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644A -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 Google Patents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644A
KR20140056644A KR1020120121300A KR20120121300A KR20140056644A KR 20140056644 A KR20140056644 A KR 20140056644A KR 1020120121300 A KR1020120121300 A KR 1020120121300A KR 20120121300 A KR20120121300 A KR 20120121300A KR 20140056644 A KR20140056644 A KR 20140056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ing
backing
damper
tubul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983B1 (ko
Inventor
정진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21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9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뒷댐재의 위치를 오차없이 강관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며, 관부재와 뒷댐재를 일체로 파지하고 폭방향으로 압박하여 뒷댐재를 관부재에 밀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뒷댐재를 파지하며 관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뒷댐재의 돌출높이를 일정하게 하는 파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에 의하면, 뒷댐재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파지한 뒷댐재를 관부재의 일정한 위치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통해, 뒷댐재를 관부재에 전 영역에 걸쳐 오차없이 정위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FIXING JIG FOR BACKING STRIP}
본 발명은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뒷댐재의 위치를 오차없이 강관에 밀착 및 고정시킬 수 있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강관과 강관을 단면을 일치시켜 완전하게 슬롯 용접(slot welding)하는 방법에는 강관의 이음부에 뒷댐재(backing strip)를 대고 용접을 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도 1은 서로 이어지는 강관 A(10a)와 강관 B(10b)의 이음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 A(10a)와 강관 B(10b)의 단면을 완전하게 일치시켜 용접하기 위해서는 강관(10a,10b)의 내측에 배치되는 뒷댐재(20)가 사용될 수 있다.
뒷댐재(20)는 보통 강관(10a,10b)의 내경에 밀착하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강관과 강관의 이음부에 배치되어, 이어지는 두 개의 강관의 내경을 완전하게 일치시킨다.
이러한 강관 이음 공정에 대해서 살펴보면, 먼저, 강관 A(10a)의 단부에 뒷댐재(20)를 배치시킨다. 이때, 뒷댐재(20)가 강관 A(10a)의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뒷댐재(20)를 클램프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뒷댐재(20)와 강관 A(10a)를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점에서 용접한다.
이후, 클램프를 제거하고 강관 B(10b)의 중공에 뒷댐재(20)의 돌출부위를 삽입시켜 강관 A(10a)와 강관 B(10b)를 연결한다. 그리고, 강관 A(10a)와 강관 B(10b)의 이음부를 용접한다.
이와 같은 강관 이음 공정에서 뒷댐재(20)의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이어지는 두 개의 강관(10a,10b)이 일직선으로 이어지지 않게되고, 두 개의 강관(10a,10b)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용접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기 않도록, 종래에는 뒷댐재(20)를 강관에 부착하기 위하여, 스케일 등으로 표시한 후 각 위치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해 여러가지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뒷댐재를 관부재에 오차없이 정위치시킬 수 있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으로서, 뒷댐재가 관부재에 밀착된 상태에서 뒷댐재의 위치를 조절가능한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며, 관부재와 뒷댐재를 일체로 파지하고 폭방향으로 압박하여 뒷댐재를 관부재에 밀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뒷댐재를 파지하며 관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뒷댐재의 돌출높이를 일정하게 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은 C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대향부에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의 타측 대향부와 협력하여 관부재와 뒷댐재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대향부 방향으로 압박력을 제공하는 압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파지부는 상기 압박부재의 압박력 제공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뒷댐재의 전단을 지지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며 볼트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및 위치고정을 지지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압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대향부를 관통하여 볼트결합되는 볼트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압박부재의 전단에 체결되며, 관부재와 접촉하는 면에 요철부를 구비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의 타측 대향부의 끝단에는 뒷댐재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턱과 협력하여 뒷댐재를 파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뒷댐재의 외측면에서 뒷댐재의 후단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는 끝단에 상하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부가 관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뒷댐재의 돌출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지그에는 상기 프레임을 관부재에 고정시키는 정착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착부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며 볼트결합되어 관부재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관부재를 파지하여 압박하는 볼트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고정부와 협력하여 관부재와 뒷댐재를 파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관부재와 뒷댐재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에 의해 이동되는 뒷댐재의 이동을 보조하는 회전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일부가 삽입되는 볼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뒷댐재를 파지하는 파지부와 파지한 뒷댐재를 관부재의 일정한 위치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통해, 뒷댐재를 관부재에 전 영역에 걸쳐 오차없이 정위치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뒷댐재의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 파지부를 통해, 관부재에 밀착된 뒷댐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뒷댐재를 사용한 강관 이음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지그가 관부재에 뒷댐재를 고정시키는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지그가 관부재에 뒷댐재를 고정시키는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지그가 관부재에 뒷댐재를 고정시키는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고정지그가 관부재에 뒷댐재를 고정시키는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고정지그가 관부재에 뒷댐재를 고정시키는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100)는 프레임(110), 고정부(120) 및 파지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후술하는 고정부(120) 및 파지부(150)가 설치되는 장치의 몸체에 해당하며, 일 실시예에서 C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110a,110b)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110)은 일반적인 C형 클램프의 몸체와 유사하게 C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서로 밀착되어 있는 관부재(10)와 뒷댐재(20)의 폭을 수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관부재(10)와 뒷댐재(20)를 압박 고정하는 강한 압박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강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120)는 프레임(110)에 구비되며, 관부재(10)와 뒷댐재(20)를 일체로 파지하고, 파지한 관부재(10)와 뒷댐재(20)를 폭방향으로 압박하여 뒷댐재(20)를 관부재(10)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120)는 압박부재(130)와 마찰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박부재(130)는 프레임(110)의 일측 대향부(110a)에 지지되며, 프레임(110)의 타측 대향부(110b) 방향으로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압박부재(130)는 프레임(110)의 타측 대향부(110b)와 협력하여 관부재(10)와 뒷댐재(20)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박부재(130)는 프레임(110)의 타측 대향부(110b)와의 사이에 관부재(10)와 뒷댐재(20)를 수용할 수 있으며, 압박부재(130)가 관부재(10)의 외측면을 압박하고 타측 대향부(110b)가 뒷댐재(20)의 내측면을 지지하여 관부재(10)와 뒷댐재(20)를 파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압박부재(130)는 프레임(110)의 일측 대향부(110a)를 관통하여 볼트결합되는 볼트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볼트부재의 일 예로 전산볼트(full thread bolt)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린더와 같이 일방으로 강한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압박부재(130)가 볼트부재로 구성되는 경우, 프레임(110)의 일측 대향부(110a)에는 타측 대향부(110b)를 향해 형성된 나사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박부재(130)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압박부재(13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13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부재(140)는 압박부재(130)의 전단에 체결되어, 관부재(10)에 직접 접촉하며 압박부재(130)의 압박력을 관부재(1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찰부재(140)에는 관부재(10)와의 마찰력이 강화되도록 관부재(10)와 접촉하는 면에 요철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지부(150)는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뒷댐재(20)를 파지하며 관부재(10)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뒷댐재(20)의 돌출높이를 일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파지부(150)는 뒷댐재(20)를 관부재(10)에 대해서 일정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파지부(150)는 압박부재(130)의 압박력 제공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뒷댐재(20)의 전단을 지지하는 이동부재(170)와, 프레임(110)을 관통하며 볼트결합되어 이동부재(170)를 지지하는 볼트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부재(160)의 일 예로 전산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부재(170)는 프레임(110)의 타측 대향부(110b) 측에서 타측 대향부(110b)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프레임(110)에 형성된 삽입홀(116)에 유동적으로 삽입되는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170)의 전단에는 뒷댐재(20)의 외측면에서 뒷댐재(20)의 후단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출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72)는 뒷댐재(20)가 관부재(10)의 단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170)가 뒷댐재(20)의 전단을 지지하고, 뒷댐재(20)가 관부재(10)에 밀착되는 경우, 이동부재(170)의 돌출부(172)의 끝단에는 관부재(10)의 단부가 접촉되게 되고, 이로 인해, 관부재(10)와 뒷댐재(20)가 소정의 두께만큼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관부재(10)에 배치되는 뒷댐재(20)를 모든 위치에서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0)의 타측 대향부(110b)의 끝단에는 뒷댐재(20)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턱(1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동부재(170)와 타측 대향부(110b)의 지지턱(118)은 뒷댐재(20)의 전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며 서로 협력하여 뒷댐재(20)를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170)를 지지하는 상기 볼트부재(160)는 프레임(110)을 관통하며 볼트결합되어 전단이 이동부재(170)의 후단에 닿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볼트부재(160)는 이동부재(170)를 밀어 타측 대향부(110b)의 지지턱(118) 방향으로 압박력을 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동부재(170)와 지지턱(118)이 뒷댐재(20)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볼트부재(16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볼트부재(160)의 후단에는 손잡이(162)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10)에는 상기 볼트부재(160)가 볼트결합되는 나사홀(114)이 이동부재(170)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나사홀(114)은 볼트부재(160)의 전단이 이동부재(170)의 후단에 접촉할 수 있도록 삽입홀(116)로 이어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100)의 관부재(10)에 대한 뒷댐재(20) 고정 동작 형태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댐재(20)의 후단을 프레임(110)의 타측 대향부(110b)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턱(118)에 지지시키고, 파지부(150)의 볼트부재(160)를 회전시켜 이동부재(170)가 지지턱(118)과 협력하여 뒷댐재(20)를 견고하게 파지하도록 한다.
이후, 파지부(150)에 파지되어 있는 뒷댐재(20)를 관부재(10)의 전단에 위치시키면, 이동부재(170)의 돌출부(172)가 관부재(10)의 전단에 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120)의 압박부재(130)를 회전시켜 뒷댐재(20)와 관부재(10)를 밀착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172)의 끝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경사면(17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사면(174)을 통해 관부재(10)와 이동부재(170)가 이격되지 않고 밀접할 수 있게된다. 다시 말해, 압박부재(130)가 관부재(10)를 압박할 때, 관부재(10)의 끝단이 돌출부(172)의 경사면(17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관부재(10)와 뒷댐재(20)가 밀착되면 돌출부(172)의 끝단에 맞닿아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관부재(10)에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지그(100)가 모두 오차없이 동일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뒷댐재(20)가 모든 위치에서 관부재(10)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부재(1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설치되어 뒷댐재(20)를 관부재(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댐재(20)는 경사지게 절단되어 관부재(10)와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100)를 사용해 뒷댐재(20)가 관부재(10)에 고정된 후, 관부재(10)와 뒷댐재(20)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점에서 용접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고정지그가 관부재에 뒷댐재를 고정시키는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100-1)는 프레임(110)을 관부재(10)에 고정시키는 정착부(220)가 추가로 포함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100)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100-1)는 파지부(150)가 관부재(10)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뒷댐재(20)의 돌출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100)는 파지부(150)가 뒷댐재(20)를 파지하는 기능만 수행할 수 있지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100-1)는 파지부(150)가 뒷댐재(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다른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110)의 타측 대향부(110b)에는 이동부재(170)의 전방에 뒷댐재(20)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턱(118)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를 통해, 프레임(110)의 타측 대향부(110b)의 상면에 배치된 뒷댐재(20)는 타측 대향부(110b)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때, 뒷댐재(20)의 이동은 이동부재(170)가 전진하면서 뒷댐재(20)를 미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부재(170)의 전진 동작은 파지부(150)의 볼트부재(160)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볼트부재(160)는 볼트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동부재(170)의 이동거리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뒷댐재(20)의 위치 이동 동작은 고정부(120)가 뒷댐재(20)와 관부재(10)를 압박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프레임(110)의 타측 대향부(110b)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뒷댐재(20)에는 마찰력이 크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마찰력을 저감시키고 뒷댐재(20)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프레임(110)의 타측 대향부(110b)에는 회전부재(2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프레임(110)에 일부가 삽입되는 볼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뒷댐재(20)의 이동시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롤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볼부재로 구성된 상기 회전부재(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대향부(110b)에 형성된 구형 홈(210)에 일부가 삽입되고, 뒷댐재(20)와의 접촉점이 타측 대향부(110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뒷댐재(20)가 이동할 때 회전되며 뒷댐재(20)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부재(200)는 고정부(120)의 압박부재(130)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여 고정부(120)와 협력하여 관부재(10)와 뒷댐재(20)를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정착부(220)는 파지부(150)가 뒷댐재(20)를 일어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프레임(11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프레임(110)을 관부재(1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고정부(120)에 의해 관부재(10)와 뒷댐재(20)가 압박 고정된 상태에서, 파지부(150)가 뒷댐재(20)를 밀면, 관부재(10)에 대한 뒷댐재(20)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의해 프레임(110) 자체가 유동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 정착부(220)는 프레임(110)을 관부재(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착부(220)는 프레임(110)을 관통하며 볼트결합되어 관부재(10)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관부재(10)를 파지하여 압박할 수 있는 볼트부재(230a,230b)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볼트부재(230a,230b)의 일 예로 전산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정착부(220)는 프레임(110)의 일측 대향부(110a)와 타측 대향부(110b)에 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상측 볼트부재(230a)와 하측 볼트부재(230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10)의 일측 대향부(110a)와 타측 대향부(110b) 각각에는 상기 상측 볼트부재(230a)와 하측 볼트부재(230b)가 볼트결합되는 상측 나사홀(240a)과 하측 나사홀(240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 볼트부재(230a)와 하측 볼트부재(230b) 각각의 전단에는 관부재(10)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관부재(10)와의 접촉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마찰부재(250a,250b)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측 볼트부재(230a)와 하측 볼트부재(230b) 각각의 후단에는 손잡이(232a,232b)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고정지그(100-1)의 관부재(10)에 대한 뒷댐재(20) 고정 동작 형태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0)를 사용하여 뒷댐재(20)를 관부재(10)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킨다. 이후, 고정부(120)의 압박부재(130)를 통해 관부재(10)와 뒷댐재(20)를 압박하여 서로 밀착시킨다.
그리고, 정착부(220)를 사용하여 프레임(110)을 관부재(10)에 고정시킨다. 이때, 정착부(220)의 상측 볼트부재(230a)와 하측 볼트부재(230b) 중 어느 하나를 관부재(10)에 닿도록 한 후에 다른 하나로 관부재(10)를 강하게 압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착부(220)를 통해 프레임(110)이 관부재(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파지부(150)의 볼트부재(160)를 회전시켜 뒷댐재(20)가 관부재(10)에서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뒷댐재(20)의 위치 이동 동작은 파지부(150)의 볼트부재(160)의 회전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뒷댐재(2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관부재(10)에 대한 뒷댐재(20)의 위치를 오차없이 정위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 : 관부재 20 : 뒷댐재
100, 100-1 : 고정지그
110 : 프레임 120 : 고정부
130 : 압박부재 140 : 마찰부재
150 : 파지부 170 : 이동부재
172 : 돌출부 174 : 경사면
200 : 회전부재 220 : 정착부

Claims (12)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며, 관부재와 뒷댐재를 일체로 파지하고 폭방향으로 압박하여 뒷댐재를 관부재에 밀착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뒷댐재를 파지하며 관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뒷댐재의 돌출높이를 일정하게 하는 파지부;
    를 포함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C형상으로 이루어져,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대향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대향부에 지지되며, 상기 프레임의 타측 대향부와 협력하여 관부재와 뒷댐재를 밀착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프레임의 타측 대향부 방향으로 압박력을 제공하는 압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압박부재의 압박력 제공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뒷댐재의 전단을 지지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며 볼트결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 및 위치고정을 지지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대향부를 관통하여 볼트결합되는 볼트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압박부재의 전단에 체결되며, 관부재와 접촉하는 면에 요철부를 구비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 대향부의 끝단에는 뒷댐재의 후단을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지지턱과 협력하여 뒷댐재를 파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뒷댐재의 외측면에서 뒷댐재의 후단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끝단에 상하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관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뒷댐재의 돌출높이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을 관부재에 고정시키는 정착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는,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며 볼트결합되어 관부재의 내측면과 외측면에서 관부재를 파지하여 압박하는 볼트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고정부와 협력하여 관부재와 뒷댐재를 파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관부재와 뒷댐재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에 의해 이동되는 뒷댐재의 이동을 보조하는 회전부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일부가 삽입되는 볼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용 고정지그.
KR1020120121300A 2012-10-30 2012-10-30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KR101397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300A KR101397983B1 (ko) 2012-10-30 2012-10-30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300A KR101397983B1 (ko) 2012-10-30 2012-10-30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644A true KR20140056644A (ko) 2014-05-12
KR101397983B1 KR101397983B1 (ko) 2014-05-30

Family

ID=5088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300A KR101397983B1 (ko) 2012-10-30 2012-10-30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9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5573A (zh) * 2019-10-12 2020-01-17 东风(武汉)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零件焊接防错装置
KR20220000272U (ko) * 2020-07-22 2022-02-03 라이프안전유리(주) 유리 접합용 클램프
KR20220165048A (ko) * 2021-06-07 2022-12-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접 구조물 고정용 치공구
KR20220165051A (ko) * 2021-06-07 2022-12-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용 치공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391Y2 (ja) * 1993-11-04 1995-10-11 協和マシン株式会社 鋼管の裏当て金溶接用治具
JP3073690B2 (ja) * 1996-03-19 2000-08-07 株式会社鈴木勇商店 角型鋼管の裏当金締付具
JP2000176686A (ja) 1998-12-16 2000-06-27 Katsumi Abe 鉄骨材の裏当金仮止め金具
JP4453989B2 (ja) * 2000-02-15 2010-04-21 コマ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丸パイプへの円筒状裏当金部材の溶接方法及び溶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5573A (zh) * 2019-10-12 2020-01-17 东风(武汉)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零件焊接防错装置
KR20220000272U (ko) * 2020-07-22 2022-02-03 라이프안전유리(주) 유리 접합용 클램프
KR20220165048A (ko) * 2021-06-07 2022-12-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용접 구조물 고정용 치공구
KR20220165051A (ko) * 2021-06-07 2022-12-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 조절이 가능한 고정용 치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983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7588A (en) Universal clamping tool
CA2630958C (en) Adjustable roller frame
KR20140056644A (ko) 뒷댐재 용접용 고정지그
JP2706370B2 (ja) 枢動および滑動ジョーを備えたクランプ
WO2008030685A3 (en) Clamp
JP4889551B2 (ja) 薄板鋼板の肌付治具
GB2205373A (en) Method of making piping joints and joining tool
EP2776750B1 (en) Clamp assembly
KR100796769B1 (ko) 브레이크슈 용접작업용 클램핑 장치 및 방법과 브레이크슈 용접방법
KR101599502B1 (ko) 원통형 용접대상 고정장치
JP2005509526A (ja) 締結要素のための供給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JP2012255324A (ja) 取付具
SE9002366D0 (sv) Rapid jaw adjustment for tools and the like
TWI576207B (zh) Floating air pressure angle solid double clamp vise structure
JP2005206297A (ja) 凹形断面ストリップの取付装置
JP5686451B1 (ja) 仮設足場用連結器具
JP5840664B2 (ja) シートクリップ
KR200488027Y1 (ko) 용접용 홀더
CN220838670U (zh) 一种气液分离器焊接用定位工装
CN210228250U (zh) 一种骨科用钻套夹紧装置
CN220718219U (zh) 焊接夹具和焊接装置
JP5756557B1 (ja) 管端への防食キャップ装着用治具
CN213916914U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管夹
CN210615621U (zh) 一种工件焊接装置
KR101996856B1 (ko) 파지장치를 이용한 클래드 배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