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794B1 -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794B1
KR101896794B1 KR1020160152807A KR20160152807A KR101896794B1 KR 101896794 B1 KR101896794 B1 KR 101896794B1 KR 1020160152807 A KR1020160152807 A KR 1020160152807A KR 20160152807 A KR20160152807 A KR 20160152807A KR 101896794 B1 KR101896794 B1 KR 101896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xing
arm
arm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5224A (ko
Inventor
정회윤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7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5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10Truss-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는, 한 쌍의 드레인 홀이 서로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강관 형태의 주각재를 포함하는 강관철탑의 변위측정을 위한 타겟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각재의 표면에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강관철탑의 변위측정 시의 측정점인 타겟이 표시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암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를 상기 주각재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암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조절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주각재의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상기 몸체부의 중심으로 인접시키거나,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TARGET EQUIPMENT FOR DISPLACEMENT MEASUREMENT OF STEEL PIPE TOW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관철탑에 안전하고 손쉽게 부착하여 강관철탑의 변위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탑 특히 높은 전압을 전송하는 송전탑은 지하에 매립된 기초재의 상부에 다수의 프레임 부재를 설치하여 탑 형상으로 만들고,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철탑암을 설치하고, 철탑암의 끝에 하부로 매달린 애자와 애자의 하단에 연결된 송전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철탑은 기초재의 각입이 정확하지 않으면, 철탑 조립이 곤란하거나 철탑 상부에 2차 응력을 발생시켜 철탑의 강도가 불안정하게 되므로, 철탑의 각입을 정확하게 측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기초재의 정확한 각입을 위하여, 철탑 중심점의 확정, 주각재의 면방향 맞추기, 고저차, 기울기, 면간거리, 대각거리 등의 다양한 항목을 측정해야 한다.
종래 90도 각도의 앵글형 철재를 사용하는 산형강철탑의 경우, 주각재 상부에 자석블럭을 설치하여 철탑의 변위측정을 통해 정확한 각입을 측량한다.
철탑의 변위측정은, 외부 자연환경에 노출되게 설치된 철탑의 안전성을 검토 및 판단하기 위하여 공간벡터의 원리를 이용하여, 철탑 기초재의 고저차 및 면거리를 측정하여 변위 여부를 면밀히 점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 측정점을 표시하기 위한 자석블럭은, 산형강(Angle Steel) 철탑에만 사용가능하도록 제작되므로, 최근 설치되는 강관(Steel Pipe) 철탑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강관 철탑의 각기둥의 중심점을 찾기 위해 작업자가 자, 연필, 타겟 반사지 등을 이용하여 측정점을 임의로 표시하는 경우, 측정점을 표시하기 위해 작업자가 높이 2m이상의 주각재에 매달려 작업하므로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고, 작업 소요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측정점 표시는 매직, 펀칭, 타겟 반사지 등으로 표시하나, 강관 철탑이 외부에 노출되므로, 매직 표시는 쉽게 지워지고, 펀칭은 펀칭 부위에 녹이 발생하며, 타겟 반사지는 접착력 노후화 및 열화로 인해 떨어지는 등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장기간을 주기로 수행되는 철탑변위 측정시 부적합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타겟이 표시된 타겟장치를 강관철탑의 주각재에 손쉽고 안전하게 설치 가능한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의 타겟표시 작업 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시켜 작업손실을 최소화시키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겟을 주각재에 정확하게 표시하여 철탑의 주각재 각입을 정확하게 수행하게 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 쌍의 드레인 홀이 서로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강관 형태의 주각재를 포함하는 강관철탑의 변위측정을 위한 타겟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각재의 표면에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강관철탑의 변위측정 시의 측정점인 타겟이 표시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암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를 상기 주각재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부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암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조절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주각재의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로 인접시키거나,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암에 관통 설치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메인노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중심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돌기의 일측과 타측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샤프트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와 상기 한 쌍의 고정암 사이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연동부재를 포함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회전샤프트에,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의 외측으로 관통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노브부와, 상기 노브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노브부에 상기 고정암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암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의 너트홀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너트홀에 삽입되는 너트부를 포함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메인노브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앙으로 이동하고, 상기 메인노브부재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드레인 홀의 접촉면에 접촉되는 결합면에 자석부재를 구비한 삽입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돌기에 구비된 상기 결합면은, 상기 드레인 홀의 내부로 갈수록, 상기 접촉면 측으로 꺾이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암에 구비된 상기 결합면이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암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요입 형성된 레일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중심돌기의 일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부와, 상기 중심돌기의 타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나사부와 대칭되게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회전샤프트에,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의 외측으로 관통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노브부와, 상기 노브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노브부에 상기 고정암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암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의 너트홀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너트홀에 삽입되는 너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돌기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회전샤프트를 고정시키는 샤프트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암을 상기 연동부재에 탄성적으로 밀착시켜서, 상기 연동부재의 이동 시에 상기 고정암을 함께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이격되게 표시된 한 쌍의 제1 기준선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은, 상기 한 쌍의 제1 기준선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제2 기준선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상기 몸체부에 조립 시에,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제2 기준선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게, 상기 고정암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돌기홈이 요입 형성된 샤프트 고정파트와, 상기 샤프트 고정파트에 결합되고, 상기 중심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돌기홈에 대응되는 제2 돌기홈이 요입 형성된 샤프트 고정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돌기홈과 상기 제2 돌기홈은, 상기 중심돌기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와 상기 중심돌기 사이의 유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암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를 향하는 면에 요입 형성된 제1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암을 향하는 양 측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홀에 대응되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암과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타겟이 표시된 면과 상기 주각재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주각재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옵션 측정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설치방법은, 한 쌍의 드레인 홀이 서로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강관 형태의 주각재를 포함하는 강관철탑에, 변위 측정을 위한 타겟장치를 설치하는 타겟장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관철탑의 변위측정 시의 측정점인 타겟이 표시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에 각각 결합되고, 결합되는 면에 자석부재를 구비한 한 쌍의 고정암과,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구비된 회전샤프트와 상기 한 쌍의 고정암 사이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연동부재를 구비하는 연동부를 포함하는 타겟장치를 준비하는, 타겟장치 준비단계와, 상기 연동부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이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암의 위치를 교정하는, 고정암 교정단계와, 상기회전샤프트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된 메인노브부재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되게,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거리로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이격시키는, 고정암 풀림단계와,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상기 드레인 홀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암에 구비된 상기 자석부재에 의해 상기 고정암을 상기 드레인 홀에 부착시키는, 고정암 부착단계와, 상기 메인노브부재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에 같은 거리로 인접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암 사이를 조임으로써, 상기 타겟장치를 상기 주각재에 고정 설치하는, 타겟장치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회전샤프트에,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의 외측으로 관통 설치되는 노브부와, 상기 노브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노브부에 상기 고정암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암에 형성된 너트홀에 삽입되는 너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암 교정단계는, 상기 고정암을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너트부와 상기 너트홀을 분리시킨 후, 상기 노브부를 회전하여 상기 연동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너트부를 상기 너트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고정암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이격되게 표시된 한 쌍의 제1 기준선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은, 상기 한 쌍의 제1 기준선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된 제2 기준선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고정암 교정단계는, 상기 너트부를 상기 너트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고정암의 위치를 교정하여,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제2 기준선을 일직선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이용하면, 강관철탑을 주각재로 사용하는 송전탑에 측정점인 타겟을 표시할 때, 종래 현장에서 작업자가 주각재의 중심점을 찾기 위해 측정점을 임의로 표시하던 것과 달리, 이동부에 의해 한 쌍의 드레인 홀과 한 쌍의 고정암을 견고하게 결합함으로써 타겟이 표시된 타겟장치를 주각재에 손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타겟표시 작업 시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업손실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타겟을 주각재에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철탑의 주각재 각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철탑에 타겟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른 한 손으로 철탑에 부착된 손잡이를 잡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를 이용하여 강관철탑의 변위를 측정하는 일 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강관철탑과 드레인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타겟장치가 주각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전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정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연동부에 의해 고정암의 위치가 교정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회전샤프트와 샤프트 고정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의 설치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겟장치를 강관철탑에 설치하는 과정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옵셋 측정홀을 통해 1차 옵셋을 측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100)를 이용하여 강관철탑의 변위를 측정하는 일 례를 도시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강관철탑이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100)는, 한 쌍의 드레인 홀(13)이 서로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강관 형태의 주각재(10)를 포함하는 강관철탑의 변위측정을 위한 것임을 기초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철탑은 주각재(10)가 강관(Steel Pipe) 형태일 수 있고, 기초 주각재(11)와 1단 주각재(12) 사이에 한 쌍의 드레인 홀(13)이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타겟장치(100)는 이러한 한 쌍의 드레인 홀(13)을 이용하여 주각재(10)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주각재(10)의 중심점을 위한 측정점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철탑 설치 시의 정확한 각입을 위해, 철탑의 하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주각재(10)에 타겟장치(100)를 설치하고, 측량기(20)로 각각의 주각재(10)의 타겟장치(100)에 표시된 타겟(220)에 시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측정결과를 통해, 강관철탑의 중심점 확정, 주각재(10)의 면방향 맞추기, 고저차, 기울기, 면간거리, 대각거리 등의 다양한 항목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100)가 도시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100)는, 몸체부(200)와, 고정부(300)와, 이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00)는, 주각재(10)의 표면에 설치되되, 한 쌍의 드레인 홀(13)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강관철탑의 변위측정 시의 측정점인 타겟(220)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00)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몸체프레임(210)을 포함할 수 있고, 몸체프레임(210)의 내부에 상기 고정부(300)와 이동부(40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주각재(10)를 설치 시에 주각재(10)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타겟(220)이 표시될 수 있다(도 5 참조). 바람직하게 타겟(220)은 몸체부(200)의 중앙에 표시될 수 있고, 타겟장치(100)가 주각재(10)에 설치된 이 후에, 타겟(220)은 주각재(10)의 중심과 한 쌍의 드레인 홀(13)의 중심을 연장하는 가상의 연장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300)는, 몸체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한 쌍의 드레인 홀(13)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암(310)을 포함하여, 몸체부(200)를 주각재(10)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암(310)은, 몸체부(20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되어, 각각의 고정암(310)은 몸체부(200)의 중심부에서 같은 거리에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13)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몸체부(200)를 주각재(10)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동부(400)는, 몸체부(200)에 구비되며, 한 쌍의 고정암(310) 사이의 간격이, 한 쌍의 드레인 홀(13)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조절되도록, 한 쌍의 고정암(3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부(400)는, 몸체부(200)와 주각재(1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 쌍의 고정암(310)을, 몸체부(200)의 중심으로 인접시키거나,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400)는, 고정암(310)을 몸체부(200)의 중심부에 인접하거나 이격되게 이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드레인 홀(13)의 위치에 각각 대응되게 한 쌍의 고정암(3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고정암(310)은, 몸체부(20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같은 거리로 배치되고, 이동부(400)에 의해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거리로 인접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400)에 의해, 한 쌍의 고정암(310)이 서로 인접하게 조여져서 한 쌍의 드레인 홀(13)에 고정 설치되었을 때, 몸체부(200)에 중심부에 표시된 타겟(220)이, 주각재(10)의 중심과 한 쌍의 드레인 홀(13)의 중심을 연장하는 가상의 연장선 상에 놓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100)를 이용하면, 강관철탑을 주각재(10)로 사용하는 송전탑에 측정점인 타겟(220)을 표시할 때, 종래 현장에서 작업자가 주각재(10)의 중심점을 찾기 위해 측정점을 임의로 표시하던 것과 달리, 이동부(400)에 의해 한 쌍의 드레인 홀(13)과 한 쌍의 고정암(310)을 결합함으로써 타겟(220)이 표시된 타겟장치(100)를 주각재(10)에 손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타겟 표시 작업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손실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타겟(220)을 주각재(10)에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철탑의 주각재(10) 각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400)는, 회전샤프트(410)와 메인노브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샤프트(410)는, 한 쌍의 고정암(310)에 관통 설치되고, 회전에 따라 한 쌍의 고정암(31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샤프트(410)는 몸체프레임(210)의 내부에 삽입되되 몸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한 쌍의 고정암(310)은 회전샤프트(410)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샤프트(410)가 회전하면, 한 쌍의 고정암(310)은 회전샤프트(4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즉, 이동부(400)는, 이러한 회전샤프트(410)를 회전시켜서 고정부(300)에 구비된 고정암(3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메인노브부재(430)는, 회전샤프트(4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샤프트(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메인노브부재(430)는 회전샤프트(410)의 양단부 중 어느 일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양단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샤프트(4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양단부의 메인노브부재(430)는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메인노브부재(430)는 몸체부(200)의 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샤프트(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메인노브부재(4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도 12c의 E 방향 참조) 한 쌍의 고정암(310)이 회전샤프트(410)의 중앙으로 이동하고, 메인노브부재(43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도 12a의 D 방향 참조)한 쌍의 고정암(310)이 회전샤프트(41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고정암(310)은, 몸체부(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몸체부(2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드레인 홀(13)에 삽입 고정되고, 드레인 홀(13)의 접촉면에 접촉되는 결합면(314)에 자석부재(315)를 구비한 삽입돌기(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고정암(310)은 주각재(10) 측으로 돌출된 삽입돌기(313)가, 드레인 홀(13)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주각재(10)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암(310)의 삽입 고정 시에 삽입돌기(313)와 접촉되는 드레인 홀(13)의 부분을 접촉면이라 정의하고, 접촉면과 접촉하여 결합되는 삽입돌기(313)의 면을 결합면(314)이라 정의할 때, 삽입돌기(313)에 구비된 자석부재(315)는, 결합면(314)에 노출되게 결합되어 접촉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부재(315)에 의해, 한 쌍의 드레인 홀(13)에 한 쌍의 삽입돌기(313)를 삽입하였을 때, 고정암(310)이 드레인 홀(13)에 부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겟장치(100) 설치 시에, 삽입돌기(313)를 드레인 홀(13)에 삽입한 후, 한 쌍의 고정암(310)을 인접하게 이동하기 전에, 타겟장치(100)를 주각재(10)에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겟장치(100)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고, 작업자가 한 손으로 타겟장치(100)를 설치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삽입돌기(313)의 결합면(314)의 형상은, 드레인 홀(13)의 접촉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면이 평면, 곡면, 다각면 등으로 형성되는 경우, 결합면(314)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돌기(313)가 드레인 홀(13)에 삽입 결합되었을 때, 빠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삽입돌기(313)에 구비된 결합면(314)은, 드레인 홀(13)의 내부 즉, 주각재(10)의 중심으로 갈수록, 접촉면 측으로 꺾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고정암(310)에 구비된 결합면(314)이, 주각재(10)의 중심방향으로 갈수록, 몸체부(200)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향 경사지게 가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돌기(313)를 드레인 홀(13)에 결합 시에, 결합면(314)과 접촉면 사이에 발생하는 결합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00)는, ㄷ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몸체프레임(210)과, 몸체프레임(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고정암(3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암(310)은, 몸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40)이 삽입되도록, 가이드레일(24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요입 형성된 레일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240)은, 한 쌍의 고정암(310)이 몸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할 때, 레일홈(311)에 삽입된 상태로 접촉되어, 고정암(31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레일홈(311)과 가이드레일(240)은 단면 형상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접촉 시의 유격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회전샤프트(410)는,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몸체부(200)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중심돌기(411)와, 중심돌기(411)의 일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부(413)와, 중심돌기(411)의 타측으로 형성되고, 중심돌기(411)를 중심으로 제1 나사부(413)와 대칭되게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나사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나사부(413)와 제2 나사부(414)는, 회전샤프트(410)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수나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나사부(413)는 좌나사(왼나사)로, 제2 나사부(414)는 우나사(오른 나사)로 형성되어, 중심돌기(411)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나사부(413)와 제2 나사부(414)의 나사산이 들어가는 회전방향이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샤프트(41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한 쌍의 고정암(310)이 서로 다른 방향 즉, 서로 인접하거나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00)는, 몸체프레임(210)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중심돌기(411)가 장착됨으로써, 회전샤프트(410)를 고정시키는 샤프트 고정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노브부재(430)를 돌려서 회전샤프트(410)를 회전시킬 때, 회전샤프트(410)가 몸체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샤프트 고정부재(230)는, 샤프트 고정파트(231)와 샤프트 고정커버(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고정파트(231)는, 몸체프레임(210)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중심돌기(411)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돌기홈(232)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 고정커버(235)는, 샤프트 고정파트(231)에 결합되고, 중심돌기(411)가 삽입되도록 제1 돌기홈(232)에 대응되는 제2 돌기홈(236)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 고정커버(235)를 샤프트 고정파트(231)에 결합하는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볼트(237)에 의해 샤프트 고정커버(235)와 샤프트 고정파트(231)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돌기홈(232)과 상기 제2 돌기홈(236)은, 중심돌기(411)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기홈(232)과 제2 돌기홈(236)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단면 형상이, 중심돌기(411)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샤프트(4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회전샤프트(410)와 샤프트 고정부재(230)를 조립하기 전에, 제1 돌기홈(232)과 제2 돌기홈(236)에 윤활제(Grease)를 도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200)에 중심돌기(411)를 장착하고, 샤프트 고정커버(235)를 샤프트 고정파트(231)에 결합하면, 중심돌기(411)와 샤프트 고정부재(230) 사이의 유격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샤프트(410)를 몸체부(200)에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회전샤프트(410)의 중심부를 몸체부(200)의 중심부에 고정하여 측정점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100)는, 연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동부(500)는, 회전샤프트(410)와 한 쌍의 고정암(31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고정암(310)의 조립위치를 교정하거나, 회전샤프트(410)와 고정암(310)을 연동시킬 수 있다. 연동부(500)는 한 쌍의 고정암(310)에 대응되는 한 쌍의 연동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부재(510)는, 회전샤프트(4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515)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회전샤프트(410)와 한 쌍의 고정암(310) 사이에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즉, 연동부재(510)는, 내주면에 암나사산(515)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연동부재(510)의 암나사산(515)은 회전샤프트(4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에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연동부재(510) 중 어느 한 연동부재(510)의 암나사산(515)은 제1 나사부(413)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한 연동부재(510)의 암나사산은 제2 나사부(414)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연동부재(510)는 중심돌기(411)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연동부(500)는, 한 쌍의 고정암(310)을 몸체부(200)에 조립 시에는, 한 쌍의 고정암(310)을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고정암(310)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암(310)을 주각재(10)에 설치 시에는, 회전샤프트(410)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고정암(310)이 이동하도록, 회전샤프트(410)와 고정암(310)을 연동시킬 수 있다. 즉, 연동부(500)는, 몸체부(200) 내부에서 고정암(310)의 위치를 교정하는 기능과, 회전샤프트(410)의 회전운동과 고정암(310)의 직선운동을 연동시키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동부재(510)는, 노브부(511)와, 너트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부(511)는, 회전샤프트(410)에, 한 쌍의 고정암(310)의 외측으로 관통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회전샤프트(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너트부(513)는, 노브부(511)와 일체로 형성되되, 노브부(511)에 고정암(310) 방향으로 결합되며, 고정암(310)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의 너트홀(316)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너트홀(316)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너트부(513)가 너트홀(316)에 삽입된 경우, 고정암(310)과 연동부재(510)는 함께 이동하고, 너트부(513)와 너트홀(316)에 분리된 경우, 고정암(310)과 연동부재(510)는 분리되어 별도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연동부(500)는, 가압부재(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530)는, 샤프트 고정부재(230)와 고정암(310) 사이에 설치되어, 고정암(310)을 연동부재(510)에 탄성적으로 밀착시켜서, 연동부재(510)의 이동 시에 고정암(310)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530)는, 몸체부(200) 중심부에 설치된 샤프트 고정부재(230)와, 샤프트 고정부재(230)의 양측에 설치되는 고정암(310) 사이에 배치되게, 회전샤프트(410)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재(530)는 샤프트 고정부재(230)에 대한 반발력으로, 고정암(310)을 몸체부(200)의 양 단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암(310)은 몸체부(200)의 중심부를 향하는 반대방향에 설치된 연동부재(510) 측으로 가압되어, 고정암(310)과 연동부재(510)의 밀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암(310)은 연동부재(510)가 회전샤프트(410)를 따라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530)는, 예를 들어 탄성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고정암(310)에 샤프트 고정부재(230)를 향하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압축되고, 외력이 해제되면 샤프트 고정부재(230)와의 반발력으로 인해 고정암(310)을 연동부재(51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만, 가압부재(530)는, 탄성 스프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정암(310)을 연동부재(510)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고정암(310)은 샤프트 고정부재(230)를 향하는 면에 요입 형성된 제1 삽입홀(31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 고정부재(230)는, 고정암(310)을 향하는 양 측면에 요입 형성되고, 제1 삽입홀(317)에 대응되는 제2 삽입홀(238)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530)는, 양 단부가 제1 삽입홀(317)과 제2 삽입홀(238)에 삽입되어, 고정암(310)과 샤프트 고정부재(23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삽입홀(317)은, 샤프트 고정파트(231)와, 샤프트 고정커버(235)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압부재(5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동부(500)는, 고정암(310)을 몸체부(200)에 설치할 때, 몸체부(200) 내부에 고정암(310)의 위치를 교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00)는, 몸체부(200)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이격되게 표시된 한 쌍의 제1 기준선(2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암(310)은, 한 쌍의 제1 기준선(260)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제2 기준선(312)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준선(260)과 제2 기준선(312)은, 수직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고정암(310)을 몸체부(20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되게 설치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연동부(500)는, 한 쌍의 고정암(310)을 몸체부(200)에 조립 시에, 제1 기준선(260)과 제2 기준선(312)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게, 고정암(310)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00)에 샤프트 고정부재(230)를 통해 회전샤프트(410)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회전샤프트(410)에 가압부재(530), 고정암(310), 연동부재(510), 메인노브부재(430) 순으로 끼워서 장착할 수 있다(도 9a 참조). 그리고, 고정암(310)을 샤프트 고정부재(230) 측으로 밀어서(도 9b의 A 방향 참조) 고정암(310)과 연동부재(510)를 분리시킨 후,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동부재(510)를 회전하여(도 9b 의 B 방향 참조) 고정암(310)의 조립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암(310)에 가하던 외력을 해제하여 고정암(310)을 연동부재(510) 방향으로 이동시켜서(도 9c 의 C 방향) 고정암(310)과 연동부재(510)를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선(260)과 제2 기준선(312)이 일직선 상에 놓일 때까지, 도 9b와 도 9c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고정암(310)이 몸체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즉,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거리로 배치되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후, 메인노브부재(430)를 회전하여 한 쌍의 고정암(310)을 이격시키거나 인접하게 이동시킬 때, 한 쌍의 고정암(310)이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거리를 유지하므로, 주각재(10)에 설치시에도, 타겟(220)이 드레인 홀(13)의 중심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200)는, 타겟(220)이 표시된 면과 주각재(10)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주각재(10)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옵션측정홀(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옵션측정홀(270)은, 몸체프레임(210)의 외주면에 표시된 타겟(220)에 수직한 선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주각재(10)의 중심축의 반경방향으로 몸체프레임(21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측정홀(270)은, 주각재(10)의 중심과 타겟(220) 사이의 거리인 옵셋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타겟(220)이 표시된 면과 주각재(10)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옵션측정홀(270)에 버니어 캘리퍼스 등의 홀 깊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수단을 삽입하여, 타겟(220)이 표시된 면과 주각재(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200)와 샤프트 고정커버(235)에는 V자 홈(250)을 형성하여, 측정수단의 단부가 주각재(10)에 접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100)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100)의 설치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타겟장치(100)를 강관철탑의 주각재(10)에 설치하기 위한 방법이므로,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100)의 설치방법은, 타겟장치 준비단계(S110)와, 고정암 교정단계(S130)와, 고정암 풀림단계(S150)와, 고정암 부착단계(S170) 및, 타겟장치 고정단계(S190)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장치 준비단계(S110)는, 강관철탑의 변위측정 시의 측정점인 타겟(220)이 표시된 몸체부(200)와, 몸체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한 쌍의 드레인 홀(13)에 각각 결합되고, 결합되는 면에 자석부재(315)를 구비한 한 쌍의 고정암(310)과, 한 쌍의 고정암(31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400) 및, 이동부(400)에 구비된 회전샤프트(410)와 한 쌍의 고정암(310) 사이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연동부재(510)를 구비하는 연동부(500)를 포함하는 타겟장치(100)를 준비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1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암 교정단계(S130)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동부(500)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한 쌍의 고정암(310)이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고정암(310)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200)에 샤프트 고정부재(230)를 통해 회전샤프트(410)를 고정되게 설치하고, 회전샤프트(410)에 가압부재(530), 고정암(310), 연동부재(510), 메인노브부재(430) 순으로 끼워서 장착할 수 있다(도 9a 참조). 그리고, 고정암(310)을 샤프트 고정부재(230) 측으로 밀어서(도 9b의 A 방향 참조) 고정암(310)과 연동부재(510)를 분리시킨 후,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동부재(510)를 회전하여(도 9b 의 B 방향 참조) 고정암(310)의 조립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암(310)에 가하던 외력을 해제하여 고정암(310)을 연동부재(510) 방향으로 이동시켜서(도 9c 의 C 방향) 고정암(310)과 연동부재(510)를 밀착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기준선(260)과 제2 기준선(312)이 일직선 상에 놓일 때까지, 도 9b와 도 9c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고정암(310)이 몸체부(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즉,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거리로 배치되게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이 후, 메인노브부재(430)를 회전하여 한 쌍의 고정암(310)을 이격시키거나 인접하게 이동시킬 때, 한 쌍의 고정암(310)이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거리를 유지하므로, 주각재(10)에 설치시에도, 타겟(220)이 드레인 홀(13)의 중심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암 풀림단계(S150)는, 도 12a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샤프트(4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된 메인노브부재(430)를 타방향(도 12a의 D 방향 참조)으로 회전시켜서, 한 쌍의 드레인 홀(13)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되게,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거리로 한 쌍의 고정암(310)을 이격시킬 수 있다.
이 후, 고정암 부착단계(S170)는, 도 12b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고정암(310)을 드레인 홀(13)에 삽입하고, 고정암(310)에 구비된 자석부재(315)(도 8 참조)에 의해 고정암(310)을 드레인 홀(13)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자석부재(315)에 의해, 한 쌍의 드레인 홀(13)에 한 쌍의 삽입돌기(313)를 삽입하였을 때, 고정암(310)이 드레인 홀(13)에 부착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겟장치(100) 설치 시에, 삽입돌기(313)를 드레인 홀(13)에 삽입한 후, 한 쌍의 고정암(310)을 인접하게 이동하기 전에, 타겟장치(100)를 주각재(10)에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겟장치(100)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고, 작업자가 한 손으로 타겟장치(100)를 설치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타겟장치 고정단계(S190)는, 도 12c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메인노브부재(430)를 일방향(도 12c의 E 방향 참조)으로 회전하여, 몸체부(200)의 중심부에 같은 거리로 인접시키면서 한 쌍의 고정암(310) 사이를 조임으로써, 타겟장치(100)를 주각재(10)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겟장치 고정단계(S190)에서, 작업자의 메인노브부재(43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인접하게 되면서, 한 쌍의 드레인 홀(13)에 삽입된 한 쌍의 고정암(310)이 오므라들면서, 한 쌍의 고정암(310)이 드레인 홀(13)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겟장치(100)가 주각재(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겟장치(100)가 주각재(10)에 고정되면, 타겟장치(100)의 몸체부(200)에 구비된 옵션측정홀(270)에 버니어 캘리퍼스 등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옵션측정홀(270)의 깊이를 측정함으로써, 주각재(10)의 외주면과 타겟(220)이 표시된 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도 13 참조). 이렇게 측정된 주각재(10)의 외주면과 타겟(220)이 표시된 면 사이의 거리는, 이 후에 주각재(10)의 변위 측정을 위한 옵셋거리(주각재(10)의 중심과 타겟(220)이 표시된 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이용하면, 강관철탑을 주각재로 사용하는 송전탑에 측정점인 타겟을 표시할 때, 종래 현장에서 작업자가 주각재의 중심점을 찾기 위해 측정점을 임의로 표시하던 것과 달리, 이동부에 의해 한 쌍의 드레인 홀과 한 쌍의 고정암을 결합함으로써 타겟이 표시된 타겟장치를 주각재에 손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타겟표시 작업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작업손실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타겟을 주각재에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철탑의 주각재 각입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200 : 몸체부
210 : 몸체프레임 220 : 타겟
230 : 샤프트 고정부재 231 : 샤프트 고정파트
235 : 샤프트 고정커버 238 : 제2 삽입홀
240 : 가이드레일 260 : 제1 기준선
270 : 옵션측정홀 300 : 고정부
310 : 고정암 311 : 레일홈
312 : 제2 기준선 313 : 삽입돌기
315 : 자석부재 316 : 너트홀
317 : 제1 삽입홀 400 : 이동부
410 : 회전샤프트 411 : 중심돌기
413 : 제1 나사부 414 : 제2 나사부
430 : 메인노브부재 500 : 연동부
510 : 연동부재 511 : 노브부
513 : 너트부 530 : 가압부재

Claims (15)

  1. 한 쌍의 드레인 홀(13)이 서로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강관 형태의 주각재(10)를 포함하는 강관철탑의 변위측정을 위한 타겟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각재(10)의 표면에 설치되되,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강관철탑의 변위측정 시의 측정점인 타겟(220)이 표시된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암(310)을 포함하여, 상기 몸체부(200)를 상기 주각재(10)에 고정 결합하는 고정부(300); 및,
    상기 몸체부(200)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13)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게 조절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몸체부(200)와 상기 주각재(10)의 결합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을, 상기 몸체부(200)의 중심부로 인접시키거나, 상기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이동부(400)는,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에 관통 설치되고,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샤프트(410)와, 상기 회전샤프트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샤프트를 회전시키는 메인노브부재(430)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샤프트(410)는, 상기 몸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중앙에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에 고정되는 중심돌기(411)를 포함하며, 상기 중심돌기의 일측과 타측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샤프트(4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샤프트(410)와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 사이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연동부재(510)를 포함하는 연동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동부재(510)는, 상기 회전샤프트(410)에,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의 외측으로 관통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샤프트(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노브부(511)와, 상기 노브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노브부에 상기 고정암(310)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암에 형성된 다각형 단면의 너트홀(316)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너트홀(316)에 삽입되는 너트부(513)를 포함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 게배치되고, 상기 메인노브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앙으로 이동하고, 상기 메인노브부재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 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드레인 홀의 접촉면에 접촉되는 결합면에 자석부재를 구비한 삽입돌기를 더 포함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돌기에 구비된 상기 결합면은, 상기 드레인 홀의 내부로 갈수록, 상기 접촉면 측으로 꺾이게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암에 구비된 상기 결합면이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향 경사지게 형성된,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암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암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이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요입 형성된 레일홈을 포함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중심돌기의 일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제1 나사부; 및,
    상기 중심돌기의 타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돌기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나사부와 대칭되게 나사산이 형성된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상기 몸체부에 조립 시에는,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암의 위치를 교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상기 주각재에 설치 시에는,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이 이동하도록, 상기 회전샤프트와 상기 고정암을 연동시키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ㄷ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길게 형성된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중심돌기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회전샤프트를 고정시키는 샤프트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암을 상기 연동부재에 탄성적으로 밀착시켜서, 상기 연동부재의 이동 시에 상기 고정암을 함께 이동시키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이격되게 표시된 한 쌍의 제1 기준선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은, 상기 한 쌍의 제1 기준선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는 제2 기준선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상기 몸체부에 조립 시에,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제2 기준선이 일직선 상에 배치되게, 상기 고정암의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는,
    상기 몸체프레임의 중심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돌기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돌기홈이 요입 형성된 샤프트 고정파트; 및,
    상기 샤프트 고정파트에 결합되고, 상기 중심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돌기홈에 대응되는 제2 돌기홈이 요입 형성된 샤프트 고정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돌기홈과 상기 제2 돌기홈은, 상기 중심돌기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와 상기 중심돌기 사이의 유격을 감소시키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암은,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를 향하는 면에 요입 형성된 제1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암을 향하는 양 측면에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홀에 대응되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양 단부가 상기 제1 삽입홀과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암과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타겟이 표시된 면과 상기 주각재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주각재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옵션 측정홀을 더 포함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14. 한 쌍의 드레인 홀(13)이 서로 이격되게 관통 형성된 강관 형태의 주각재(10)를 포함하는 강관철탑에, 변위 측정을 위한 타겟장치를 설치하는 타겟장치 설치방법에 있어서,
    상기 강관철탑의 변위측정 시의 측정점인 타겟(220)이 표시된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에 각각 결합되고, 결합되는 면에 자석부재(315)를 구비한 한 쌍의 고정암(310)과,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을 이동시키는 이동부(300) 및, 상기 이동부에 구비된 회전샤프트(410)와 상기 한 쌍의 고정암 사이에 관통 설치되는 한 쌍의 연동부재(510)를 구비하는 연동부(500)를 포함하는 타겟장치(100)를 준비하는, 타겟장치 준비단계;
    상기 연동부(500)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이 상기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암(310)의 위치를 교정하는, 고정암 교정단계;
    상기 회전샤프트(410)의 적어도 어느 일측에 장착된 메인노브부재(43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한 쌍의 드레인 홀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되게, 상기 몸체부(200)의 중심부로부터 같은 거리로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을 이격시키는, 고정암 풀림단계;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을 상기 드레인 홀(13)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암에 구비된 상기 자석부재(315)에 의해 상기 고정암(310)을 상기 드레인 홀(13)에 부착시키는, 고정암 부착단계; 및,
    상기 메인노브부재(43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몸체부(200)의 중심부에 같은 거리로 인접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 사이를 조임으로써, 상기 타겟장치를 상기 주각재(10)에 고정 설치하는, 타겟장치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재(510)는, 상기 회전샤프트(410)에, 상기 한 쌍의 고정암(310)의 외측으로 관통 설치되는 노브부(511)와, 상기 노브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노브부에 상기 고정암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암에 형성된 너트홀(316)에 삽입되는 너트부(513)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암 교정단계는, 상기 고정암(310)을 상기 몸체부(200)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너트부(513)와 상기 너트홀(316)을 분리시킨 후, 상기 노브부(511)를 회전하여 상기 연동부재(510)를 이동시키고, 상기 너트부(513)를 상기 너트홀(316)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고정암(310)의 위치를 교정하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의 설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부에서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이격되게 표시된 한 쌍의 제1 기준선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암은, 상기 한 쌍의 제1 기준선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된 제2 기준선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고정암 교정단계는, 상기 너트부를 상기 너트홀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고정암의 위치를 교정하여, 상기 제1 기준선과 상기 제2 기준선을 일직선 상에 배치시키는,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의 설치방법.
KR1020160152807A 2016-11-16 2016-11-16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896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07A KR101896794B1 (ko) 2016-11-16 2016-11-16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807A KR101896794B1 (ko) 2016-11-16 2016-11-16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24A KR20180055224A (ko) 2018-05-25
KR101896794B1 true KR101896794B1 (ko) 2018-10-18

Family

ID=62299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807A KR101896794B1 (ko) 2016-11-16 2016-11-16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7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1151A (zh) * 2018-08-15 2018-11-23 中国电建集团贵州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凉水塔塔筒半径的测量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227810B (zh) * 2020-09-29 2021-12-14 河北北方伟业钢结构制造有限公司 一种5g通信网络通讯塔
KR102386852B1 (ko) * 2021-06-25 2022-04-15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타켓 측정 장치
KR102419097B1 (ko) * 2021-12-20 2022-07-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강관철탑 변위 및 기울기 측정용 마킹 보조장치
KR20230147554A (ko) 2022-04-14 2023-10-23 권종만 원격지에서 송전탑, 전주 및 가로등의 변위 실시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692Y1 (ko) 2009-01-14 2009-03-11 (주)한국해외기술공사 교량 강교박스 슬리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JP4266064B2 (ja) * 1999-12-06 2009-05-20 東北電力株式会社 測量ターゲット器具、測量器具取付装置および鉄塔測量方法
US20150343606A1 (en) 2015-08-11 2015-12-03 Hsi-Shui Lin Vise
JP5977468B1 (ja) * 2016-01-29 2016-08-24 株式会社ミラック光学 アリ溝式ワーク挟持装置及びアリ溝式ワーク挟持方法
KR101652249B1 (ko) 2015-05-19 2016-08-30 박용성 고정용 밴드의 프레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742U (ko) * 1997-08-25 1999-03-15 이구택 코일카 상의 코일위치 자동감지장치
TW346007U (en) * 1998-05-28 1998-11-21 Lin ze pei Vice with automatically positioning mechanism
KR100754030B1 (ko) * 2005-08-30 2007-09-04 이걸주 진공 봉투 고정 장치
KR200471379Y1 (ko) * 2012-06-07 2014-02-17 장금수 다중 바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6064B2 (ja) * 1999-12-06 2009-05-20 東北電力株式会社 測量ターゲット器具、測量器具取付装置および鉄塔測量方法
KR200443692Y1 (ko) 2009-01-14 2009-03-11 (주)한국해외기술공사 교량 강교박스 슬리브 구간의 안전진단시설
KR101652249B1 (ko) 2015-05-19 2016-08-30 박용성 고정용 밴드의 프레스 장치
US20150343606A1 (en) 2015-08-11 2015-12-03 Hsi-Shui Lin Vise
JP5977468B1 (ja) * 2016-01-29 2016-08-24 株式会社ミラック光学 アリ溝式ワーク挟持装置及びアリ溝式ワーク挟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224A (ko)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794B1 (ko)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972767B1 (ko) 교량 안전진단용 연단거리 측정장치
US7328520B2 (en) Gage for measuring diameters
US9347774B2 (en) Angular indicator tool
KR101619402B1 (ko) 레이저 레벨기를 삼각대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대
KR101945177B1 (ko)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1419201B1 (ko) 다이얼게이지 설치장치
KR102035179B1 (ko)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US7882755B2 (en) Sensor attachment device, a sensor and a light emitting device for a photo-electrical sensor
KR100932750B1 (ko) 각도측정기
KR101564026B1 (ko) 계측타겟 고정 지그
US8402670B2 (en) Tensile bar marking fixture
US10731961B2 (en) Electrical box installation tool
KR20140056644A (ko)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KR101567417B1 (ko)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US11199403B2 (en) Spirit level
JP4956263B2 (ja) 保持装置、および測定装置
US9321171B2 (en) Electrical box layout tool
KR20140039945A (ko) 조합형 블록 게이지 측정장치
JP4642369B2 (ja) 溶接仕口の測定治具
KR101299100B1 (ko) 앵글부재의 모서리절단용 지그장치
JP6576814B2 (ja) 位置決め装置及び位置決め方法
JP4526416B2 (ja) センシング用光ケーブルの固定具、及び布設方法
KR101701919B1 (ko) 박막 필름 코팅 장치
KR101551308B1 (ko) 요크 날개 수직도 검사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