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934B1 - 수직형 분쇄기 - Google Patents
수직형 분쇄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7934B1 KR101147934B1 KR1020100064614A KR20100064614A KR101147934B1 KR 101147934 B1 KR101147934 B1 KR 101147934B1 KR 1020100064614 A KR1020100064614 A KR 1020100064614A KR 20100064614 A KR20100064614 A KR 20100064614A KR 101147934 B1 KR101147934 B1 KR 1011479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nding
- cover
- food material
- grinder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0—Mills in which a friction block is towed along the surface of a cylindrical or annular memb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이 설치되도록 회전축 설치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며 적어도 두 개의 그라인딩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식재료를 다단으로 분쇄하는 그라인딩부 및 상기 그라인딩부에서 분쇄된 식재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발명은 식재료를 분쇄하는 그라인딩부를 수직으로 설치함에 따라 그라인딩부가 수평으로 설치될 때보다 그라인더의 원심력이 증대되어 식재료의 분쇄효율이 증대되고, 그라인딩부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금속재질에 의해 파괴되는 식재료의 영양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발명은 식재료를 분쇄하는 그라인딩부를 수직으로 설치함에 따라 그라인딩부가 수평으로 설치될 때보다 그라인더의 원심력이 증대되어 식재료의 분쇄효율이 증대되고, 그라인딩부가 비금속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금속재질에 의해 파괴되는 식재료의 영양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재료를 분쇄하는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식재료를 분쇄하는 그라인더들을 수직형으로 형성하여 다단으로 분쇄되도록 하되, 그라인더들을 비금속으로 형성하여 식재료가 분쇄될 때 금속성분에 의해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직형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 고추 등과 같은 곡물류 등의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로서는 절구와 맷돌과 같은 전통적인 도구들이 사용되었다. 절구는 절구통 안에 피분쇄물을 넣고 절구공이를 이용하여 위아래로 내리치는 반복적인 동작에 피분쇄물을 찧거나 빻아서 분쇄하는 것이며, 맷돌은 상하측에 각각 회전하는 맷돌과 고정된 맷돌을 배치하여 상측 맷돌에 형성된 구멍으로 피분쇄물을 넣고 손잡이를 돌림으로써 상하측 맷돌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절구와 맷돌은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힘들 필요할 뿐만 아니라, 분쇄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전통도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자동식 모터의 회전력으로 고속회전하면서 회전마찰력에 의해 피분쇄물을 분쇄하는 자동식 분쇄장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고속회전하면서 회전마찰력에 의해 피분쇄물을 분쇄하도록 이루어진다.
자동식 분쇄장치는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제조되어 식재료들이 분쇄될 때 원심분리의 효율이 떨어져 생산량이 크게 떨어지고, 분쇄된 식재료의 입자도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식재료로부터 그 즙을 얻고자 할 경우, 그 입자가 즙을 얻을 수 있는 만큼 분쇄되거나 식재료에 가해지는 압력이 충분하지 않아 식재료를 분쇄할 수는 있으나 그 즙을 얻기가 용이하지 않아 즙을 얻고자 할 경우, 분쇄기와 별도로 녹즙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식재료를 분쇄하는 그라인더가 금속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라인더의 금속성분에 의해 식재료의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으로 설치된 그라인더에 의해 식재료를 분쇄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재료가 여러 단계에 걸쳐 분쇄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라인더에 의해 그라인딩 된 식재료가 압력차에 의해 수용부로 이동되되, 이동되는 과정에서 그라인딩 된 식재료에 마찰력이 가해지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라인딩된 식재료가 수용부로 이송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재료를 그라인딩 하는 두 개의 그라인더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그라인더의 회전을 유연하게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재료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 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쇄된 식재료를 걸러내어 배출하고, 걸러진 알갱이를 별도로 배출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쇄된 식재료를 분리하지 않고 일측으로만 배출되도록 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직형 분쇄기는 하부에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이 설치되도록 회전축 설치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며 적어도 두 개의 그라인딩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식재료를 다단으로 분쇄하는 그라인딩부 및 상기 그라인딩부에서 분쇄된 식재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라인딩부는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측으로 돌출된 제1분쇄날과,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2분쇄날과 제3분쇄날이 형성된 다수의 그라인더가 상기 제1분쇄날의 하측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3분쇄날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그라인딩부재와, 하측에 상기 제1그라인딩부재와 반대로 회전되도록 회전수단이 구비되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상기 제1그라인딩부재의 제3분쇄날과 접하도록 다수의 제4분쇄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분쇄날 내지 제4분쇄날에서 분쇄된 식재료가 수용되도록 상기 원통형 몸에의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수용부면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면은 상기 원통형 몸체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면의 외측에는 상기 수용부면과 연장되게 상기 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커버면이 형성된 제2그라인딩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에는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면에 하측으로 갈수록 그 홈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압력홈 및 상기 커버면의 상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빗살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외면을 감싸되, 측면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분쇄날과 제4분쇄날에 의해 그라인딩된 식재료가 이동하면서 상기 압력홈과 상기 수용부면 및 상기 빗살홈과 충돌하여 마찰을 일으키도록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상면을 커버하되, 그 에지부는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커버면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이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그라인더 커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그라인딩부재의 제3분쇄날은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제4분쇄날과 접하되, 그 단부가 소정각도로 꺽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되되, 상면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 삽입구 및 종동기어 설치축이 형성되며,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하측 단부가 안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기 회전축 삽입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종동기어 설치축에 삽입설치된 종동기어 및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게 형성된 내접기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 사이에는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단부와 측면을 커버하는 베어링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는 상기 베어링 부재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안착된 보조고정링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라인딩부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그라인더 커버와 상기 제2그라인딩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쉬부재에 걸린 식재로 알갱이를 긁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부재에 걸린 식재료 알갱이들을 인입시키는 인입홀 그리고, 상기 인입홀을 통해 인입된 식재료 알갱이들을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메쉬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가 설치되는 위치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고정링 및 상기 그라인더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쉬부재에 의해 식재료 알갱이가 걸러진 식재료를 배출시키는 배출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그라인더 커버와 상기 제2그라인딩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식재료가 상기 그라인더 커버와 상기 제2그라인딩 부재 사이의 상부공간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심력을 증대시키는 폐쇄링부재 및 상기 배출구 대신 상기 폐쇄링부재의 상측에 설치되어 분쇄된 식재료가 상기 그라인더 커버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마개가 형성된 폐쇄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재료를 분쇄하는 그라인딩부를 수직으로 설치함에 따라 그라인딩부가 수평으로 설치될 때보다 그라인더의 원심력이 증대되어 식재료의 분쇄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그라인딩부재에서 1,2차 분쇄가 발생하고, 제1,2그라인딩부재가 접하면서 3차 분쇄가 발생하며, 분쇄된 식재료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충돌에 의한 분쇄가 더 일어남에 따라, 식재료가 다단으로 분쇄되어 식재료의 분쇄입자가 작고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그라인딩부재가 하나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구동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제1,2그라인딩부재가 서로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원심력이 증대되어 식재료의 분쇄작업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설치되는 고정판과 종동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그라인더 커버 사이에 베어링 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서로 반대로 회전하는 제1,2그라인더의 회전이 유연해짐은 물론, 고정판과 베어링 부재의 마찰력을 줄여 소음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그라인딩부재의 제3분쇄날이 ㄱ자로 꺽이도록 형성됨에 따라 분쇄된 식재료를 가압하여 압력홈으로 인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료와 접촉되는 그라인딩부를 비금속 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금속그라인더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식재료가 분쇄되는 과정에서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된 식재료를 원심력에 의해 메쉬부재로 걸러내어 배출하거나 메쉬부재에 걸러진 알갱이를 분리하여 배출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분쇄기로 식재료를 분쇄하거나, 식재료의 즙을 짜는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쇄된 식재료를 걸러낼 필요가 없을 경우, 메쉬부재 대신 매쉬부재가 삽입되던 위치의 틈을 폐쇄하는 폐쇄링부재가 설치되고, 배출구 대신 식재료가 배출구로 배출되는 배출개구를 폐쇄하도록 폐쇄구가 설치됨에 따라 분쇄된 식재료를 하나의 통로로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일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의 제1그라인딩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일부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의 배출구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의 폐쇄구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일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의 제1그라인딩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일부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의 배출구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의 폐쇄구 배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직형 분쇄기(1)는 식재료를 분쇄하는 그라인딩부(30)가 수직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구동부(도시 생략)가 설치된 본체(10)와, 본체(10)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식재료를 분쇄하는 그라인딩부(30) 및 그라인딩부(30)에서 분쇄된 식재료를 배출하는 배출부(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판으로 형성되어 상측에 후술될 그라인딩부(30)가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측에 구동부가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이 설치되도록 회전축 설치구(11)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에는 외측에 본체(10)의 외면을 감싸되, 상측이 개방되도록 개구(20a)가 형성된 하우징(20)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일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의 제1그라인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일부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인딩부(30)는 본체(10)의 회전축 설치구(11)에 설치된 회전축(13)에 의해 회전하는 제1그라인딩부재(31)와, 상측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제1그라인딩부재(31)와 접하면서 식재료를 분쇄하는 제2그라인딩부재(33)가 수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2그라인딩부재(31,33)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식재료를 분쇄하는 과정에서 금속재질로 형성되었을 때보다 식재료의 영양소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그라인딩부재(31)는 회전축(13)의 상단에 설치되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축(13)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서, 상부는 상측으로 돌출되며 십자형으로 형성된 제1분쇄날(31a)이 마련되고, 제1분쇄날(31a)의 하측에는 제1분쇄날(31a)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제1분쇄날(31a)과 수직을 이루도록 다수개의 그라인더가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그라인더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제2분쇄날(31b)과 제3분쇄날(31c)로서, 식재료와 접하여 식재료를 분쇄하는 면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제3분쇄날(31c)은 제2분쇄날(31b)보다 더욱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특히, 제3분쇄날(31c)은 소정의 각도를 갖도륵 ㄱ자로 꺽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그라인딩부재(33)는 회전축(13)에 삽입되되, 별도로 구비된 회전수단에 의해 제1그라인딩부재(3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몸체(35)의 상면에 제3분쇄날(31c)과 대응되게 방사형으로 배치된 제4분쇄날(33a)이 형성되어 제1,2그라인딩부재(31,33)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3분쇄날(31c)과 제4분쇄날(33a)이 접하면서 가위와 같은 원리로 식재료가 분쇄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식재료는 제1그라인딩부재(31)의 제1분쇄날(31a)에 의해 1차 분쇄가 일어난다. 즉, 큰 크기의 야채가 회전하는 제1분쇄날(31a)에 의해 작은 크기로 조각이 나면서 제1분쇄날(31a)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된 제2분쇄날(31b) 및 제3분쇄날(31c) 쪽으로 인입된다.
그러면, 일측으로 회전하는 제3분쇄날(31c)과 타측으로 회전하는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제4분쇄날(33a)에 의해 2차분쇄가 일어난다. 이때, 제2분쇄날(31b)은 제3분쇄날(31c)의 반대 측에서 2차분쇄된 식재료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할 때 식재료와 접하면서 식재료가 3차분쇄가 진행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제4분쇄날(33a)의 하측 즉, 원통형 몸체(35)의 외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얕아지도록 압력홈(35a)이 형성된다. 압력홈(35a)은 제1그라인딩부재(31)의 제1,2,3분쇄날(31a,31b,31c)과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제4분쇄날(33a)이 회전하면서 분쇄된 식재료가 원심력에 의해 제2그라인딩부재(33)의 몸체(35) 외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3분쇄날(31c)의 ㄱ자 꺽임부분은 제1,2그라인딩부재(31,33)에 의해 분쇄된 식재료가 제2그라인딩부재(33)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압력홈(35a)으로 삽입되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면, 압력홈(35a)은 원통형 몸체(35)의 하측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얕게 형성됨에 따라, 원통형 몸체(35)가 회전하면, 그 상측과 하측에서 발생하는 압력차이에 의해 분쇄된 식재료가 나선형으로 형성된 압력홈(35a)을 따라 원통형 몸체(35)의 하측으로 빠르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일실시예의 배출구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원통형 몸체(35)의 하측에는 압력홈(35a)을 따라 하측으로 이송된 식재료가 수용되도록 하측으로 오목하게 수용부(37a)가 형성된 수용부면(37)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용부면(37)은 원통형 몸체(35) 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수용부면(37)의 외측에는 수용부면(37)과 연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링 형상으로 수용부면(37)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커버면(39)이 더 형성된다. 커버면(39)은 평면으로 형성되되, 그 상면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빗살홈(39a)이 더 형성된다.
커버면(39)의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다수의 회전돌기(37b)가 형성된다. 회전돌기(37b)는 후술될 메쉬부재(51)나 폐쇄링부재(57)의 설치를 지지하여, 메쉬부재(51)나 폐쇄링부재(57)가 제2그라인딩부재(33)가 회전될 때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한다.
제2그라인딩부재(33)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은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된 회전축 설치구(11)에 설치된 회전축(13)이 관통되도록 설치된 구동기어(15)와, 구동기어(15)와 치합되게 형성되며, 회전축(13)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15)와 치합되어 구동기어(1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된 종동기어(17)와, 제2그라인딩부재(33)의 내측면에 종동기어(17)와 맞물리게 형성된 내접기어(34) 및 본체(10)의 상측에 설치되되, 종동기어(17)가 설치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종동기어 설치축(21b)이 형성된 고정판(21)이 포함된다.
이때, 구동기어(15)와 종동기어(17)는 원형이되, 그 에지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톱니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접기어(34)는 전술한 커버면(39)의 내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종동기어(17)의 톱니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구동부에 의해 회전축(13)이 회전되면, 제1그라인딩부재(31)와 구동기어(15)는 회전축(13)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15)와 맞물리게 설치된 종동기어(17)는 구동기어(15)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종동기어(17)와 맞물리는 내접기어(34)가 형성된 제2그라인딩부재(33)는 제1그라인딩부재(3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회전축(13)에 설치된 제1그라인딩부재(31)의 회전반경은 구동기어(15) 및 종동기어(17)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2그라인딩부재(33)보다 회전반경이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1그라인딩부재(31)와 제2그라인딩부재(33)는 회전수가 다르다. 예를 들면, 제2그라인딩부재(33)가 한번 회전할 때 제1그라인딩부재(31)는 세번 정도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제1,2그라인딩부재(31,33) 사이에서 식재료를 분쇄하는 제2분쇄날(31b) 및 제3분쇄날(31c)과 제4분쇄날(33a)은 회전수 차이에 의해 분쇄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수직으로 설치된 제1,2그라인딩부재(31,33)의 외측에는 그라인더 커버(40)가 더 설치된다. 그라인더 커버(40)는 상측에 제1그라인딩부재(31) 측으로 식재료를 투입하는 투입구(40a)가 형성되고, 투입구(40a)의 하측은 원통형 몸체(35)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은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수용부면(37) 및 커버면(39)을 커버할 수 있되, 수용부면(37)과 커버면(39)과 비교적 좁은 간격을 유지하는 평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그라인더 커버(40)는 평면형상의 외경이 전술한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커버면(39)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그 에지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측면을 감싸도록 측면을 이루되, 내측면은 평면형상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면(40b)으로 형성되어 제2그라인딩부재(33)와 그라인더 커버(4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그라인딩부재(33)와 그라인더 커버(40) 사이의 공간은 제2그라인딩부재(33)에서 분쇄된 식재료가 그라인더 커버(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제1,2그라인딩부재(31,33)에 의해 분쇄된 식재료는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압력홈(35a)을 따라 수용부(37a)측으로 이동할때, 그라인더 커버(40)의 원통형상과 충돌하면서 충돌압력에 의해 다시 한번 분쇄되고, 다시 한번 분쇄된 식재료는 경사지게 형성된 수용부면(37)과 수용부(37a)와 커버면(39)의 빗살면(39a)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그라인더 커버(40)의 평면형상과 충돌하여 순차적으로 더 분쇄될 수 있으므로 식재료는 그라인딩부(30)에서 다단으로 분쇄되어 더욱 균일하고 작은 알갱이로 분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고정판(21)과 제2그라인딩부재(33) 사이에는 베어링 부재(25)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링 형상의 베어링 부재(25)에는 고정판(21)의 상면에 안착되는 일면 하측에 하측으로 돌출되며 링 형상의 베어링 부재(25)와 같이 링 형상의 반원형 안착돌기(25a)가 형성되고, 고정판(21)의 상면에는 베어링부재(25)의 안착돌기(25a)의 형상에 대응되게 링 형상으로 반원형 안착홈(21c)이 형성되어 고정판(21)의 상측에 베어링부재(25)가 설치되는 것을 안내한다.
이러한, 베어링 부재(25)의 일면은 안착돌기(25a)가 고정판(21) 상면의 안착홈(21c)에 안착되고, 일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타면의 내측에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측면이 접하도록 설치되어 고정판(21)에 설치된 종동기어(17)에 의해 제2그라인딩부재(33)가 회전될 때, 고정판(21)과 제2그라인딩부재(33)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도록 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제2그라인딩부재(33)의 회전력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또한, 고정판(21)의 상면에는 베어링 부재(25)의 타면 외측에 접하여 베어링 부재(25)를 지지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 보조고정링(23)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판(21)과 보조고정링(23)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베어링부재(25)를 원활하게 조립하기 위하여 베어링 부재(25)의 일면과 타면을 지지하도록 분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보조고정링(23)의 외측에는 베어링 부재(25)가 조립된 고정판(21)의 일부 하면과 보조고정링(23)을 동시에 지지하도록 지지링부재(27)가 더 설치되고, 지지링부재(27)의 상측은 전술한 그라인더 커버(40)에 의해 제2그라인딩부재(33)와 함께 커버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배출부(50)는 수용부(37a)가 형성된 제2그라인딩부재(33)와 그라인더 커버(40) 사이에 설치된 메쉬부재(51)와, 메쉬부재(51)에서 걸러진 식재료 알갱이를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53)와, 배출구(53)를 메쉬부재(51)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안내하는 고정링(52) 및 메쉬부재(51)에 의해 식재료 알갱이가 걸러진 식재료를 배출시키도록 그라인더 커버(40)에 형성된 배출로(54)가 포함되어 그라인딩부(30)에 의해 분쇄된 식재료를 그라인딩부(3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메쉬부재(51)는 링형상의 망으로서 그라인딩부(30)에서 분쇄된 식재료를 걸러내어 원하는 크기보다 큰 알갱이를 제거하거나, 식재료의 즙만을 걸러내도록 한다.
이러한 메쉬부재(51)는 전술한 그라인더 커버(40)의 경사면(40b)과 대응되게 위치되고, 메쉬부재(51)의 하측에는 하측으로 돌출되게 메쉬부재 설치돌기(51a)가 형성되며, 메쉬부재 설치돌기(51a)는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외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회전돌기(37b)에 안착된다.
이에, 메쉬부재(51)는 제2그라인딩부재(33)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돌기(37b)에 설치됨에 따라, 제2그라인딩부재(33)와 함께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메쉬부재(51)는 그라인더 커버(40)의 측면 내측으로 인입되어 설치되되, 상측에 링 형상의 고정링(52)이 고정되어 메쉬부재(51)가 그라인더 커버(40)의 측면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정링(52)은 링 형상이되, 후술될 배출구(53)가 설치되는 위치가 개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53)는 그라인더 커버(40)의 측면 상부에 설치되되, 고정링(52)의 개구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배출구(53)가 설치되는 그라인더 커버(40)의 측면 상부에 배출개구(53b)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배출구(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링(52)과 그라인더 커버(40)의 배출개구(53b)와 연통되게 하측이 개방된 인입홀(53c)형성되되, 일측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배출부재(53a)가 형성되며, 인입홀(53c)과 수직을 이루는 외면에 배출홀(53d)이 형성된다.
이에, 배출부재(53a)는 메쉬부재(51)의 내측에 위치되어 메쉬부재(51)가 회전할 때 매쉬부재(51)에 걸러진 식재료 알갱이들을 긁어 배출구(53)의 인입홀(53c)을 통해 식재료 알갱이들이 인입되도록 하고, 인입홀(53)을 통해 인입된 식재료 알갱이들은 배출홀(53d)을 통해 수직형 분쇄기(1)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배출로(54)는 그라인더 커버(40)의 일측에 형성되되, 전술한 제2그라인더부재(33)와 그라인더 커버(40)의 경사면(40b)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되어 분쇄된 식재료가 메쉬부재(51)를 통해 걸러져 식재료의 아주 작은 알갱이나, 식재료의 즙만이 수직형 분쇄기(1)의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곡물과 같은 식재료의 알갱이를 잘게 부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분쇄기와 잘게 식재료를 잘게 부수어 그 즙을 추출하는 녹즙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일부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분쇄기의 다른 실시예의 폐쇄구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곡물과 같이 즙과 가루로 분리되어 분쇄되지 않고, 단지 식재료를 분쇄만하는 경우에는 분쇄된 식재료를 별도로 걸러낼 필요가 없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부재(51)를 제2그라인딩부재(33)로부터 분리하고, 메쉬부재(51) 대신 폐쇄링부재(57)가 설치된다.
폐쇄링부재(5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그라인딩부재(33)와 그라인더 커버(40) 사이에 설치되어 분쇄된 식재료가 메쉬부재(51)가 분리됨으로서 발생되는 틈새로 인입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회전하는 제2그라인딩부재(33)와 함께 회전하면서 원심력을 증대시키는 것으로서, 하측에 메쉬부재(51)의 메쉬부재 설치돌기(51a)와 같이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외측면에 형성된 회전돌기(37b)에 안착되도록 폐쇄안착돌기(57a)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보조고정링(23)에 안착되는 링(57b)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그라인더 커버(40)에는 배출구(53) 대신 폐쇄구(55)를 설치하여 분쇄된 식재료가 그라인더 커버(40)에 형성된 배출개구(53b)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폐쇄구(5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에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마개(55a)가 형성되어 그라인더 커버(40)의 상측에 형성된 배출개구(53b)에 삽입되어 배출개구(53b)를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직형 분쇄기의 작동과정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구동부가 구동되어 제1그라인딩부재(31)와 제2그라인딩부재(33)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라인더 커버(40)의 상측에 형성된 투입구(40a)를 통해 식재료가 투입되면, 식재료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1그라인딩부재(31)의 제1분쇄날(31a)에 의해 식재료가 일차적으로 분쇄된다.
이때, 제1분쇄날(31a)의 부피가 큰 식재료를 조금 더 작은 크기로 분쇄하는 것으로서, 사과나 당근 등과 같이 크기가 큰 식재료를 조금 더 작은 크기로 자르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투입구(40a)로 투입된 식재료를 가압하지 않아도 분쇄되어 제2분쇄날(31b)로 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분쇄날(31a)에서 1차분쇄된 식재료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그라인딩부재(31)의 제3분쇄날(31c)과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제4분쇄날(33a)에 의해 두 개의 분쇄날이 접하는 가위와 같은 원리로 2차분쇄한다.
다음, 제3분쇄날(31c)에 의해 2차분쇄된 식재료는 제1그라인딩부재(31)가 회전하는 원심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다가 제2분쇄날(31b)과 접하게 되면서, 더욱 작은 크기로 3차분쇄된다.
이때, 더욱 작은 크기로 분쇄된 식재료는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ㄱ자 형상으로 꺽이도록 형성된 제3분쇄날(31c)의 꺽인부분에 의해 가압되어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압력홈(35a)으로 삽입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된 식재료는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원통형 몸체(35)에 형성된 나선형 압력홈(35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되, 하측으로 갈수록 얕은 깊이로 형성된 압력홈(35a)에 의해 발생된 압력차에 의해 빠르게 이동한다.
이때, 압력홈(35a)을 따라 이동하는 식재료는 회전하는 제2그라인딩부재(33)의 원심력에 의해 원통형 몸체(35)를 감싸는 그라인더 커버(40)와 충돌하면서 4차분쇄된다.
압력홈(35a)을 따라 수용부면(37) 및 수용부(37a)로 인입된 식재료는 역시 원심력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된 수용부면(37)과 그라인더 커버(40) 사이에서 다시한번 충돌하면서 5차분쇄된다.
또한, 식재료는 커버면(39)에 형성된 빗살홈(39a)과 그라인더 커버(40) 사이에서 다시 충돌을 일으켜 6차분쇄된다.
이에, 식재료는 다단으로 분쇄되어 작은 알갱이로 분쇄됨과 아울러, 균일한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쇄된 식재료는 메쉬부재(51)에 의해 걸러지고, 메쉬부재(51)에 걸린 식재료 알갱이는 배출구(53)를 통해 수직형 분쇄기(1)의 외부로 배출되고, 식재료의 즙은 그라인더 커버(40)에 형성된 배출로(54)를 통해 수직형 분쇄기(1)의 외부로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식재료의 크기만 분쇄하여 식재료를 걸러내지 않아도 되는 경우, 사용자는 메쉬부재(51)를 제거하고, 메쉬부재(51)가 설치되었던 제2그라인딩부재(33)의 회전돌기(37b)에 폐쇄링부재(57)의 폐쇄안착돌기(57a)를 안착시켜 원심력을 증ㅅ대시킴으로서 분쇄된 식재료를 빠르게 배출시킨다. 또한, 그라인더 커버(40)의 배출개구(53b)에 설치된 배출구(53)를 분리하여 폐쇄구(55)를 설치하되, 폐쇄구(55)의 돌출마개(55a)가 배출개구(53)를 폐쇄하도록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분쇄된 식재료는 배출로(54)를 통해 수직형 분쇄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1 : 수직형 분쇄기
10 : 본체 11 : 회전축 설치구
13 : 회전축 15 : 구동기어
17 : 종동기어
20 : 하우징 20a : 개구
21 : 고정판 21a : 회전축 관통홀
21b : 종동기어 설치축 21c : 안착홈
23 : 보조고정링 25 : 베어링부재
25a :안착돌기 27 : 지지링부재
30 : 그라인딩부 31 : 제1그라인딩부재
31a : 제1분쇄날 31b : 제2분쇄날
31c : 제3분쇄날 33 : 제2그라인딩부재
33a : 제4분쇄날 34 : 내접기어
35 : 몸체 35a : 압력홈
37 : 수용부면 37a : 수용부
37b : 회전돌기 39 : 커버면
39a : 빗살면 40 : 그라인더 커버
40a : 투입구 40b : 경사면
50 : 배출부 51 : 메쉬부재
51a : 메쉬부재 설치돌기 52 : 고정링
53 : 배출구 53a : 배출부재
53b : 배출개구 53c : 인입홀
54d : 배출홀 54 : 배출로
55 : 폐쇄구 55a : 돌출마개
57 : 폐쇄링부재 57a : 폐쇄안착돌기
10 : 본체 11 : 회전축 설치구
13 : 회전축 15 : 구동기어
17 : 종동기어
20 : 하우징 20a : 개구
21 : 고정판 21a : 회전축 관통홀
21b : 종동기어 설치축 21c : 안착홈
23 : 보조고정링 25 : 베어링부재
25a :안착돌기 27 : 지지링부재
30 : 그라인딩부 31 : 제1그라인딩부재
31a : 제1분쇄날 31b : 제2분쇄날
31c : 제3분쇄날 33 : 제2그라인딩부재
33a : 제4분쇄날 34 : 내접기어
35 : 몸체 35a : 압력홈
37 : 수용부면 37a : 수용부
37b : 회전돌기 39 : 커버면
39a : 빗살면 40 : 그라인더 커버
40a : 투입구 40b : 경사면
50 : 배출부 51 : 메쉬부재
51a : 메쉬부재 설치돌기 52 : 고정링
53 : 배출구 53a : 배출부재
53b : 배출개구 53c : 인입홀
54d : 배출홀 54 : 배출로
55 : 폐쇄구 55a : 돌출마개
57 : 폐쇄링부재 57a : 폐쇄안착돌기
Claims (9)
- 하부에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이 설치되도록 회전축 설치구(11)가 형성된 본체(10);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에 의해 회전하며 적어도 두 개의 그라인딩부재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식재료를 다단으로 분쇄하는 그라인딩부(30);
상기 그라인딩부(30)를 감싸도록 본체(10) 상에 설치되는 그라인더 커버(40); 및
상기 그라인딩부(30)에서 분쇄된 식재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50);가 포함되고,
상기 그라인딩부(30)는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되어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며, 상측으로 돌출된 제1분쇄날과,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2분쇄날과 제3분쇄날이 형성된 다수의 그라인더가 상기 제1분쇄날의 하측에 상기 제1분쇄날과 수직을 이루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3분쇄날이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제1그라인딩부재;와,
하측에 상기 제1그라인딩부재와 반대로 회전되도록 회전수단이 구비되며,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상기 제1그라인딩부재의 제3분쇄날과 접하도록 다수의 제4분쇄날이 형성되고, 상기 제1분쇄날 내지 제4분쇄날에서 분쇄된 식재료가 수용되도록 상기 원통형 몸에의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수용부면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수용부가 형성되되, 상기 수용부면은 상기 원통형 몸체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면의 외측에는 상기 수용부면과 연장되게 상기 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커버면이 형성된 제2그라인딩부재;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분쇄기.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에는 상기 원통형 몸체의 외면에 하측으로 갈수록 그 홈의 깊이가 얕아지도록 나선형으로 형성된 압력홈; 및
상기 커버면의 상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빗살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외면을 감싸되, 측면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분쇄날과 제4분쇄날에 의해 그라인딩된 식재료가 이동하면서 상기 압력홈과 상기 수용부면 및 상기 빗살홈과 충돌하여 마찰을 일으키도록 좁은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상면을 커버하되, 그 에지부는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커버면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이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된 그라인더 커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분쇄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그라인딩부재의 제3분쇄날은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제4분쇄날과 접하되, 그 단부가 소정각도로 꺽이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분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위치되되, 상면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 삽입구 및 종동기어 설치축이 형성되며,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하측 단부가 안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기 회전축 삽입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종동기어 설치축에 삽입설치된 종동기어; 및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내측면에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게 형성된 내접기어;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분쇄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 사이에는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의 단부와 측면을 커버하는 베어링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면에는 상기 베어링 부재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안착된 보조고정링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분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딩부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분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그라인더 커버와 상기 제2그라인딩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그라인딩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메쉬부재;와,
상기 메쉬부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쉬부재에 걸린 식재로 알갱이를 긁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부재에 걸린 식재료 알갱이들을 인입시키는 인입홀 그리고, 상기 인입홀을 통해 인입된 식재료 알갱이들을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메쉬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가 설치되는 위치가 개구되도록 형성된 고정링; 및
상기 그라인더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메쉬부재에 의해 식재료 알갱이가 걸러진 식재료를 배출시키는 배출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분쇄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그라인더 커버와 상기 제2그라인딩 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식재료가 상기 그라인더 커버와 상기 제2그라인딩 부재 사이의 상부공간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심력을 증대시키는 폐쇄링부재; 및
상기 배출구 대신 상기 폐쇄링부재의 상측에 설치되어 분쇄된 식재료가 상기 그라인더 커버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마개가 형성된 폐쇄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 분쇄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4614A KR101147934B1 (ko) | 2010-07-06 | 2010-07-06 | 수직형 분쇄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4614A KR101147934B1 (ko) | 2010-07-06 | 2010-07-06 | 수직형 분쇄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4004A KR20120004004A (ko) | 2012-01-12 |
KR101147934B1 true KR101147934B1 (ko) | 2012-05-18 |
Family
ID=4561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4614A KR101147934B1 (ko) | 2010-07-06 | 2010-07-06 | 수직형 분쇄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79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8133B1 (ko) * | 2014-02-27 | 2014-10-07 | (주)두올상사 | 폴리우레탄 스킨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KR101599399B1 (ko) | 2015-02-23 | 2016-03-03 | (주)두올상사 | 친환경 폴리우레탄 스킨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KR101935150B1 (ko) * | 2017-05-19 | 2019-01-03 | 윤혁범 | 수직 롤러형 분쇄날 및 이를 구비한 분쇄기 |
CN107952558B (zh) * | 2017-11-28 | 2023-09-26 | 佛山科学技术学院 | 一种化工原料粉末即时供应设备 |
CN108453904A (zh) * | 2018-02-08 | 2018-08-28 | 江西新能源科技职业学院 | 带弹性间隙的复合机械手 |
CN111841813B (zh) * | 2020-07-24 | 2021-08-24 | 铜仁学院 | 一种用于提取艾纳香油的加工设备 |
CN114392821B (zh) * | 2022-01-18 | 2023-03-31 | 李旭晴 | 一种内分泌科医疗用药物磨粉装置 |
CN116474899B (zh) * | 2022-09-07 | 2023-08-22 | 黑龙江省农业科学院园艺分院 | 一种蔬菜破碎机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1353Y1 (ko) * | 1985-04-09 | 1988-04-09 | 김종선 | 만능 분쇄기 |
-
2010
- 2010-07-06 KR KR1020100064614A patent/KR10114793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1353Y1 (ko) * | 1985-04-09 | 1988-04-09 | 김종선 | 만능 분쇄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4004A (ko) | 2012-0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7934B1 (ko) | 수직형 분쇄기 | |
EP1723286B1 (en) | Food waste disposer grinding mechanism | |
US7954425B2 (en) | Grating disk for food processor | |
US8316762B2 (en) | Juice extractors | |
KR101011731B1 (ko) | 다단 여과 바스켓을 가진 주스 추출기 | |
KR101170618B1 (ko) | 과일분쇄장치 | |
KR20120006052U (ko) | 수평형 고추분쇄기 | |
JP6624667B1 (ja) | 臼体及びミル装置 | |
KR101803914B1 (ko) | 채소류 분쇄장치 | |
KR101530421B1 (ko) | 곡물분쇄장치용 임펠러 | |
KR20120002370U (ko) | 다용도 분쇄기 | |
US20230210307A1 (en) | A grinding appliance | |
KR20130142593A (ko) | 야채 쓰레기 처리기 | |
KR101065755B1 (ko) | 분쇄기 | |
KR20130119054A (ko) | 고추 분쇄기 | |
JP4573327B2 (ja) | 粉砕機 | |
KR200448700Y1 (ko) | 곡물 분쇄기 | |
KR102515513B1 (ko) | 펄프와 착즙물의 혼합을 방지하는 주서기 | |
KR200319090Y1 (ko) | 식품 분쇄기 | |
KR100883369B1 (ko) | 소채류 분쇄장치 | |
KR102162080B1 (ko) | 순환식 믹서기 | |
KR200284155Y1 (ko) | 분쇄장치 | |
CN208512694U (zh) | 食物垃圾处理器 | |
CN201085530Y (zh) | 研磨盘及使用该研磨盘的食品加工机 | |
CN208288154U (zh) | 食物垃圾处理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