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457B1 -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457B1
KR101271457B1 KR1020110124413A KR20110124413A KR101271457B1 KR 101271457 B1 KR101271457 B1 KR 101271457B1 KR 1020110124413 A KR1020110124413 A KR 1020110124413A KR 20110124413 A KR20110124413 A KR 20110124413A KR 101271457 B1 KR101271457 B1 KR 101271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er
motor
mandrel
hand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418A (ko
Inventor
김정철
김문규
최운하
강보성
신정훈
Original Assignee
김문규
주식회사 오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규, 주식회사 오성전자 filed Critical 김문규
Priority to KR1020110124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4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된 모터와, 식모기를 케이스 내부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식모기로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여 식모침을 출몰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특정 부위에 찔러주는 식모침을 자동으로 출몰시키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기존의 식모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시술자가 반복적으로 눌러주는 작업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시술자의 신체적 불편함을 덜어줄 뿐 아니라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나아가 특정 위치에 정확한 깊이로 모근을 이식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의 신뢰도 또는 숙련도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발 이식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Hair transplanter's auto driving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separating type}
본 발명은 식모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식모침을 일정 길이로 출몰하도록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이식 시술은 모발의 채취에서부터 식모를 위한 모발의 가공과 정열 작업 및 모발을 두피에 심어주는 식모 작업에 이르기까지 모든 작업을 전문의의 손을 거치는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보통, 식모 시술은 대부분 식모기를 사용한 수작업으로 이뤄지며, 식모기를 이용하는 모발 이식술 중 단일모 식모술이 많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식모기를 이용한 단일모 식모술은 머리카락과 연결된 뿌리 부분인 모근을 식모기의 식모침 내부 전면에 위치시킨 다음, 두피 내에 식모침을 삽입하면, 식모침이 구멍을 형성하고, 심축이 모근을 식모침을 따라 두피 내의 피부 조직 속에 밀어 넣으면, 모근이 두피 내에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식모기는 실용신안등록 제0321980호, 특허등록 제0958727호에 언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식모기는 식모침, 식모침 이동부재, 심축, 심축 압착부재, 스프링, 몸체, 식모침 길이조절부재, 손잡이, 누름조작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모근이 안착된 식모침을 두피에 위치시킨 다음, 손잡이를 잡고 눌러주면, 식모침이 특정 부위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런 상태에서 누름조작부를 눌러주면, 식모침이 몸체 내부로 후퇴하면서 식모침이 두피로부터 빠져나오는 동시에 움직이지 않는 심축이 식모침 내부의 모근을 특정 부위의 조직 속으로 밀어 넣어 안착시키고, 이후에 몸체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퇴함에 따라 다시 식모침은 몸체로부터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식모기를 사용하여 시술하면, 시술자가 직접 식모침을 찌르고, 식모침을 출몰시키기 위하여 누름조작부를 누르는 과정을 반복하기 때문에 상당히 긴 시술 시간을 필요로 하고, 이로 인하여 시술을 받는 환자뿐 아니라 시술자게도 상당한 인내를 요할 뿐 아니라 손목과 어깨의 힘으로 시술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시술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시술이 반복될수록 시술자의 숙련도 및 오랜 시술 시간에 따라 식모 깊이가 균일하게 유지되기 어렵고, 그로 인하여 시술의 성공률 및 만족도를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식모기가 탈착될 수 있는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모기 장착시 식모침을 출몰하도록 자동 구동시키는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추형 캡이 전방에 구비된 중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뾰족하게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근이 안착되는 장방형 홀이 구비된 원통형의 식모침과, 상기 식모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식모침으로부터 모근을 밀어내는 심축과, 상기 식모침과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식모침과 일체로 이동하는 손잡이와, 상기 심축이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식모침과 출몰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식모침이 출몰하도록 압력이 가해지는 누름 조작부를 포함하는 식모기; 상기 손잡이와 누름 조작부가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캡과 상기 식모침이 전방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식모침의 출몰 방향으로 회전축이 구비된 모터;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도록 상기 손잡이와 누름 조작부 및 모터의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식모침을 출몰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식모기는, 상기 누름 조작부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잠금용 홈이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이 전방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에서 출몰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주면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누름 조작부의 잠금용 홈에 탈착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잠금용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장착부 전방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키도록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버튼과, 상기 잠금용 돌기가 상기 잠금용 홈으로부터 탈거되도록 하는 잠금해제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소정시간 미만으로 회전하면, 상기 식모기 전체가 전방으로 소정길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식모침과 심축 및 몸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길이 전진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소정시간만큼 회전하면, 상기 잠금용 돌기들이 상기 잠금용 홈에 걸림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소정시간 미만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용 돌기들이 상기 잠금용 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가 후방으로 소정길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식모침이 초기 위치로 소정길이 후퇴하고, 상기 심축 및 몸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길이 전진한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소정시간만큼 회전하면, 상기 잠금용 돌기들이 상기 잠금용 홈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누름 조작부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후방으로 후퇴함에 따라 상기 심축 및 몸체가 초기 위치로 후퇴하고, 상기 식모침이 초기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는 식모기를 케이스 내부의 장착부에 끼우면, 잠금용 돌기가 식모기의 후단과 걸림되고, 고정용 캡을 케이스 내부의 장착부에 체결하여 탈거를 방지하기 때문에 손쉽게 기존의 식모기를 손쉽게 장착할 뿐 아니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장된 모터와, 식모기를 케이스 내부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식모기로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여 식모침을 출몰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술자가 반복적으로 눌러주지 않아도 됨에 따라 시술자의 피로도를 줄일 뿐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할 수 있고,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식모 깊이를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시술의 성공률 및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자동구동장치에 식모기가 장착된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자동구동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식모기의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식모기의 일예가 도시된 분해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자동구동장치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자동구동장치에 장착된 식모기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자동구동장치에 식모기가 장착된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모기(100)가 자동구동장치(2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착 시에 모터(M)에 의해 식모침(120)이 자동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식모기(100)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외관에서 보여지는 몸체(110)와, 식모침(120)과, 손잡이(160)와,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와, 심축 길이조절부(180)와, 누름 조작부(190)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 조작부(190)를 눌러줌에 따라 상기 식모침(120)이 출몰되고, 이에 따라 식모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동구동장치(200)로부터 동력 전달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누름 조작부(190)에 별도의 잠금용 홈(191)이 구성된다.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자동구동장치(200)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에 내장된 회전축(220)이 구비된 모터(M)와, 상기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와, 상기 모터(M)의 동력을 상기 식모기(10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상기 식모기(100)를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캡(250)과, 상기 모터(M)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동버튼(260)과, 상기 식모기(100)를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탈착시키는 잠금해제버튼(270)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자동구동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식모기의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식모기의 일예가 도시된 분해 조립도이다.
상기 식모기는 몸체(110)와, 식모침(120)과, 식모침 고정부(130)와, 심축(140)과, 심축 고정부(150)와, 스프링(S)과, 손잡이(160)와,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와, 심축 길이조절부(180)와, 누름 조작부(1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전방에 원추형 캡이 구비된 중공의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 내부에 위치될 식모침 고정부(130)가 상기 몸체(110) 외부에 위치될 손잡이(16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에는 축 방향으로 긴 형상의 홀(110h)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홀(110h) 내부에서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와 손잡이(160)의 결합 부분이 이동된다.
상기 식모침(120)은 상기 몸체(110)의 캡에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데, 두피 또는 특정 부위에 찔러줄 수 있도록 전방에 뾰족하게 형성되고, 두피 또는 특정 부위에 모근이 심길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중공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식모침(120)은 여러 개의 모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장방형의 긴 홀(120h)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식모침(120)의 홀(120h)에는 모근들이 수동적으로 공급될 수도 있지만, 연속모근공급장치에 의해 모근들을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는 상기 식모침(120)의 후단이 축방향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60)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식모침(120)을 상기 손잡이(160)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동시에 상기 식모침(12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손잡이(160)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131)가 구비되며,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의 나사부(131)를 통하여 상기 식모침(120)이 상기 몸체(110)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심축(140)은 상기 식모침(120)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축 형상으로 상기 식모침(120) 내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심축(140)의 선단이 상기 몸체(110)의 캡 단부와 거의 일치하거나, 일부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식모침(120)이 상기 몸체(110)의 캡으로부터 출몰하면, 상기 심축(140)은 상기 식모침(120)의 홀(120h)에 올려진 모근을 밀어주어 두피에 모근이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심축 고정부(150)는 상기 심축(140)의 후단이 축방향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 내주면에 고정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심축 고정부(150)의 외주면과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심축(14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S)은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와 상기 심축 고정부(150) 사이에 상기 심축(140)의 외주연에 삽입되도록 축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를 상기 심축 고정부(150)에 탄성 지지하여 상기 식모침(120)의 출몰 동작 시에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을 부여한다.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몸체(110)의 후방 외주연에 결합되는데, 상기 손잡이(160)의 선단 내부에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60)의 후단 내부에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가 연결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의 나사부(131)와 맞물리도록 내주면에 나사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의 나사부(131)가 상기 손잡이(160)의 나사부(161)와 맞물리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식모침(120)과 식모침 고정부(130)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홀(110h)의 축방향 길이 범위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는 상기 몸체(110)의 캡 후단과 상기 손잡이(160) 선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과 손잡이(160)의 내주면 사이에 결합되는데, 상기 식모침(120)이 상기 몸체(110)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의 외주면은 상기 손잡이(160)의 내주면에 억지 끼움되며,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의 선단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60)가 걸림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이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의 내주면에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가 상기 몸체(110)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와 연결된 상기 손잡이(160)와 식모침 고정부(130) 및 식모침(120)이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는 상기 몸체(110)의 후단 외주면과 상기 누름 조작부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심축(140)이 상기 몸체(110)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의 후단 내주면과 상기 몸체(110)의 후단 외주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의 내주면이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전방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전후 이동을 통하여 심축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누름 조작부(190)는 일종의 캡 형상으로써,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단 외주면과 상기 심축 고정부(15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시술자가 누르는 힘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110)의 후단 외주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내주면이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된다. 물론,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와 누름 조작부(190)는 나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상호 반반력을 발휘함으로써 상기 누름 조작부(190)가 눌려질 때마다 상기 누름 조작부(190)가 상기 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 체결력을 유지한다.
특히, 상기 누름 조작부(190)는 하기에서 언급할 잠금용 돌기들(240 : 도 5에 도시)이 안착될 수 있도록 둘레 부분에 잠금용 홈(191)이 구비된다. 그런데, 하기에서 언급될 자동구동장치(200)가 상기 식모기(100)에 동력을 전달할 때,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 : 도 5에 도시)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의 외주면과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잠금용 홈(191)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 : 도 5에 도시)이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로부터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외주면으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선단이 상기 잠금용 홈(191)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용 홈(191)의 축방향 선단은 수직하게 형성된 반면, 상기 잠금용 홈(191)의 축방향 후단은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하기에서 설명될 잠금용 돌기들(240 : 도 5에 도시)의 형상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자동구동장치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상기 자동구동장치는 케이스(210)와, 회전축(220)이 구비된 모터(M)와, 배터리(B)와, 장착부(230)와, 잠금용 돌기들(240)과, 고정용 캡(250), 구동버튼(260 : 도 1에 도시)과, 잠금해제버튼(270 : 도 1에 도시)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0)는 전방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회전축(220)을 비롯한 모터(M), 배터리(B), 장착부(230), 잠금용 돌기들(240)이 내장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210)의 외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버튼(260)과 잠금해제버튼(27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M)는 상기 케이스(21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는 소형 모터가 적합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장착부(23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2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230)가 축방향으로 출몰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스크루 타입의 회전축을 가진 스텝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버튼(260 : 도 1에 도시)은 상기 모터(M)의 회전축(2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M)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배터리(B)는 상기 모터(M)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후방 내부에 고정되며,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형 배터리가 적합하다. 일예로, Li-ion 혹은 Li-Polymer 배터리를 사용하며, 배터리 보호 회로와 모니터링 회로를 구성하여 배터리에 부착하고, 배터리 전압 확인을 위하여 Wire Serial 통신을 사용하거나,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ADC를 사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배터리의 전압을 정전압원으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실제 사용되는 배터리의 전압을 받아 상기 자동구동장치에 정전압을 공급해 줄 수 있는 Buck-boost Regulator도 포함된다. 물론, 상기 배터리(B)는 쾌속 충전 가능한 전용 충전기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부(230)는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부분적으로 단차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선단이 개방된 반면, 후단이 막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230)의 내주면 중간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식모기(100 : 도 1에 도시)가 상기 장착부(230)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식모기(100 : 도 1에 도시)의 손잡이(160 : 도 2에 도시)가 상기 장착부(230)의 단차진 내주면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장착부(230)의 후단이 상기 모터(M)의 회전축(22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모터(M)의 회전축(220)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부(230)가 축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230)의 선단 외주면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장착부(230)의 선단 외주면에 나사산(231)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230)의 선단 외주면이 상기 고정용 캡(250)의 내주면과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230)는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이 관통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긴 홀들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은 상기 케이스(210)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되며,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의 축방향 후단 일면은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반면,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의 축방향 선단 일면은 상기 잠금용 홈(191 : 도 2에 도시)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잠금해제버튼(270 : 도 1에 도시)은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고정용 캡(250)은 선단 내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후단 내부에 나사산(251)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캡(250)의 선단 내주면이 단차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용 캡(250)의 선단은 상기 식모기(100 : 도 1에 도시)의 식모침 길이조절부(170 : 도 1에 도시)가 관통되는 동시에 상기 식모기(100 : 도 1에 도시)의 손잡이(160 : 도 1에 도시)가 걸림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용 캡(250)의 후단이 상기 장착부(230)의 선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식모기(100 : 도 1에 도시)가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장착부(230)에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고정용 캡(250)은 상기 장착부(230)에 체결 시에 상기 케이스(2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장착부(230)와, 잠금용 돌기(240)와, 고정용 캡(250)은 상기 모터(M)의 동력을 상기 식모기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구동버튼(260 : 도 1에 도시)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M)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을 조절하도록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케이스(210) 외관에 구비된다.
삭제
상기 잠금해제버튼(270 : 도 1에 도시)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용 돌기들(240)을 압축시켜 상기 식모기(100 : 도 2에 도시)의 잠금용 홈(191 : 도 2에 도시)에 탈착시키며, 마찬가지로 상기 케이스(210) 외관에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착 타입의 자동구동장치에 장착된 식모기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과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잠금해제버튼(270)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식모기(100)를 상기 자동구동장치(200) 내부의 장착부(230)에 끼워 넣고, 상기 식모기(100)의 몸체(110)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용 캡(250)을 상기 장착부(230)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식모기(100)를 상기 자동구동장치(200)에 장착시킨 다음, 도 6의 (a)와 같이 시술자가 모근을 이식하고자 하는 두피와 같은 특정 부위인 기준면에 상기 식모기(100)를 위치시키고, 모근들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식모침(120)의 홀(120h : 도 4에 도시)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식모침(120)은 초기 위치인 기준면과 맞닿도록 위치하고, 상기 심축(140) 또는 몸체(110)의 선단 역시 초기 위치인 기준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부(230)의 후단도 초기 위치인 상기 회전축(220)의 후단에 위치한다.
이후, 시술자가 상기 구동버튼(260)을 누르면, 도 6의 (b)와 같이 상기 모터(M)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220)이 소정시간 동안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장착부(230)의 후단이 상기 회전축(220)을 따라 일정길이만큼 전진하여 상기 회전축(220)의 선단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230)가 상기 손잡이(160)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160)가 일정길이만큼 전진함에 따라 상기 식모침(120) 역시 기준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모침(120)은 모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식 부위를 찔러주어 구멍을 내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이 상기 잠금용 홈(191)에 맞물리기 전까지 상기 누름 조작부(19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누름 조작부(190) 역시 상기 손잡이(160)와 같이 일정길이만큼 전진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 조작부(190)가 일정길이만큼 전진함에 따라 상기 누름 조작부(190)와 같이 거동하는 상기 심축(140) 및 몸체(110)의 선단도 일정길이만큼 전진하여 기준면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심축(140) 또는 몸체(110)의 선단이 기준면과 맞닿으면,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이 상기 잠금용 홈(191)에 안착된다.
이후, 시술자가 상기 구동버튼(260)을 또 누르면, 도 6의 (c)와 같이 상기 모터(M)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220)이 소정시간 동안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장착부(230)의 후단이 상기 회전축(220)을 따라 일정길이만큼 후퇴하여 초기 위치인 상기 회전축(220)의 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이 상기 잠금용 홈(191)에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누름 조작부(190)를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 조작부(19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심축(140) 또는 몸체(110)의 선단 역시 기준면에 그대로 위치한다. 반면, 상기 장착부(230)가 상기 손잡이(160)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160)가 일정길이만큼 후퇴함에 따라 상기 식모침(120) 역시 일정길이만큼 후퇴하여 기준면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누름 조작부(19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상기 손잡이(160)가 후퇴하기 때문에 상기 심축(140)은 기준면에 그대로 위치하지만, 상기 식모침(120)은 상기 스프링(S : 도 3에 도시)을 압축하면서 기준면으로 후퇴하는 동시에 찔려진 부위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심축(140)이 상기 식모침(120)에 놓인 모근을 밀어주고, 모근이 이식 부위에 식모되도록 한다.
이후, 시술자가 상기 잠금해제버튼(270)을 누르면, 도 6의 (d)와 같이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이 상기 잠금용 홈(191)으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스프링(S : 도 3에 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 조작부(190)가 일정길이만큼 후퇴된다. 이때, 상기 누름 조작부(190)와 같이 거동하는 상기 심축(140) 및 몸체(110)가 기준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후퇴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물론, 상기 식모침(120)은 초기 위치인 기준면에 그대로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이식 부위를 변경해가면서 반복하면, 손쉽고 빠를 뿐 아니라 정확한 식모 시술이 이뤄질 수 있다.
100 : 식모기 120 : 식모침
140 : 심축 190 : 누름 조작부
191 : 잠금용 홈 200 : 자동구동장치
210 : 케이스 220 : 회전축
230 : 장착부 240 : 잠금용 돌기들
250 : 고정용 캡 260 : 구동버튼
270 : 잠금해제버튼

Claims (6)

  1. 원추형 캡이 전방에 구비된 중공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뾰족하게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모근이 안착되는 장방형 홀이 구비된 원통형의 식모침과, 상기 식모침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식모침으로부터 모근을 밀어내는 심축과, 상기 식모침과 연결되도록 상기 몸체 외주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식모침과 일체로 이동하는 손잡이와, 상기 심축이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식모침과 출몰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상기 몸체의 후방에 결합되며 상기 식모침이 출몰하도록 압력이 가해지는 누름 조작부를 포함하는 식모기;
    상기 손잡이와 누름 조작부가 수용되고, 상기 몸체의 캡과 상기 식모침이 전방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후방에 장착되고, 상기 식모침의 출몰 방향으로 회전축이 구비된 모터;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도록 상기 손잡이와 누름 조작부 및 모터의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식모침을 출몰시키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기는,
    상기 누름 조작부의 외주면에 둘레 방향으로 잠금용 홈이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외주면이 전방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에서 출몰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주면에 탄성 지지되고, 상기 누름 조작부의 잠금용 홈에 탈착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잠금용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장착부 전방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키도록 상기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구동버튼과, 상기 잠금용 돌기가 상기 잠금용 홈으로부터 탈거되도록 하는 잠금해제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소정시간 미만으로 회전하면, 상기 식모기 전체가 전방으로 소정길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식모침과 심축 및 몸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길이 전진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소정시간만큼 회전하면, 상기 잠금용 돌기들이 상기 잠금용 홈에 걸림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소정시간 미만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용 돌기들이 상기 잠금용 홈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가 후방으로 소정길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식모침이 초기 위치로 소정길이 후퇴하고, 상기 심축 및 몸체가 초기 위치로부터 소정길이 전진한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소정시간만큼 회전하면, 상기 잠금용 돌기들이 상기 잠금용 홈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누름 조작부가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후방으로 후퇴함에 따라 상기 심축 및 몸체가 초기 위치로 후퇴하고, 상기 식모침이 초기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KR1020110124413A 2011-11-25 2011-11-25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KR101271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13A KR101271457B1 (ko) 2011-11-25 2011-11-25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13A KR101271457B1 (ko) 2011-11-25 2011-11-25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18A KR20130058418A (ko) 2013-06-04
KR101271457B1 true KR101271457B1 (ko) 2013-06-05

Family

ID=4885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413A KR101271457B1 (ko) 2011-11-25 2011-11-25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683A (ko)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오성전자 자동 식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835B1 (ko) * 2014-10-02 2021-09-24 주식회사 오성전자 모발 이식 장치
KR101956871B1 (ko) 2017-04-14 2019-06-19 주식회사 하이로닉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09805971A (zh) * 2019-03-27 2019-05-28 西安三才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毛发种植取发机
KR102658036B1 (ko) * 2021-09-15 2024-04-18 주식회사 메타약품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KR20240021558A (ko) * 2022-08-10 2024-02-19 주식회사 오대 교체 편의성이 향상된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식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980Y1 (ko) 2003-05-20 2003-08-06 (주)대한정공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050074870A (ko) * 2004-01-14 2005-07-19 허을 다기능 모발이식기
WO2009083741A1 (en) 2007-12-27 2009-07-09 Konstantinos Giotis P Hair transplant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KR100958727B1 (ko) 2009-04-16 2010-05-18 한흥추 모발이식용 식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980Y1 (ko) 2003-05-20 2003-08-06 (주)대한정공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050074870A (ko) * 2004-01-14 2005-07-19 허을 다기능 모발이식기
WO2009083741A1 (en) 2007-12-27 2009-07-09 Konstantinos Giotis P Hair transplant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KR100958727B1 (ko) 2009-04-16 2010-05-18 한흥추 모발이식용 식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683A (ko)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오성전자 자동 식모 장치
KR102382062B1 (ko) 2015-06-03 2022-04-01 주식회사 오성전자 자동 식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18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457B1 (ko)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KR20160142683A (ko) 자동 식모 장치
KR101722029B1 (ko) 자동 모낭 공급 기능을 갖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WO2018076721A1 (zh) 一种毛囊提取和种植一体化器械
KR101347114B1 (ko) 모발이식용 정밀도를 높인 식모기
JP5722338B2 (ja) ネジ送出システム
CN1867297A (zh) 可调节的刺针装置和方法
KR102236251B1 (ko) 모듈형 자동 모발이식장치
KR100320880B1 (ko) 모발 이식장치
KR100426597B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WO2022105781A1 (zh) 一种不损伤毛囊的毛发移植方法及毛发移植系统
KR20030064132A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0277068Y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CN210202434U (zh) 一种新型园艺播种器
KR102658036B1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CN112022373A (zh) 一种肿瘤科用的便携式肿瘤摄取器
CN213372381U (zh) 一种毛囊移植笔及其壳体和毛囊移植机构
KR200481949Y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0357513B1 (ko) 식모기
KR20200048861A (ko) 식모 장치
CN217886075U (zh) 一种不剃发专用微种植针
CN220965619U (zh) 一种割灌装置
CN111527880B (zh) 一种便携击打式坚果采摘设备
CN211531774U (zh) 一种农业机械播种装置
CN216318105U (zh) 种植导板导环的安装取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