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683A - 자동 식모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식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683A
KR20160142683A KR1020150078729A KR20150078729A KR20160142683A KR 20160142683 A KR20160142683 A KR 20160142683A KR 1020150078729 A KR1020150078729 A KR 1020150078729A KR 20150078729 A KR20150078729 A KR 20150078729A KR 20160142683 A KR20160142683 A KR 20160142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push rod
needle
needles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062B1 (ko
Inventor
최운하
강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to KR1020150078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0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 식모 장치는, 원통형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식모 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니들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바늘 구동부와, 상기 카트리지 내의 니들들을 순차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쉬봉과, 상기 푸쉬봉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푸쉬봉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식모 장치{Automatic impla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모발을 이식하는 식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이식용 식모장치는 질병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하여 두피의 모발이 손실된 경우에 그 손실된 부위에 모발을 이식하는데 이용되는 장치이다.
모발이식용 식모장치가 이용하는 모발이식술 중에 대표적인 단일모 식모술은, 모근을 한 개씩 분리하여 식모침에 의해 이식하므로 출혈과 흉터가 전혀 없고, 모발의 방향, 각도 및 밀도 등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서 수술 후의 모발 모양이 자연스럽게 유지되므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상기 단일모 식모술에서 사용되는 식모장치는 식모 수술시 머리카락과 연결된 뿌리 부분인 모근을 식모장치의 식모침 내부 전면에 위치시킨 다음 두피 내로 식모침을 삽입하여, 식모침이 구멍을 형성하면서 모근이 식모침을 따라 두피 내에 안착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때 두피 내의 피부조직 속에 모근을 밀어 넣기 위해서 식모침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심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되는 식모침 및 심축의 동작을 위해서 의료인은 이하의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첫째, 식모침을 환자의 두피로 찔러넣기 위하여 식모장치의 본체를 두피에 대하여 눌러야 한다. 둘째, 심축으로 모근을 지지한 상태에서 식모침을 환자의 두피에서 빼내기 위하여 손잡이를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되는 작업은 의료행위를 해야 하는 의사에게 많은 불편을 야기한다. 아울러 상기 식모장치는 한 번 의료 시에 수천 개의 모근을 심어야 하기 때문에 더욱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에 기인하여 근골격계 질환을 호소하는 의료인도 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 식모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동의 식모기(10)는 식모기 니들(12)에 모낭을 하나씩 장착한 후, 이 장착된 식모기(10)를 이용하여 의사가 모발 이식 시술을 진행한다. 의사가 식모기(10)의 버튼을 가압하면, 이동봉(11)이 니들(12) 내의 모낭을 배출시킴으로써, 두피 내에 삽입되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수동 식모기의 경우, 1명 환자에 대한 1회 시술은 약 2,000 모낭을 시술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 및 의사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시술 시간도 3~4시간 정도 소요되고 있다. 이처럼, 수동 식모기를 이용하여 모낭을 이식하는 것은 시술 시간이나 환자의 비용적인 면에서 많이 불편한 것이 현실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동/반자동으로 모낭을 이식할 수 있는 장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니들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모낭 이식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식모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원통형 카트리지에 장착된 니들 중 사용된 니들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모낭 이식 후 차순위의 니들에 포함된 모낭 이식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모발 이식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자동 식모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식모 장치는, 원통형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식모 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니들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바늘 구동부와, 상기 카트리지 내의 니들들을 순차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쉬봉과, 상기 푸쉬봉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푸쉬봉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의 자동 식모 장치는, 원통형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식모 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카트리지에는 이식 대상의 모낭을 갖는 모낭관들이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모낭관들을 순차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쉬봉과, 상기 푸쉬봉에 의하여 가압된 모낭이 이동되고, 모낭 이식시 고정된 위치를 갖는 니들과, 상기 푸쉬봉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푸쉬봉 구동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서, 원통형 모낭 카트리지의 구동방식이 연속적으로 모낭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가 달성될 수 있으며, 모낭 자동 공급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모낭이 하나씩 장착되는 기존 구조에 비하여 모낭 이식 시간을 비약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수동 식모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모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모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카트리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모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자동 식모 장치(100)는 모낭을 배출하는 방법에 따라서 분류될 수 있는 바늘 이동형 식모 장치이다. 즉, 복수 개의 니들과 모낭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내의 니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카트리지 외부로 이동 후 복귀하는 구조이다.
상세히, 제 1 실시예의 자동 식모 장치는(100)는, 복수개의 니들과 모낭이 포함된 원통형의 카트리지(200)와, 상기 카트리지(2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개방된 전면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200) 내의 니들(210)이 푸쉬봉(121)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니들(210)의 이동을 돕는 바늘 구동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바늘 구동부(110)는 모터 등의 동력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카트리지(200)를 향하여 배치된 니들 이동부(112)가 상하 또는 좌우측으로 이동가능함으로써, 카트리지(200) 내에 장착된 니들(2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실시예의 자동 식모 장치(100)는 본체 내부에 카트리지(200) 내의 니들(210)을 이동시키기 위한 푸쉬봉(121)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봉(121)을 좌우측(도 2 내에서의 방향)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푸쉬봉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푸쉬봉 구동부(120)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 수단(150)이 본체 내에 마련된다.
카트리지(200) 내에 존재하는 니들(210)은 바늘 구동부(110) 및 니들 이동부(112)에 의하여 푸쉬봉(121) 전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푸쉬봉 구동부(120)에 의하여 이동되는 푸쉬봉(121)은 니들(210) 내부로 전진하게 되고, 니들(210) 내에 장착된 모낭(201) 역시 푸쉬봉(121)에 의하여 가압되어 두피에 삽입된다.
니들(210)이 두피측에 접촉하고, 니들(210) 내의 모낭(201)이 두피에 삽입되면, 니들(210)은 후진을 시작하는데, 상기 니들(210)의 후진 동안에는 푸쉬봉(121)은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즉, 두피에 모낭(201) 삽입후, 니들(210)만 후진을 개시하고, 푸쉬봉(121)은 그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니들(210)이 카트리지(200)내의 최초 위치까지 후진한 다음, 상기 푸쉬봉(121)의 후진이 개시된다. 이러한 푸쉬봉(121)의 이동 및 위치 제어는 상기 푸쉬봉 구동부(120)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식에 사용된 니들은 카트리지(200) 내로 이동한 다음, 차순위의 니들이 푸쉬봉(121) 전면에 다시 장착된다.
도 3은 본 발명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식모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자동 식모 장치(100)는 모낭을 배출하는 방법에 따라서 분류될 수 있는 바늘 고정형 식모 장치이다. 즉, 자동 식모 장치(100)의 전면부에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카트리지(200)에는 복수개의 모낭관(202)과, 상기 모낭관(202) 내에 수용된 모낭(201)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 식모 장치(100)의 전면부에는 상기 모낭관(202) 내에 수용된 모낭(201)을 두피에 삽입되도록 하는 니들(210)이 고정되어 있다. 모낭이 장착된 다수의 모낭관(202)이 니들(210)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방식이다.
상기 카트리지(200) 내의 다수의 모낭관들은 모터 등의 구동부 동작에 의하여 니들(210)과 푸쉬봉(121)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카트리지(200)는 복수개의 모낭관(202)들이 임의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배치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의 자동 식모 장치는(100)는, 복수개의 니들과 모낭이 포함된 원통형의 카트리지(200)와, 상기 카트리지(20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개방된 전면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카트리지(200) 내의 모낭관(202)들이 푸쉬봉(121)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늘 구동부(110)는 모터 등의 동력 수단을 이용하여 식모 장치의 전면부에 고정된 니들(210)을 교체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상기 니들(210)의 좌우 방향 이동없이 위치가 고정되지만, 상기 니들(21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 바늘 구동부(110)에 장착되는 신규 니들이 상기 니들(210)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의 자동 식모 장치(100)는 본체 내부에 카트리지(200) 내의 니들(210)을 이동시키기 위한 푸쉬봉(121)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봉(121)을 좌우측(도 3 내에서의 방향)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푸쉬봉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푸쉬봉 구동부(120)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 수단(150)이 본체 내에 마련된다.
푸쉬봉 구동부(120)에 의하여 이동되는 푸쉬봉(121)은 카트리지(200) 내의 모낭관(202) 내부로 전진하게 되고, 모낭관(202) 내의 모낭(201)이 니들(210)로 이동됨으로써, 두피에 모낭(201)이 삽입된다.
니들(210)이 두피측에 접촉하고, 니들(210)로 이동된 모낭(201)이 두피에 삽입되면, 이동되었던 모낭관(202)은 후진을 시작하는데, 상기 모낭관(202)의 후진 이동중에는 푸쉬봉(121)이 그 위치를 유지한다. 즉, 두피에 모낭(201) 삽입후, 모낭관(202)만 후진을 개시하고, 푸쉬봉(121)은 그 위치를 유지한다.
상기 모낭관(202)이 카트리지(200)내의 최초 위치까지 후진한 다음, 상기 푸쉬봉(121)의 후진이 개시된다. 이러한 푸쉬봉(121)의 이동 및 위치 제어는 상기 푸쉬봉 구동부(120)에 의하여 수행된다.
이식에 사용된 모낭관(202)이 카트리지(200) 내로 이동이 완료된 다음에는, 차순위의 모낭관이 푸쉬봉(121) 전면에 다시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위하여, 상기 식모 장치 내에는 카트리지를 소정 각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된 니들 또는 모낭관을 회수하기 위한 공간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카트리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통형의 카트리지(200)는 모낭이 장착된 복수개의 니들(210)이 소정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치됨으로써 원통형을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니들들(210)을 감싸는 하우징(220)과, 하우징(220) 내의 니들(210)이 사용된 다음에는 하강하여 회수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홀(240)이 구성된다.
그리고, 모낭의 모피 이식 후, 상기 카트리지(200) 내로 복귀한 니들 또는 모낭관을 회수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200)측으로 상승하거나, 반대로 하강이 가능한 회수 수단(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Claims (3)

  1. 원통형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식모 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카트리지 내에 수용된 니들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바늘 구동부와,
    상기 카트리지 내의 니들들을 순차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쉬봉과,
    상기 푸쉬봉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푸쉬봉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 식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니들들이 소정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열되고, 상기 니들들을 감싸는 하우징과, 상기 니들들이 순차적으로 상기 푸쉬봉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니들을 배출하는 이동홀을 포함하는 자동 식모 장치.
  3. 원통형 카트리지 장착이 가능한 식모 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부와,
    상기 카트리지에는 이식 대상의 모낭을 갖는 모낭관들이 복수개 배열되고, 상기 모낭관들을 순차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쉬봉과,
    상기 푸쉬봉에 의하여 가압된 모낭이 이동되고, 모낭 이식시 고정된 위치를 갖는 니들과,
    상기 푸쉬봉이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푸쉬봉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 식모 장치.
KR1020150078729A 2015-06-03 2015-06-03 자동 식모 장치 KR102382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29A KR102382062B1 (ko) 2015-06-03 2015-06-03 자동 식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29A KR102382062B1 (ko) 2015-06-03 2015-06-03 자동 식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83A true KR20160142683A (ko) 2016-12-13
KR102382062B1 KR102382062B1 (ko) 2022-04-01

Family

ID=5757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729A KR102382062B1 (ko) 2015-06-03 2015-06-03 자동 식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06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319A (ko) 2017-01-10 2018-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
KR20180082313A (ko) 2017-01-10 2018-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식모 장치
KR101891643B1 (ko) * 2018-01-22 2018-08-27 오대금속 주식회사 다발형 모발 이식기
CN108498124A (zh) * 2018-05-28 2018-09-07 陈红 一种毛发移植器
KR20190047649A (ko) * 2018-01-24 2019-05-08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WO2020009329A1 (ko) * 2018-07-02 2020-01-09 오대금속 주식회사 모발 이식기에 사용가능한 시침 채널 및 이를 포함한 시침채널 번들
KR20200058266A (ko) * 2018-11-19 202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모발이식 장치
CN115040173A (zh) * 2022-07-12 2022-09-13 北京碧莲盛不剃发植发医疗美容门诊部有限责任公司 一种可进行不剃发植发的快速移植取发器
WO2023101125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오대 조립 용이성이 향상된 멀티채널 식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283A (ja) * 2000-12-13 2002-06-25 Takashi Hirayama 連続植毛機
KR20120098780A (ko) * 2009-11-27 2012-09-05 헤어스테틱스 엘티디. 모발이식 앵커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과 방법
KR101271457B1 (ko) * 2011-11-25 2013-06-05 김문규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283A (ja) * 2000-12-13 2002-06-25 Takashi Hirayama 連続植毛機
KR20120098780A (ko) * 2009-11-27 2012-09-05 헤어스테틱스 엘티디. 모발이식 앵커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과 방법
KR101271457B1 (ko) * 2011-11-25 2013-06-05 김문규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313A (ko) 2017-01-10 2018-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식모 장치
KR20180082319A (ko) 2017-01-10 2018-07-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
WO2019142969A1 (ko) * 2018-01-22 2019-07-25 오대금속 주식회사 다발형 모발 이식기
KR101891643B1 (ko) * 2018-01-22 2018-08-27 오대금속 주식회사 다발형 모발 이식기
KR20190047649A (ko) * 2018-01-24 2019-05-08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KR20190047666A (ko) 2018-01-24 2019-05-08 오대금속 주식회사 모발 이식기에 사용가능한 시침 채널 및 이를 포함한 시침채널 번들
CN108498124A (zh) * 2018-05-28 2018-09-07 陈红 一种毛发移植器
WO2020009329A1 (ko) * 2018-07-02 2020-01-09 오대금속 주식회사 모발 이식기에 사용가능한 시침 채널 및 이를 포함한 시침채널 번들
WO2020009328A1 (ko) * 2018-07-02 2020-01-09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US11864796B2 (en) 2018-07-02 2024-01-09 Ohdae Corporation Needle channel used for hair transplanter and needle channel bundle having the needle channels
KR20200058266A (ko) * 2018-11-19 202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모발이식 장치
WO2023101125A1 (ko) * 2021-12-02 2023-06-08 주식회사 오대 조립 용이성이 향상된 멀티채널 식모기
CN115040173A (zh) * 2022-07-12 2022-09-13 北京碧莲盛不剃发植发医疗美容门诊部有限责任公司 一种可进行不剃发植发的快速移植取发器
CN115040173B (zh) * 2022-07-12 2022-12-02 北京碧莲盛不剃发植发医疗美容门诊部有限责任公司 一种可进行不剃发植发的快速移植取发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062B1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2683A (ko) 자동 식모 장치
JP3035668B2 (ja) 毛根を皮膚に機械移植するシステム
US9259236B1 (en) Hair harvesting device and method with localized subsurface dermal fluid insertion
KR101722029B1 (ko) 자동 모낭 공급 기능을 갖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JP2003153906A (ja) 毛髪移植装置
KR20160142691A (ko) 자동 식모 장치
US10925641B2 (en) Instruments,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hair transplantation
WO2018076721A1 (zh) 一种毛囊提取和种植一体化器械
JP2023179617A (ja) ピクセルアレイ医療システム、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20170012699A (ko) 생착률 향상을 위한 수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
KR101271457B1 (ko)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WO2014136119A1 (en) Implantating device
KR20170012697A (ko) 자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
KR101018340B1 (ko) 의료용 자동 트위스트 천공기 시스템
KR100320880B1 (ko) 모발 이식장치
WO2022105781A1 (zh) 一种不损伤毛囊的毛发移植方法及毛发移植系统
KR102658036B1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CN110013326A (zh) 一种神经外科临床用脑部手术辅助设备
KR200489429Y1 (ko) 모낭 채취장치
KR20200048861A (ko) 식모 장치
WO2019030655A1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IMPLANTING HAIR WITH MANUAL ROTARY MECHANISM
KR102226088B1 (ko) 식모 장치
KR102564841B1 (ko) 자동 모발이식 장치
KR20230031507A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