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913B1 - 철스크랩 파쇄 장치 - Google Patents

철스크랩 파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913B1
KR101893913B1 KR1020170088927A KR20170088927A KR101893913B1 KR 101893913 B1 KR101893913 B1 KR 101893913B1 KR 1020170088927 A KR1020170088927 A KR 1020170088927A KR 20170088927 A KR20170088927 A KR 20170088927A KR 101893913 B1 KR101893913 B1 KR 101893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d
screen
scrap
scrap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김학수
(주)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수, (주)삼산 filed Critical 김학수
Priority to KR102017008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스크랩 파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스크랩(scrap iron)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의 결함 발생 확률을 낮추고, 결함 발생 시, 대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부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어 철스크랩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 가운데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철스크랩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날부, 상기 바디부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파쇄된 상기 철스크랩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 파쇄되면 하부로 배출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철스크랩을 선택적으로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형태로 일측에 마련되는 개폐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 장치는, 파쇄기에 마련되는 개폐부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 장치는, 파쇄기 내부의 결함요인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스크랩 파쇄 장치{Scrap iron crushing machine}
본 발명은 철스크랩 파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스크랩(scrap iron)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기의 결함 발생 확률을 낮추고, 결함 발생 시, 대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쇄기는 내부에 걸림 현상과 같은 결함이 발생 시에 결함발생의 원인을 직접 확인하고 이를 제거할 수 있게 마련되는 개구부(A)가 형성된다.
도 1은 기존기술(일본등록특허 : JP4944485)에 따른 파쇄기의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개구부(A)가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파쇄기의 파쇄 공정 시, 강성 및 인성이 높은 재료의 파쇄를 실시할 때에는 상기 파쇄기의 내부에서 거칠게 움직이므로 상기 개구부(A)에 부딪혀 손상을 줄 수 있는 상황이 자주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개구부(A)는 파쇄기의 하우징을 포함한 바디의 상부 일측에 주로 형성되어 고장 시, 파쇄기 바디 전체에 영향을 미치거나 파쇄기 바디 전체의 교체를 요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고, 파쇄기의 바디에 충격을 주지 않게 구성될 수 있는 개구부(A)가 필요한 실정이다.
일본등록특허 제4944485호 (2012.03.09)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개폐부를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파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파쇄기 내부의 결함요인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개폐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 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부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어 철스크랩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 가운데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철스크랩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날부, 상기 바디부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파쇄된 상기 철스크랩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 파쇄되면 하부로 배출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철스크랩을 선택적으로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형태로 일측에 마련되는 개폐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 장치는, 파쇄기에 마련되는 개폐부의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 장치는, 파쇄기 내부의 결함요인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기술(일본등록특허 : JP4944485)에 따른 파쇄기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 장치의 스크린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장치에서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의 개폐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장치에서 도어부가 개방된 상태의 개폐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장치에서 유압부와 제 2 로드부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의 개폐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1), 상기 바디부(1) 상부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어 철스크랩(B)이 투입되는 투입부(2), 상기 바디부(1)의 내측 가운데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철스크랩(B)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날부(3), 상기 바디부(1)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파쇄된 상기 철스크랩(B)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 파쇄되면 하부로 배출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스크린부(4)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4)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철스크랩(B)을 선택적으로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형태로 일측에 마련되는 개폐부(42)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바디부(1)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1)는, 파쇄기의 외부 몸체가 되는 부분으로, 철스크랩(B)을 수용할 수 있고, 강철 등의 파쇄 시, 부딪힘 등으로 파손되지 않는 강도 및 인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투입부(2)는, 상기 바디부(1) 상부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어 철스크랩(B)이 투입된다.
상기 투입부(2)를 통해, 상기 철스크랩(B)이 투입될 수 있고, 상기 철스크랩(B) 투입 후,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내부에서 파쇄되는 상기 철스크랩(B)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파쇄날부(3)는, 상기 바디부(1)의 내측 가운데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철스크랩(B)을 파쇄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파쇄날부(3)는, 상기 바디부(1) 내부로 유입된 상기 철스크랩(B)을 파쇄하는 부분으로, 회전하는 날이 형성되어, 상기 철스크랩(B)을 파쇄한다.
상기 파쇄날부(3)는, 상기 철스크랩(B)을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린부(4)는, 상기 바디부(1)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파쇄된 상기 철스크랩(B)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 파쇄되면 하부로 배출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크린부(4)는, 전면에 걸쳐 복수개의 홀부(41)가 기설정된 크기로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B)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 구성되면 상기 홀부(41)를 통해 상기 철스크랩(B)이 배출되고,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철스크랩(B)은 상기 바디부(1) 내부에 유지시켜 지속적으로 상기 파쇄날의 회전에 의해 파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크린부(4)는, 상기 바디부(1)의 형태에 맞춰 안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쇄날부(3)의 회전반경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반원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파쇄날부(3)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스크린부(4)에 잔류하는 상기 철스크랩(B)이 지속적으로 상기 파쇄날부(3)에 접촉되어 파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4)는, 상기 바디부(1)의 일측으로 인입출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스크린부(4)가 소모성 제품으로 장시간 사용으로 파손 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스크린부(4)는, 개폐부(42)가 더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42)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철스크랩(B)을 선택적으로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형태로 상기 스크린부(4)의 일측에 마련된다.
상기 개폐부(42)가 마련되는 이유는, 상기 철스크랩(B) 중에는 일부 완전 파쇄가 이루어지기 전에 상기 바디부(1) 내부에서 걸림 현상 등이 발생되어 장치의 이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걸림 현상을 발생시키는 상기 철스크랩(B)을 용이하게 배출하여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42)가 상기 스크린부(4)에 형성됨으로 인해,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스크린부(4)에 상기 개폐부(42)가 형성되면, 상기 철스크랩(B)이 상기 파쇄날부(3)에 의해 회전되다가 자유낙하 형태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42)가 하부가 아닌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배출하고자 하는 상기 철스크랩(B)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꺼내야 하므로 상기 파쇄날부(3)를 멈추고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반면에 상기 개폐부(42)가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파쇄날부(3)의 회전에 의해 배출하고자 하는 상기 철스크랩(B)이 오히려 원활히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작업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42)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421), 제 1 로드부(423), 회동부(424), 제 2 로드부(425), 유압부(4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도어부(421)는, 상기 스크린부(4)의 중심부 일측에 힌지 형태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부(421)는, 상기 스크린부(4) 상에서 상기 파쇄날부(3)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철스크랩(B)이 하방으로 낙하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도어부(421)의 일단부는 힌지형태로 고정되는 도어힌지부(422)가 마련되어 상기 스크린부(4)의 일부에 연결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힌지부(422)는, 상기 스크린부(4)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하고, 개방되어지는 상기 도어부(421)의 타단부가 상기 스크린부(4)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철스크랩(B)을 선택적으로 배출 시, 상기 파쇄날부(3)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부(1) 내부에서 상기 파쇄날부(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듯 이동되어 지는 상기 철스크랩(B)이 하방으로 낙하되어 배출될 때, 상기 도어부(421)의 개방되는 타단부가 상기 철스크랩(B)과 부딪혀 파손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도어부(421)는, 상기 스크린부(4) 면적의 10~15%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도어부(421)가 상기 스크린부(4) 면적의 15%를 초과하는 크기로 형성 시, 상기 스크린부(4)의 전체적인 강도가 약해져 내구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도어부(421)가 상기 스크린부(4) 면적의 10% 미만의 크기로 형성 시, 배출하고자 하는 상기 철스크랩(B)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로드부(423)는, 바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도어부(421) 하부에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1 로드부(423)의 일단부는 상기 도어부(421)의 하부에 힌지 회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부(424)는, 바 형태로 마련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 1 로드부(423)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회동부(424)는 하기의 유압부(426)를 통해 전달되는 힘을 상기 제 1 로드부(423)로 전달하여 효과적으로 상기 도어부(421)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축이 마련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양단부가 상부 및 하부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회동부(424)와 상기 제 1 로드부(423)의 연결부는 힌지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로드부(425)는, 바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회동부(424)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2 로드부(425)는 하기의 유압부(426)의 전진 및 후진 움직임을 직접적으로 전달 받아 상기 회동부(424)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로드부(425)의 일단부와 상기 회동부(424)의 타단부는 힌지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유압부(426)는, 유압으로 전진 및 후진할 수 있게 마련되는 일단부가 상기 제 2 로드부(425)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압부(426)와 상기 제 2 로드부(425)의 타단부의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연결이 해제 될 수 있는 스위치부(428)가 마련된다.
상기 스위치부(428)는, 상기 유압부(426)의 일단부 및 상기 제 2 로드부(425)의 타단부를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421)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428)가 마련되어, 상기 유압부(426)와 상기 제 2 로드부(425)의 타단부의 사이에 연결을 해제한다.
이는, 상기 도어부(421)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파쇄날부(3)의 가동에 의해 상기 철스크랩(B)을 파쇄할 때, 상기 철스크랩(B)이 상기 바디부(1) 내부에서 거칠게 회전되며, 상기 도어부(421)에 부딪힐 수 있으므로, 상기 도어부(421)에 전해지는 충격을 상기 유압부(426)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부(421)에 전해지는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상기 제 1 로드부(423), 회동부(424), 제 2 로드부(425)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로 고장이 적고,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다.
하지만, 상기 유압부(426)는 고장 시, 매번 교체하기 부담스러운 부품으로 상기 스위치부(428)를 마련하여 선택적으로 연결 및 해제를 실시하여 대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421)를 개방할 때는, 먼저, 상기 유압부(426)와 상기 제 2 로드부(425)의 타단부의 사이에 연결을 실시하여 연결 후, 상기 유압부(426)의 가동을 통해 상기 도어부(421)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도어부(421)와 제 1 로드부(423)의 일단부의 사이, 상기 제 1 로드부(423) 타단부와 상기 회동부(424)의 일단부의 사이, 상기 회동부(424)의 타단부와 상기 제 2 로드부(425)의 일단부의 사이에는, 힌지연결부(427)가 마련되어 힌지 회동 가능한 형태로 연결된다.
이는, 상기 도어부(421)의 일측에 도어힌지부(422)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421)의 타측이 개방 및 폐쇄될 때, 회동반경이 원주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으로 상기 힌지연결부(427)를 통해, 상기 도어부(421), 제 1 로드부(423), 회동부(424), 제 2 로드부(425)의 구성이 유기적으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되어 상기 도어부(421)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철스크랩 파쇄 장치는, 상기 투입부(2)를 통해 상기 철스크랩(B)이 상기 바디부(1) 내부로 투입된다.
상기 바디부(1) 내부로 상기 철스크랩(B)이 투입된 후, 상기 파쇄날부(3)가 가동되어 회전하면 상기 철스크랩(B)이 상기 파쇄날부(3)에 의해 상기 바디부(1) 내부에서 회전되며 파쇄되어 진다.
상기 철스크랩(B)이 파쇄되어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 파쇄되면, 상기 스크린부(4)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홀부(4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철스크랩(B)은 상기 스크린부(4)의 상부에 남아 지속적으로 상기 파쇄날부(3)에 의해 파쇄될 수 있다.
상기 철스크랩(B)의 파쇄작업 중, 상기 철스크랩(B)이 상기 바디부(1) 내부에서 걸림 현상이 발생되거나 기계 고장이 발생했을 시, 문제가 되는 상기 철스크랩(B)을 빼내거나 잔류되어 있는 상기 철스크랩(B)을 배출해야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부(42)를 개방하여 상기 철스크랩(B)을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이 해제되어 있는 상기 유압부(426)의 일단부를 상기 제 2 로드부(425)의 타단부에 연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압부(426)를 가동한다.
상기 유압부(426)의 가동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로드부(425), 회동부(424), 제 1 로드부(423)가 유기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도어부(421)를 개방한다.
개방된 상기 도어부(421)를 통해 결합발생요인을 제거하고, 역순으로 상기 도어부(421)를 폐쇄한다.
상기 도어부(421)를 폐쇄 후, 파쇄공정에서 상기 도어부(421)에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부(428)를 작동하여 상기 유압부(426)의 일단부와 상기 제 2 로드부(425)의 타단부의 연결을 해제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개구부
B : 철스크랩
1 : 바디부
2 : 투입부
3 : 파쇄날부
4 : 스크린부
41 : 홀부
42 : 개폐부
421 : 도어부
422 : 도어힌지부
423 : 제 1 로드부
424 : 회동부
425 : 제 2 로드부
426 : 유압부
427 : 힌지연결부
428 : 스위치부

Claims (4)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부 일측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홀 형태로 마련되어 철스크랩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바디부의 내측 가운데 지면과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철스크랩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날부;
    상기 바디부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파쇄된 상기 철스크랩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로 파쇄되면 하부로 배출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스크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는,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상기 철스크랩을 선택적으로 하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형태로 일측에 마련되는 개폐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중심부 일측에 힌지 형태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부;
    바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도어부 하부에 연결되는 제 1 로드부;
    바 형태로 마련되어,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부가 상기 제 1 로드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회동부;
    바 형태로 마련되어, 일단부가 상기 회동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 2 로드부;
    유압으로 전진 및 후진할 수 있게 마련되는 일단부가 상기 제 2 로드부의 타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스크린부 면적의 10 내지 15%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는 일단부가 상기 스크린부의 일부에 연결되어 힌지형태로 고정되는 도어힌지부가 마련되고 타단부는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힌지부는 상기 스크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곳에 위치하고, 개방되어지는 상기 도어부의 타단부가 상기 스크린부의 중심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상기 유압부와 상기 제 2 로드부의 타단부의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연결이 해제 될 수 있는 스위치부;가 마련되어,
    상기 철스크랩을 파쇄할 때는, 상기 도어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유압부와 상기 제 2 로드부의 타단부의 사이에 연결을 해제하여 상기 철스크랩이 상기 바디부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도어부에 부딪힐 때 상기 도어부에 전해지는 충격이 상기 유압부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철스크랩을 배출할 때는, 상기 유압부와 상기 제 2 로드부의 타단부의 사이에 연결을 실시하여 상기 유압부의 가동에 의해 상기 제 2 로드부, 상기 회동부, 상기 제 1 로드부 순으로 유기적으로 회동되어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스크랩 파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와 제 1 로드부의 일단부의 사이, 상기 제 1 로드부 타단부와 상기 회동부의 일단부의 사이, 상기 회동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 2 로드부의 일단부의 사이에는, 힌지연결부;가 마련되어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스크랩 파쇄 장치.
  4. 삭제
KR1020170088927A 2017-07-13 2017-07-13 철스크랩 파쇄 장치 KR10189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927A KR101893913B1 (ko) 2017-07-13 2017-07-13 철스크랩 파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927A KR101893913B1 (ko) 2017-07-13 2017-07-13 철스크랩 파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913B1 true KR101893913B1 (ko) 2018-10-29

Family

ID=6410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927A KR101893913B1 (ko) 2017-07-13 2017-07-13 철스크랩 파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7270A (zh) * 2022-01-17 2022-06-14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橄榄油压榨用果核分离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9034A (ja) * 2009-08-21 2009-11-19 Fuji Car Mfg Co Ltd 破砕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9034A (ja) * 2009-08-21 2009-11-19 Fuji Car Mfg Co Ltd 破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7270A (zh) * 2022-01-17 2022-06-14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橄榄油压榨用果核分离机构
CN114617270B (zh) * 2022-01-17 2023-02-17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橄榄油压榨用果核分离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17969U (zh) 一种物料破碎装置
CN104014407A (zh) 一种物料破碎装置
KR101893913B1 (ko) 철스크랩 파쇄 장치
CN106553287B (zh) 塑料专用粉碎机
US4629134A (en) Roll crusher
US4136833A (en) Renewable tip hammer for a crusher
CN1060988C (zh) 用于破碎绞条形料的装置
CN106076538A (zh) 固废物及生活垃圾管道运输地面大件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087748B1 (ko) 파쇄장치
JP4809238B2 (ja) 木材破砕機
CN106944194B (zh) 烟丝回收系统及其螺旋式废烟破碎装置
CN206577833U (zh) 锤式粉碎机
CN105562175A (zh) 双轴差动垃圾破碎机
CN205340970U (zh) 双轴差动垃圾破碎机
KR101488486B1 (ko) 해쇄장치
CN211160016U (zh) 一种金属物料的粉碎装置
CN105013563A (zh) 一种反击式破碎机
CN105209174A (zh) 破碎机
KR20120048405A (ko) 슈레더
CN205032225U (zh) 破碎机用清筛机构
CN101708479B (zh) 一种自动开闭的破磨机壳体
CN219381225U (zh) 一种塑胶条废料粉碎机
CN214026622U (zh) 一种具有自动进料功能的带铁塑钢破碎分离机
KR101517901B1 (ko) 관로의 더스트 럼프 파쇄시스템
CN111002505A (zh) 一种塑料加工用更换防漏切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