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7417B1 -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7417B1
KR101567417B1 KR1020150061263A KR20150061263A KR101567417B1 KR 101567417 B1 KR101567417 B1 KR 101567417B1 KR 1020150061263 A KR1020150061263 A KR 1020150061263A KR 20150061263 A KR20150061263 A KR 20150061263A KR 101567417 B1 KR101567417 B1 KR 101567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plates
plate
plate por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홍
Original Assignee
(주)건일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일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건일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50061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앵글지지대의 상하단을 전력구 설치면의 기울기에 맞게 각도를 조절해가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앵글후판부(22)와 앵글측판부(24)를 갖고, 체결공(24h)이 앵글측판부(24)에 형성되는 앵글지지대(20); 앵커체결공(32h)을 갖는 앵커고정판(32)과, 평행판(34)(36)을 갖는 각도조절채널(30); 앵글후판부(22)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판(42)과, 전방측을 향해 절곡되는 측판(44)(46)과, 수직장공(44h)(46h)을 갖는 앵글연결채널(40); 각도조절채널(30)의 하단부와 앵글연결채널(40)의 상단부에서 서로 힌지결합되는 상부힌지판(37)(38)과 하부힌지판(47)(48); 상부힌지판(37)(38)과 하부힌지판(47)(48)을 좌우로 관통하는 힌지핀(50); 수직장공(44h)(46h)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드부(62)와, 측판(44)(46)의 바깥쪽 측면에 걸리는 원반부(64)와, 볼트삽입구멍(66)을 갖는 위치조정부시(60); 볼트삽입구멍(66)과 체결공(24h)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70); 체결볼트(70)와 결합되는 너트(72)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측판(44)(46)의 전방측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앵글측판부(24)의 전방측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44a)(46a); 및 후판(42)의 일부를 "ㄷ"자 모양으로 잘라서 전방측을 향해 밀어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앵글후판부(22)의 상하측 단부에 걸리는 "L"자 단면의 스토퍼(42s)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Underground Distribution Cable Support Device for Electrical Conduit of Ap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앵글지지대의 상하단을 원형 또는 각형 전력구 설치면의 기울기에 맞게 각도를 조절해가면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으로 된 전력구에 더 적합하도록 한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 및 주거지에 무질서하게 서 있는 전주 및 가공케이블은 도시 미관을 해치고, 태풍,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 시 잦은 정전사고를 동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비해 지중선로는 다수의 선로를 설치할 수 있어 도심부하공급에 유리하며, 케이블이 지중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가공선로에 비해 안전하고, 미관개선으로 쾌적한 도심환경 조성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전주나 케이블이 밖으로 노출되지 않아 도로의 전망이 좋아지고, 신호기나 도로표식의 식별력이 향상되어 교통의 안전성이 향상되며, 보도를 보다 넓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자는 물론 유모차나 휠체어를 이용하는 사람에게도 안전하고 이용하기 쉬운 보행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자연재해로부터의 영향이 적게 되는 등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지중선로는 지중관로와 같은 전력구를 이용해서 배전선로와 송전선로로 구분하여 포설하고 있으며, 전력구 내에서 케이블을 받치기 위한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종래기술 1을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 1은 전력구(10)가 원형으로 되어 있어 내부의 설치면이 곡면인 경우에는 직선으로 된 앵글지지대(12)를 설치면에 그대로 밀착시켜서 고정할 수 없기 때문에 우선 앵글지지대(12)가 설치될 위치의 기울기를 각도기를 이용해서 측정한 다음 절단석이 부착된 앵글그라인더, 고속절단기 또는 밴드쏘와 같은 절단공구를 이용해서 앵글지지대(12)를 설치면 기울기에 맞게 적절한 각도로 절단해서 용접앵글(11)을 만든 다음 도 2와 같이 용접앵글(11)과 앵글지지대(12)가 서로 둔각을 이루도록 용접앵글(11)을 앵글지지대(12)의 상하단부에 용접하고 있었다.
이후 전력구(10) 설치면에 앵커볼트(16)를 박은 다음 용접앵글(11)을 앵커볼트(16)에 끼워서 걸고 너트(17)로 고정해서 케이블(15)을 지지할 앵글지지대(12)를 설치한 후 앵글지지대(12)에 행거(13)를 수평하게 설치한 다음 케이블받침대(14) 위에 케이블(15)을 올려놓으면서 포설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1은 각도기를 이용해서 전력구(10) 설치면의 기울기를 측정할 때 직선으로 된 측정자를 곡면에 밀착시켜서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측정자의 길이에 따라 각도가 다르게 측정되기 때문에 기울기를 정확하게 측정해서 용접앵글(11)을 절단하기란 여간해서 쉬운 일이 아니었다.
또한, 종래기술 1은 용접앵글(11)을 앵글지지대(12)의 상하단에 용접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 용접하면 각도를 변경할 수 없어 잘못 용접하거나 기울기 측정이 잘 못 된 경우에는 폐기하고 처음부터 다시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1은 용접앵글(11)과 앵글지지대(12)를 연결하는 용접부위가 습한 지하공간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접부위를 와이어 브러쉬 등으로 연마한 다음 도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38974호(종래기술 2)에는 행거를 지지하기 위한 앵글지지대를 전력구의 곡면에 맞게 곡선형으로 벤딩하고, 3점 지지형식의 행거지지바를 이용해서 행거의 설치높이마다 행거지지바의 위치와 각도를 변경해가면서 행거의 수평을 맞추도록 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 2는 설치높이에 따라 일일이 행거지지바의 각도를 변경해주어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앵글을 전력구 내측의 곡률반경에 맞게 정밀하게 벤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전력구 내부의 곡률반경이 다른 경우에는 서로 호환성이 없어 새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389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한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앵글후판부와 앵글측판부를 갖고, 체결공이 앵글측판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앵글지지대; 설치면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체결공을 갖는 앵커고정판과, 앵커고정판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평행하게 절곡되는 평행판을 갖는 "ㄷ"자 단면의 각도조절채널; 상기 앵글후판부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판과, 후판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평행하게 절곡되는 측판과, 측판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장공을 갖는 "ㄷ"자 단면의 앵글연결채널; 상기 각도조절채널의 하단부와 앵글연결채널의 상단부에서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어 서로 힌지결합되는 상부힌지판과 하부힌지판; 상기 상부힌지판과 하부힌지판을 좌우로 관통하여 상호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하는 힌지핀; 상기 수직장공으로 삽입되어 미끄러지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측판의 바깥쪽 측면에 걸리는 원반부와, 중심을 관통하는 볼트삽입구멍을 갖는 위치조정부시; 상기 볼트삽입구멍과 상기 체결공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 상기 체결볼트와 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전방측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앵글측판부의 전방측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 및 상기 후판의 일부를 "ㄷ"자 모양으로 잘라서 전방측을 향해 밀어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앵글후판부의 상하측 단부에 걸리는 "L"자 단면의 스토퍼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절단 및 용접과 같은 공정을 거치지 않고 전력구의 설치면 기울기에 맞게 각도조절채널을 힌지핀을 중심으로 움직여서 기울기를 조정한 다음 설치면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공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앵글지지대를 앵글연결채널로 삽입해서 결합할 때 스토퍼에 의해 앵글지지대의 삽입깊이가 항상 일정한 깊이로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지지대과 앵커볼트의 결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앵글지지대를 앵글연결채널로 삽입할 때 측판의 전방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해 앵글지지대를 상하방향으로 직선 안내하면서 동시에 앵글지지대가 앵글연결채널로부터 전방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앵글지지대와 앵글연결채널 간의 결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체결볼트에 너트를 체결할 때 앵글측판부가 밀착되어 있지 않은 한 쪽의 측판에 형성된 수직장공을 통해 복스렌치와 같은 체결공구를 집어넣어서 너트 체결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체결작업이 한층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앵글지지대에 형성된 체결공의 간격이 일정 범위내에서 다른 경우에도 위치조정부시를 수직장공을 따라 움직이게 되면, 위치조정부시의 중심에 형성된 볼트삽입구멍과 체결공의 중심을 일치시켜서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종류의 앵글연결채널을 이용해서 다양한 간격으로 된 체결공을 갖는 여러 종류의 앵글지지대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 간 호환성이 높아 시공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원형으로 된 전력구의 곡면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각도조절채널과 앵글연결채널을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펴게 되면, 평평한 수직면에도 설치할 수 있고, 각도조절채널과 앵글연결채널을 90도로 꺾으면 수평한 천장이나 바닥면에도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 1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 1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투명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측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싣도
도 8은 도 7의 배면측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정단면도
도 10은 도 4의 A부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앵글지지대(20), 전력구(21)의 설치면(25)에 고정되는 "ㄷ"자 단면의 각도조절채널(30), "ㄷ"자 단면의 앵글연결채널(40), 상부힌지판(37)(38)과 하부힌지판(47)(48), 힌지핀(50), 걸림턱(44a)(46a), "L"자 단면의 스토퍼(42s), 위치조정부시(60), 체결볼트(70), 너트(7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앵글지지대(20)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앵글후판부(22)와 앵글측판부(24)를 갖고, 체결공(24h)을 앵글측판부(24)에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도록 형성하며, 일반적인 L형강재를 이용해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 펀치나 절삭공구를 이용해서 체결공(24h)을 가공하거나 철판을 길게 절곡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각도조절채널(30)은 설치면(25)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체결공(32h)을 갖는 앵커고정판(32)과, 앵커고정판(32)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평행하게 절곡되는 평행판(34)(36)을 갖는다.
전력구(21)에 설치된 앵커볼트(80)를 각도조절채널(30)에 형성된 앵커체결공(32h)으로 통과시킨 다음 돌출된 앵커볼트(80)에 앵커고정너트(82)를 결합해서 각도조절채널(30)을 전력구(21) 설치면(25)에 고정한다.
상기 앵글연결채널(40)은 앵글후판부(22)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판(42)과, 후판(42)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평행하게 절곡되는 측판(44)(46)을 갖는다.
상기 상부힌지판(37)(38)과 하부힌지판(47)(48)은 각도조절채널(30)의 하단부와 앵글연결채널(40)의 상단부에서 각각 평행하게 연장해서 서로 힌지결합하며, 상기 힌지핀(50)은 상부힌지판(37)(38)과 하부힌지판(47)(48)을 좌우로 관통하며, 상부힌지판(37)(38)과 하부힌지판(47)(48)을 서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결합한다.
또, 힌지핀(50) 삽입을 위해 상부힌지판(37)(38)과 하부힌지판(47)(48)에는 서로 중심이 일치되는 상부힌지구멍(37h)(38h)과 하부힌지구멍(47h)(48h)을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한다.
상기 각도조절채널(30)과 상부힌지판(37)(38), 앵글연결채널(40)과 하부힌지판(47)(48)은 각각 일체로 형성하며,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판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50)의 일측단에는 핀머리(52)를 형성하며, 힌지핀(50)의 타측단에는 멈춤홈(54)을 형성하고, 힌지핀(50)이 상부힌지구멍(37h)(38h)과 하부힌지구멍(47h)(48h)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멈춤홈(54)에 스냅링(56)을 설치한다.
한편, 상기 걸림턱(44a)(46a)은 측판(44)(46)의 전방측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앵글측판부(24)의 전방측 단부에 걸리며, 상기 스토퍼(42s)는 후판(42)의 일부를 "ㄷ"자 모양으로 잘라서 전방측을 향해 밀어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앵글후판부(22)의 상하측 단부에 걸리도록 하며, 걸림턱(44a)(46a)과 스토퍼(42s)는 앵글연결채널(40)에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수직장공(44h)(46h)은 측판(44)(46)의 측면에서 상하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하며, 좌우로 관통되게 형성한다.
상기 위치조정부시(60)는 수직장공(44h)(46h)으로 삽입되어 미끄러지는 슬라이드부(62)와, 측판(44)(46)의 바깥쪽 측면에 걸리는 원반부(64)와, 중심을 관통하는 볼트삽입구멍(66)을 갖는다.
상기 체결볼트(70)는 볼트삽입구멍(66)과 상기 체결공(24h)으로 삽입되며, 상기 너트(72)는 체결볼트(70)와 결합되고, 체결볼트(70)를 볼트삽입구멍(66)으로 삽입하기 전에 와셔(84)를 끼운 다음 볼트삽입구멍(66)에 삽입하고 너트(72)와 결합하게 되면, 위치조정부시(60)의 원반부(64)에 볼트흔이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도조절채널(30)과 앵글연결채널(40)을 힌지핀(50)으로 조립하는 과정은 앵글연결채널(40)의 상부에 형성된 하부힌지판(47)(48)을 각도조절채널(30)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힌지판(37)(38) 사이로 삽입해서 하부힌지구멍(47h)(48h)과 상부힌지구멍(37h)(38h)을 서로 일치시킨 다음 일치된 하부힌지구멍(47h)(48h)과 상부힌지구멍(37h)(38h)으로 힌지핀(50)을 삽입한 후 멈춤홈(54)에 스냅링(56)을 끼우게 되면, 각도조절채널(30)과 앵글연결채널(40)이 힌지핀(50)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된다.
이때 힌지핀(50)의 단부에 형성된 핀머리(52)와 스냅링(56)이 상부힌지판(37)(38)의 외측면에 걸려 있기 때문에 힌지핀(5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각도조절채널(30)과 앵글연결채널(40)을 공장에서 조립한 상태에서 케이블 포설현장으로 이동하여 사용하게 되면, 빠른 시공에 도움이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6은 전력구(21)에 설치되는 발판을 나타낸 것이며, 27은 케이블을 나타낸 것이고, 28은 케이블(27)을 지지하기 위한 행거를 나타낸 것이며, 29는 행거(28) 위에서 케이블(27)을 지지하는 케이블받침대를 타나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50)에 의해 각도조절채널(3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앵글연결채널(40)을 앵글지지대(20)의 상단부에 체결하는 과정은 앵글지지대(20)를 설치높이에 맞는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 앵글연결채널(4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앵글지지대(20)의 단부를 삽입하게 되면, 앵글지지대(20)를 구성하는 앵글후판부(22)와 앵글측판부(24)가 앵글연결채널(40)의 후판(42)과 측판(44)(46)의 내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삽입되고, 스토퍼(42s)에 걸리는 순간 삽입깊이가 제한되면서 멈추게 된다.
이때 측판(44)(46)의 전방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44a)(46a)은 앵글측판부(24)의 전방측 단부와 접촉되면서 앵글지지대(20)가 전방측으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안내작용을 하게 되므로, 앵글지지대(20)가 앵글연결채널(40) 안쪽에서 흔들림 없이 직선으로 안내되면서 삽입된다.
또한, 앵글지지대(20)에 형성된 앵글측판부(24)의 좌우측 위치에 따라 두 개의 측판(44)(46) 중에 어느 한쪽의 측판(44)(46)에만 앵글측판부(24)가 접촉되어 미끄러지게 되며, 도시예에서와 같이 부호 "44"로 나타낸 측판에 앵글측판부(24)가 밀착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이후 앵글측판부(24)와 밀착되어 있는 측판(44)에 형성된 수직장공(44h)으로 위치조정부시(60)에 형성된 슬라이드부(62)를 삽입한 다음 위치조정부시(60)를 수직장공(44h)(46h)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셔 앵글측판부(24)에 형성된 체결공(24h)의 중심과 위치조정부시(60)에 형성된 볼트삽입구멍(66)의 중심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70)에 와셔(84)를 끼운 다음 체결볼트(70)를 볼트삽입구멍(66)으로 삽입하게 되면, 체결볼트(70)가 볼트삽입구멍(66)과 체결공(24h)을 통해 반대편으로 돌출된다.
그 다음 반대편으로 돌출된 체결볼트(70)에 너트(72)를 결합해서 조이게 되면, 앵글지지대(20)가 앵글연결채널(40)에 강하게 고정되며, 너트(72)를 체결할 때 앵글측판부(24)와 밀착되지 않은 반대편 측판(46)에 형성된 수직장공(46h)을 통해 복스렌치를 안쪽으로 넣어서 너트(72)를 돌리게 되면, 체결작업을 좀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 앵글지지대(20)의 하단부에도 앞에서 설명한 상단부에 앵글연결채널(40)을 결합하는 것과 같이 동일한 다른 앵글연결채널(40)을 이용해서 결합하면, 앵글지지대(20)의 상하단부에 동일한 두 개의 앵글연결채널(40)이 각각 고정된다.
한편, 전력구(21) 설치면(25) 상하부에 앵커볼트(80)를 설치한 다음 앵글지지대(20)를 수직으로 세운 후 앵글연결채널(40)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각도조절채널(30)에 형성된 앵커체결공(32h)으로 앵커볼트(80)를 삽입하고, 앵커고정너트(82)를 앵커볼트(80)에 결합해서 조이게 되면, 앵글지지대(20)가 전력구(21) 설치면(25)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전력구(21) 설치면(25)이 곡면인 경우 각도조절채널(30)을 힌지핀(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설치면(25)의 기울기에 따라 각도조절채널(30)의 각도를 알맞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 전력구(21) 설치면(25)이 평면한 수직면인 경우에는 각도조절채널(30)을 앵글연결채널(40)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세우고 설치하면 부착이 가능하게 되고, 각도조절채널(30)을 앵글연결채널(40)과 직각을 이루도록 꺾으면 수평한 천장과 바닥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20 : 앵글지지대 21 : 전력구
22 : 앵글후판부 24 : 앵글측판부
24h : 체결공 25 : 설치면
26 : 발판 27 : 케이블
28 : 행거 29 : 케이블받침대
30 : 각도조절채널 32 : 앵커고정판
32h : 앵커체결공 34,36 : 평행판
37,38 : 상부힌지판 37h,38h : 상부힌지구멍
40 : 앵글연결채널 42 : 후판
42s : 스토퍼 44,46 : 측판
44a,46a : 걸림턱 44h,46h : 수직장공
47,48 : 하부힌지판 47h,48h : 하부힌지구멍
50 : 힌지핀 52 : 핀머리
54 : 멈춤홈 56 : 스냅링
60 : 위치조정부시 62 : 슬라이드부
64 : 원반부 66 : 볼트삽입구멍
70 : 체결볼트 72 : 너트
80 : 앵커볼트 82 : 앵커고정너트
84 : 와셔

Claims (1)

  1. 서로 직각을 이루는 앵글후판부(22)와 앵글측판부(24)를 갖고, 체결공(24h)이 앵글측판부(24)에서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형성되는 앵글지지대(20);
    설치면(25)에 고정하기 위한 앵커체결공(32h)을 갖는 앵커고정판(32)과, 앵커고정판(32)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평행하게 절곡되는 평행판(34)(36)을 갖는 "ㄷ"자 단면의 각도조절채널(30);
    상기 앵글후판부(22)의 후면에 밀착되는 후판(42)과, 후판(42)의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평행하게 절곡되는 측판(44)(46)과, 측판(44)(46)에 각각 형성되는 수직장공(44h)(46h)을 갖는 "ㄷ"자 단면의 앵글연결채널(40);
    상기 각도조절채널(30)의 하단부와 앵글연결채널(40)의 상단부에서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어 서로 힌지결합되는 상부힌지판(37)(38)과 하부힌지판(47)(48);
    상기 상부힌지판(37)(38)과 하부힌지판(47)(48)을 좌우로 관통하여 상호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결합하는 힌지핀(50);
    상기 수직장공(44h)(46h)으로 삽입되어 미끄러지는 슬라이드부(62)와, 상기 측판(44)(46)의 바깥쪽 측면에 걸리는 원반부(64)와, 중심을 관통하는 볼트삽입구멍(66)을 갖는 위치조정부시(60);
    상기 볼트삽입구멍(66)과 상기 체결공(24h)으로 삽입되는 체결볼트(70);
    상기 체결볼트(70)와 결합되는 너트(72);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판(44)(46)의 전방측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앵글측판부(24)의 전방측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44a)(46a); 및
    상기 후판(42)의 일부를 "ㄷ"자 모양으로 잘라서 전방측을 향해 밀어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앵글후판부(22)의 상하측 단부에 걸리는 "L"자 단면의 스토퍼(42s);
    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150061263A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567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263A KR101567417B1 (ko)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263A KR101567417B1 (ko)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417B1 true KR101567417B1 (ko) 2015-11-10

Family

ID=5460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263A KR101567417B1 (ko) 2015-04-30 2015-04-30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427B1 (ko) * 2020-11-02 2021-03-22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 배전용 내진 보강장치
KR102258225B1 (ko) 2020-10-29 2021-06-01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각도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527Y1 (ko) * 1999-04-02 2002-02-28 석창환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장치
KR101209873B1 (ko) * 2012-06-26 2012-12-11 대덕전력 주식회사 3상 배전케이블 수직 인입 인출 가이드 롤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527Y1 (ko) * 1999-04-02 2002-02-28 석창환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브래킷장치
KR101209873B1 (ko) * 2012-06-26 2012-12-11 대덕전력 주식회사 3상 배전케이블 수직 인입 인출 가이드 롤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225B1 (ko) 2020-10-29 2021-06-01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각도조절장치
KR102230427B1 (ko) * 2020-11-02 2021-03-22 (주)유원건축사사무소 건축 배전용 내진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6045B2 (en) Mountable speaker assembly
US20090065657A1 (en) Hanger for fire sprinkler pipe
KR101567417B1 (ko)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US8475079B2 (en) Drainage apparatus including a support device and a wedge
EP3519649B1 (en) Levelable cladding structure with quick installation and removal
KR20120037686A (ko) 배관 높이조절 구조
KR101896794B1 (ko)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
US5623789A (en) Pitch stabilizing, positionable eaves-overhang light support assembly
KR101956557B1 (ko) 건축용 파이프 고정장치
JP2012007721A (ja) 配管支持具
JP2008236830A (ja) 幅可変トラフ橋
KR20150003683U (ko) 와이어로프용 조이너
WO2013162451A1 (en) Holding device for a frame member of a balcony glazing
PL202049B1 (pl) Zespół mocujący do mocowania okładziny do różnych elementów budowlanych, zwłaszcza do ścian budynku
KR20150001472U (ko) Frp 그레이팅에 결합이 용이한 킥 플레이트
KR102117440B1 (ko) 전선관 고정용 채널 클램프
KR102198422B1 (ko) 태양광 패널 지지장치
KR101429688B1 (ko) 난간지주 설치용 지지장치
JP5940322B2 (ja) 柱の据え付け具
JP2000310357A (ja) 配管支持具及び配管固定具
GB2135044A (en) Louvre and mullion system
KR200451996Y1 (ko) 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CN110939790A (zh) 一种机电管线支架
JP5269147B2 (ja) 足場板支持装置
US8582120B2 (en)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