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871B1 -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871B1
KR101956871B1 KR1020170048547A KR20170048547A KR101956871B1 KR 101956871 B1 KR101956871 B1 KR 101956871B1 KR 1020170048547 A KR1020170048547 A KR 1020170048547A KR 20170048547 A KR20170048547 A KR 20170048547A KR 101956871 B1 KR101956871 B1 KR 10195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needle
assembly
h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968A (ko
Inventor
유선욱
정준호
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to KR102017004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87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022Sensing or detecting at the treatment s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99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 console, e.g. a control panel with a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발 이식 장치는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는 니들부와, 니들부 내에 배치되어 모낭을 공간에 삽입하는 펀칭부와, 니들부의 첨단부에서 모낭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전달하며 펀칭부 및 니들부를 결합하는 펀칭 어셈블리, 및 펀칭 어셈블리의 니들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니들 조정부와, 니들 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바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PUNCHING ASSEMBLY, HAIR TRANSPLANTATION DEVICE AND SYSTEM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펀칭 어셈블리, 모발이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과한 것으로, 채집된 모발을 피부 조직에 성공적으로 이식할 수 있으며 또한 이식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교체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성능 및 수술로 인한 감염 위험을 방지하는 장치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은 노화, 스트레스, 약물 부작용 등에 의해 모발이 점차 빠져 머리숱이 줄어드는 증상을 말한다. 탈모증은 유전 등의 선천적 요인 이외에도 스트레스와 같은 후천적 요인에 의해 발생된다. 최근의 산업 발달로 인하여, 후천적 요인으로 인한 탈모증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그 치료 기술에 대한 개발도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다양한 탈모증 치료 기술들 중 생모이식방법은 시술자의 피부 조직에 남아있는 모발을 채취한 후, 식모기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탈모가 진행된 두피 부분에 모낭을 인공적으로 심어주는 기술이다. 이러한, 생모이식방법은 출혈이 적고 흉터가 거의 없으며, 모발의 성장 방향이나 위치 등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된다.
한편, 모발을 이식하는 과정에서는 채취된 모발을 두피의 발모 영역에 이식 도구를 이용하여 삽입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식 도구는 두피 내에 삽입되는 기구라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감염 위험을 방지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모발 이식은 세밀한 작업을 필요로 하는 시술 방법이므로 시술자가 정밀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이식 장치가 정밀도를 높이는 구성이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8418호(2013. 06. 04)
본 발명은 모발 이식 시술에서 니들의 교체가 용이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니들의 교체 및 흡입압을 이용하여 모낭을 안정적으로 흡입하고 이를 다시 두피에 삽입할 수 있는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발 이식 장치는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는 니들부와, 니들부 내에 배치되어 모낭을 공간에 삽입하는 펀칭부와, 니들부의 첨단부에서 모낭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전달하며 펀칭부 및 니들부를 결합하는 펀칭 어셈블리, 및 펀칭 어셈블리의 니들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니들 조정부와, 니들 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바디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은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여 모낭을 삽입하는 모발 이식 장치에 흡입압을 제공하여 모발 이식 장치의 니들부를 통해 모낭의 흡입을 제어하는 흡입압 제공부, 모발 이식 장치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신호 제공부, 및 흡입압 제공부 및 제어신호 제공부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펀칭 어셈블리는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는 니들부와 니들부 내에 배치되어 모낭을 공간에 삽입하는 펀칭부를 포함하며, 니들부의 첨단부에서 모낭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전달하며 펀칭부 및 니들부를 결합한다.
본 발명은 모발 이식을 위한 니들부가 모발 이식 장치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모발 이식 과정에서 니들이 무뎌질 경우에 교체를 통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모발 이식 장치에서 니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펀칭 어셈블리를 피시술자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감염 위험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발 이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펀칭 어셈블리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펀칭 어셈블리(100)가 결합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펀칭 어셈블리(100)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디 어셈블리(2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디 어셈블리(200)의 분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펀칭 어셈블리를 바디 어셈블리와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펀칭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니들부의 확대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발 이식 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발 이식 장치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모낭을 이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두피에 모낭을 삽입하는 니들부가 피시술자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니들부는 피시술자 혹은 모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니들의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모낭의 삽입 깊이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발 이식 장치는 니들과 모낭(모발)을 한번에 두피에 삽입한 후 발모 영역에 모낭이 배치되도록 한 후 니들만 후진시켜 모낭을 발모 영역에 안정적으로 배치시킨다. 또한,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니들과 이에 연결 또는 니들을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들이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모발 이식 장치의 유지 보수 비용을 낮추고 모발 이식 성능을 높이며 피시술자 간의 감염 위험을 제거한다. 또한, 니들에 연결된 영역에 펀칭 어셈블리(100) 내에 섬유를 추가하여 두피로부터 피나 각질 등의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후술할 펀칭 어셈블리(100)의 구성을 투명하게 제작하여 내부가 오염되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발 이식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모발 이식 장치(500)는 외부의 시스템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제공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독립적으로 구성될 경우, 모발 이식 장치에서 소정의 신호를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시스템으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모발 이식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모발 이식 장치(5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펀칭 어셈블리(100)와 바디 어셈블리(200)로 구성된다. 펀칭 어셈블리(100)는 바디 어셈블리(200)에 삽입되며 탈착 가능하다. 따라서 피시술자에 따라, 혹은 모낭의 특성에 따라, 혹은 다양한 외부적 요인에 의해 펀칭 어셈블리(100)는 다양하게 교체가능하다.
바디 어셈블리(200)는 펀칭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 어셈블리(100)는 교체 가능하도록 다량 생산하거나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바디 어셈블리(200)는 다양한 펀칭 어셈블리(100)를 수용하여 펀칭 어셈블리(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디 어셈블리(200)는 펀칭 어셈블리(100)의 첨단에 배치된 니들부(10)을 화살표 방향(1및 2)과 같이 전후로 이동시켜 모낭을 두피 내의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바디 어셈블리(200)는 펀칭 어셈블리(100)의 교체와 함께 기준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긴 모낭의 경우 펀칭 어셈블리(100)의 니들부(10)를 앞쪽으로의 화살표(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짧은 모낭의 경우 펀칭 어셈블리(100)의 니들부(10)를 뒤쪽으로의 화살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은 바디 어셈블리(200)의 스위치(235)에서 버튼을 조작하여 펀칭 어셈블리(100)의 니들부(10)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도 11의 풋스위치(1025)에서 니들부(10)를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제어 신호를 바디 어셈블리(200)의 컨트롤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펀칭 어셈블리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펀칭 어셈블리(100)는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는 니들부(10), 그리고 니들부(10)와 결합하는 펀칭바디부(11) 및 펀치커버(30)를 포함한다. 또한 니들부(10) 내에 배치되어 모낭을 두피의 모낭 이식용 공간에 삽입하는 펀칭부(90) 및 펀칭부(90)의 끝단이 배치되는 펀칭 스페이스부(50)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씰패드(Seal Pad)(15)와 자석부(55)가 펀칭 어셈블리(100)에 포함될 수 있다. 펀칭바디부(11)와 니들부(10)가 결합하는 위치에는 후술할 필터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필터는 니들부(10)를 통하여 유입하는 분비물을 흡수한다. 또는 전술한 필터는 니들부(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니들부(10) 내의 필터가 펀칭바디부(11)와 맞닿을 수도 있거나 혹은 니들부(10) 끝단에만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펀칭 어셈블리(100) 내의 니들부(10)만 별도로 교체할 수 있으며, 펀칭바디부(11)는 니들부(10)가 탈착 또는 결합하며 결합 후 니들부(10)를 고정시킨다. 펀칭바디부(11)는 니들의 굵기를 지시하거나 니들의 결합 또는 탈착 여부, 즉 니들부(10)의 결합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니들센서(needle sensor)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니들센서는 펀칭바디부(11)의 끝단(11a)에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펀칭바디부(11)에는 카메라 혹은 라이트가 배치되어 두피에서의 모낭 이식 과정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펀칭바디부(11) 외에 펀치커버(30)에 전술한 카메라 혹은 라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펀칭 어셈블리(100) 역시 교체 가능하지만 니들부(10)도 단독으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펀칭 어셈블리(100)는 니들부(10)가 탈착 및 결합되도록 하며, 니들부(10)의 결합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니들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니들부(10)의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펀칭 어셈블리(100)에 결합된 니들부(10)가 어떠한 사이즈인지를 시스템(1000)에서 확인하고 이에 적합하게 니들부(1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펀칭바디부(11)에는 홀(12)이 배치될 수 있는데, 이 홀(12)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흡입압이 제공되며, 이 홀은 펀칭바디부(11)의 끝단(11a) 및 니들부(10)의 중공을 통해 니들부(10) 외부의 모낭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후술하겠으나 홀(12)을 통하여 흡입압 외에 배출압도 제공될 수 있다. 모낭을 두피에 안착시키기 위해 배출압이 제공될 수 있다.
펀칭부(90)는 펀치커버(30) 내에 배치되며, 특히 펀칭부(90)의 핀(91)은 니들부(10) 내의 공간 사이에 배치되고, 니들부(10) 및 이에 연결된 펀칭 어셈블리(100) 전체가 전후로 이동한다. 펀치커버(30)는 펀칭바디부(11)의 홀(12)에 대응하는 홀(32)이 배치될 수 있다. 펀칭바디부(11)의 홀(12)과 펀치커버(30)의 홀(32)이 반드시 동일한 위치가 될 필요는 없는데, 펀칭바디부(11)와 펀치커버(30) 사이의 유격에 의해 흡입압이 충분히 니들부(10)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펀칭부(90)는 고정된 위치에 있으며, 결과적으로 펀칭부(90)의 핀(91) 끝단에 배치된 모낭이 피시술자의 두피에 삽입한다. 니들부(10)의 전진 또는 후진의 범위는 펀칭 스페이스부(5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펀칭 스페이스부(50)는 펀칭부(90)의 끝단(95)이 배치되는 구조이다.
펀칭 스페이스부(50)는 펀칭부(90)와 니들부(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따라서, 펀칭부(90)와 니들부(10)의 최대 선형 이동 간격을 제한하는데, 펀칭 스페이스부(50)의 크기는 니들부(10)의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펀치커버(30), 펀칭바디부(11) 및 이에 연결된 니들부(10)가 전후로 이동하는 구조이며, 전후 이동의 유연성을 위해 오링(O-Ring)(40)이 하나 혹은 다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펀칭 어셈블리(100)와 바디 어셈블리(200)의 결합을 유연하게 하도록 자석부(55)가 펀칭 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펀칭 어셈블리(100)는 니들부(10)의 첨단부에서 모낭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전달하며 펀칭부(90)와 니들부(10)를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펀칭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펀칭부(90)는 고정되고, 펀칭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니들부(10)가 펀칭 스페이스부(50)의 빈 공간의 크기만큼 전후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펀칭부(90)가 고정된 상태이므로 펀칭 스페이스부(50)가 상대적으로 전후 이동을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펀칭 스페이스부(50)와 고정적으로 결합된 니들부(10) 역시 전후 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9 및 그의 관련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펀칭 어셈블리(100)가 결합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펀칭 어셈블리(100)에서 니들부(10)가 돌출한 형태이며, 니들부(10)가 결합하는 펀칭바디부(11)는 펀치커버(30) 내에 배치된 구성이다. 또한 펀칭부의 끝단(95)이 펀치커버(30)의 펀칭 스페이스부(50)에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펀칭 어셈블리(100)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니들부(10)의 바늘이 있는 지점 반대편에 펀칭부(90)가 결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펀칭부(90)의 핀(91)이 니들부(10)의 바늘 내에 겹쳐서 포함된다.
펀칭바디부(11)와 펀치커버(30)가 결합한 형태이며, 각각의 홀(12 및 32)이 흡입압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펀칭 스페이스부(50) 사이에 펀칭부(90)의 끝단(95)이 배치된다. 도 4의 구성에서 니들부(10)와 고정되도록 결합된 펀칭바디부(11)와 펀치커버(30)는 펀칭 스페이스부(50)의 크기(S_Len) 만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펀칭부(90)는 고정된 상태에서 펀칭바디부(11)와 펀치커버(30)가 이동하여 펀칭부(90)가 니들부(10)의 끝단 쪽으로 이동하여 모낭을 두피에 삽입할 수 있다.
니들부(10)가 펀칭 어셈블리(100)에 고정된 구성이며 펀칭 어셈블리(100)가 바디 어셈블리(200)에 결합한 상태를 일 실시예로 하는 경우, 펀칭 스페이스부(50)의 길이는 니들부(10)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니들부(10)의 니들 내의 중공의 크기 또는 니들의 반경에 따라 펀칭 스페이스부(50)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니들 조정부(250)가 펀칭 어셈블리(100)의 전진 또는 후진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펀칭 어셈블리(100)의 펀칭 스페이스부(50)의 공간의 크기에 의해 니들부(10)가 이동할 수 있다. 왜냐하면, 펀칭 스페이스부(50)는 앞서 살펴본 펀칭부(9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전후 이동을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펀칭 스페이스부(50)와 고정된 상태의 니들부(10) 역시 전후 이동할 수 있다. 도 3에서 펀칭부의 끝단(95)이 펀치커버(30)의 펀칭 스페이스부(50)의 공간 중 뒤쪽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데 이는 니들부(10)가 전진하여 확장된 위치가 되도록 한다. 만약 펀칭부의 끝단(95)이 펀치 커버(30)의 펀칭 스페이스부(50)의 공간 중 앞쪽으로 배치된 경우라면, 이는 니들부(10)가 후진한 위치가 된다.
한편, 80으로 지시되는 공간에 필터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 내에 섬유 조직이 배치되어 두피부터 발생하는 분비물(피, 혹은 체액 등)을 흡수할 수 있다. 특히, 니들부(10)의 전진으로 인해 두피에 피 혹은 체액과 같은 분비물이 흐를 경우 니들부(10)를 통해 펀칭 어셈블리(1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특히 홀(12 및 32)에 흡입압이 가해지면 분비물이 더 쉽게 펀칭 어셈블리(1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80과 같은 위치에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는 섬유 조직을 배치할 수 있다. 섬유 조직이란 솜과 같이 피나 체액을 흡수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디 어셈블리(20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바디 어셈블리(200)는 전술한 펀칭 어셈블리(100)와 결합하여 니들부(10) 또는 니들부(10)와 결합된 펀칭바디부(11)와 펀치커버(30)들을 전후로 이동시켜 펀칭부(90)가 니들부(10)의 끝단쪽으로 돌출하여 모낭을 두피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바디 어셈블리(200)는 니들부(1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바디 어셈블리(200)는 결합부(210), 바디부(220), 및 컨트롤부(230)와 연결부(240)를 포함한다. 결합부(210)는 펀칭 어셈블리(100)가 결합하는 부분이며, 특히 펀칭 어셈블리(100)에 흡입압을 제공하기 위한 흡입부(212)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210)는 펀칭부(90)의 끝단(95)을 고정시켜 컨트롤부(230)의 제어에 의해 펀칭 어셈블리(100)를 전진 혹은 후진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펀칭 어셈블리(100)의 전후 이동으로 인해 니들부(10)가 전진 혹은 후진할 경우 고정된 펀칭부(90)의 핀(91)이 니들부(10) 외부로 돌출하거나 혹은 니들부(10) 후방으로 후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부(230)는 펀칭 어셈블리(100)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과 속도, 혹은 전진과 후진의 이동 범위를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디 어셈블리(200)의 분해도이다. 바디 어셈블리(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의 분해도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디 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로는 펀칭 어셈블리(100)의 니들부(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니들 조정부(250)와 니들 조정부(2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230)이다. 이 외에도 이들의 동작 및 작동과 결합 등을 보조하기 위해 다양한 하위 구성요소들이 바디 어셈블리(200)에 포함될 수 있다.
바디 어셈블리(200)의 세부 구성요소로 결합부(210), 바디부(220), 및 컨트롤부(230)와 연결부(240)를 도 5에서 살펴보았다. 보다 상세히 각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결합부(210)는 흡입부(212)를 포함한다. 바디부(220)와 결합하는 결합부(210) 사이에는 펀칭부(90)를 고정시키는 펀칭락(215)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펀칭락(215)과 바디부(220)의 연결을 위해 모터 스크류(221)들이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40)는 컨트롤부(230)와 외부의 시스템(도 11의 1000)을 연결하고 시스템(1000)으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모발 이식 장치(500)에서 발생한 상태를 시스템(1000)에 제공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컨트롤부(230)는 니들부(10)와 펀칭부(90)의 간격을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니들 조정부(250)는 이에 따라 니들부(10)와 펀칭부(9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간격 조정의 일 실시예로 시스템(1000) 또는 컨트롤부(230)는 니들부(10)의 니들 반경에 따라 니들부(10)와 펀칭부(9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피시술자의 두피에 따라 시스템(1000)에서 미리 셋팅한 간격 혹은 컨트롤부(230)에 미리 셋팅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바디부(220) 내에는 펀칭 어셈블리(100)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는 니들 조정부(250)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니들 조정부(250)는 모터의 구성을 할 수 있으며, 도 6에서 299 방향으로 니들 조정부(250)가 배치된다. 도 6과 달리 니들 조정부(250)는 유압에 의하여 니들부(10)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니들 조정부(250) 외에 펀칭부(90)의 전진 및 후진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도 바디 어셈블리(200)에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모터와 같은 장치를 일 실시예로 하는 니들 조정부(250)가 바디부(220) 내에 배치되고, 이 장치와 펀칭 어셈블리(100)의 끝부분, 예를 들어 자석부(55)가 배치된 영역에 결합하여 컨트롤부(230)의 스위치(235) 조작에 의해 펀칭 어셈블리(100)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과 속도, 혹은 전진과 후진의 이동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니들 조정부(250)는 결합팁(255)을 전진 혹은 후진시켜서 이에 결합되는 펀칭 어셈블리(100)를 전진 혹은 후진시킬 수 있다. 특히 결합팁(255)은 전술한 펀칭 어셈블리(100)의 자석부(55)와 결합할 수 있다.
컨트롤부(230)는 컨트롤베이스상부(231)과 컨트롤베이스하부(232)가 결합할 수 있으며, 스위치(235) 역시 다수의 하위 구성요소(235a, 235b, 235c)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커버 버튼(235a), 러버 버튼(235b), 그리고 PCB 버튼(235c)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230)의 컨트롤베이스상부(231)과 컨트롤베이스하부(232) 사이에는 전술한 니들 조정부(250)에 연결되는 센서 가이드부(252)가 배치된다. 니들 조정부(250)에 연결된 센서 가이드부(252)와 모터의 동작을 센싱하기 위한 포토 센서(260)에 의해 스위치(235) 또는 외부의 시스템에서 모터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베이스상부(231)과 컨트롤베이스하부(232)를 결합시키기 위한 일 실시예로 다수의 스크류들(239)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모터의 동작을 센싱하기 위한 포토 센서(260)와 이를 컨트롤베이스하부(232)에 고정시키는 스크류(261)들이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센서 가이드부(252)와 상기 포토 센서(260)의 결합에 의해 니들 조정부(250)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외에 바디부(220)에는 셋 스크류(298a, 298b)가 바디부(220)와 컨트롤부(230)를 체결할 수 있다.
도 6의 구조에서 컨트롤부(230)에 작은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니들부(10)와 펀칭부(90)의 간격이 모니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두피에 가장 적합한 니들부(10)와 펀칭부(90)의 간격을 프리셋(preset)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부(230)에 있는 특정 버튼을 눌러서 간격을 프리셋 하면 니들부(10)와 펀칭부(90)는 프리셋된 간격을 유지하고, 이후 니들부(10)가 후진 하여 펀칭부(90) 앞단의 모낭이 두피에 삽입되면 다시 니들부(10)와 펀칭부(90)는 프리셋된 간격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모발 이식 장치(500)가 동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발명을 구성할 경우, 펀칭 어셈블리(100)를 피시술자에 따라 교체하거나 혹은 시술 과정에서 펀칭 어셈블리(100)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펀칭 어셈블리(100) 내의 니들부(10) 역시 교체가 가능하므로 시술 환경에 따라 니들부(10)만을 교체하거나 혹은 펀칭 어셈블리(100)를 전체로 교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펀칭 어셈블리를 바디 어셈블리와 결합 및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도 4 및 도 6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7은 펀칭 어셈블리(100)를 바디 어셈블리(200)의 결합부(210) 쪽으로 701 방향으로 삽입한다. 그리고 펀칭부(90)가 고정되도록 70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 2 및 도 4에서 살펴본 펀칭부(90)의 끝단(95)과 도 6에서 살펴본 펀칭락(215)이 결합하여 펀칭부(90)를 고정할 수 있다.
펀칭부(90)s가 펀칭락(215)이 고정되면 펀칭 어셈블리(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전후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은 니들부(10), 그리고 니들부(10)와 결합하는 펀칭바디부(11) 및 펀치커버(30)이다. 따라서, 펀칭 커버(30)의 펀칭 스페이스부(50)의 공간의 크기만큼 니들부(10)와 펀칭바디부(11), 펀치커버(30)가 전후 이동을 할 수 있다.
도 8은 펀칭 어셈블리(100)를 바디 어셈블리(200)의 결합부(210)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펀칭 어셈블리(100)를 801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과정에서 도 2 및 도 4에서 살펴본 펀칭부(90)의 끝단(95)과 도 6에서 살펴본 펀칭락(215)의 결합이 해제된 후 802 방향으로 펀칭 어셈블리(10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펀칭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펀칭 동작은 스위치(235)의 동작 혹은 연결부(240)를 통해 연결된 외부의 제어 장치 등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 외부의 제어 장치에서 제공하는 제어를 위한 신호와 스위치(235)를 통한 제어를 위한 신호를 모두 통칭하여 제어신호라고 한다.
도 9의 첫번째 동작 상태의 모발 이식 장치(500a)는 펀칭 어셈블리(100)가 바디 어셈블리(200)에 결합된 상태이다. 펀칭 어셈블리(100)의 펀칭부(90)의 핀(91)이 니들부(10) 바깥으로 돌출한 형태이다. 펀칭결합 제어신호에 의해 니들 조정부(250)의 결합팁(255)이 Pos_A까지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펀칭 어셈블리(100)가 바디 어셈블리(200) 내부로 후진한 상태이다. 이에 의해 펀칭 어셈블리(100)와 니들 조정부(250)의 결합팁(255)이 결합된 상태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펀칭 어셈블리(100)의 자석부(55)와 결합팁(255)이 자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펀칭결합 제어신호에 의해 901과 같은 구조에서 펀칭부(90)의 핀(91)이 니들부(10)보다 더 확장하여 돌출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펀칭 조정 제어신호에 의해 두번째 동작 상태의 모발 이식 장치(500b)와 같이 니들 조정부(250)의 결합팁(255)이 Pos_A에서 Pos_B로 전진한다. 그 결과 니들부(10) 및 펀칭 어셈블리(100) 역시 전진하여 니들부(10)의 끝과 핀(91) 사이에 특정한 길이(예를 들어 N_Length) 만큼의 공간이 생긴다.
전술한 공간을 통해 모낭이 흡입된다. 모낭의 흡입을 위한 흡입압은 전술한 도 4의 홀들(12, 32) 및 도 5의 바디 어셈블리(200)의 흡입부(212)를 통해 니들부(10)까지 전달되어 니들부(10) 끝단에서 니들부(10) 내로 모낭을 이동시킨다. 모낭이 니들부(10) 바깥으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흡입압은 지속하여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두피의 특정 위치에 니들부(10)를 삽입한다. 그리고 스위치(235)를 조정하거나 혹은 별도의 외부의 스위치(예를 들어 풋스위치 등)를 조정하여 삽입 제어신호를 두번째 상태의 모발 이식장치(500b)에 인가하면 Pos_B 상태에서 결합팁(255)이 후진하며 그로 인해 니들부(10) 및 펀칭 어셈블리(100) 역시 후진한다. 후진하는 거리는 앞서 N_Length 만큼 후진할 수 있다.
그 결과 니들부(10)의 끝과 핀(91) 사이에 특정한 길이(예를 들어 N_Length) 만큼의 공간에 배치되었던 모낭이 니들부(10)의 후진으로 인해 핀(91)에 밀려서 두피 내로 삽입된다.
모발 이식 장치들의 세 가지 동작 상태(500a, 500b, 500c) 중에서 두번째 및 세번째는 반복할 수 있다. 즉, 모낭을 흡입하는 모발 이식 장치(500b)의 상태와 모낭을 두피에 삽입하는 모발 이식 장치(500c)의 상태는 시술자의 시술 과정에서 반복될 수 있다.
전술한 N_Length는 모낭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피시술자의 두피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니들부(10)의 니들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부(10)의 니들의 직경은 모낭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교체 가능한 펀칭 어셈블리(100)의 니들 규격을 지시하는 정보가 펀칭 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디 어셈블리(200) 또는 이에 연결된 시스템에서 N_Length를 설정할 수 있다. N_Length는 앞서 살펴본 펀칭 스페이스부(50)이 공간의 길이가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또는 펀칭 스페이스부(50)의 공간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혹은 이보다 작은 값이 N_Length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모낭의 기본 길이를 7mm로 설정한 경우 니들의 크기 혹은 스위치(235)의 조작 등에 따라 펀칭 어셈블리(100)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5~9 mm의 모낭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니들부의 확대한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니들부(10)는 모낭의 흡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절개부(3)가 배치될 수 있다. 니들부(10)의 크기 혹은 모낭의 특성에 따라 절개부(3)는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발 이식 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시스템(1000)을 크게 살펴보면 흡입압 제공부(1010), 제어신호 제공부(1020), 모니터링부(1030) 및 중앙제어부(1050)으로 구성된다.
흡입압 제공부(1010)는 바디 어셈블리의 결합부(210)에 배치된 흡입부(212)와 연결된다. 흡입압 제공부(1010)는 니들부(10)의 규격 혹은 펀칭 어셈블리(100)의 특성에 따라 흡입압을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흡입압 제공부(1010)는 시술 과정에 따라 배출압을 제공할 수 있다.
배출압은 니들부를 통해 모낭을 두피 쪽으로 밀어내도록 니들부(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모발 이식 장치(500)가 모낭을 삽입하는 시점, 예를 들어 니들부(10)가 후진하는 시점에서 흡입압 제공부(1010)는 흡입압 제공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신호 제공부(1020)는 시술자가 235의 스위치 외에 외부에 배치된 스위치를 이용하거나 혹은 미리 설정된 예약 타이머 등에서 생성하는 제어신호를 바디 어셈블리(20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시술자의 편의성을 위해 스위치(235)가 제공하는 신호의 일부 혹은 전부를 모발 이식 장치(500)와 분리되며 시스템(1000)에 연결된 풋스위치(1025)에서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풋스위치(1025)와 컨트롤부(230)의 스위치(235)는 니들부(10)를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흡입압을 제공하는 제어 신호를 바디 어셈블리(200)에 제공한다. 이는 시술자의 편의를 위해 정교하게 손을 제어해야 하는 부분, 예를 들어 니들부(10)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세밀한 작업에서 시술자가 발을 통해 제어하고 시술자의 손은 바디 어셈블리(200)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로, 컨트롤부(230)의 스위치(235)는 펀치 어셈블리(100)를 교체하거나 니들부(10)의 초기 위치 또는 기준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혹은 삽입할 모낭에 맞추어 니들부(10)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필요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풋스위치(1025)는 펀칭 어셈블리(100)를 이동시키는데, 일 실시예로 모낭을 이식하기 위해 펀칭 어셈블리(100)를 후퇴시켜 니들부(10)가 후진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풋스위치(1025)를 밟을 때 펀칭 어셈블리(100)를 후퇴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모낭을 이식시키고, 풋스위치(1025)를 밟은 상태를 해제할 경우 펀칭 어셈블리(10)를 기존에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스위치들을 사용하고 특히 풋스위치(1025)를 사용할 경우, 시술자가 모낭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손의 이동 등에 의한 미세한 변동을 방지하여 모낭이 자동으로 정확하게 이식될 수 있도록 한다.
정리하면, 시스템(1000)은 제어신호를 바디 어셈블리(200)의 상기 컨트롤부(230)에 제공하는 풋스위치(1025)를 더 포함하는데, 특히 풋스위치(1025)는 모낭이 삽입될 두피의 공간을 확보한 니들부(10)를 후진시키는 제어신호를 바디 어셈블리(200)의 컨트롤부(230)에 제공한다.
또는 시술자가 특정한 작업을 한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제어신호 제공부(1020)가 특정한 제어신호를 모발 이식 장치(500)에 인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모발 이식 장치(500)의 스위치(235)를 제어하여 펀칭결합 제어신호가 발생하였음을 모니터링부(1030)에서 모니터링한 후, 일정 시간, 예를 들어 5초 이후에는 펀칭 조정 제어신호가 제어신호 제공부(1020)에서 모발 이식 장치(500)로 인가될 수 있다. 그리고 니들부(10)가 두피의 소정 공간을 확보하였음이 확인된 경우에 자동으로 삽입 제어신호가 제어신호 제공부(1020)에서 모발 이식 장치(500)로 인가될 수 있다. 또는 풋스위치(1025)에 의해 삽입 제어신호가 제어신호 제공부(1020)를 거쳐서 모발 이식 장치(500)로 인가될 수 있다.
자동으로 삽입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실시예로는 니들부(10)에 부착된 센서의 센싱된 정보에 기반하여 니들부(10)가 두피에 삽입되었는지를 모니터링부(1030)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흡입압 제공부(1010)가 모낭이 삽입된 이후에 니들부(10)가 두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흡입압이 고르지 않음을 센싱하여 두피 삽입으로 확인된 정보를 모니터링부(1030) 및 중앙제어부(1050)에 제공할 수 있다. 두피 삽입을 확인한 경우, 모니터링부(1030) 및 중앙제어부(1050)는 제어신호 제공부(1020)를 제어하여 삽입 제어신호를 모발 이식 장치(500)로 인가한다.
또한, 제어신호 제공부(1020)는 모발 이식 장치(500)의 니들부(10)가 후진하면 펀칭 어셈블리(100) 또는 바디 어셈블리(200)가 펀칭부(90)를 후진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스템(1000)은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여 모낭을 삽입하는 모발 이식 장치에 흡입압을 제공하여 모발 이식 장치의 니들부를 통해 모낭의 흡입을 제어하는 흡입압 제공부(1010), 모발 이식 장치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신호 제공부(1020), 흡입압 제공부(1010) 및 제어신호 제공부(1020)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1050), 그리고 시술 과정과 니들의 상태 등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1030)을 포함하며, 부수적으로 풋스위치(1025)를 통해 모발 이식 장치(500)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발 이식 장치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모발 이식 장치(2500)의 구성요소로는 교체 가능한 펀칭 어셈블리(2100)와 교체되지 않는 바디 어셈블리(2200)로 나뉘어질 수 있다. 펀칭 어셈블리(2100)의 니들부(2010)는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는 것으로 중공 형태의 니들을 일 실시예로 한다. 펀칭부(2090)는 내에 배치되어 모낭을 공간에 삽입한다.
또한, 펀칭 어셈블리(2100)는 니들부(2010)의 첨단부에서 모낭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전달하며 펀칭부(2090)와 니들부(2010)를 결합킨다. 펀칭 어셈블리(2100)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은 앞서 살펴보았으며 이들은 선택적으로 펀칭 어셈블리(2100)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바디 어셈블리(2200)는 니들 조정부(2250) 및 컨트롤부(2230)를 포함한다. 니들 조정부(2250)는 일종의 모터와 같이 니들부(2010)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컨트롤부(2230)는 니들 조정부(2250)의 동작을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니들부(2010)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킨다. 또한 니들부(2010)의 전진 또는 후진된 결과를 시스템(1000)으로 전달하고 시스템(10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역할도 한다.
컨트롤부(2230)는 시술자가 버튼을 눌러서 니들 조정부(2250)의 동작을 제어하여 니들부(201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니들 조정부(2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3과 같이 니들부(2010a) 내에 펀칭부(2090a)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서 펀칭부(2090a)와 니들부(2010a) 사이의 미세한 공간(5)은 모낭(2)은 통과하지 못하지만 공기는 흡입할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시술자가 두피에 니들부(2010a)를 수직으로 세워 삽입하는 경우 펀칭 어셈블리(2100)에 전달되는 흡입압(1301)에 의해 모낭(2)은 펀칭부(2090a)의 끝 부분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펀칭부(2090a)가 모낭을 밀어낼 수 있도록 모발 이식 장치의 제어에 의해 니들부(2010a)를 후진시킬 경우에는 시스템(1000)의 제어에 따라 혹은 바디 어셈블리(2200)의 제어에 따라 흡입압의 제공을 중단시켜 모낭(2)이 안정적으로 두피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니들부(2010a)가 후진할 수도 있으나 이와 동시에 펀칭부(2090a)가 전진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니들부(2010a)와 펀칭부(2090a)의 동작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401은 두피(1399)에 소정의 모낭 이식용 공간을 니들부(2010a)가 확보한 상태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흡입압에 의해 모낭(1202)은 펀칭부(2090a)에 붙어있을 수 있다.
14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모낭(1202)의 삽입이 니들부(2010a)의 후진만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펀칭부(2090a)는 원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모낭(1202)이 쉽게 두피(1399) 내에 삽입되도록 흡입압이 제거될 수 있다. 또는 흡입압을 제거함과 동시에 시스템(1000)에서는 배출압(1302)을 제공하여 모낭(1202)이 보다 쉽게 두피(1399) 내에 1202a와 같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140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모낭(1202)의 삽입이 니들부(2010a)의 후진 및 펀칭부(2090a)의 전진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1401 및 1402와 비교할 때 1403에서의 펀칭부(2090a)는 하강한 상태이다. 마찬가지로 흡입압을 제거함과 동시에 시스템(1000)에서는 배출압(1302)을 제공하여 모낭(1202)이 1202b와 같이 두피(1399) 내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1402 및 1403의 프로세스는 모낭의 특성 또는 두피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1402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니들부(2010a)만 전진 및 후진하면 되나, 1403과 같은 실시예에서는 펀칭부(2090a)를 순간적으로 전진시키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부(2010a)의 후진으로 인해 펀칭부(2090a)의 전진을 트리거시키는 구성장치가 펀칭 어셈블리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와 같이 펀칭 어셈블리의 니들부(10) 및 이와 연결된 펀칭바디부(11), 펀치커버(30)가 일괄적으로 후진하면(1501), 펀칭 스페이스부(50)에 배치된 톱니바퀴와 같은 구성요소가 펀칭부(90)를 1502와 같이 전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펀칭 스페이스부(50)의 고정은 및 전진 혹은 후진은 톱니바퀴를 조절하여 가능하다.
정리하면 도 1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종류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첫번째 실시예로, 펀칭부(2090a)이 고정되고 펀칭바디부(11), 펀치커버(30), 그리고 이에 연결된 니들부(10)가 S_Len의 범위 내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 경우, 펀칭부(2090a)를 고정시키는 구성이므로 쉽게 교체가능한 펀칭 어셈블리(2100)의 제작 단가를 낮추고 펀칭 어셈블리(2100)를 보다 쉽게 바디 어셈블리(2200)에 결합시키거나 혹은 탈착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펀칭부(2090a)이 별도의 장치에 의해 펀칭바디부(11), 펀치커버(30), 그리고 이에 연결된 니들부(10)가 S_Len의 범위 내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안, 니들부(10)의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다른 실시예로 한다. 이 경우, 펀칭부(2090a)가 소정의 방식으로 니들부(10)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므로 니들부(10)의 이동 거리를 줄이면서도 모낭을 심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펀칭 어셈블리, 또는 펀칭 어셈블리와 바디 어셈블리를 결합한 모발 이식 장치, 또는 모발 이식 장치와 연결되는 시스템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모발 이식을 위한 니들부가 모발 이식 장치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모발 이식 과정에서 니들이 무뎌질 경우에 교체를 통해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모발 이식 장치에서 니들부 및 이를 포함하는 펀칭 어셈블리를 피시술자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감염 위험을 없앨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10: 니들부 90, 2090: 펀치부
100, 2100: 펀칭 어셈블리 200, 2200: 바디 어셈블리
230, 2230: 컨트롤부 250, 2250: 니들 조정부
1000: 시스템 1010: 흡입압 제공부
1020: 제어신호 제공부 2030: 모니터링부
1025: 풋스위치 1050: 중앙제어부

Claims (20)

  1.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는 니들부와, 상기 니들부 내에 배치되어 모낭을 상기 공간에 삽입하는 펀칭부와, 상기 니들부의 첨단부에서 모낭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전달하며 상기 펀칭부 및 상기 니들부를 결합하는 펀칭 어셈블리; 및
    상기 펀칭 어셈블리의 상기 니들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니들 조정부와, 상기 니들 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바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펀칭부는 상기 바디 어셈블리에 고정되며,
    상기 펀칭 어셈블리는
    상기 니들부를 고정시키는 펀칭바디부와, 상기 펀칭부가 배치되는 펀칭스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펀칭 어셈블리는 상기 펀칭바디부와 상기 니들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니들부 내에 배치되어 분비물을 흡수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모발 이식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어셈블리에 상기 니들부가 탈착 및 결합되며,
    상기 펀칭 어셈블리는 상기 니들부의 결합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니들센서를 더 포함하는, 모발 이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스페이스부는 상기 펀칭부와 상기 니들부의 최대 선형이동 간격을 제한하는, 모발 이식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조정부는 상기 니들부와 상기 펀칭부의 간격을 상기 컨트롤부에서 설정한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모발 이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는 상기 니들부의 니들 반경에 따라 상기 니들부와 상기 펀칭부의 간격을 제어하는, 모발 이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 어셈블리는 상기 바디 어셈블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모발 이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가 후진하면 상기 펀칭 어셈블리 또는 상기 바디 어셈블리는 상기 펀칭부를 전진시키는, 모발 이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가 후진하면
    상기 니들부를 통해 배출압이 제공되는, 모발 이식 장치.
  11.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여 모낭을 삽입하는 모발 이식 장치에 흡입압을 제공하여 상기 모발 이식 장치의 니들부를 통해 모낭의 흡입을 제어하는 흡입압 제공부;
    상기 모발 이식 장치에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신호 제공부; 및
    상기 흡입압 제공부 및 상기 제어신호 제공부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발 이식 장치는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는 상기 니들부와, 상기 니들부 내에 배치되어 모낭을 상기 공간에 삽입하는 펀칭부와, 상기 니들부의 첨단부에서 모낭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전달하며 상기 펀칭부 및 상기 니들부를 결합하는 펀칭 어셈블리; 및
    상기 펀칭 어셈블리의 상기 니들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니들 조정부와, 상기 니들 조정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바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 제공부는 상기 펀칭부 및 상기 니들부의 간격을 설정하거나 또는 상기 니들부의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상기 컨트롤부에 제공하는, 시스템.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는 상기 바디 어셈블리에 고정되며,
    상기 펀칭 어셈블리는
    상기 니들부를 고정시키는 펀칭바디부와,
    상기 펀칭부가 배치되는 펀칭스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가 후진하면 상기 펀칭 어셈블리 또는 상기 바디 어셈블리가 상기 펀칭부를 전진시키도록 상기 제어신호 제공부가 상기 바디 어셈블리에게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가 후진하면
    상기 흡입압 제공부는 상기 니들부를 통해 배출압을 제공히는,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상기 컨트롤부에 제공하는 풋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풋스위치는 상기 니들부를 후진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바디 어셈블리의 상기 컨트롤부에 제공하는, 시스템.
  18. 두피에 모낭 이식용 공간을 확보하는 니들부; 및
    상기 니들부 내에 배치되어 모낭을 상기 공간에 삽입하는 펀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부의 첨단부에서 모낭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압을 전달하며 상기 펀칭부 및 상기 니들부를 결합하며,
    상기 니들부를 고정시키는 펀칭바디부와,
    상기 펀칭부가 배치되는 펀칭스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펀칭 어셈블리는 상기 펀칭바디부와 상기 니들부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상기 니들부 내에 배치되어 분비물을 흡수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펀칭 어셈블리.
  19. 삭제
  20. 삭제
KR1020170048547A 2017-04-14 2017-04-14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95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47A KR101956871B1 (ko) 2017-04-14 2017-04-14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47A KR101956871B1 (ko) 2017-04-14 2017-04-14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314A Division KR20180116192A (ko) 2018-10-16 2018-10-16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68A KR20180115968A (ko) 2018-10-24
KR101956871B1 true KR101956871B1 (ko) 2019-06-19

Family

ID=6413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547A KR101956871B1 (ko) 2017-04-14 2017-04-14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841B1 (ko) * 2018-11-19 2023-08-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모발이식 장치
KR102457429B1 (ko) * 2020-05-13 2022-10-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트리지 교체형 전자동 식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466B1 (en) * 1992-10-01 1999-06-01 Medicamat Sa Device for transplanting small diameter hair grafts
US20080033455A1 (en) * 2006-08-03 2008-02-07 Rassman William R Hair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KR101716854B1 (ko) * 2016-07-22 2017-03-15 박재현 모발 추출용 핸드피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457B1 (ko) 2011-11-25 2013-06-05 김문규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8466B1 (en) * 1992-10-01 1999-06-01 Medicamat Sa Device for transplanting small diameter hair grafts
US20080033455A1 (en) * 2006-08-03 2008-02-07 Rassman William R Hair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KR101716854B1 (ko) * 2016-07-22 2017-03-15 박재현 모발 추출용 핸드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68A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6201B (zh) 集成有组织提取功能的外科装置
JP4943022B2 (ja) サイズ可変側面開口を備えた生検装置
EP0904022B1 (en) Apparatus for sampling body fluid
KR20180102107A (ko) 최소 침습형 조직 채취 장치
JPWO2004021886A1 (ja) 侵襲装置、及び生体内液測定装置
KR20180137500A (ko) 미용 피부 리설페이싱용 디바이스 및 방법
CN113855385A (zh) 用于治疗剂的脉络膜上施用的方法和设备
US10952903B2 (en) Tympanic membrane repair device
KR101956871B1 (ko)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Z299524B6 (cs) Systém pro odber telní tekutiny z oblasti v cástitela, zejména z bríška prstu
JP2008508942A (ja) 組織受け入れ開口の方向性及び部位照明が選択可能な生検装置
BR112021008001A2 (pt) sistemas e métodos para tratamento da pele
JP2013538080A (ja) 皮膚移植片の適用方法
KR20160142683A (ko) 자동 식모 장치
US20200238067A1 (en) Self-deploying injector for impl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170067848A (ko) 앵커/임플란트 전개 장치 및 그에 관련된 조직 수복 방법
KR20180116192A (ko) 펀칭 어셈블리, 모발 이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WO2014136119A1 (en) Implantating device
KR20160142691A (ko) 자동 식모 장치
KR20190008744A (ko) 멈춤 기능을 구비한 내시경 조직 검사용 포셉 장치
KR102569237B1 (ko) 연질 조직 내에 채널을 생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WO2023049500A2 (en) Skin treatment systems, devices, and methods
DK2399623T3 (en) A device for insertion of an insertion element into the tissue of a patient's body
WO20200896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electrode-based probes into biological tissue
ES2387681T3 (es) Aparato para la recogida de muestra líquida orgán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