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500B1 - 배연창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배연창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5500B1 KR101895500B1 KR1020170012749A KR20170012749A KR101895500B1 KR 101895500 B1 KR101895500 B1 KR 101895500B1 KR 1020170012749 A KR1020170012749 A KR 1020170012749A KR 20170012749 A KR20170012749 A KR 20170012749A KR 101895500 B1 KR101895500 B1 KR 1018955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window
- closing
- rod
- bin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8275 binding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4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80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0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1010 flushing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는,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의 창문 또는 창틀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개폐 로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 로드, 및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를 이동시켜 상기 배연창이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 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간단하고 안정적인 구조로 개폐할 수 있는 배연창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연 설비는 건축물의 화재시에 화재 발생원에서 피난 경로로 연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설비로서, 방연벽, 배연구, 배연 덕트, 배연기, 배연창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배연 설비는 건물의 화재시에 피난 및 소화 활동을 원활하게 추진함과 동시에 질식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축물의 배연설비는 화재시 피난대책으로 설치하고 있다. 즉, 건축물 내에서 발생한 화재는 연기를 동반하는데, 화재 자체보다도 그 화재로 발생하는 연기가 사람들의 대피와 인명피해 등에 더 큰 영향을 준다. 예를 들면,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위층에 불길이 번지지 않더라도 아래층에서 발생한 연기가 급속히 상승하여 사람들의 피난동선을 가려 인명피해로 연결되므로, 건축물에서 사람들의 피난이나 소화 활동 등에 장애가 되는 화재의 연기는 신속하게 실외로 배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국내의 건축법에서는 6층 이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건축물이나, 혼자 힘으로 대피에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는 사람들이 이용하는 용도의 건축물에는 반드시 배연설비를 갖추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배연창은 화재의 발생시 유독가스의 배출 또는 환기를 목적으로 자동적 개방되도록 형성된 창문이다. 상기와 같은 배연창에는 화재의 발생시 배연창을 자동 개폐하기 위한 배연창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배연창 개폐장치는 건축물에 설치된 소방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 소방 시스템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이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최근에는 여닫이 타입 또는 미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자동적으로 개폐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1667호(발명의 명칭: 배연창의 개폐장치, 등록일: 2006.07.07)에는 체인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체인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창문과 창틀에 연결된 체인을 감거나 풀어서 배연창을 여닫는 구조이다. 다만, 체인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체인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서 체인을 감거나 푸는 과정에서 오작동 및 고장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작동의 안정성 및 장치의 내구성 등에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7705호(발명의 명칭: 배연창 개폐장치, 등록일: 2011.12.23)에는 스크류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스크류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미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스크류를 창틀에 배치하고 그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를 창문에 배치하여 이동체의 이동에 의해 배연창을 슬라이딩 개폐하는 구조이다. 다만, 스크류 구조의 배연창 개폐장치는 미닫이 타입의 배연창에 간편하게 적용 가능하지만,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에는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크류 방식의 개폐 구조를 이용하여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간단하고 원활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배연창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이 닫혀진 상태에서 창틀에 창문을 결속시켜 창문이 임의로 열리거나 흔들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연창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의 창문 또는 창틀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개폐 로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 로드, 및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를 이동시켜 상기 배연창이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 기구를 포함하는 배연창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 기구가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상기 제2 개폐 로드에 의해서 상기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스크류 구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의 개폐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배연창을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배연창의 여닫는 구조는 기존의 체인 구조를 적용한 것보다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작동 안정성과 제품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이송 몸체, 상기 이송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배연창이 개방되는 개방 방향 또는 상기 배연창이 폐쇄되는 폐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이송 몸체를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몸체 이송부, 및 상기 몸체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몸체 이송부에 연결된 개폐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 이송부는, 상기 이송 몸체의 이송홀부에 일단부가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홀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이송 몸체를 상기 이송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 제어부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이송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상기 제2 개폐 로드는,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 사이에 형성된 개폐 각도가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는,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창문을 상기 창틀에 결속시키도록 상기 창문과 상기 창틀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 기구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창문과 상기 창틀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시키도록 상기 개폐 기구와 연동 가능하게 형성된 결속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속 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창문을 창틀에 결속시키므로, 상기 배연창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창문을 상기 창틀에 안정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상기 창문이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상기 창틀에서 임의로 이탈하거나 상기 창틀에 배치된 상태로 흔들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속 기구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에서 상기 개폐 기구가 위치한 대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이송 몸체에 일측이 간섭되도록 상기 개폐 기구의 옆에 배치된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에서 상기 개폐 기구가 위치하지 않은 대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제1 결속 부재에 의해 결속되도록 상기 제1 결속 부재와 대응되게 배치된 제2 결속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속 부재는 상기 이송 몸체와의 간섭력에 의해 상기 제2 결속 부재와 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속 부재는,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일단부와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송 몸체에 일측이 간섭되도록 형성된 결속 몸체,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제2 결속 부재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리는 결속 위치로 상기 이송 몸체와의 간섭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기 결속 몸체의 일측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결속 돌기, 및 상기 결속 위치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결속 돌기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속 돌기와 상기 결속 몸체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는,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창문을 상기 창틀에 결속시키도록 상기 창문과 상기 창틀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상기 창문과 상기 창틀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시키도록 상기 개폐 제어부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결속 기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속 기구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개폐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상기 개폐 제어부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제1 결속 부재와 대응되게 배치되고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제1 결속 부재에 의해 결속되는 제2 결속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결속 부재는 상기 개폐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제2 결속 부재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리는 걸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 슬라이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슬라이더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슬라이더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길게 형성된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는, 상기 배연창의 닫힘시 상기 창문을 상기 창틀에 결속시키도록 상기 이송 몸체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 기구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창문과 상기 창틀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시키도록 형성된 결속 기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속 기구는, 상기 이송 몸체에 배치되고 결속 돌기가 일측에 돌출된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이송 몸체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결속 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일측에 형성된 제2 결속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 돌기와 상기 걸림턱의 단부에는 상기 제1 결속 부재와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원활하게 결속되도록 상기 결속 돌기와 상기 걸림턱이 서로 걸리는 부위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 안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는, 개폐 기구가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제1 개폐 로드와 제2 개폐 로드에 의해서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기구에 스크류 방식의 개폐 구조를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기존의 체인 구조로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을 개폐하는 구조보다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해질 뿐만 아니라 작동 안정성과 제품의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는, 배연창이 닫혀진 상태에서 결속 기구를 이용하여 창틀에 창문을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구조이므로, 배연창의 닫힘시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서 창문이 창틀에서 임의로 이탈하거나 또는 창문이 창틀에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흔들리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는, 개폐 기구의 작동과 연동하여 결속 기구의 결속 동작 및 결속 해제 동작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별도의 동력원과 제어부를 추가하지 않아도 결속 기구의 작동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결속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결속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100)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결속 기구(15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100)은 제1 개폐 로드(110), 제2 개폐 로드(120), 및 개폐 기구(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연창 개폐장치(100)가 화재 발생시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10)을 개폐시키도록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10)의 창문(12)과 창틀(1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여닫이 타입의 배연창(10)은 창문(12)의 개수, 창문(12)의 여닫는 방향, 창문(12)의 회전축 위치, 창문(12)의 개방 각도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창문(12)의 좌측부가 창틀(14)의 좌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방으로 개방되는 구조인 것으로 설명한다.
즉, 단수개의 창문(12)이 창틀(14)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창문(12)과 창틀(14)의 좌측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창문(12)은 창문(12)과 창틀(14)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창문(12)에서 전방으로 여닫는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배연창 개폐장치(100)는 배연창(10)의 창문(12)과 창틀(14) 중에서 창문(12)과 창틀(14)의 하부에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연창 개폐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창문(12)과 창틀(14)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개폐 로드(110)는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10)의 창문(12)과 창틀(14)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110a)는 창문(12) 또는 창틀(14) 중 어느 하나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110b)는 창문(12) 또는 창틀(14) 중 다른 하나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110a)가 창문(12)의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110b)가 창문(12)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창틀(14)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연창 개폐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창문(12)의 하부에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110a)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 슬라이더(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로드 슬라이더(112)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110a)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드 슬라이더(112)는 레일 부재(114) 및 슬라이딩 부재(116)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 부재(114)는 창문(12)의 하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116)는 레일 부재(11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레일 부재(114)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110a)는 슬라이딩 부재(116)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110a)에는 절곡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절곡부(118)는 배연창(10)의 개폐시 로드 슬라이더(112)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절곡부(118)는 배연창(10)의 개폐시 창문(12)에 보다 수직한 방향으로 작용력을 제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2 개폐 로드(120)는 창틀(14)과 제1 개폐 로드(11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개폐 로드(120)의 제3 단부(120a)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110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는 개폐 기구(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는 개폐 기구(130)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기구(130)가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를 이동시키면,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는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의 연결점을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펴질 수 있으며, 그와 같은 동작에 의해서 배연창(10)을 개폐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110b)와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 사이에 형성된 개폐 각도(θ)가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의 연결점은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110c) 및 제2 개폐 로드(120)의 제3 단부(120a)가 연결된 힌지축에 대응한다.
상기와 같이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가 배치되면, 제2 개폐 로드(120)로부터 제1 개폐 로드(110)에 작용되는 힘이 배연창(10)을 개폐시키는 방향과 더 가깝게 제공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에 의해서 배연창(10)이 원활하게 개폐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개폐 기구(130)에 의해서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가 이동되면, 제2 개폐 기구(130)는 개폐 기구(130)와 함께 이동하면서 배연창(10)의 개폐를 위한 작용력을 제1 개폐 기구(130)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 각도(θ)가 작아지면, 제2 개폐 로드(120)의 제3 단부(120a)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110c)에 제1 개폐 로드(11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가까워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폐 각도(θ)가 180도 미만의 각도이면, 배연창(10)의 개폐를 위한 작용력은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110c)에 제1 개폐 기구(13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므로,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가 배연창(10)을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반면에, 개폐 각도(θ)가 180도의 각도이면, 배연창(10)의 개폐를 위한 작용력은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110c)에 제1 개폐 기구(130)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되므로,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의 접히거나 펴지는 동작은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 또한, 개폐 각도(θ)가 180도 이상의 각도이면, 배연창(10)의 개폐를 위한 작용력은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110c)에 배연창(10)을 개폐시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되므로,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가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펴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 사이의 개폐 각도(θ)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제2 개폐 로드(120)를 곡선 형상으로 휘어지게 형성한 것으로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2 개폐 로드(120)가 창틀(14)을 향해 볼록한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개폐 로드(120)의 곡률이 높아질수록 개폐 각도(θ)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개폐 로드(120)의 형상은 배연창 개폐장치(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개폐 로드(120)의 제3 단부(120a)가 창문(12)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일부만 절곡시킨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110c)에 작용되는 작용력의 전달 방향을 전환시키는 별도의 링크 구조가 제2 개폐 로드(120)의 제3 단부(120a)에 추가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개폐 기구(130)는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를 이동시켜 배연창(10)을 개폐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폐 기구(130)는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가 배치된 창틀(1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 기구(130)는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창틀(14)의 하부에는 개폐 기구(130)를 수용하는 개폐 기구 수용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 기구 수용부(16)의 내부에는 개폐 기구(130),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110b), 및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개폐 기구 수용부(16)는 창문(12)과 대향되는 전면부를 개방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연창 개폐장치(100)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개폐 기구 수용부(16)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며, 배연창 개폐장치(100)가 겉으로 드러나 건물의 미관이 저하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개폐 기구(130)는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를 강제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들 들면, 개폐 기구(130)는 이송 몸체(132), 몸체 이송부(134), 및 개폐 제어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 몸체(132)는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 몸체(132)는 몸체 이송부(134)에 의해 강제 이송되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 이송부(134)는 배연창(10)이 개방되는 개방 방향(D1) 또는 배연창(10)이 폐쇄되는 폐쇄 방향(D2)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송 몸체(132)를 이송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 이송부(134)의 일측에는 이송 몸체(132)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 이송부(134)는 이송 몸체(132)를 강제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이송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몸체 이송부(134)는 벨트와 풀리를 이용한 이송 구조, 와이어와 보빈을 이용한 이송 구조, 렉과 피니언을 이용한 이송 구조, 스크류를 이용한 이송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와 풀리를 이용한 이송 구조에서는 이송 몸체(132)를 벨트에 연결한 상태에서 풀리에 의해 벨트가 이동되면서 이송 몸체(132)를 이송할 수 있다. 와이어와 보빈을 이용한 이송 구조에서는 이송 몸체(132)를 와이어에 연결한 상태에서 보빈에 의해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면서 이송 몸체(132)를 이송할 수 있다. 렉과 피니언을 이용한 이송 구조에서는 이송 몸체(132)를 렉 기어에 연결한 상태에서 피니언 기어에 의해 렉 기어가 이동되면서 이송 몸체(132)를 이송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 이송부(134)는 스크류를 이용한 이송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몸체 이송부(134)는 이송 스크류(140) 및 이송 모터(14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 스크류(140)는 이송 몸체(132)의 이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140)의 일단부는 이송 몸체(132)의 이송홀부(미도시)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송 스크류(140)의 타단부는 이송 모터(142)와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이송 스크류(140)는 리드 스크류 또는 볼 스크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송 몸체(132)의 이송홀부에는 이송 스크류(140)의 수나사부와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모터(142)는 이송 스크류(140)를 따라 이송 몸체(132)를 강제적으로 이송시키도록 이송 스크류(14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이송 모터(142)는 이송 스크류(140)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개폐 제어부(136)는 몸체 이송부(13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몸체 이송부(134)에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개폐 제어부(136)는 이송 모터(142)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개폐 제어부(136)를 복수개의 배연창(10)에 하나씩 각각 설치하여 개폐 제어부(136)가 배연창(10)의 개폐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단수개의 개폐 제어부(136)를 복수개의 배연창(10)에 연결하여 단수개의 개폐 제어부(136)가 배연창(10)들의 개폐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100)은 배연창(10)의 닫힘시 창문(12)을 창틀(14)에 결속시키는 결속 기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속 기구(150)는 이송 몸체(132)와 슬라이딩 부재(116)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속 기구(150)는 개폐 기구(130)의 작동에 의해서 창문(12)과 창틀(14)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속 기구(150)는, 이송 몸체(132)에 배치된 제1 결속 부재(152), 및 슬라이딩 부재(116)에 배치된 제2 결속 부재(1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속 부재(152)의 일측에는 결속 돌기(153)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속 부재(154)의 일측에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이송 몸체(132)가 개방 방향(D1)으로 이동됨에 따라 결속 돌기에 걸리는 걸림턱(155)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에는 제1 결속 부재(152)의 결속 돌기(153)가 제2 결속 부재(154)의 걸림턱(155)과 걸리는 구조이므로, 창문(12)이 창틀(14)에서 임의로 이탈되거나, 또는 창문(12)이 창틀(14) 내에서 임의로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속 돌기(153)와 걸림턱(155)의 단부에는 제1 결속 부재(152)와 제2 결속 부재(154)를 서로 원활하게 결속시키기 위한 걸림 안내부(153a, 155a)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 안내부(153a, 155a)는 결속 돌기(153)와 걸림턱(155)의 걸림시 결속 돌기(153)와 걸림턱(155)이 서로 접촉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 안내부(153a, 155a)는 결속 돌기(153)와 걸림턱(155)이 부드럽게 접촉하도록 결속 돌기(153)와 걸림턱(155)의 접촉 부위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 발생 신호 또는 연기 발생 신호가 개폐 제어부(136)에 전달되면, 개폐 제어부(136)는 이송 모터(142)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송 모터(142)가 이송 스크류(1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송 스크류(14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송 스크류(140)가 이송 몸체(132)를 개방 방향(D1)으로 강제 이송시키고, 이송 몸체(132)가 개방 방향(D1)으로 이송됨에 따라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도 개방 방향(D1)으로 강제 이동한다.
이때, 이송 몸체(132)에 형성된 제1 결속 부재(152)도 개방 방향(D1)으로 이동되므로, 제1 결속 부재(152)의 결속 돌기(153)는 제2 결속 부재(154)의 걸림턱(155)과 걸리는 걸림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속 기구(150)에 의한 창문(12)과 창틀(14)의 결속 상태가 해제되면, 제2 결속 부재(154)는 슬라이딩 부재(116)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가 이송 몸체(132)와 함께 개방 방향(D1)으로 강제 이동되면, 제2 개폐 로드(120)는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를 중심으로 이송 몸체(13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로 인해서, 제2 개폐 로드(120)의 제3 단부(120a)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110c)를 창틀(1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고, 제1 개폐 로드(110)는 제2 개폐 로드(120)의 작용력에 의해서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110b)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의 사이에 형성된 개폐 각도(θ)는 작아진다.
상기와 같이 제1 개폐 로드(110)가 회전되면,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110a)에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116)가 레일 부재(1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1 개폐 로드(110)의 작용력을 창문(12)에 전달한다.
그리고, 창문(12)은 제1 개폐 로드(110)의 작용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배연창(10)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배연창(10)을 통해서 건물의 내부에 발생된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연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한다.
한편, 배연창(10)의 개방이 더 이상 필요 없다고 판단되면, 개폐 제어부(136)는 개폐 제어부(136)는 이송 모터(142)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송 모터(142)가 이송 스크류(14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송 스크류(14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송 스크류(140)가 이송 몸체(132)를 폐쇄 방향(D2)으로 강제 이송시키고, 이송 몸체(132)가 폐쇄 방향(D2)으로 이송됨에 따라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도 폐쇄 방향(D2)으로 강제 이동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가 이송 몸체(132)와 함께 폐쇄 방향(D2)으로 강제 이동되면, 제2 개폐 로드(120)는 제2 개폐 로드(120)의 제4 단부(120b)를 중심으로 이송 몸체(13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로 인해서, 제2 개폐 로드(120)의 제3 단부(120a)는 제1 개폐 로드(110)의 중간부(110c)를 창틀(14)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기고, 제1 개폐 로드(110)는 제2 개폐 로드(120)의 작용력에 의해서 제1 개폐 로드(110)의 제2 단부(110b)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개폐 로드(110)와 제2 개폐 로드(120)의 사이에 형성된 개폐 각도(θ)는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제1 개폐 로드(110)가 회전되면, 제1 개폐 로드(110)의 제1 단부(110a)에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116)가 레일 부재(114)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제1 개폐 로드(110)의 작용력을 창문(12)에 전달한다. 그리고, 창문(12)은 제1 개폐 로드(110)의 작용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배연창(10)을 폐쇄시킨다.
상기와 같이 배연창(10)이 완전히 폐쇄되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116)에 형성된 제2 결속 부재(154)는 창틀(14)의 개폐 기구 수용부(16)에 위치하고, 이송 몸체(132)에 형성된 제1 결속 부재(152)는 폐쇄 방향(D2)으로 이동하여 제2 결속 부재(154)와 결속한다.
즉, 제1 결속 부재(152)의 결속 돌기(153)는 폐쇄 방향(D2)으로 이동되어 제2 결속 부재(154)의 걸림턱(155)에 삽입되고, 그와 같이 결속 돌기(153)가 걸림턱(155)과의 걸림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제1 결속 부재(152)와 제2 결속 부재(154)가 서로 결속되어 창문(12)이 창틀(14)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특히, 배연창(10)의 개방 초기 및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에는, 제1 결속 부재(152)의 이동 거리가 제2 결속 부재(154)의 이동 거리보다 매우 크므로, 결속 돌기(153)와 걸림턱(155)의 걸림 및 걸림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즉, 배연창(10)의 개방 초기에는 결속 돌기(153)가 걸림턱(155)에서 먼저 벗어난 후 걸림턱(155)이 움직이고,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에는 걸림턱(155)이 먼저 걸림 위치에 배치된 후 결속 돌기(153)가 나중에 걸림턱(155)에 도착한다. 이를 위하여, 제1 결속 부재(152)와 제2 결속 부재(154)는 제1 결속 부재(152)를 제2 결속 부재(154)보다 신속하고 더 크게 이동하도록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200)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2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200)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창문(12)과 창틀(14)을 결속하는 결속 기구(250)의 구성이 서로 다르다는 점에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결속 기구(250)가 창문(12)과 창틀(14)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속 기구(250)는 개폐 기구(130)의 작동에 의해서 창문(12)과 창틀(14)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시키도록 개폐 기구(130)와 연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속 기구(250)는, 개폐 기구(130)가 위치한 창틀(14)의 하부에 배치된 제1 결속 부재(252), 및 개폐 기구(130)가 위치하지 않은 창문(12)에 배치된 제2 결속 부재(25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속 부재(252)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이송 몸체(132)와 일측이 간섭하도록 개폐 기구(130)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속 부재(254)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제1 결속 부재(252)와 결속되도록 제1 결속 부재(25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 결속 부재(252)는 이송 몸체(132)와의 간섭력에 의해서 제2 결속 부재(254)와 결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속 부재(252)는 결속 몸체(256), 결속 돌기(253), 및 탄성체(257)를 구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결속 부재(252)와 제2 결속 부재(254)의 구조는 도 5와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연창 개폐장치(2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결속 몸체(256)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제2 결속 부재(254)의 일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창틀(14)의 개폐 기구 수용부(1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속 몸체(256)의 일측은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이송 몸체(132)와 간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송 몸체(132)에는 결속 몸체(256)의 일측에 간섭되기 위한 간섭 돌기(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간섭 돌기(251)를 이송 몸체(132)에 형성하면, 제1 결속 부재(252)를 개폐 기구(130)와 매우 근접하게 설치하지 않더라도 개폐 기구(130)와의 간섭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이송 몸체(132)에 형성된 간섭 돌기(251)의 형상과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결속 몸체(256)의 배치 위치 또는 결속 돌기(253)의 구조를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서 제1 결속 부재(252)의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속 돌기(253)는 결속 몸체(256)의 일측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결속 돌기(253)의 일단부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이송 몸체(132)의 간섭 돌기(251)에 간섭될 수 있고, 결속 돌기(253)의 타단부는 이송 몸체(132)와의 간섭에 의해서 결속 몸체(256)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결속 돌기(253)는 간섭 돌기(251)와의 간섭에 의해 후술하는 제2 결속 부재(254)의 걸림턱(155)에 걸리는 결속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간섭 돌기(251)와의 간섭이 해제되면 제2 결속 부재(254)의 걸림턱(155)과 걸림이 해제되도록 결속 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속 돌기(253)가 이송 몸체(132)와의 간섭에 의해서 직선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결속 몸체(256)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속 돌기(253)가 이송 몸체(132)와의 간섭에 의해서 회전되거나 특정 방향으로 선회되는 등의 구조로도 결속 몸체(256)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체(257)는 결속 돌기(253)를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결속 돌기(253)와 결속 몸체(256)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 돌기(253)의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그 결속 돌기(253)의 플랜지부 및 결속 몸체(256)의 내측면 사이에 코일 스프링 형상의 탄성체(257)가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연창 개폐장치(2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여러 종류의 탄성체(257)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속 부재(254)는 창틀(14)의 내측면에 창문(12)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속 부재(254)의 단부에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제1 결속 부재(252)의 결속 돌기(253)가 걸리기 위한 걸림턱(2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결속 부재(254)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결속 돌기(253)가 돌출되는 위치에 걸림턱(155)이 먼저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와 비교해서 결속 기구(250)의 구성이 더 복잡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결속 기구(250)의 결속 구조는 상대적으로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보다 결속 기구(250)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서 다양한 종류의 배연창(10)에 더욱 간편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300)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3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300)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창문(12)과 창틀(14)을 결속하는 결속 기구(350)의 구성이 서로 다르다는 점에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결속 기구(350)가 창문(12)과 창틀(14)에 서로 대응되도록 구비되되, 개폐 기구(130)의 이송 몸체(132)와 연동되는 구조가 아니라 개폐 제어부(136)의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이 조절되는 구조이다. 결속 기구(350)는 개폐 제어부(136)의 제어 신호에 의해서 창문(12)과 창틀(14)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시키도록 개폐 제어부(136)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 기구(350)가 개폐 기구(130)의 설치 위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배연창(10)의 창문(12)과 창틀(14)에 보다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속 기구(350)는, 창문(12) 또는 창틀(14)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1 결속 부재(352), 및 창문(12) 또는 창틀(14)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제2 결속 부재(354)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결속 부재(352)가 창틀(14)의 개폐 기구 수용부(16)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결속 부재(354)가 창문(12)의 하부에 배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연창 개폐장치(3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결속 부재(352)는 개폐 제어부(136)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개폐 제어부(136)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속 부재(352)는 개폐 제어부(136)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이 제어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액츄에이터는 개폐 제어부(136)의 제어 신호에 따라 후술하는 제2 결속 부재(354)의 걸림턱(355)에 걸리는 결속 위치로 결속 돌기(353)를 돌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유압, 공압, 자기력, 모터의 구동력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속 돌기(353)를 돌출시키거나 회수할 수 있다.
제2 결속 부재(354)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제1 결속 부재(352)와 결속되도록 제1 결속 부재(352)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결속 부재(354)는 창틀(14)의 내측면에 창문(12)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속 부재(354)의 단부에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제1 결속 부재(352)의 결속 돌기(353)가 걸리기 위한 걸림턱(35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2 결속 부재(354)는 배연창(10)의 닫힘 완료시 결속 돌기(353)가 돌출되는 위치에 걸림턱(355)이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창 개폐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와 비교해서 결속 기구(350)의 구성 및 제어가 더 복잡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결속 기구(350)의 결속 구조는 상대적으로 더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배연창 개폐장치(100)보다 결속 기구(350)의 결속 동작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며, 결속 기구(350)가 배연창(10)의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200, 300: 배연창 개폐장치
110: 제1 개폐 로드
120: 제2 개폐 로드
130: 개폐 기구
132: 이송 몸체
134: 몸체 이송부
136: 개폐 제어부
150, 250, 350: 결속 기구
152, 252, 352: 제1 결속 부재
153, 253, 353: 결속 돌기
154, 254, 354: 제2 결속 부재
155, 255, 355: 걸림턱
110: 제1 개폐 로드
120: 제2 개폐 로드
130: 개폐 기구
132: 이송 몸체
134: 몸체 이송부
136: 개폐 제어부
150, 250, 350: 결속 기구
152, 252, 352: 제1 결속 부재
153, 253, 353: 결속 돌기
154, 254, 354: 제2 결속 부재
155, 255, 355: 걸림턱
Claims (14)
-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의 창문 또는 창틀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개폐 로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 로드; 및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를 이동시켜 상기 배연창이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이송 몸체; 상기 이송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배연창이 개방되는 개방 방향 또는 상기 배연창이 폐쇄되는 폐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이송 몸체를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몸체 이송부; 및 상기 몸체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몸체 이송부에 연결된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창문을 상기 창틀에 결속시키도록 상기 창문과 상기 창틀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 기구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창문과 상기 창틀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시키도록 상기 개폐 기구와 연동 가능하게 형성된 결속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기구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에서 상기 개폐 기구가 위치한 대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이송 몸체에 일측이 간섭되도록 상기 개폐 기구의 옆에 배치된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에서 상기 개폐 기구가 위치하지 않은 대상에 배치되고,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제1 결속 부재에 의해 결속되도록 상기 제1 결속 부재와 대응되게 배치된 제2 결속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결속 부재는 상기 이송 몸체와의 간섭력에 의해 상기 제2 결속 부재와 결속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이송부는,
상기 이송 몸체의 이송홀부에 일단부가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홀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결합되기 위한 수나사부가 외주면에 형성된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 스크류를 회전시켜 상기 이송 몸체를 상기 이송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상기 이송 스크류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개폐 제어부와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 이송 모터;
를 구비한 배연창 개폐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상기 제2 개폐 로드는,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연결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개폐 로드와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 사이에 형성된 개폐 각도가 180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 부재는,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제2 결속 부재의 일단부와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송 몸체에 일측이 간섭되도록 형성된 결속 몸체;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제2 결속 부재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리는 결속 위치로 상기 이송 몸체와의 간섭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상기 결속 몸체의 일측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결속 돌기; 및
상기 결속 위치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결속 돌기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결속 돌기와 상기 결속 몸체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
를 구비한 배연창 개폐장치.
- 삭제
- 삭제
- 여닫이 타입으로 개폐되는 배연창의 창문 또는 창틀 중 어느 하나에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 개폐 로드;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중간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 로드; 및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를 이동시켜 상기 배연창이 개폐하도록 형성된 개폐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기구는, 상기 제2 개폐 로드의 타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이송 몸체; 상기 이송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배연창이 개방되는 개방 방향 또는 상기 배연창이 폐쇄되는 폐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상기 이송 몸체를 이송시키도록 형성된 몸체 이송부; 및 상기 몸체 이송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몸체 이송부에 연결된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 슬라이더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 슬라이더는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로드 슬라이더는, 상기 창문 또는 상기 창틀 중 다른 하나에 길게 형성된 레일 부재; 및 상기 레일 부재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레일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폐 로드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딩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배연창의 닫힘시 상기 창문을 상기 창틀에 결속시키도록 상기 이송 몸체와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 기구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창문과 상기 창틀을 결속하거나 결속 해제시키도록 형성된 결속 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 삭제
- 삭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기구는,
상기 이송 몸체에 배치되고, 결속 돌기가 일측에 돌출된 제1 결속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배연창의 닫힘 완료시 상기 이송 몸체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결속 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일측에 형성된 제2 결속 부재;
를 구비한 배연창 개폐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돌기와 상기 걸림턱의 단부에는 상기 제1 결속 부재와 상기 제2 결속 부재가 원활하게 결속되도록 상기 결속 돌기와 상기 걸림턱이 서로 걸리는 부위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 안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2749A KR101895500B1 (ko) | 2017-01-26 | 2017-01-26 | 배연창 개폐장치 |
PCT/KR2018/001191 WO2018139901A1 (ko) | 2017-01-26 | 2018-01-26 | 배연창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2749A KR101895500B1 (ko) | 2017-01-26 | 2017-01-26 | 배연창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8107A KR20180088107A (ko) | 2018-08-03 |
KR101895500B1 true KR101895500B1 (ko) | 2018-09-05 |
Family
ID=62978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2749A KR101895500B1 (ko) | 2017-01-26 | 2017-01-26 | 배연창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5500B1 (ko) |
WO (1) | WO2018139901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3938B1 (ko) | 2018-11-08 | 2019-05-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배연유로 확보하여 배연성능이 향상된 배연창 및 그 배연방법 |
KR102241481B1 (ko) | 2020-07-31 | 2021-04-22 | (주)지엠이앤에스 | 배연 유리창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5373B1 (ko) * | 2019-02-14 | 2020-02-10 | 주식회사 광해금속 | 옥외용 공기청정기 |
KR102230074B1 (ko) * | 2019-10-07 | 2021-03-19 | (주)나우펀 | 여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장치 |
CN116624060B (zh) * | 2023-05-31 | 2024-05-07 | 中山市越海电器有限公司 | 一种酒柜自推门结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2426Y1 (ko) | 2003-05-16 | 2003-08-09 | 박헌배 | 배연창의 개폐장치 |
JP6050631B2 (ja) * | 2011-08-22 | 2016-12-21 |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 容量性トランスデューサとその製造及び動作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41880U (ko) * | 1986-03-04 | 1987-09-07 | ||
JPH0650631Y2 (ja) * | 1988-11-14 | 1994-12-21 | 中央発條株式会社 | 揺動開閉窓の開閉装置 |
JP2001206066A (ja) * | 2000-01-26 | 2001-07-31 | Mitomi Kogyo:Kk | ウイング扉の開閉駆動装置 |
KR20120000611A (ko) * | 2010-06-28 | 2012-01-04 | 이재섭 | 유아용 수면 기구 |
KR101243452B1 (ko) * | 2010-07-11 | 2013-03-13 | 기 동 조 | 여닫이문 자동개폐장치 |
-
2017
- 2017-01-26 KR KR1020170012749A patent/KR1018955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1-26 WO PCT/KR2018/001191 patent/WO201813990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2426Y1 (ko) | 2003-05-16 | 2003-08-09 | 박헌배 | 배연창의 개폐장치 |
JP6050631B2 (ja) * | 2011-08-22 | 2016-12-21 |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 容量性トランスデューサとその製造及び動作方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3938B1 (ko) | 2018-11-08 | 2019-05-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배연유로 확보하여 배연성능이 향상된 배연창 및 그 배연방법 |
KR102241481B1 (ko) | 2020-07-31 | 2021-04-22 | (주)지엠이앤에스 | 배연 유리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8107A (ko) | 2018-08-03 |
WO2018139901A1 (ko) | 2018-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5500B1 (ko) | 배연창 개폐장치 | |
US8235085B2 (en) | Methods of displacing movable partitions including a lateral restraint | |
AU728775B2 (en) | Fire limiting screen arrangement with walk-through feature | |
KR101218205B1 (ko) | 비상 통로의 피난용 갱문 | |
KR100983342B1 (ko) | 곡면의 개폐 궤적을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 |
KR100983680B1 (ko) |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 |
KR101331033B1 (ko) | 과압배출장치 | |
KR101017078B1 (ko) | 피난 사다리 장치 | |
KR102028928B1 (ko) | 피난갱문용 기계식 자폐장치 | |
JP6325918B2 (ja) |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 |
DK2320153T3 (en) | Device for closing a flap mounted in an air circuit | |
JP2008240489A (ja) | 進入口及び非常用進入口 | |
KR101438052B1 (ko) | 방화 스크린 셔터 | |
KR101090902B1 (ko) | 피난 사다리장치용 감속기 | |
CN110732102A (zh) | 挡烟闭火防蔓延智能窒息控火系统 | |
JP2011156222A (ja) | 防火扉 | |
KR20190000921U (ko) | 배연창 개폐장치 | |
KR200315864Y1 (ko) | 비상구 일체형의 방화셔터 | |
KR102180025B1 (ko) | 여닫이창 개폐장치 | |
JP6486704B2 (ja) | 消火栓装置 | |
KR101064721B1 (ko) | 피난용 도어 개폐장치 | |
JP5179837B2 (ja) | シャッター装置 | |
KR20120062286A (ko) | 방화문 도어클로져용 폐쇄력 보조장치 | |
JP4050673B2 (ja) | 防犯用二重扉 | |
EP3712530A1 (en) | Smoke evacuation shutter and discharge system comprising such a smoke evacuation shut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