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179B1 -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 Google Patents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179B1
KR102035179B1 KR1020190092458A KR20190092458A KR102035179B1 KR 102035179 B1 KR102035179 B1 KR 102035179B1 KR 1020190092458 A KR1020190092458 A KR 1020190092458A KR 20190092458 A KR20190092458 A KR 20190092458A KR 102035179 B1 KR102035179 B1 KR 102035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onnecting bracket
fixing pin
bracke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재
Original Assignee
(주)도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명이엔지 filed Critical (주)도명이엔지
Priority to KR1020190092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Abstract

본 발명은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관한 것으로,
연결브라켓(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체결부(11)와, 체결부(11)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ㄴ'자 형상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와;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전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2연결부(13,13')와; 제1,2연결부(13,13')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횡바(HS)가 통과하는 이격공간(a)이 형성되도록 체결부(11)에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서로 대향되는 'ㄱ'자 형상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 및;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수평부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2걸림부(15,15')를 갖춘 연결브라켓(10)과:
고정핀본체(21)와; 제1,2상측삽입부(22,22')의 후단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결브라켓(10)에 삽입된 세로스타프(VS)를 고정핀(20) 내측으로 유도하는 각각의 경사면(22a,22a')과,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각각의 걸림홀(22b,22b')을 구비하여, 고정핀본체(21)의 상측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상측삽입부(22,22')와; 제1,2하측삽입부(23,23')의 후단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로스타프(VS)를 고정핀(20) 내측으로 유도하는 각각의 경사면(23a,23a')을 구비하여, 고정핀본체(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연결브라켓(10)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하측삽입부(23,23')를 갖춘 고정핀(20) 및: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는 조임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Instrument For Surveying Underground Facilities With Convenience}
본 발명은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근래에는 공간정보 활성의 증대로 인해 데이터의 정확도 및 최신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상하수도 신규 매설 및 노후관 교체시 발생한 공간정보 변화에 대해 실측을 함으로써 데이터의 최신성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지하시설물 실측이란 공사가 완료되기 전 시공시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에서 직접측량(이격거리 및 심도 측량)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7729호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브라켓에 가로스타프가 삽입될 시, 브라켓이 가로스타프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하기 쉽고, 브라켓에 세로스타프가 삽입될 시, 세로스타프가 브라켓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하기 쉬어, 정확한 위치에 세로스타프를 세우기 어려웠다.
더욱이, 이와 같이 문제로 인해 1인 작업자 혼자 가로스타프 및 세로스타프를 십자 형태로 고정하는 데 매우 큰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77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과제의 해결 수단은,
연결브라켓(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체결부(11)와, 체결부(11)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ㄴ'자 형상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와;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전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2연결부(13,13')와; 제1,2연결부(13,13')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횡바(HS)가 통과하는 이격공간(a)이 형성되도록 체결부(11)에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서로 대향되는 'ㄱ'자 형상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 및;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수평부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2걸림부(15,15')를 갖춘 연결브라켓(10)과:
고정핀본체(21)와; 제1,2상측삽입부(22,22')의 후단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결브라켓(10)에 삽입된 세로스타프(VS)를 고정핀(20) 내측으로 유도하는 각각의 경사면(22a,22a')과,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각각의 걸림홀(22b,22b')을 구비하여, 고정핀본체(21)의 상측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상측삽입부(22,22')와; 제1,2하측삽입부(23,23')의 후단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로스타프(VS)를 고정핀(20) 내측으로 유도하는 각각의 경사면(23a,23a')을 구비하여, 고정핀본체(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연결브라켓(10)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하측삽입부(23,23')를 갖춘 고정핀(20) 및: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는 조임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과제의 해결 수단은,
제1과제의 해결 수단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은,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는,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타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핀(20)이 연결브라켓(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밀어올려진 제1,2걸림부(15,15')가 제1,2상측삽입부(22,22')의 걸림홀(22b,22b')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른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10)에 제1,2하측가이드부(14,14')가 구비되어,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설치할 시, 연결브라켓(10)이 횡바(HS)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지 않아,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10)에 이격공간(a)이 형성되어,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삽입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핀(20)을 통해 세로스타프(VS)의 직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세로스타프(VS)를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할 시 세로스타프(VS)가 연결브라켓(10)에 딱 맞게 삽입되기 때문에 세로스타프(VS)를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하는 작업이 쉽지 않았다. 그리하여 세로스타프(VS)를 연결브라켓(10)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연결브라켓(10)과 세로스타프(VS) 간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브라켓(10)을 제조하지만, 이 경우 세로스타프(VS)를 연결브라켓(10)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면, 세로스타프(VS)와 연결브라켓(10) 간의 유격으로 인해 세로스타프(VS)가 좌우로 회동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정핀(20)을 통해 세로스타프(VS)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유격을 보상하면서 세로스타프(VS)가 고정핀(20)의 제1,2상측삽입부(22,22') 및 제1,2하측삽입부(23,23')에 각각 지지되게 하여, 세로스타프(VS)의 좌우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위치(지하시설물의 센터)에 세로스타프(VS)를 위치시킬 수 있어, 정확한 측정(측량)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횡바(HS)에 연결브라켓(10)을 설치할 시 연결브라켓(HS)이 안정적으로 횡바(HS)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손이 프리해지며, 이에 따라 1인 작업자 혼자 세로스타프(HS)를 연결브라켓(10)에 설치하면서 세로스타프(VS)와 횡바(HS)를 밀착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1인 작업자가 세로스타프(VS) 및 횡바(HS) 고정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재를 절곡하여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을 제작하고,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해 연결브라켓(10)과 고정핀(20)을 연결할 시, 고정핀(20)을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한 후,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를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연결브라켓(20)과 고정핀(20)을 일체형으로 연결(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 및 고정핀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X-X'선에 따른 연결브라켓 및 조임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 및 고정핀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X-X'선에 따른 연결브라켓 및 조임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시설물 측량기구는 연결브라켓(10)과, 고정핀(20) 및, 조임구(30)를 포함하여, 십자 형태로 맞대어지는 세로스타프(VS)와, 사각바 형상의 횡바(HS)를 고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횡바(HS)는 스타프일 수도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1)와, 제1,2상측가이드부(12,12')와, 제1,2연결부(13,13')와, 제1,2하측가이드부(14,14') 및, 제1,2걸림부(15,15')를 갖추며, 하기 이격공간(a)을 통과한 횡바(HS)가 제1,2하측가이드부(14,14')의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10)은 금속판을 절곡 및 펀칭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는 판 평상으로, 연결브라켓(10)의 후방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11)에는 전후로 관통된 관통홀(11a)이 형성되고, 너트(11b)가 관통홀(11a)와 연통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1,2상측가이드부(12,12')는, 체결부(11)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상측가이드부(12,12')는 수직부와, 수직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수평부를 갖춘 'ㄴ'자 형상을 이루어, 체결부(11)와 이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2연결부(13,13')는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전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연결부(13,13')는 직사각형 형태의 판형상을 이루어,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1,2하측가이드부(14,14')는 제1,2연결부(13,13')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횡바(HS)가 통과하는 이격공간(a)이 형성되도록 체결부(11)에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서로 대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하측가이드부(14,14')는 'ㄱ'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2걸림부(15,15')는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수평부에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서로 대향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는,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타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핀(20)이 연결브라켓(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밀어올려진 제1,2걸림부(15,15')가 제1,2상측삽입부(22,22')의 걸림홀(22b,22b')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핀(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본체(21)와, 제1,2상측삽입부(22,22') 및, 제1,2하측삽입부(23,2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그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20)은 금속판을 절곡 및 펀칭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핀본체(21)는 확인홀(21a)이 전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틀 형상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본체(21)의 하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손잡이(21b)가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고정핀본체(21)는 확인홀(21a)이 없는 판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제1,2상측삽입부(22,22')는 경사면(22a,22a')과, 걸림홀(22,22b')을 갖추고서, 고정핀본체(21)의 상측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상측삽입부(22,22')는 바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2상측삽입부(22,22') 간의 이격거리는 세로스타프(VS)의 폭과 동일하다.
상기 경사면(22,22a)는 제1,2상측삽입부(22,22')의 후단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결브라켓(10)에 삽입된 세로스타프(VS)를 고정핀(20) 내측으로 유도한다.
상기 걸림홀(22b,22b')는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홀(22,22b')은 전후로 긴 홀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2하측삽입부(23,23')는, 제1,2하측삽입부(23,23')의 후단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로스타프(VS)를 고정핀본체(21) 내측으로 유도하는 각각의 경사면(23a,23a')을 구비하여, 고정핀본체(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연결브라켓(10)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하측삽입부(22,23')는 바 형상을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2하측삽입부(23,23') 간의 이격거리는 세로스타프(VS)의 폭과 동일하다.
상기 조임구(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고, 세로스타프(VS)를 가압하여, 세로스타프(VS)가 고정핀(20)의 제1,2상측삽입부(22,22') 사이 및 제1,2하측삽입부(23,23') 사이로 삽입되어 횡바(HS)에 밀착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임구(30)는 연결브라켓(10)의 너트(11b)에 나사산 체결되고, 연결브라켓(10)의 관통홀(11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볼트(31)와, 볼트(31)의 전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체(32) 및, 볼트(31)의 후단에 구비되는 손잡이(33)를 갖추고서,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가압체(32)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조임구(30)는, 가압체(32)가 볼트(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31)가 회전하더라도 가압체(32)가 세로스타프(VS)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본체(21)의 전측에 표시구(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표시구(40)는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된 삼각형상의 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표시구(40)를 통해 관로(P)의 중심에 세로프타프(VS)를 위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은 금속판재와 같은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
도 4(a,b)는 본 발명에서 연결브라켓 및 고정핀을 제조하기 전의 판재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 횡바 및 세로스타프가 설치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세로스타프의 센터 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Y-Y'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a,b)과 같이 제작된 판재를 절곡하여, 도 2와 같은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을 제작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10)에 고정핀(20)을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정핀(20)을 연결브라켓(10)을 향해 삽입한다. 그러면 고정핀(20)의 제1,2상측삽입부(22,22') 및 제1,2하측삽입부(23,23')가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 및 제1,2하측가이드부(14,14')에 삽입된다.
이때, 제1,2상측삽입부(22,22')의 걸림홀(22b,22b')은 미돌출된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 상측에 배치된다.
이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해 제1,2걸림부(15,15')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제1,2걸림부(15,15')는 상방으로 돌출된다(도 5 참조).
이어서, 고정핀(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2상측삽입부(22,22')의 걸림홀(22b,22b')이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계속해서, 관로(P)가 배치되는 굴착홈(G)의 상방에 위치하게 횡바(HS)를 지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횡바(HS)가 연결브라켓(10)의 이격공간(a)를 통과하도록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삽입한 후, 연결브라켓(1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횡바(HS)에 연결브라켓(10)이 안착되도록 한다(도 5 참조). 이때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와 제1,2하측가이드부(14,14') 사이에 횡바(HS)가 삽입되어, 연결브라켓(10)이 회동없이 횡바(HS)에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러고 나서, 세로스타프(VS)를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하여, 제1,2상측가이드부(12,12') 사이 및 제1,2하측가이드부(14,14') 사이에 배치한다(도 6 참조).
이후, 고정핀(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1,2상측삽입부(22,22')의 경사면(22a,22a') 및 제1,2하측삽입부(23,23')의 경사면(23a,23a')이 세로스타프(VS)와 맞닿으면서, 세로스타프(VS)가 고정핀(20)의 내측으로 유도(삽입 또는 압입)된다(도 7참조).
이어서, 조임구(30)를 회전시켜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조임구(31)의 가압체(32)가 세로스타프(VS)를 전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세로스타프(VS)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횡바(HS)와 밀착되고, 조임구(30)의 가압력에 의해 세로스타프(VS)와 횡바(HS)가 고정된다. 이때 세로스타프(VS)는 고정핀(20) 내부로 유도되어 제1,2상측삽입부(22,22') 사이 및 제1,2하측삽입부(23,23') 사이에 밀착배치되기 때문에, 좌우로의 회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연결브라켓(10), 고정핀(20), 조임구(30)를 매개로 고정된 세로스타프(VS) 및 횡바(HS)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로 고정배치되어, 세로스타프(VS)의 하단이 관로(P)에 안착되고, 횡바(HS)의 양단이 지면에 안착된다.
이후, 세로스타프(HS)를 통해 심도를 확인하여,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세로스타프(HS)가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지역을 촬영하여 촬영사진을 수집하는 등, 해당 지하시설물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10)에 제1,2하측가이드부(14,14')가 구비되어,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설치할 시, 연결브라켓(10)이 횡바(HS)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하지 않아,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10)에 이격공간(a)이 형성되어, 연결브라켓(10)을 횡바(HS)에 삽입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핀(20)을 통해 세로스타프(VS)의 직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세로스타프(VS)를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할 시 세로스타프(VS)가 연결브라켓(10)에 딱 맞게 삽입되기 때문에 세로스타프(VS)를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하는 작업이 쉽지 않았다. 그리하여 세로스타프(VS)를 연결브라켓(10)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연결브라켓(10)과 세로스타프(VS) 간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브라켓(10)을 제조하지만, 이 경우 세로스타프(VS)를 연결브라켓(10)에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면, 세로스타프(VS)와 연결브라켓(10) 간의 유격으로 인해 세로스타프(VS)가 좌우로 회동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정핀(20)을 통해 세로스타프(VS)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유격을 보상하면서 세로스타프(VS)가 고정핀(20)의 제1,2상측삽입부(22,22') 및 제1,2하측삽입부(23,23')에 각각 지지되게 하여, 세로스타프(VS)의 좌우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확한 위치(지하시설물의 센터)에 세로스타프(VS)를 위치시킬 수 있어, 정확한 측정(측량)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횡바(HS)에 연결브라켓(10)을 설치할 시 연결브라켓(HS)이 안정적으로 횡바(HS)에 배치되어, 작업자의 손이 프리해지며, 이에 따라 1인 작업자 혼자 세로스타프(HS)를 연결브라켓(10)에 설치하면서 세로스타프(VS)와 횡바(HS)를 밀착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1인 작업자가 세로스타프(VS) 및 횡바(HS) 고정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재를 절곡하여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을 제작하고, 상기와 같은 효과를 내기 위해 연결브라켓(10)과 고정핀(20)을 연결할 시, 고정핀(20)을 연결브라켓(10)에 삽입한 후,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를 상방으로 돌출시키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연결브라켓(20)과 고정핀(20)을 일체형으로 연결(설치)할 수 있다.
10; 연결브라켓 11; 체결부
12,12'; 제1,2상측가이드부 13,13'; 제1,2연결부
14,14'; 제1,2하측가이드부 15,15'; 제1,2걸림부
20; 고정핀 21; 고정핀본체
22,22'; 제1,2상측삽입부 23,23'; 제1,2하측삽입부
30; 조임구 a; 이격공간
VS; 세로스타프 HS; 횡바

Claims (2)

  1. 연결브라켓(10)의 후방에 구비되는 판 형상의 체결부(11)와, 체결부(11)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ㄴ'자 형상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와;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전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2연결부(13,13')와; 제1,2연결부(13,13')의 하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횡바(HS)가 통과하는 이격공간(a)이 형성되도록 체결부(11)에서 이격되게 구비되며, 서로 대향되는 'ㄱ'자 형상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 및;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수평부에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제1,2걸림부(15,15')를 갖춘 연결브라켓(10)과:
    고정핀본체(21)와; 제1,2상측삽입부(22,22')의 후단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연결브라켓(10)에 삽입된 세로스타프(VS)를 고정핀(20) 내측으로 유도하는 각각의 경사면(22a,22a')과,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각각의 걸림홀(22b,22b')을 구비하여, 고정핀본체(21)의 상측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연결브라켓(10)의 제1,2상측가이드부(12,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상측삽입부(22,22')와; 제1,2하측삽입부(23,23')의 후단에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어 세로스타프(VS)를 고정핀(20) 내측으로 유도하는 각각의 경사면(23a,23a')을 구비하여, 고정핀본체(21)의 하측에 구비되며, 연결브라켓(10)의 제1,2하측가이드부(14,14')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2하측삽입부(23,23')를 갖춘 고정핀(20) 및:
    연결브라켓(10)의 체결부(11)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관통삽입되는 조임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10) 및 고정핀(20)은,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10)의 제1,2걸림부(15,15')는,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타측이 제1,2상측가이드부(12,12')의 평면부에서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고정핀(20)이 연결브라켓(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밀어올려진 제1,2걸림부(15,15')가 제1,2상측삽입부(22,22')의 걸림홀(22b,22b')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20190092458A 2019-07-30 2019-07-30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2035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458A KR102035179B1 (ko) 2019-07-30 2019-07-30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458A KR102035179B1 (ko) 2019-07-30 2019-07-30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179B1 true KR102035179B1 (ko) 2019-10-22

Family

ID=6842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458A KR102035179B1 (ko) 2019-07-30 2019-07-30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1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65B1 (ko) * 2020-08-25 2021-04-09 (주)동광지엔티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2651034B1 (ko) * 2023-05-16 2024-03-25 (주)선운이앤지 구조물에 대한 지적경계 측량시 간접측량이 가능한 지엔에스에스 수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1074E (en) * 1969-03-17 1982-11-09 Prakla-Seismos G.m.b.H Well surveying instrument and method
CN201497596U (zh) * 2009-05-14 2010-06-02 张贵军 地下温度测量仪
KR101477729B1 (ko) 2014-07-16 2014-12-31 (주)그린공간정보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 고정장치
WO2019051134A1 (en) * 2017-09-06 2019-03-14 Howell Asset Locator, Llc TECHNOLOGIES FOR MONITORING AND LOCATING UNDERGROUND ASSE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1074E (en) * 1969-03-17 1982-11-09 Prakla-Seismos G.m.b.H Well surveying instrument and method
CN201497596U (zh) * 2009-05-14 2010-06-02 张贵军 地下温度测量仪
KR101477729B1 (ko) 2014-07-16 2014-12-31 (주)그린공간정보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 고정장치
WO2019051134A1 (en) * 2017-09-06 2019-03-14 Howell Asset Locator, Llc TECHNOLOGIES FOR MONITORING AND LOCATING UNDERGROUND ASSE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RE031074 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65B1 (ko) * 2020-08-25 2021-04-09 (주)동광지엔티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2651034B1 (ko) * 2023-05-16 2024-03-25 (주)선운이앤지 구조물에 대한 지적경계 측량시 간접측량이 가능한 지엔에스에스 수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5179B1 (ko) 편의성이 향상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KR101477729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 고정장치
DE202010005327U1 (de) Einrichtung zum Erfassen eines Laserstrahls
WO2013131179A1 (en) Pipe ben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945177B1 (ko)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CN101801623A (zh) 门窗外框测量和标记工具
CA3137984A1 (en) Partition support structure mounting track
US20160319960A1 (en) Pipe support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 orientating a pipe
US20200282505A1 (en) Kit of parts including a laser guide, conduit bend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KR102035178B1 (ko)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CN210099992U (zh) 一种五金加工用能够准确快速定位的标记机构
CN109989616B (zh) 护栏连接部件
JP2021126032A (ja) 間仕切用固定具
KR101567417B1 (ko) 공동주택 전력구용 지중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238265B1 (ko) 사용이 편리한 지하시설물 측량기구
CN213115578U (zh) 后装横龙骨的明框玻璃幕墙横龙骨水平定位装置
JP2007253242A (ja) 配管継手部材に対する差込長さのマーキング装置
KR100725831B1 (ko) 다용도 마킹기구
US200601566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and connecting building panels in close proximity
JP3742047B2 (ja) 量水器の接続装置
CN217716381U (zh) 一种施工测量装置
KR200378334Y1 (ko) 원형수로용 그레이팅
KR20120042432A (ko) 조경석의 모서리 굴곡도 측정장치
FR2979366A1 (fr) Dispositif pour tracer des reservations de coupe pour la pose de carrelage
CN214329980U (zh) 一种钢结构预埋件用对中圆形槽钢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