임펠러
JP2008194592A (ja) 粉砕装置
KR200448700Y1 (ko) 곡물 분쇄기
US1991899A (en) Grinding apparatus
KR20110079130A (ko) 분쇄기
KR101662073B1 (ko) 분쇄용 튜브밀의 스크린 플레이트
KR101372405B1 (ko) 분쇄 분산기 회전축의 엔드캡
US1759134A (en) Pulverizing apparatus
KR20140043998A (ko) 미분체 제조용 수직형 분산 분쇄장치
RU2739620C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дисковый измельчитель
KR102000091B1 (ko) 분쇄 디스크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분쇄 장치
RU2628798C1 (ru) Дезинтегратор
US1735985A (en) Pulverizer
RU2556072C1 (ru) Дезинтегратор
RU172612U1 (ru) Дезинтегратор
JP2553933B2 (ja) 遠心流動粉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