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1643B1 - 다발형 모발 이식기 - Google Patents

다발형 모발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1643B1
KR101891643B1 KR1020180007656A KR20180007656A KR101891643B1 KR 101891643 B1 KR101891643 B1 KR 101891643B1 KR 1020180007656 A KR1020180007656 A KR 1020180007656A KR 20180007656 A KR20180007656 A KR 20180007656A KR 101891643 B1 KR101891643 B1 KR 101891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hannel
body frame
delete dele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술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오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대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643B1/ko
Priority to PCT/KR2018/002069 priority patent/WO20191429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643B1/ko
Priority to US16/188,902 priority patent/US11071567B2/en
Priority to EP18205912.1A priority patent/EP3513750B1/en
Priority to CN201811406049.1A priority patent/CN110063757B/zh
Priority to JP2018220560A priority patent/JP6660995B2/ja
Priority to RU2018141767A priority patent/RU2708843C1/ru
Priority to AU2018271269A priority patent/AU20182712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6Powered trocars, e.g. electrosurgical cutting, lasers, powered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05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using mechanical guide means
    • A61B2017/3409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using mechanical guide means including needle or instrument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2017/3454Details of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식모기내에 모발 이식에 필요한 식모침 등 구성요소를 여러 세트 다발형으로 장착한 다음 하나씩 연속적인 모발식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다발형 모발 식모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모발 식모기(A)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호의 외주둘레에는 다수의 슬라이드레일홈(110)이 방사형으로 음각된 중앙센터축(100);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레일홈(110)에 각각 결합되며 식모침(230)과 심축(240) 및 탄성스프링(260)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슬라이드블럭형시침채널(200);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상단에 구성되는 상측헤드부(300) 및 아래측의 하부뚜껑유닛(400); 상기 상측헤드부(300)의 저면으로 식모침(230)을 토출하는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식모침(230)을 상부로 이격시키는 식모침상부이격수단(500); 심축에 의해 모근을 일시적으로 멈춰 세우는 심축일시걸림수단(800); 식모침을 포함하는 다수의 시침채널(200)들을 하나씩 차례로 회전시키는 채널순차적회전수단(60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발형 모발 이식기{Multi - hair transplanter}
본 발명은 하나의 식모기 내에 모발 이식에 필요한 식모침 등 구성요소를 여러 세트 다발형으로 장착한 다음 하나씩 연속적인 모발식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다발형 모발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모발 이식은, 두피의 발모영역으로부터 모발을 채취하여 이를 탈모된 다른 불모영역의 두피(불모환자)에 심어서 이식(transplant)을 함으로써, 일반인과 같이 많은 양의 두발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모발시술법 중 하나다.
그리고, 모발 이식기(또는 식모기)는 위와 같은 모발이식 작업의 특성에 맞게 제작된 모발시술전문기구로 모발을 취급하는 허가된 각종 의료기관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모발 이식기(또는 식모기)를 이용한 모발시술법은, 발모영역으로부터 채취된 모근을 식모침 끝의 내부에 끼워 위치시킨 다음, 이를 두피에 찔러 모근만 그 두피 속에 남겨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식모침만 빼내는 과정을 통하여 유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시침 후 빠져나가는 식모침을 따라 모근이 함께 빠져 나갈 수 있기 때문에 식모침의 내부에는 식모침이 빠져나가는 동안 모근을 밀어서 모발의 완착을 주도하는 심축의 구성 또한 반드시 필요하다.(식모침 + 심축)
한편, 종래의 모발 식모기(또는 이식기)는, 하나의 기체 내에 각각 하나씩의 식모침 + 심축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는 모발 식모기가 가져야하는 기본적인 구성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79077호, 모발이식용 식모기 등 선행기술 참조)
따라서, 하나의 기체에 모발 식모에 필요한 기본적인 구성요소(식모침 + 심축) 1세트로만 장치된 종래의 식모기로 모발식모작업을 수행하면, 사전에 모근을 식모침 끝에 끼워 놓은 모근끼움공정과 모근이 끼워진 식모침이 포함된 모발 식모기로 두피에 식모침을 찔러 모발을 식모하는 시침작업이 필요하고, 많은 수의 모발을 심기 위해서는 모근끼움공정(식모침에 모근을 끼워서 고정하는 준비작업) + 식모공정(두피에 식모침을 찌르는 시침단계와 심축을 일시적으로 누르면서 식모침을 빼내는 심축푸시단계)을 무수히 반복해야 한다.
그러나, 모근끼움공정과 식모공정을 1인의 시술자에 의해 시행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식모기만 가지고도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각 공정을 개별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로스타임 등으로 막대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등 지극히 비능률적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1인의 시술자가 식모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보조원이 모근끼움공정을 준비해 주는 방식으로 2인 이상이 1조를 이루어 시행하는 경우에는,
1인의 시술자가 식모공정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보조원이 모근끼움공정을 통하여 모근이 끼워진 다수의 식모기를 준비해둘 수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시침 및 식모작업이 가능하여 1인 시술자가 하는 것에 비하면 훨씬 효율적이다.
그러나, 식모공정을 수행하는 시술자(주로 의사)는 두피에 식모침을 찌른 후 이미 사용된 식모기는 별도공간에 마련된 작업대에 올려놓고, 다른 식모기를 가져와 다시 두피에 식모침을 찌르고 심축을 누르는 식모공정을 매회 마다 계속하여 수행해야 함으로, 이 또한 수천 회를 거듭해야하는 통상의 모발이식작업을 감안하면 엄청난 노동력이 아닐 수 없고, 불필요하게 많은 개수의 식모기도 갖춰야하기 때문에 식모기 구입에 따른 막대한 비용지출의 부담까지 감당해야 한다.

이미 공지된 실용신안등록 제20-0368968호(다채널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하나의 식모기(또는 이식기)에 식모에 필요한 기본적인 구성요소(식모침 + 심축)를 다수 세트를 설치한 다음 이를 한꺼번에 눌러서 여러 개의 모근을 일괄로 식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나,
이는 1회에 많은 수의 모근을 한꺼번에 식모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을 수 있지만, 매회 마다 지극히 고도의 정교함이 요구되는 모발 작업에서 한꺼번에 여러 개를 동시에 심는 것은 모근의 균일한 안착 및 생육을 보장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부작용 등 불모환자의 두피의 안정성도 담보하기 어려움으로 근본적인 대안이 되지 못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실용신안등록 제20-0479077호, 모발이식용 식모기 실용신안등록 제20-0368968호(다채널 모발이식용 식모기)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식모기에 모발 식모에 필요한 기본적인 구성요소(식모침 + 심축)를 다수세트 다발형태로 설치하면서도, 매회(두피에 식모침을 찌르는 공정) 하나씩 동작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식모기를 갖춰야 하는 기존의 문제점 해결은 물론이고, 다수의 식모침이 일괄 동시적으로 찔러짐에 따라 정밀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기존과 달리 매회 정교한 단발 연속적인 시침작업까지 가능하게 되는 등 보다 고효율의 다발형 모발 식모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발 이식기를 구성함에 있어, 원호의 외주둘레에는 다수의 슬라이드레일홈이 방사형으로 음각된 중앙센터축;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레일홈에 각각 결합되며 식모침과 심축 및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 본체프레임의 상단에 구성되는 상측헤드부 및 아래측의 하부뚜껑유닛; 상기 상측헤드부의 저면으로 식모침을 토출하는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식모침을 상부로 이격시키는 식모침상부이격수단; 심축에 의해 모근을 일시적으로 멈춰 세우는 심축일시걸림수단; 식모침을 포함하는 다수의 시침채널들을 하나씩 차례로 회전시키는 채널순차적회전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삭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발형 모발 이식기는 하나의 식모기(또는 이식기)에 모발 식모에 필요한 기본적인 구성요소(식모침 + 심축)가 다수세트 다발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매회(두피에 식모침을 찌르는 공정) 1채널씩 회전하여 하나씩 차례로 동작(모발 식모작업)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처럼 식모기를 매회 일일이 바꿀 필요 없이 일정한 횟수만큼 연속적인 식모작업이 가능하여 식모작업의 능률, 편의성 증대는 물론 작업시간단축 및 시술자의 피로도 경감에도 크게 도움이 되는 등 그 기대되는 바가 실로 다대한 발명이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전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본체프레임(10)의 일측에 구성될 수 있는 젖힘형걸림쇠(1020)와 심축레버측걸림부(810)가 포함된 걸림부조립포켓(822)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과 식모침일시스톱퍼장치(1000)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중앙센터축(100)에 슬라이드블럭형시침채널(200)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중앙센터축(100)에 슬라이드블럭형시침채널(200)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시된 슬라이드블럭형시침채널(200)를 발췌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심축일시걸림수단(800)의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채널순차적회전수단(700)의 각 구성요소를 분해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서 제시된 채널순차적회전수단(700)의 작동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도시한 예시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발형 모발 이식기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발모영역으로부터 채취된 모근을 식모침 끝의 내부에 끼워서 고정시킨 다음, 이를 두피에 찔러 그 두피 속에 모근만 남기고 식모침은 빠져나오게 하는 하나의 모발 이식기(A)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프레임(10)의 내부 중심에 일정한 직경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구성되고, 원호의 외주둘레에는 다수의 슬라이드레일홈(110)이 방사형으로 음각된 중앙센터축(100);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레일홈(110)에 각각 맞춤형으로 끼워지고, 중앙센터축(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레일홈(11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유동이 가능하며, 하부에는 모근이 끼워진 후 두피에 찔러지는 식모침(230)이 구성되고, 내부에는 두피로부터 식모침(230)이 빠져나오는 동안 모근을 밀어주는 심축(240)이 구성되며, 그 사이에는 식모침(230)과 심축(240)간 시차적 동작관계를 보조하는 탄성스프링(260)이 구성되고, 이들의 조합으로 세트화된 다수개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단에 구성되고, 상기 중앙센터축(100)의 상단부를 위에서 아래로 받치는 역할을 하는 상측헤드부(300);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 하부의 본체프레임(10)에 결합되고, 선택된 하나의 식모침(230)이 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나의 식모침통과홀(410)이 형성된 하부뚜껑유닛(400);
상기 상측헤드부(300)의 저면에 설치되고, 다수의 시침채널(200) 중 어느 하나와 이에 결합된 식모침(230)을 시침동작(두피에 식모침을 찔러 모근이 두피 속에 안착되도록 하는 행위)에 필요한 간격만큼 하방으로 눌러서 내리는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
상기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들의 외측 하단 및 본체프레임(10)의 외부 아래에 구성되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 하나의 시침채널(200)과 하부뚜껑유닛(400)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토출된 식모침(230)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부로 이격시키는 식모침상부이격수단(600);
상기 식모침상부이격수단(600)과 각 시침채널(200) 및 그 외곽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식모침을 포함하는 다수의 시침채널(200)들을 하나씩 차례로 시침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시침채널(200)들 전부를 매회 1채널씩 회전시키는 채널순차적회전수단(700);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과 이에 대응하는 본체프레임(10) 칸에 설치되며, 시침동작 후 두피 바깥으로 식모침(230)이 올라가는 동안 심축에 의해 모근을 일시적으로 멈춰 세우는 심축일시걸림수단(80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하였다.

본 발명을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중앙센터축(100)을 기준으로 일정한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지면서 그 하부에 꽂혀있는 식모침(230)이 시침동작(두피에 식모침을 일정한 깊이로 찌르는 행위)에 필요한 간격만큼 하방으로 토출되어 있기 때문에 끝단의 내부에 모근이 끼워진 상태로 토출된 상기 식모침(230)을 이용하여 식모를 위한 시침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기 심축일시걸림수단(800)을 통하여 시침동작 후 두피 바깥으로 식모침(230)이 올라가더라도 그 동안 심축(240)에 의해 모근을 일시적으로 아래로 밀어서 멈춰 세울 수도 있는 등 모근을 완착하여 모발의 유효한 생육상태를 보장하는 것은 물론,
특히, 상기 채널순차적회전수단(700)을 통해 본체프레임(10) 내에 상기 식모침(230)을 포함하는 다수의 시침채널(200)들이 장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1채널씩 차례로 회전시키면서 순차로 식모침(230)을 토출시켜서 연속적인 시침작업을 시행할 수 있음으로,
단발식(1회 시침 후 다른 기기로 교체하는 방식)으로 행하하거나 또는 일괄 시침식(한꺼번에 여러 개를 동시에 시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던 기존과 달리, 내부에 장착된 시침채널(200)들의 개수만큼은 매회 기기를 교체할 필요 없이 연속적인 시침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매 시침시마다 시술자의 정교한 손놀림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식모작업의 능률과 품질향상은 물론 피시술자의 안전성까지 명확하게 담보할 수 있다.

이하, 각 주요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센터축>
상기 중앙센터축(100)은, 원통형 본체프레임(10)의 내부 중심에 수직으로 구성되고, 외주둘레에는 다수의 슬라이드레일홈(110)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게 음각되어 있으며, 상부 끝에는 직경이 보다 큰 머리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20) 상면의 중심에는 회전시 마찰의 최소화를 위한 반구형의 중심돌기(13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센터축(100)은 그 중심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들이 일정한 등간격 방사형이면서 다발형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그 기초를 제공한다.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
상기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은,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센터축(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외주 둘레에 일정한 등간격 방사형이면 다발형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중앙센터축(100)의 슬라이드레일홈(110)에 끼워지는 슬라이드소켓(210)이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소켓(210)의 후방에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면서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220)가 구성되며, 상기 몸체(220) 하부에는 미세한 직경을 가지면서 일 측이 개방된 속빈 관 형태를 이루며, 하부 끝에는 대각으로 절개되어 날카로운 침 형태로 제작된 식모침(230)이 끼워지고, 상기 식모침(230)의 쌍방향 내부 및 몸체(220) 내부에는 상기 식모침(230)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모근을 아래로 밀어주는 심축(240)이 구성되며, 몸체(220)의 상부 일단에 음각된 심축탄성공간홈부(250) 내에 노출된 심축(240) 부분에는 탄성스프링(260)을 끼워 탄성이 인가되도록 하고, 탄성스프링(260)에 의해 탄성이 인가된 심축(240)의 상단 끝에는 심축(240)을 상, 하 탄력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심축작동레버(27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심축(240)은 그 상단의 심축작동레버(270)를 작동하면 미세 관으로 된 식모침(230)의 내부에서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유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몸체(220)는 도8에서와 같이 상기 중앙센터축(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그 외주 둘레에 일정한 등간격 방사형으로 조립되고, 여러 개가 동시에 다발형으로 구성되면서도 서로 임의 유동의 최소화를 위한 밀착된 배열구조를 갖출 수 있게 전방은 좁고 후방으로 갈수록 더욱 넓어지는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헤드부>
상기 상측헤드부(300)는,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단에 구성되고, 상기 중앙센터축(100)의 상단부를 위에서 아래로 받치는 역할을 담당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본 이식기(또는 식모기)를 사용할 때,
두 손가락으로 상방향조작용손잡이(640)를 잡고 다른 한 손가락으로 상측헤드부(300)를 누르면, 반작용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방향조작용손잡이(640)가 위로 올라가게 됨으로써 심축을 움직여 모근을 밀게되는 등 본 이식기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본적으로는 상하 움직임이 필요없이 본체프레임(10)의 상단에 단순히 고정될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본체프레임(10)과 서로 미세한 움직임만 허용되는 구조로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헤드부(300)와 중앙센터축(100)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중앙센터축(100)을 위에서 아래로 일정한 탄성력을 가하여 받칠 수 있도록 헤드측 탄성스프링(310)이 결합되며, 상기 헤드측 탄성스프링(310)과 중앙센터축 머리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반구형 중심돌기(130) 사이에는 회전의 유용성을 기하기 위한 미끄럼판(320)이 구성될 수 있다.

<하부뚜껑유닛>
상기 하부뚜껑유닛(400)은,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의 저면에 위치하면서, 본체프레임(10)의 하부에 필요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턱걸림 형태로 결합되고, 특히 선택된 어느 일단에는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로부터 하방으로 인출된 하나의 식모침(230)에 대해서만 하방으로 안내하여 하부뚜껑유닛(40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토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식모침통과홀(410)이 단독으로 뚫려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은, 상기 상측헤드부(300)의 저면에 설치되고, 다수의 시침채널(200) 중 어느 하나와 이에 결합된 식모침(230)을 시침동작(두피에 식모침을 찌르는 행위)에 필요한 간격만큼 하방으로 눌러서 자동으로 내려지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상측헤드부(300) 저면의 일단에, 다수의 시침채널(200) 중 어느 하나의 상면을 탄성으로 누르는 탄성가압스프링(510)이 구성되고, 상기 탄성가압스프링(510)의 끝에는 상기 시침채널(200)의 상면에 직접 닿으면서 위 탄성가압스프링(510)의 가압력에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송시키는 가압누름부재(520)가 끼워지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발 이식기에서는 내장된 다수의 시침채널(200) 중 어느 하나와 이에 결합된 식모침(230)이 시침동작(두피에 식모침을 찌르는 행위)이 실제로 이루어지기까지 항시 내려가 있는 구조(=식모침이 하부뚜껑유닛의 아래 측으로 항시 토출된 구조)를 취하고 있게 된다.

<식모침상부이격수단>
상기 식모침상부이격수단(600)은, 상기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들의 외측 하단 및 본체프레임(10)의 외부 아래에 구성되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 하나의 시침채널(200)과 하부뚜껑유닛(400)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토출된 식모침(230)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부로 이격시키는 장치로,
상기 다수개 시침채널(200)들 각 외면의 상측에는, 시침채널(200)의 몸체(220)로부터 측방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돌출부(610)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걸림돌출부(610)의 저면과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들 외측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걸림돌출부(610)의 저면을 위로 밀어서 이미 내려와 있는 하나의 시침채널(200)을 위로 상승시키는 승강작동홀더(630)가 구성되고, 상기 승강작동홀더(630)의 조작을 위하여 상기 승강작동홀더(630)의 외주 둘레에는 본체프레임(10) 및 상방향조작용손잡이(640)의 외부까지 연결되는 하나이상의 걸림돌편(63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편(632)을 통과하는 본체프레임(100)의 외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상기 걸림돌편(632)에 걸림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주로 중지와 검지 두개로)으로 잡고 상부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원통형의 상방향조작용손잡이(640)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본체프레임(10)과 라쳇받침홀더(720)에는 상기 걸림돌편(632)이 상하로 움직일 때 필요한 절개홀(15, 72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작동홀더(630)에는 걸림돌편끼임홀(641)이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편(632)의 조립을 위해 상기 상방향조작용손잡이(640)의 하부에는 링부재(642)를 나사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힘의 지탱을 위해 엄지손가락을 상측헤드부(30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나머지 중지와 검지 두 손가락으로 상기 상방향조작용손잡이(640) 잡고 위로 끌어 올리면, 상기 상방향조작용손잡이(640)와 걸림돌편(632)에 의해 내향으로 연결된 상기 승강작동홀더(630)가 함께 승강하면서, 이미 아래로 내려와 있는 하나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을 위로 올릴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하부뚜껑유닛(400)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토출되고 두피에 찔러진 식모침(230) 또한 위로 올라가면서 정상적인 시침 후 식모침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채널순차적회전수단>
상기 채널순차적회전수단(700)은, 상기 식모침을 포함하는 다수의 시침채널(200)들을 하나씩 차례로 시침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매회 1채널씩 자동화 회전시켜 다발형 모발 이식기의 완성도를 더욱 편리하고 유효하게 맞춰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시침채널(200)의 몸체로부터 측방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돌출부(610)의 하단부에 일방향으로만 경사각을 갖는 ""형의 라쳇기어치(711)를 각각 형성하는 것과;
상기 라쳇기어치(711)들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걸림돌출부(610) 하단부와 상하로 대응하는 그 아래측의 시침채널(200)들 외곽에 구성되는 상기 승강작동홀더(630)의 상면에는, ""형의 상기 라쳇기어치(711)의 끝단부와 접촉 후 더욱 위로 밀어서 올라가는 과정에서 상기 라쳇기어치(711)가 주어진 유도각에 따라 1채널 중 일부만큼 옆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반채널 회전유도각(631a)을 갖는 "∧"형 뾰족터치부(631)가 ""형의 상기 라쳇기어치(711)들의 수와 동일한 개수로 일정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것과;
상기 반채널 회전유도각(631a)을 포함하는 "∧"형 뾰족터치부(631)가 형성된 상기 승강작동홀더(630)의 바깥쪽에는, 상기 라쳇기어치(711)의 저면 안쪽에 터치되는 "∧"형 뾰족터치부(631)와 달리 그 바깥쪽에 터치되고, 상기 라쳇기어치(711)와 서로 암수로 맞물림될 수 있게 동일한 경사각으로 절개된 ""형의 라쳇기어홈(721)이 연속 반복으로 형성되어 있는 라쳇받침홀더(720)가 구성되는 것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때, "∧"형 뾰족터치부(631)가 형성된 상기 승강작동홀더(630)는 이미 내려가 있는 시침채널(200)을 위로 끌어 올리는 등 승강작용이 필요하고, ""형의 라쳇기어홈(721)이 형성된 상기 라쳇받침홀더(720)는 밑으로 내려간 시침채널(200)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다수의 시침채널(200)을 일정한 위치에서 안전하게 안착되고 자신의 차례가 될 때까지 대기상태가 되도록 그 하부를 받쳐주는 역할을 함으로, 상기 승강작동홀더(630) 보다 높은 위치에서 라쳇기어치(711)들과 맞물려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채널순차적회전수단(600)을 위와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승강작동홀더(630)와 연결된 상기 상방향조작용손잡이(640)를 잡고 위로 끌어 올리면, 승강작동홀더(630)의 상승에 따라 이미 내려가 있는 하나의 시침채널(200)이 위로 올라오게 되는 것은 물론, 힘껏 더 올려서 상기 라쳇받침홀더(720)의 높이 보다 더욱 상승시키면,
상기 중앙센터지지축(100)을 비롯한 다수의 시침채널(200)들 및 라쳇기어치(711)들 모두가 ""형의 라쳇기어홈(721)으로부터 위로 이격되는데, 이때 "∧"형 뾰족터치부(631)의 반채널 회전유도각(631a)의 끝자락에 아슬아슬하게 걸려서 올라가던 ""형의 라쳇기어치(711)가 ""형의 라쳇기어홈(721)을 벗어나는 순간 "∧"형 뾰족터치부(631)의 반채널 회전유도각(631a)에 유도되어 약 반채널에 가까운 정도로 옆으로 일부 회전(반채널회전)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후속 이어지는 동작에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면 자동으로 옆쪽의 ""형의 라쳇기어홈(721)의 일단에 걸쳐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형의 라쳇기어치(711)는 ""형 라쳇기어홈(721)의 일방향 경사각에 한 번 더 유도되어 미끄러지면서 안착되기 때문에 앞선 일부회전(반채널회전)을 포함하여 완전한 1채널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1채널 회전동작은 사용자가 상기 상방향조작용손잡이(640)를 잡고 위로 끌어 올렸다가 놓은 매회 식모공정시마다 이루어짐으로 결국 매 1회의 식모단계마다 다른 식모침으로 순차로 바꿔가면서 연속적인 모발 식모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심축일시걸림수단>
상기 심축일시걸림수단(800)은,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과 이에 대응하는 본체프레임(10) 사이에 설치되며, 시침동작 후 두피 바깥으로 식모침(230)이 올라가는 동안 두피 속 모근이 식모침(230)에 따라 이끌려 나가지 못하게 일시적으로 그 모근을 밀어서 멈춰 세우게 하는 장치로,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의 심축탄성공간홈부(250) 내측 상단에 구성되면서 심축의 상부 끝단과 연결된 상기 심축작동레버(270)의 바깥쪽 끝단에 외부로 더 돌출된 심축레버측걸림부(810)가 형성되며, 상기 심축레버측걸림부(810)와 대응하는 본체프레임(10)의 내측 면에는, 상기 심축레버측걸림부(810)와 반대 방향의 형태를 갖는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가 구성되는 것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심축레버측걸림부(810)와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는, 상하 어느 일단은 직각으로 형성하여 명확하게 걸림이 작용하도록 하는 반면, 다른 일단에는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되어 걸림이 원만하게 회피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는 그 외측에 탄성 스프링(821)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모따기 또는 라운드 처리된 부분이 서로 접촉될 때는 탄력 밀림작용에 따라 뒤로 밀려들어가면서 걸림이 회피 되지만, 직각으로 꺾인 부분이 서로 접촉할 때는 밀림유도작용이 불가하고 곧바로 걸림 되어 멈춰 세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 및 탄성 스프링(821)은, 본체프레임(10)에 뚫린 걸림부삽입홀(825)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부조립포켓(822) 내에 내장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걸림부조립포켓(822)은 본체프레임(10)과 사이에 볼팅홀(823)을 통하여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부삽입홀(825)과 볼팅홀(823)을 길쭉한 슬롯홀로 형성하면 상기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가 고정되는 상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렇게 되면 피시술자의 피부 상태 등에 따라 심축(240)이 상하 높이까지 정교하게 조절이 가능함으로 더욱 유리하다.

<심축일시정지상태해제수단>
아울러, 상기 심축일시걸림수단(800)에 의하여 심축을 일시 정지하였다면, 일시 정지 후 이를 해제하는 장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본원에서는 상기 시침채널(200)에 형성된 걸림돌출부(610)의 외면에 심축일시정지상태해제수단(900) 또한 보조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심축일시정지상태해제수단(900)은, 시침채널(200)이 위로 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내향으로 돌출된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를 자동으로 눌러서 그 걸림이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그 하부에 위치한 시침채널(200)의 바깥쪽 측면에 걸림해제용볼록돌기(910)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걸림해제용볼록돌기(910)는 상기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와 접촉하기 위해 위로 올라갈 때, 그 중간에 위치하는 심축레버측걸림부(810)와 간섭이 있을 수 있음으로, 상기 심축레버측걸림부(810)의 폭 보다는 더 벌어지고, 상기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에는 명확하게 접촉이 가능한 소정의 간격(L)을 두고 그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식모침일시스톱퍼장치>
그리고, 상기 상측헤드부(300)의 일측과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 및 본체프레임(10)의 내외부에는,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의 동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시침채널(200)이 하강할때 식모침(230)은 하부뚜껑유닛(400)의 아래 측으로 토출되고 토출된 상태의 식모침(230)을 시침동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식모침일시스톱퍼장치(1000)을 추가로 더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식모침일시스톱퍼장치(1000)의 구성은,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에 의해 하나의 시침채널(200)이 아래로 하강될 때, 그 상태가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의 가압누름부재(520)의 일측에 걸림턱(101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프레임(10)에는,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에 의해 상기 걸림턱(1010)이 하방으로 내려갔을 때 그 걸림턱(1010)의 상부를 임의로는 올라가지 못하게 일시적으로 걸어주는 젖힘형걸림쇠(1020)를 설치하며,
상기 젖힘형걸림쇠(1020)와 상기 상측헤드부 외측의 고정지지체(1031) 사이에는,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는 것에 따라 젖힘형걸림쇠(1020)의 젖힘 동작으로 걸림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작동로드(103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젖힘형걸림쇠(1020)의 일측은 본체프레임(10)부터 고정된 힌지핀(1021)에 결합되고, 타측은 걸림턱(1010)과 상호 걸림되는 턱걸림부(1022)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 곡형안내홈(1023)이 형성되고, 곡형안내홈(1023)과 작동로드(1030)의 끝단부는 유동핀(1032)을 꽂아서 결속된다.
따라서,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에 의해, 상기 가압누름부재(520)가 최대 거리만큼 내려갔을 때는 상기 젖힘형걸림쇠(1020)가 안쪽으로 젖혀지면서, 상기 턱걸림부(1022)와 걸림턱(1010)간 상호 걸림이 작용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등에 따라 상기 젖힘형걸림쇠(1020)와 상기 상측헤드부의 고정지지체(103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곡형안내홈(1023)의 형태로 인하여 상기 젖힘형걸림쇠(1020)가 뒤로 젖혀지면서 걸림이 자동으로 해제가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측헤드부(300)가 본체프레임(10)에 결합될 때 상하 미세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상측헤드부(300)의 양단에는 약간 길쭉한 장홀(350)을 뚫고, 이에 대응하는 본체프레임(10)의 양단에는 장홀(350) 보다 작은 걸이편(11)을 형성한 후 상호 결속하면, 상호 이탈이 방지되면서도 미세한 간격 움직임이 허용되고, 이를 이용하면 상기 젖힘형걸림쇠(1020)의 자동화 해제 또한 자연스럽게 가능하게 된다.
A:모발 이식기 100:중앙센터축
110:슬라이드레일홈 200:슬라이드블럭형시침채널
230:식모침 240:심축
260:탄성스프링 300:상측헤드부
400:하부뚜껑유닛 410:식모침통과홀
500: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 600:식모침상부이격수단
700:채널순차적회전수단 800:심축일시걸림수단

Claims (11)

  1. 발모영역으로부터 채취된 모근을 식모침 끝의 내부에 끼워서 고정시킨 다음, 이를 두피에 찔러 그 두피 속에 모근만 남기고 식모침은 빠져나오게 하는 하나의 모발 이식기(A)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통형 본체프레임(10)의 내부 중심에 일정한 직경을 가지면서 수직으로 구성되고, 원호의 외주둘레에는 다수의 슬라이드레일홈(110)이 방사형으로 음각된 중앙센터축(100);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레일홈(110)에 각각 맞춤형으로 끼워지고, 중앙센터축(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레일홈(11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드 유동이 가능하며, 하부에는 모근이 끼워진 후 두피에 찔러지는 식모침(230)이 구성되고, 내부에는 두피로부터 식모침(230)이 빠져나오는 동안 모근을 밀어주는 심축(240)이 구성되며, 그 사이에는 식모침(230)과 심축(240)간 시차적 동작관계를 보조하는 탄성스프링(260)이 구성되고, 이들의 조합으로 세트화된 다수개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
    상기 본체프레임(10)의 상단에 구성되고, 상기 중앙센터축(100)의 상단부를 위에서 아래로 받치는 역할을 하는 상측헤드부(300);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 하부의 본체프레임(10)에 결합되고, 선택된 하나의 식모침(230)이 하방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나의 식모침통과홀(410)이 형성된 하부뚜껑유닛(400);
    상기 상측헤드부(300)의 저면에 설치되고, 다수의 시침채널(200) 중 어느 하나와 이에 결합된 식모침(230)을 시침동작에 필요한 간격만큼 하방으로 눌러서 내리는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
    상기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들의 외측 하단 및 본체프레임(10)의 외부 아래에 구성되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 하나의 시침채널(200)과 하부뚜껑유닛(400)으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토출된 식모침(230)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부로 이격시키는 식모침상부이격수단(600);
    상기 식모침상부이격수단(600)과 각 시침채널(200) 및 그 외곽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식모침을 포함하는 다수의 시침채널(200)들을 하나씩 차례로 시침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시침채널(200)들 전부를 매회 1채널씩 회전시키는 채널순차적회전수단(700);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과 이에 대응하는 본체프레임(10) 칸에 설치되며, 시침동작 후 두피 바깥으로 식모침(230)이 올라가는 동안 심축에 의해 모근을 일시적으로 멈춰 세우는 심축일시걸림수단(80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이식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은,
    상기 상측헤드부(300) 저면의 일단에, 다수의 시침채널(200) 중 어느 하나의 상면을 탄성으로 누르는 탄성가압스프링(510)이 구성되고, 상기 탄성가압스프링(510)의 끝에는 상기 시침채널(200)의 상면에 직접 닿으면서 위 탄성가압스프링(510)의 가압력에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송시키는 가압누름부재(52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이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침상부이격수단(600)은,
    상기 다수개 시침채널(200)들 각 외면의 상측에는, 시침채널(200)의 몸체(220)로부터 측방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돌출부(610)를 형성시키는 한편,
    상기 걸림돌출부(610)의 저면과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블럭형시침채널(200)들 외측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상기 걸림돌출부(610)의 저면을 위로 밀어서 이미 내려와 있는 하나의 시침채널(200)을 위로 상승시키는 승강작동홀더(630)가 구성되고,
    상기 승강작동홀더(630)의 조작을 위하여 상기 승강작동홀더(630)의 외주 둘레에는 본체 프레임(10)의 외부까지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하나이상의 걸림돌편(63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편(632)을 통과하는 본체 프레임(100)의 외측에는 외부로 돌출된 상기 걸림돌편(632)에 걸림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상부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원통형의 상방향조작용손잡이(64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이식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순차적회전수단(700)은,
    상기 시침채널(200)의 몸체로부터 측방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된 걸림돌출부(610)의 하단부에 일방향으로만 경사각을 갖는 ""형의 라쳇기어치(711)를 각각 형성하는 것과;
    상기 라쳇기어치(711)들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걸림돌출부(610) 하단부와 상하로 대응하는 그 아래측의 시침채널(200)들 외곽에 구성되는 승강작동홀더(630)의 상면에는, ""형의 상기 라쳇기어치(711)의 끝단부와 접촉 후 더욱 위로 밀고, 이 과정에서 상기 라쳇기어치(711)가 주어진 유도각에 따라 1채널 중 일부만큼 옆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반채널 회전유도각(631a)을 갖는 "∧"형 뾰족터치부(631)가 ""형의 상기 라쳇기어치(711)들의 수와 동일한 개수로 일정 등간격 연속으로 형성시킨 것과;
    상기 반채널 회전유도각(631a)을 포함하는 "∧"형 뾰족터치부(631)가 형성된 상기 승강작동홀더(630)의 바깥쪽에는, 상기 라쳇기어치(711)의 저면 안쪽에 터치되는 "∧"형 뾰족터치부(631)와 달리 그 바깥쪽에 터치되고, 상기 라쳇기어치(711)와 서로 암수로 맞물림될 수 있게 동일한 경사각으로 절개된 ""형의 라쳇기어홈(721)이 연속 반복으로 형성되어 있는 라쳇받침홀더(720)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이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축일시걸림수단(800)은,
    다수의 슬라이드블럭형 시침채널(200)의 심축탄성공간홈부(250) 내측 상단에 구성되면서 심축의 상부 끝단과 연결된 심축작동레버(270)의 바깥쪽 끝단에 외부로 더 돌출된 심축레버측걸림부(810)가 형성되며, 상기 심축레버측걸림부(810)와 대응하는 본체프레임(10)의 내측 면에는, 상기 심축레버측걸림부(810)와 반대 방향의 형태를 갖는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이식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침채널(200)에 형성된 걸림돌출부(610)의 외면에는 심축일시정지상태해제수단(900)이 더 설치하되,
    상기 심축일시정지상태해제수단(900)은,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와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그 하부에 위치한 시침채널(200)의 바깥쪽 측면에 걸림해제용볼록돌기(910)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이식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용볼록돌기(910)는,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와 접촉하기 위해 위로 올라갈 때, 그 중간에 위치하는 심축레버측걸림부(810)와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심축레버측걸림부(810)의 폭 보다 더 벌어지고, 상기 프레임측 탄력걸림부(820)의 폭 보다는 작은 간격으로 벌어진 상태로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하나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이식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헤드부(300)의 일측과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 및 본체프레임(10)의 내외부에는,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의 동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시침채널(200)이 하강하고 하부뚜껑유닛(400)의 아래 측으로 식모침(230)을 토출된 상태를 시침동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식모침일시스톱퍼장치(1000)을 추가로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이식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침일시스톱퍼장치(1000)는,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에 의해 하나의 시침채널(200)이 아래로 하강될 때, 그 상태가 일시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의 가압누름부재(520)의 일측에 걸림턱(101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프레임(10)에는, 상기 식모침자동화토출수단(500)에 의해 상기 걸림턱(1010)이 하방으로 내려갔을 때 그 걸림턱(1010)의 상부를 임의로는 올라가지 못하게 일시적으로 걸어주는 젖힘형걸림쇠(1020)를 설치하며,
    상기 젖힘형걸림쇠(1020)와 상기 상측헤드부 외측의 고정지지체(1031) 사이에는, 상호 간격이 좁혀지거나 멀어지는 것에 따라 젖힘형걸림쇠(1020)의 젖힘 동작으로 걸림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작동로드(103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이식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젖힘형걸림쇠(1020)는,
    그 일측이 본체프레임(10)부터 고정된 힌지핀(2021)에 결합되고, 타측은 걸림턱(1010)과 상호 걸림 되는 턱걸림부(1022)가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일정한 곡률로 휘어진 곡형안내홈(2023)이 형성되고, 곡형안내홈(1023)과 작동로드(1030)의 끝단 부는 유동핀(1031)을 꽂아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이식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헤드부(300)의 양단에는 길쭉한 장홀(350)을 뚫고, 이에 대응하는 본체프레임(10)의 양단에는 상기 장홀(350) 보다 작은 걸이편(11)을 형성한 후 상호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발형 모발 식모기.
KR1020180007656A 2018-01-22 2018-01-22 다발형 모발 이식기 KR101891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656A KR101891643B1 (ko) 2018-01-22 2018-01-22 다발형 모발 이식기
PCT/KR2018/002069 WO2019142969A1 (ko) 2018-01-22 2018-02-20 다발형 모발 이식기
US16/188,902 US11071567B2 (en) 2018-01-22 2018-11-13 Hair transplanter having a plurality of needle channels arranged in radial pattern
EP18205912.1A EP3513750B1 (en) 2018-01-22 2018-11-13 Hair transplanter having a plurality of needle channels arranged in radial pattern
CN201811406049.1A CN110063757B (zh) 2018-01-22 2018-11-23 由多个设置为放射状的针通道构成的毛发移植器
JP2018220560A JP6660995B2 (ja) 2018-01-22 2018-11-26 放射状に配置された複数の針チャネルを有する毛髪移植機
RU2018141767A RU2708843C1 (ru) 2018-01-22 2018-11-27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лантации волос, имеющее набор игольных каналов, образующих радиальную структуру
AU2018271269A AU2018271269B2 (en) 2018-01-22 2018-11-27 Hair transplanter having a plurality of needle channels arranged in radial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656A KR101891643B1 (ko) 2018-01-22 2018-01-22 다발형 모발 이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1643B1 true KR101891643B1 (ko) 2018-08-27

Family

ID=6345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656A KR101891643B1 (ko) 2018-01-22 2018-01-22 다발형 모발 이식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071567B2 (ko)
EP (1) EP3513750B1 (ko)
JP (1) JP6660995B2 (ko)
KR (1) KR101891643B1 (ko)
CN (1) CN110063757B (ko)
AU (1) AU2018271269B2 (ko)
RU (1) RU2708843C1 (ko)
WO (1) WO2019142969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666A (ko) * 2018-01-24 2019-05-08 오대금속 주식회사 모발 이식기에 사용가능한 시침 채널 및 이를 포함한 시침채널 번들
CN110200682A (zh) * 2019-06-28 2019-09-06 李翠 一种肿瘤内科药物介入治疗装置
CN113017720A (zh) * 2021-03-15 2021-06-25 黄思琴 放血理疗仪
US11071567B2 (en) 2018-01-22 2021-07-27 Oh Dae Metal Co., Ltd. Hair transplanter having a plurality of needle channels arranged in radial pattern
KR20220058116A (ko)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오대 심축 이송부를 구비한 식모기
KR20220058123A (ko)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오대 심축 지연 후퇴 구조를 구비한 식모기
WO2023101125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오대 조립 용이성이 향상된 멀티채널 식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98A (ko) * 2018-07-02 2020-01-10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CN111616778B (zh) * 2020-06-03 2024-04-26 连云港市东方医院 一种肾内科用穿刺针固定装置
AU2021378811A1 (en) * 2020-11-13 2023-06-22 Medline Industries, Lp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needle or group of needles within a skin grafting system
CN114587521B (zh) * 2022-02-25 2023-09-05 磅客策(上海)智能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多针植发设备及其换针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0189A (en) * 1995-02-28 2000-08-29 Markman; Barry S. Device and method for implanting hair grafts
KR200368968Y1 (ko) 2004-08-25 2004-12-03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다채널 모발이식용 식모기
WO2009045255A1 (en) * 2007-09-29 2009-04-09 Restoration Robo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storing, and implanting hair grafts
KR200479077Y1 (ko) 2015-07-29 2015-12-16 한철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160142683A (ko)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오성전자 자동 식모 장치
KR20170110357A (ko) * 2016-03-23 2017-10-11 박재현 식모기
KR20180001374A (ko) * 2016-06-27 2018-01-04 주식회사 덴티스 다채널 모발 이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941494L (no) * 1994-04-25 1995-10-26 Olav L Aasberg Apparat for innpoding av hårrötter, samt anordning for anbringelse av hårrötter på samleblånd til bruk i apparatet
US5611811A (en) * 1994-04-29 1997-03-18 Star-Wood, Inc. Micro and mini hair transplant device
JPH10151134A (ja) * 1996-09-26 1998-06-09 Iken Kogyo:Kk 植毛器具
CN2367257Y (zh) * 1999-02-13 2000-03-08 麦兴汉 毛发种植器
JP3620020B2 (ja) * 2000-12-13 2005-02-16 峻 平山 連続植毛機
WO2002096321A1 (en) * 2001-05-28 2002-12-05 Hb Medicals Corporation Hair transplant device
KR100512694B1 (ko) * 2001-11-17 2005-09-08 (주)에이치비메디컬스 모발이식 장치
CN2657589Y (zh) * 2003-11-22 2004-11-24 关志广 笔式植毛器
US8152827B2 (en) 2008-01-11 2012-04-10 Restoration Robo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storing, and implanting hair grafts
EP2355720A4 (en) * 2008-11-14 2015-11-11 Cole Isolation Tech Llc FOLLICULAR DISS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US9693799B2 (en) 2009-09-17 2017-07-04 Pilofocu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hair follicle
KR101722029B1 (ko) * 2014-08-14 2017-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모낭 공급 기능을 갖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CN203988164U (zh) * 2014-08-18 2014-12-10 代庆成 一种皮肤组织开孔及毛囊组织提取器
KR102527391B1 (ko) 2015-07-22 2023-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
KR101862388B1 (ko) * 2016-06-27 2018-05-29 주식회사 덴티스 모발 이식 장치의 니들 유닛
KR101891643B1 (ko) 2018-01-22 2018-08-27 오대금속 주식회사 다발형 모발 이식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0189A (en) * 1995-02-28 2000-08-29 Markman; Barry S. Device and method for implanting hair grafts
KR200368968Y1 (ko) 2004-08-25 2004-12-03 사회복지법인삼성생명공익재단(삼성서울병원) 다채널 모발이식용 식모기
WO2009045255A1 (en) * 2007-09-29 2009-04-09 Restoration Robo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storing, and implanting hair grafts
US20180132892A1 (en) * 2007-09-29 2018-05-17 Restoration Robotic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storing and implanting hair grafts
KR20160142683A (ko)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오성전자 자동 식모 장치
KR200479077Y1 (ko) 2015-07-29 2015-12-16 한철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170110357A (ko) * 2016-03-23 2017-10-11 박재현 식모기
KR20180001374A (ko) * 2016-06-27 2018-01-04 주식회사 덴티스 다채널 모발 이식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1567B2 (en) 2018-01-22 2021-07-27 Oh Dae Metal Co., Ltd. Hair transplanter having a plurality of needle channels arranged in radial pattern
KR20190047666A (ko) * 2018-01-24 2019-05-08 오대금속 주식회사 모발 이식기에 사용가능한 시침 채널 및 이를 포함한 시침채널 번들
KR20190047649A (ko) * 2018-01-24 2019-05-08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KR102048492B1 (ko) * 2018-01-24 2019-11-26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KR102048493B1 (ko) 2018-01-24 2020-01-22 오대금속 주식회사 모발 이식기에 사용가능한 시침 채널 및 이를 포함한 시침채널 번들
CN110200682A (zh) * 2019-06-28 2019-09-06 李翠 一种肿瘤内科药物介入治疗装置
KR20220058116A (ko)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오대 심축 이송부를 구비한 식모기
KR20220058123A (ko)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오대 심축 지연 후퇴 구조를 구비한 식모기
KR102540230B1 (ko) 2020-10-30 2023-06-07 주식회사 오대 심축 이송부를 구비한 식모기
CN113017720A (zh) * 2021-03-15 2021-06-25 黄思琴 放血理疗仪
CN113017720B (zh) * 2021-03-15 2022-11-11 黄思琴 放血理疗仪
WO2023101125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오대 조립 용이성이 향상된 멀티채널 식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60995B2 (ja) 2020-03-11
EP3513750B1 (en) 2020-09-09
US20190223908A1 (en) 2019-07-25
EP3513750A1 (en) 2019-07-24
CN110063757A (zh) 2019-07-30
AU2018271269B2 (en) 2020-03-05
AU2018271269A1 (en) 2019-08-08
RU2708843C1 (ru) 2019-12-11
WO2019142969A1 (ko) 2019-07-25
CN110063757B (zh) 2022-01-14
JP2019126715A (ja) 2019-08-01
US11071567B2 (en)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643B1 (ko) 다발형 모발 이식기
KR20190047649A (ko)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KR101722029B1 (ko) 자동 모낭 공급 기능을 갖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101241687B1 (ko) 임플란트 삽입용 어플리케이터
US5702369A (en) Extendable device for enclosing cutting surfaces of surgical instruments
EP2389117B1 (en) Skin tensioner for hair transplantation
US20130283623A1 (en) Rotary cutting head using wire-shaped flexible cutting elements, and cutting devices comprising such a cutting head
US20070078468A1 (en) Tool and method for implanting an annuloplasty prosthesis
US20160089204A1 (en) Medical device management unit
US20170020564A1 (en) Manual follicle-transplanting hair transplanter for increasing graft survival rate
KR101208479B1 (ko) 채혈기
JP2012105978A (ja) 固形物を注入するための装置
KR20170131881A (ko) 모낭이탈 방지 및 위치확인용 기능성 식모기
CN213249343U (zh) 一种带有裂隙输送毛囊的全自动毛囊种植针器械
KR20100085571A (ko) 마이크로 니들 롤러
US10722259B2 (en) Implant remover
KR20160142691A (ko) 자동 식모 장치
US10271918B2 (en) Medical device management unit
KR200277068Y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030064132A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JPH04152944A (ja) 植毛器
CN215961127U (zh) 埋线针
CN209996380U (zh) 面部提升手术用引导器
US3993077A (en)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the practice of acupuncture
US20170355951A1 (en) Mosquito Salivary Gland Extrac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