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668B1 -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668B1
KR101891668B1 KR1020170095660A KR20170095660A KR101891668B1 KR 101891668 B1 KR101891668 B1 KR 101891668B1 KR 1020170095660 A KR1020170095660 A KR 1020170095660A KR 20170095660 A KR20170095660 A KR 20170095660A KR 101891668 B1 KR101891668 B1 KR 10189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tate thin
secondary battery
lens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원
송용원
이현정
김진상
강종윤
김성근
백승협
김상태
이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95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668B1/ko
Priority to US16/044,510 priority patent/US1173354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2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vapour deposition
    • H01M4/0423Physical vapour deposition
    • H01M4/0426Spu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0Printed batteries, e.g. thin fil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Otolaryngolog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유연한 기판, 양극 집전체, 양극, 고체상 전해질, 음극, 음극 집전체를 포함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가 개시된다. 해당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며, 자가 방전률이 매우 낮다. 또한, 인체에 거부감이 극소화될 수 있으며, 곡면을 가지는 렌즈 특히 콘텍트 렌즈와 같은 초소형 렌즈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SMART WEARABLE LENS MOUNTED WITH ALL-SOLID-STATE THIN FILM BATTE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초박형 에너지 저장 장치인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초소형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착용형 디바이스인 이른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Smart wearable device)는 구글, 삼성, 애플 등과 같은 글로벌 IT 기업에서도 앞다퉈 관련 제품들을 개발하고 있을 만큼, 스마트 폰 다음의 또는 스마트 폰과 연동하여 사용될 차세대 제품으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구글은 최근 스마트 콘텍트 렌즈 개발을 통해 새로운 주목을 받은 바 있고(특허문헌 1), 삼성에서도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을 구현하기 위한 초소형 비디오 및 카메라를 탑재한 콘텍트 렌즈형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고 있다(특허문헌 2).
그러나 현재 개발 중에 있는 스마트 콘텍트 렌즈는 아직 컨셉 정도에 그칠 뿐이며, 전력 모듈이 없는 등 실제적인 구현과 구동을 위한 에너지 저장 기술이 결여된 상태이다.
미국특허 제8608310호 한국특허출원공개 제10-2016-37008호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일측면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에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전원 공급이 가능하고 자기 방전율이 낮은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를 장착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다른 일측면에서, 콘텍트 렌즈와 같이 인체 부위에 직접 접촉하여 착용 시에도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를 장착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또 다른 일측면에서, 곡면을 가지는 렌즈 특히 콘텍트 렌즈와 같은 초소형 렌즈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는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를 장착한 스마트 렌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이고,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는 유연한 기판, 양극 집전체, 양극, 고체상 전해질, 음극, 음극 집전체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는 또한, 유연한 기판 상에 양극 집전체, 양극, 고체상 전해질, 음극, 음극 집전체가 형성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렌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르면, 기존의 스마트 콘텍트 렌즈 등에서 전력모듈 부분이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전원공급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슈퍼 커패시터에 비하여 보다 높은 전압과 오랜 시간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고, 자가 방전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높은 활용도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르면, 인체에 거부감이 극소화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의 전원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의하면,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할 수 있고, 곡면을 가지는 렌즈 특히 콘텍트 렌즈와 같은 초소형 렌즈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에 구현된 전고상 박막 전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상에 형성되는 전고상 박막 전지의 박막 성막 순서 및 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의 자기유도방식에 의한 무선충전 코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예에서 렌즈상에 부착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실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의 충방전 용량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의 싸이클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용어 정의
본 명세서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중 하나로서, 안경이나 콘텍트 렌즈 등과 같이 렌즈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박막 이차 전지는 전지의 구성 요소들을 박막형태의 기판 상에 얇게 구현한 재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한다. 이러한 박막 이차 전지는 예컨대 0.10 mm 이하의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며 양극 집전체, 양극, 전해질, 음극, 음극 집전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란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박막 이차 전지로서 전지의 구성 요소가 모두 고체 상인 박막 이차 전지이다.
예시적인 구현예들의 설명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편평한 평면상에서 양극활물질의 결정화가 가능한 유연 기판을 이용하여 전고상의 박막 이차 전지를 제조한 후 이를 곡면을 가지는 렌즈상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를 제조하였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에 장착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와 마이크로 채널 등을 장착한 콘텍트 렌즈의 전력원으로서 렌즈의 곡면 상에 C 자 형태의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는 유연한 기판(flexible substrate) 상에 양극 활물질, 고체 전해질, 음극 활물질이 적층된 유연 박막 전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한 기판(flexible substrate) 상에 양극 집전체(cathode current collector), 양극 활물질(cathode), 고체 전해질(solide-state electrolyte), 음극 활물질(anode), 음극 집전체(anode current collector)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는 렌즈 상에서 렌즈 곡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위치하며, 유연한 기판이 렌즈와 접하게 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동공 영역에 해당하는 렌즈의 중앙 부분은 시야 확보를 위하여 투명 영역을 유지하고 있고, 동공 영역을 제외한 영역인 렌즈의 반구의 측면 곡면에는 불투명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형성된다. 예컨대 C자형 즉, 외부의 호의 길이를 길게 하고 내부의 호의 길이는 짧은 형태로 반구의 측면 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C 자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렌즈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다른 예시에서는, 예컨대 다수의 기판 상에 전술한 전지 구성 요소를 적층한 적층 구조체를 복수 개 제조한 후, 이러한 복수의 적층 구조체를 렌즈 상에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상에 형성되는 전고상 박막 전지의 성막 순서 및 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렌즈에 부착하기 전 별도로 제조한다. 즉, 곡면을 갖는 렌즈 위에서 바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편평한 평면에서 별도로 전지를 제조한 후 이를 렌즈에 부착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의 제조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연한 기판을 준비한다(도 2a). 이러한 기판은 유연하기 때문에 반구의 곡면 구조인 렌즈에 부착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는 양극 활물질의 결정화 처리가 가능한 유연 기판을 이용한다. 이러한 기판으로서, 예컨대 폴리이미드, PET, PEN, 박리된 마이카(mica)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판은 구와 같은 곡면을 갖는 렌즈상에 부착하기 위하여 외경의 호 (즉, 외경을 가지는 호)의 길이를 길게 하고 내경의 호(즉, 내경을 가지는 호)의 길이는 짧은 예컨대 C와 같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지의 내경과 외경의 호의 길이를 달리하면 다양한 곡면상에 부착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는, 렌즈 착용 시 시야 확보를 위한 동공 부분인 예컨대 콘텍트 렌즈 내경 6 ㎜ 이하를 제외한 영역에 C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의 외경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콘텍트 렌즈 외경 사이즈인 14mm 이하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기판의 폭(a)은 최대 4.5mm 이하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에 양극 집전체(cathode current collector)를 형성한다(도 2b). 양극 집전체는 예컨대 Pt, Al, Cu, Ni, Ni-Cr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박막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양극 집전체의 두께는 예컨대 200nm 이하로 할 수 있고, 폭(b)은 기판의 폭(a)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양극 집전체의 폭(b)은 0.5 ㎜ ≤ b ≤ 4.5 ㎜의 폭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양극 집전체의 길이 (내경 및 외경의 호의 길이)는 기판의 길이(내경 및 외경의 호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양극 집전체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추후 음극 집전체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양극 집전체에 양극(cathode)을 형성한다(도 2c).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양극활물질은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LiCoO2, LiMnO2, LiNiO2, LiNixMnyyCo1 -x- yO2, LiFePO4, LiMnPO4, LiNiPO4, LiFe1 - xMnxPO4, LiMn2O4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양극의 폭(c)은 양극 집전체의 폭(b)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양극의 폭(c)은 0.5 ㎜ ≤ c ≤ 4.5 ㎜ 폭을 가질 수 있다. 양극의 면적이 특히 성능에 영향을 주므로, 양극의 면적에 따라 성능을 조절할 수 있다. 최소한의 전지 성능의 관점에서 양극의 폭은 적어도 0.5mm 이상으로 형성하며, 이에 맞도록 다른 전지 구성 요소들의 폭도 정할 수 있다. 양극의 두께는 전지의 용량 등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양극 집전체가 형성되지 않는 기판 부분에 음극 집전체(anode current collector)를 형성한다(도 2d).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가 접하는 경우 단락될 수 있으므로 양극 집전체와 음극 집전체가 만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음극 집전체 역시 예컨대 Pt, Al, Cu, Ni, Ni-Cr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박막일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음극 집전체의 두께도 예컨대 200nm 이하로 할 수 있고, 폭(d)도 기판의 폭(a)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음극 집전체의 폭(d)은 0.5 ㎜ ≤ e ≤ 4.5 ㎜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양극 상에 양극을 커버하되 양극 집전체의 일부를 노출하도록 고체 전해질(solid electrolyte)를 형성한다(도 2e).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상기 고체전해질은 이차전지용 고체전해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LiPON, LiBON, LiLaTiO3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고체 전해질의 두께는 예컨대 300nm으로 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의 폭(e)은 기판의 폭(a)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고체 전해질의 폭(e)은 0.5 ㎜ ≤ e ≤ 4.5 ㎜ 폭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고체 전해질 상에 음극(anode)를 형성하되 음극 집전체까지 이어지도록 형성한다(도 2f).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음극활물질은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Li, Si, Si-Al, SiNx, Li4Ti5O12, 그라파이트(graphit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그래핀(graphene)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음극의 폭(f)도 기판의 폭(a)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음극의 폭(f)은 0.5 ㎜ ≤ f ≤ 4.5 ㎜ 폭을 가질 수 있다. 음극의 두께도 양극 두께와 마찬가지로 전지 용량 등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의 단부에는 충전 단자(g)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충전 단자(g)를 통해 유선 충전이 가능하다.
이상의 방법에서 양극 집전체, 양극 활물질, 고체 전해질, 음극 활물질, 음극 집전체의 박막 형성은 스퍼터링과 같은 증착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며, PLD, ALD, 증발기(evaporator), 에너지 빔(E-beam), 스핀 코터(spin-coater), 스프레이지 증착(spray-deposition), CVD, PECVD 등과 같은 다른 박막 증착 장비를 사용하여 증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는 다양한 형태와 사이즈로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의 폭 (즉, 도 2에서 a)은 최대 4.5 ㎜까지 가능하며, 면적은 1.05 ㎠까지 사용 가능하다. 또한, 두께는 기판을 제외한 전지의 두께가 최대 100㎛ 이하일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는, 기판이 렌즈에 접하도록 렌즈의 곡면을 따라 부착하게 된다(도 1a, 1b 참조). 이때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는 인체에 무해하며 렌즈에 손상을 주지 않는 접착제 예컨대 에폭시 등을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는 인체에 무해한 파릴렌(parylene) 등을 최상부 층에 코팅하여 패키징을 할 수 있다.
한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는 유선 또는 무선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 일 구현예에 따른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는 도 2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충전단자를 통해 유선충전이 가능하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의 자기유도방식에 의한 무선 충전 코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는 최상부 코팅층 예컨대 파릴렌 코팅층(i) 상에 형성한 코일(h)을 통해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고,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를 반구 형태의 렌즈에 부착하기 위하여, 렌즈의 동공을 제외한 영역 최 상부에서부터 렌즈 끝 단까지의 호의 길이를 각각 계산한 결과 C자 형태의 디자인을 갖는 것을 얻었다.
따라서, 기판은 평면상에 C와 같은 형태로 가공된 폴리이미드 유연 기판을 준비하였다. C자형 기판은 렌즈의 곡면 상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외부의 호의 길이를 길게 하고 내부의 호의 길이는 짧은 C와 같은 형태로 하였다. 기판의 폭은 약 4mm로 하였다.
성막하기 전 기판의 청결을 위하여 아세톤 15분, 메탄올 15 분, D.I. 워터로 15 분간 초음파 세척기로 세정을 한 후 N2 가스로 물기를 제거하였다.
양극 전류집전체 박막으로는 백금을 사용하였으며 DC스퍼터를 통하여 기판에 증착하였다.
양극 전류 집전체 두께는 약 80nm, 폭은 3mm로 하였다.
그 위에 양극 박막을 형성하고자, LiFePO4 조성의 단일상 타겟을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Samwon Vacuum, Korea)을 사용하여 백금이 증착된 폴리이미드 기판에 성막 하였다.
양극 박막의 두께는 1㎛, 폭은 3mm로 하였다.
백금이 증착된 기판에 양극 박막을 성막하였으며, 성막하기 전의 초기 진공도는 5×10-6 mTorr 이하였으며, 성막 중에는 40 mTorr의 압력에서 박막을 제조하였다. 성막시의 출력은 예비 실험을 통하여 최적 조건으로 도출된 160 W(4" target, 2 W/㎠)로 고정하였다.
한편, 양극 박막의 결정화를 위해 백금이 증착된 기판의 온도를 상온으로 고정한 후 박막을 제조하고, 분위기 조절이 가능한 로에서 3% H2/(Ar+H2)를 분당 800 cc 속도로 주입하면서 환원분위기에서 열처리를 하였다. 이때 열처리 온도는 400℃이며 승온 속도 3 ℃/min으로 2 시간 동안 열처리를 하였으며, 분위기로에서 열처리 후 결정화가 이루어졌다.
사용된 기판이 내열성이 높은 폴리이미드 기판이므로 이러한 양극 결정화를 위한 열처리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고체전해질은 Li3PO4 타겟을 이용하였으며,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을 사용하여 반응성 스퍼터링을 통해 상온에서 LiPON 박막을 성막하였다.
고체 전해질 박막의 두께는 약 1㎛, 폭은 4mm로 하였다.
음극은 Li 금속 또는 SiNx를 열 증발기(evaporator)나 스퍼터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증착하였다.
음극 박막의 두께는 200~300nm, 폭은 3mm로 하였다.
음극 전류집전체 박막으로는 구리 박막을 상온에서 DC 스퍼터를 사용하여 증착하였다. 음극 전류 집전체는 양극 전류 집전체가 형성되지 않은 기판 부분에 형성하였다.
음극 전류집전체 두께는 약 80nm, 폭은 3mm로 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인체에 무해하며 렌즈에 손상을 주지 않는 에폭시를 사용하여 렌즈에 부착하였다. 또한 인체에 무해한 파릴렌을 최상부 층에 코팅하여 패키징하였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상에 부착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의 충방전 용량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의 싸이클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측정한 결과, 도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 방전용량 66.44 ㎼h/㎠㎛ 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있어서 렌즈 상에서 구현할 수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는 최대 면적 1.05 ㎠, 기판을 제외한 전지의 두께가 최대 100 ㎛ 이하이며, 양극활물질의 두께가 5 ㎛ 일 때 전력량은 약 332.2 ㎼h 일 수 있다.
또한, 양극활물질을 이론용량 대비 60%로 구현할 경우 전력량은 650 ㎼h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당뇨병 진단용 스마트렌즈에서 요구되는 전력량은 약 200 ㎼h 이므로 이에 적용가능한 전원이다.
한편,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의 싸이클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도 6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25 싸이클까지 충방전을 진행하였음에도 용량변화가 거의 없는 매우 안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9)

  1.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이고,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는, 일정 폭을 가지고 내측 및 외측 호를 가지되 내측 호의 길이가 외측 호의 길이 보다 짧은 C자 형태인 유연한 기판, 양극 집전체, 양극, 고체상 전해질, 음극, 음극 집전체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유연한 기판 상의 일부에 양극 집전체가 성막되어 있고,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이 성막되어 있고,
    상기 유연한 기판 상의 양극 집전체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음극 집전체가 성막되어 있으며,
    상기 양극 상에 고체 전해질이 성막되어 있고,
    상기 고체 전해질 상에 음극이 성막되어 있되 고체 전해질로 커버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에 음극이 연결되도록 음극이 성막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렌즈 상에서 렌즈 곡면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서 위치하고,
    상기 유연한 기판이 렌즈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는 콘텍트 렌즈이고,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콘텍트 렌즈의 동공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는 C자 형태이고 콘텍트 렌즈의 측면 곡면 영역을 따라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는 전지 폭이 4.5 ㎜ 이하이며, 기판을 제외한 전지의 두께가 최대 1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유연한 기판, 양극 집전체, 양극, 고체상 전해질, 음극, 음극 집전체의 각각의 폭이 0.5 ㎜ 이상 4.5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는 형상과 크기가 다른 유연한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이고,
    콘텍트 렌즈의 동공을 제외한 영역에 복수 개의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가 직렬 또는 병렬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한 기판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또는 박리된 마이카(mica)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는 음극 집전체 및 양극 집전체와 연결된 충전 단자 또는 무선 충전 코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 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는 패키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 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의 패키징 상에 무선 충전 코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13. 삭제
  14. 삭제
  15.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유연한 기판에 양극 집전체, 양극, 고체상 전해질, 음극, 음극 집전체가 형성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단계는,
    일정 폭을 가지고 내측 및 외측 호를 가지되 내측 호의 길이가 외측 호의 길이보다 짧은 C자 형태인 유연판 기판 상의 일부에 양극 집전체를 성막하는 단계;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양극을 성막하는 단계;
    상기 유연한 기판 상의 양극 집전체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음극 집전체를 성막하는 단계;
    상기 양극 상에 고체 전해질을 성막하는 단계; 및
    상기 고체 전해질 상에 음극을 성막하되 고체 전해질로 커버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에 음극이 연결되도록 음극을 성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된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에 부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의 유연한 기판이 렌즈와 접하도록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을 성막 후 결정화 처리하는 것이고,
    상기 유연한 기판은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또는 박리된 마이카(mica)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를 패키징 물질로 패키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의 제조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고상 박막 전지에 음극 집전체 및 양극 집전체와 연결되도록 충전 단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의 제조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상에 무선 충전 코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의 제조 방법.
KR1020170095660A 2017-07-27 2017-07-27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KR10189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60A KR101891668B1 (ko) 2017-07-27 2017-07-27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US16/044,510 US11733543B2 (en) 2017-07-27 2018-07-25 Smart wearable lens mounted with all-solid-state thin fil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660A KR101891668B1 (ko) 2017-07-27 2017-07-27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668B1 true KR101891668B1 (ko) 2018-08-24

Family

ID=63454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660A KR101891668B1 (ko) 2017-07-27 2017-07-27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33543B2 (ko)
KR (1) KR1018916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4074A1 (en) 2018-07-07 2020-01-16 Acucela Inc. Device to prevent retinal hypoxia
CN112740099B (zh) 2018-07-30 2024-05-14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延缓近视进展的电子接触透镜的光学设计
FR3095052A1 (fr) * 2019-04-15 2020-10-16 Institut Mines Telecom Lentille de contact pour le pointage automatique de la direction d’un œil d’un individu, système de détection associé
CN114502120A (zh) 2019-07-31 2022-05-13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将图像投射到视网膜上的设备
US10944290B2 (en) * 2019-08-02 2021-03-09 Tectus Corporation Headgear providing inductive coupling to a contact lens
JP2022547621A (ja) 2019-09-16 2022-11-14 アキュセ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近視の進行を阻害するように設計される、電子ソフトコンタクトレンズのための組立プロセス
US11353723B2 (en) 2019-10-31 2022-06-07 Tectus Corporation Saccade detection and endpoint prediction for electronic contact lenses
JP2023514382A (ja) 2020-02-21 2023-04-05 アキュセラ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電子コンタクトレンズのための充電ケース
JP2021157881A (ja) * 2020-03-25 2021-10-07 株式会社パワーフォー 二次電池
CA3177695A1 (en) 2020-05-13 2021-11-18 Ryo Kubota Electro-switchable spectacles for myopia treatment
EP4161636A4 (en) 2020-06-08 2024-06-26 Acucela Inc. PROJECTION OF DEFOCUSED IMAGES ON THE PERIPHERAL RETINA TO TREAT REFRACTIVE ERRORS
KR20230020391A (ko) 2020-06-08 2023-02-10 어큐셀라 인코포레이티드 누진 굴절 이상을 치료하기 위해 주변 디포커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상의 스틱
CN115698832A (zh) 2020-06-08 2023-02-03 奥克塞拉有限公司 用于治疗散光的非对称投影透镜
US11281022B2 (en) 2020-06-10 2022-03-22 Acucel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refractive error using active stimulation
FR3112404B1 (fr) * 2020-07-08 2023-07-28 Inst Mines Telecom Lentille sclérale comprenant une partie de recouvrement encapsulant un ou plusieurs composants électroniques et configurée pour laisser apparente la pupille de l’œil portant la lentille.
US11209672B1 (en) 2021-04-06 2021-12-28 Acucela Inc. Supporting pillars for encapsulating a flexible PCB within a soft hydrogel contact lens
US11366341B1 (en) 2021-05-04 2022-06-21 Acucela Inc. Electronic case for electronic spectacles
US11416072B1 (en) 2021-07-20 2022-08-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ata entry apparatus leveraging smart contact lenses
US11875323B2 (en) 2021-10-05 2024-01-16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transaction processing leveraging smart contact lens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75B1 (ko) * 2014-01-20 2015-07-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침습형 건강지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8310B2 (en) 2007-11-07 2013-12-17 University Of Washington Through Its Center For Commercialization Wireless powered contact lens with biosensor
US8877388B1 (en) * 2010-01-20 2014-11-04 Sandia Corporation Solid-state lithium battery
US8857983B2 (en) * 2012-01-26 2014-10-14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lens assembly having an integrated antenna structure
CA2862665A1 (en) * 2012-01-26 2013-08-0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Energized ophthalmic lens including stacked integrated components
US10213140B2 (en) 2013-05-17 2019-02-2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Ophthalmic lens with a microfluidic system
US9923177B2 (en) 2014-08-21 2018-03-2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Biocompatibility of biomedical energization elements
US10361405B2 (en) * 2014-08-21 2019-07-23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Biomedical energization elements with polymer electrolytes
KR102271817B1 (ko) 2014-09-26 2021-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위한 스마트 콘택렌즈와 그 제조 및 동작방법
KR101637938B1 (ko) * 2014-11-06 2016-07-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레이저를 이용한 박막 전지용 양극 제조 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박막 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박막 전지
JP6675216B2 (ja) * 2015-02-27 2020-04-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蓄電装置
KR101661174B1 (ko) 2015-05-22 2016-10-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플렉시블 박막형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248847B1 (ko) 2015-06-01 2021-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너지 수확부를 구비한 콘택트 렌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75B1 (ko) * 2014-01-20 2015-07-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침습형 건강지표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33618A1 (en) 2019-01-31
US11733543B2 (en)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668B1 (ko) 전고상 박막 이차 전지가 장착된 스마트 웨어러블 렌즈 및 그 제조 방법
US10033031B2 (en) Method for making thin film lithium ion battery
US9093707B2 (en) MultiLayer solid electrolyte for lithium thin film batteries
JP6187069B2 (ja) リチウム電池
US8617258B2 (en) Cable-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738516B (zh) 正极及蓄电装置的制造方法
US20060216603A1 (en)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y based on nanostructures
JP4850405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60275662A1 (en) Anode for secondary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ode for secondary battery
US9577265B2 (en) Thin film lithium ion battery
US20130171504A1 (en) Lithium ion battery
JP2007134272A (ja) 集電体、負極および電池
JP2007115421A (ja) 負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池
JP2005150038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JP2016025078A (ja) 薄膜電池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EP3726638B1 (en)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method and secondary battery capacity recovery apparatus
JP200223122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
JP4859380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H1083838A (ja) 全固体リチウム電池
JP2005085633A (ja) 負極および電池
KR100495674B1 (ko) 전 고상 박막전지용 양극 박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리튬 박막전지
KR102326289B1 (ko) 건조전극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JP2018142439A (ja) 全固体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接合材
JP6697155B2 (ja) 全固体電池
WO2016080912A1 (en) All-solid-state lithium-io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