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036B1 -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036B1
KR102658036B1 KR1020210122909A KR20210122909A KR102658036B1 KR 102658036 B1 KR102658036 B1 KR 102658036B1 KR 1020210122909 A KR1020210122909 A KR 1020210122909A KR 20210122909 A KR20210122909 A KR 20210122909A KR 102658036 B1 KR102658036 B1 KR 102658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ndpiece
needle
transplant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9940A (ko
Inventor
최운하
강보성
변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약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약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약품
Priority to KR102021012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03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3Punch like cutting instruments, e.g. using a cylindrical or oval kni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17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017/00115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 A61B2017/00128Electrical control of surgical instruments with audible or visual output related to intensity or progress of surgic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89Button or wheel for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e.g. rotation of shaft and end eff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734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atter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7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edal-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는 식모침이 형성되며 피부를 천공하여 모낭을 추출하거나 이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식모기와, 상기 식모기가 일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식모침을 전방으로 출몰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풋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Hair transplanter's auto driving apparatus for auto control}
본 발명은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낭이식을 위해 니들이 피부에 구멍을 낼 때 자동제어를 통해 일정한 조건에서 모낭을 추출 또는 이식하여 피부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두피의 모발(두발)은 사람의 외모를 표현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불모 영역이 커지거나, 무모증 또는 수술 등에 의한 두피부의 흉터에 의해 모발의 수가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약물에 의한 치료방법과 수술에 의한 치료방법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약물치료방법은 발모제와 같은 특정 약물을 바르거나 탈모에 영향을 주는 호르몬을 억제시키는 특정 약물을 복용하는 방법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바르는 약물은 하루에 두 번 정도 일정한 시간대에 불모영역 내지 탈모영역에 바르는 것이나, 매우 고가인 반면에 끈적거리고 약 5% 정도의 낮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더욱이 계속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 효과를 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상기 복용 약물은 발모제에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보이지만, 역시 매일 복용하여야 하고 부작용이 크다.
예를 들어, 남성의 경우에는 복용 환자의 약 3 내지 15%에서 성기능 장애가 보고되고 있고, 여성의 경우에는 사용할 수도 없다.
따라서, 보다 근본적인 방법으로, 자신의 두피 중 일부 모발을 그것의 모낭까지 채취하여 불모영역에 직접 이식하는수술 치료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탈모 증세가 없는 영역(이하, '발모영역'이라 함)의 모발을 불모영역에서 성장하게 함으로써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한 이식 수술의 종래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수술을 원하는 환자의 두발을 짧게 자르고, 발모영역의 피부를 폭 1㎝, 길이 10㎝ 정도의 크기로 이식용 모낭 피부로서 잘라낸 뒤, 공여부의 절개창상 부분은 당겨서 봉합하며, 잘라낸 이식용 모낭 피부로부터 각각의 모낭을 일정량씩 채취 및 분리한다.
그런 다음, 특정한 불모영역의 모공을 천공하고 여기에 상기 채취한 모낭을 각각 심는 단계로 진행된다.
이때 모낭이식장치는 원통형 바디 내부에 니들이 바디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니들 내부에 긴 막대 형태의 스태프(staff)가 삽입되어 있으며, 니들은 식모 부위에 구멍을 내는 역할을 하며, 스태프는 모낭을 두피 조직 내에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모낭 이식은 니들 단부에 형성된 절개홈에 모낭을 위치시킨 후 니들을 두피에 삽입시킨 후 니들만 원통형 바디 내부로 이동시키면, 스태프 단부에 의해 모낭이 니들에서 분리되며 두피 내에 이식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니들이 모낭 이식을 위해 피부에 구멍을 뚫을 때 시술자의 경험에 의존하므로 과도한 힘이나 속도로 피부가 손상되고, 이로 인해 이식 부위에 추가적인 상처가 발생하여 완치되는데 시간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니들이 모낭을 이식하기 위한 구멍을 뚫을 때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생체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속도 및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술자가 설정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장치로 모낭을 추출하거나 이식할 수 있는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은 일단에는 식모침이 형성되며 피부를 천공하여 모낭을 추출하거나 이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식모기와, 상기 식모기가 일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식모침을 전방으로 출몰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풋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의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사전에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보조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어 시술 각도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분리한 상태로 휴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의 상기 풋스위치는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시술자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의하면, 니들이 모낭을 이식하기 위한 구멍을 뚫을 때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생체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를 통해 속도 및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술자가 설정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로 모낭을 추출하거나 이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식모기가 장착된 일예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식모기의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식모기의 일예가 도시된 분해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장착된 식모기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낭이식을 위해 니들이 피부에 구멍을 낼 때 자동제어를 통해 일정한 조건에서 모낭을 추출 또는 이식하여 피부의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은 일단에는 식모침(120)이 형성되며 피부를 천공하여 모낭을 추출하거나 이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식모기(100)와, 식모기(100)가 일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모터의 동력에 의해 식모침(120)을 전방으로 출몰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핸드피스(200)와, 핸드피스(200)와 케이블(320)로 연결되며 핸드피스(20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310)로 출력하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부(300)와, 제어부(300)와 연결되며 핸드피스(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드피스(200)는 제어부(300)로부터 사전에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보조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어 시술 각도에 따라 케이블(320)을 분리한 상태로 휴대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시술자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제어부(300)의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모기(100)는 피부에 삽입되어 모낭을 추출하거나 추출된 모낭을 피부에 삽입하여 이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일단에는 식모침(120)이 구비되어 있어 피부를 뚫어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식모기(100)의 타단은 핸드피스(200)에 탈착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시술 후 살균소독 및 멸균을 통해 사용이 가능하므로 의료감염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핸드피스(200)는 시술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에는 식모기(100)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내부에 형성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식모침(120)이 자동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식모침(120)은 모터에 의해 식모기(100)로부터 출몰되는 것 외에 모터의 회전방향을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낭을 추출하거나 이식할 때 피부를 식모침(120)이 피부를 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드피스(200)는 내부에 보조 배터리(B)가 형성되어 있어 케이블(320)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일정시간동안 동작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케이블(320)에 의해 시술각도가 불안정한 경우 핸드피스(200)를 케이블(320)과 분리시켜 안정된 자세로 모낭을 추출하거나 이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핸드피스(200) 내부에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어 제어부(300)로부터 설정된 설정값이 저장되어 있게 되며, 핸드피스(200)의 외면에는 구동버튼(260)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어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구동버튼(260)은 케이블(320)이 분리된 상태에서만 동작되도록 하여 오작동에 의한 의료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모기(100)와 핸드피스(200)에 관한 세부 구조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300)는 핸드피스(200)가 케이블(3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핸드피스(200)가 구동되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설정된 범위 내에서 동작되도록 조절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핸드피스(200)로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제어부(300)의 배면에는 케이블(32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가 마련되어 있으며, 단자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있어 다수 개의 핸드피스(200)를 연결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블(320)이 연결되는 단자는 핸드피스(200) 외에 전원공급을 위한 어댑터 및 핸드피스(200)의 동작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케이블(32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단자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0)에는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디스플레이(310)가 마련되어 있어 시술자가 모낭이식을 위해 사용되는 설정값 및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터치스크린 및 버튼을 통해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310)에는 핸드피스(200)의 동작 횟수를 표시하는 카운트 표시부(3101), 핸드피스(200)의 모터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속도표시부(3102), 식모침(120)의 회전각도를 설정하거나 표시하는 오실레이션 표시부(3103), 현재 설정된 값을 제어부(300)의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프로그램 선택버튼(3104), 현재 모터의 정회전, 역회전 방향을 표시하는 모터 회전 방향 표시부(3105), 변경하여 미리 설정된 값을 출력하거나 세부 설정값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심플/노멀/전문가 모드로 변경하는 모드설정버튼(3106),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의 누르는 힘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감속할지 선택하는 가감속 선택버튼(3107),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전환하는 모터 회전 버튼(3108), 핸드피스(200)의 동작 횟수를 초기화하는 리셋 버튼(3109), 모터의 회전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하는 속도 가속 버튼(3110) 및 속도 감속 버튼(3111), 제어부(300)의 전원을 켜거나 끄도록 형성되는 전원버튼(3112)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각 버튼을 동작시키면 핸드피스(200)를 동작하기 위한 설정값이 변동되게 되며, 이러한 설정값을 통해 핸드피스(200)가 구동될 때 동작되는 모터의 회전방향,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바닥에 형성되어 있으며, 핸드피스(200)를 작동시킬 때 사용되는 것으로 케이블(320)을 통해 제어부(300)에 형성된 단자와 연결되게 된다.
여기서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발로 밟게 되면 핸드피스(200) 내 모터가 회전되면서 식모침(120)이 출몰되거나 회전되게 되며,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1회 밟을 때는 식모침(120)이 출몰, 2회 연속으로 밟을 때는 식모침(120)이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3번 연속으로 밟게 되면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부(300)에 설정된 동작방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시술자가 눌렀을 때 발생하는 가압력에 따라 핸드피스(200)의 모터 회전수를 제어부(300)에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감속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제어부(300)에서 모터의 회전속도를 설정할 때 최소값과 최대값을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풋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밟았을 때 최소값의 회전속도로 핸드피스(200)의 모터가 구동되고, 누르는 압력이 증가될수록 최대값에 가까워지도록 회전수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의 전면에는 핸드피스(20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330)가 마련되어 있으며, 핸드피스(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거치대(330)에 거치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식모기가 장착된 일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모기(100)는 기존과 마찬가지로 외관에서 보여지는 몸체(110)와, 식모침(120)과, 손잡이(160)와,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와, 심축 길이조절부(180)와, 누름 조작부(190)를 포함하되, 상기 누름 조작부(190)를 눌러줌에 따라 상기 식모침(120)이 출몰되고, 이에 따라 식모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핸드피스(200)로부터 동력 전달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누름 조작부(190)에 별도의 잠금용 홈(191)이 구성된다.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핸드피스(200)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에 내장된 회전축(220)이 구비된 모터(M)와, 상기 모터(M)에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보조 배터리(B)와, 상기 모터(M)의 동력을 상기 식모기(10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미도시)과, 상기 식모기(100)를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캡(250)과, 상기 모터(M)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동버튼(260)과, 상기 식모기(100)를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탈착시키는 잠금해제버튼(270)으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식모기의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식모기의 일예가 도시된 분해 조립도이다.
상기 식모기는 몸체(110)와, 식모침(120)과, 식모침 고정부(130)와, 심축(140)과, 심축 고정부(150)와, 스프링(S)과, 손잡이(160)와,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와, 심축 길이조절부(180)와, 누름 조작부(19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전방에 원추형 캡이 구비된 중공의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110) 내부에 위치될 식모침 고정부(130)가 상기 몸체(110) 외부에 위치될 손잡이(16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0)에는 축 방향으로 긴 형상의 홀(110h)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에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홀(110h) 내부에서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와 손잡이(160)의 결합 부분이 이동된다.
상기 식모침(120)은 상기 몸체(110)의 캡에 일정 길이 노출되도록 상기 몸체(110) 내부에 설치되는데, 두피 또는 특정 부위에 찔러줄 수 있도록 전방에 뾰족하게 형성되고, 두피 또는 특정 부위에 모낭이 심길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도록 중공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식모침(120)은 여러 개의 모낭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장방형의 긴 홀(120h)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식모침(120)의 홀(120h)에는 모낭들이 수동적으로 공급될 수도 있지만, 연속모낭공급장치에 의해 모낭들을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는 상기 식모침(120)의 후단이 축방향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60)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식모침(120)을 상기 손잡이(160)와 일체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동시에 상기 식모침(12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손잡이(160)와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부(131)가 구비되며,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의 나사부(131)를 통하여 상기 식모침(120)이 상기 몸체(110)로부터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심축(140)은 상기 식모침(120)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축 형상으로 상기 식모침(120) 내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심축(140)의 선단이 상기 몸체(110)의 캡 단부와 거의 일치하거나, 일부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식모침(120)이 상기 몸체(110)의 캡으로부터 출몰하면, 상기 심축(140)은 상기 식모침(120)의 홀(120h)에 올려진 모낭을 밀어주어 두피에 모낭이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심축 고정부(150)는 상기 심축(140)의 후단이 축방향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 내주면에 고정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심축 고정부(150)의 외주면과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 내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심축(140)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S)은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와 상기 심축 고정부(150) 사이에 상기 심축(140)의 외주연에 삽입되도록 축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를 상기 심축 고정부(150)에 탄성 지지하여 상기 식모침(120)의 출몰 동작 시에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을 부여한다.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몸체(110)의 후방 외주연에 결합되는데, 상기 손잡이(160)의 선단 내부에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160)의 후단 내부에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가 연결된다. 물론,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의 나사부(131)와 맞물리도록 내주면에 나사부(161)가 형성되고, 상기 식모침 고정부(130)의 나사부(131)가 상기 손잡이(160)의 나사부(161)와 맞물리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식모침(120)과 식모침 고정부(130)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홀(110h)의 축방향 길이 범위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는 상기 몸체(110)의 캡 후단과 상기 손잡이(160) 선단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과 손잡이(160)의 내주면 사이에 결합되는데, 상기 식모침(120)이 상기 몸체(110)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의 외주면은 상기 손잡이(160)의 내주면에 억지 끼움되며,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의 선단이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60)가 걸림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이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의 내주면에 나사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가 상기 몸체(110)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식모침 길이조절부(170)와 연결된 상기 손잡이(160)와 식모침 고정부(130) 및 식모침(120)이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는 상기 몸체(110)의 후단 외주면과 상기 누름 조작부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심축(140)이 상기 몸체(110)로부터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세하게,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의 후단 내주면과 상기 몸체(110)의 후단 외주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의 내주면이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며,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전방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전후 이동을 통하여 심축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누름 조작부(190)는 일종의 캡 형상으로써,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단 외주면과 상기 심축 고정부(15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시술자가 누르는 힘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내주면과 상기 몸체(110)의 후단 외주면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내주면이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된다. 물론,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와 누름 조작부(190)는 나사 방향이 반대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서로 맞닿는 부분에서 상호 반반력을 발휘함으로써 상기 누름 조작부(190)가 눌려질 때마다 상기 누름 조작부(190)가 상기 몸체(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110)의 후방에 체결력을 유지한다.
특히, 상기 누름 조작부(190)는 하기에서 언급할 잠금용 돌기들(240 : 도 7에 도시)이 안착될 수 있도록 둘레 부분에 잠금용 홈(191)이 구비된다. 그런데, 하기에서 언급될 핸드피스(200)가 상기 식모기(100)에 동력을 전달할 때,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 : 도 7에 도시)이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의 외주면과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잠금용 홈(191)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동작하며,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 : 도 7에 도시)이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80)로부터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외주면으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 조작부(190)의 선단이 상기 잠금용 홈(191)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금용 홈(191)의 축방향 선단은 수직하게 형성된 반면, 상기 잠금용 홈(191)의 축방향 후단은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하기에서 설명될 잠금용 돌기들(240 : 도 7에 도시)의 형상에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상기 핸드피스는 케이스(210)와, 회전축(220)이 구비된 모터(M)와, 보조 배터리(B)와, 장착부(230)와, 잠금용 돌기들(240)과, 고정용 캡(250), 구동버튼(260 : 도 3에 도시)과, 잠금해제버튼(270 : 도 3에 도시)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0)는 전방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회전축(220)을 비롯한 모터(M), 보조 배터리(B), 장착부(230), 잠금용 돌기들(240)이 내장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210)의 외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버튼(260)과 잠금해제버튼(27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M)는 상기 케이스(21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는 소형 모터가 적합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장착부(23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22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장착부(230)가 축방향으로 출몰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스크루 타입의 회전축을 가진 스텝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버튼(260 : 도 3에 도시)은 상기 모터(M)의 회전축(2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선택하여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모터(M)에 전원을 인가한다.
보조 배터리(B)는 케이블(320)을 통해 전달되는 전력이 설정된 전력보다 적은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핸드피스(200)와 연결된 케이블(320)을 분리하여 사용할 때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되게 된다.
상기 장착부(230)는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부분적으로 단차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선단이 개방된 반면, 후단이 막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230)의 내주면 중간 부분은 단차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식모기(100 : 도 3에 도시)가 상기 장착부(230)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식모기(100 : 도 3에 도시)의 손잡이(160 : 도 4에 도시)가 상기 장착부(230)의 단차진 내주면에 걸려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장착부(230)의 후단이 상기 모터(M)의 회전축(220)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모터(M)의 회전축(220)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장착부(230)가 축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230)의 선단 외주면이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장착부(230)의 선단 외주면에 나사산(231)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230)의 선단 외주면이 상기 고정용 캡(250)의 내주면과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장착부(230)는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이 관통된 상태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긴 홀들이 구비된다.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은 상기 케이스(210) 내측에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쌍 이상 구비되며,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의 축방향 후단 일면은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반면,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의 축방향 선단 일면은 상기 잠금용 홈(191 : 도 4에 도시)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잠금해제버튼(270 : 도 3에 도시)은 반경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고정용 캡(250)은 선단 내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후단 내부에 나사산(251)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캡(250)의 선단 내주면이 단차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용 캡(250)의 선단은 상기 식모기(100 : 도 3에 도시)의 식모침 길이조절부(170 : 도 3에 도시)가 관통되는 동시에 상기 식모기(100 : 도 3에 도시)의 손잡이(160 : 도 3에 도시)가 걸림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용 캡(250)의 후단이 상기 장착부(230)의 선단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식모기(100 : 도 3에 도시)가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장착부(230)에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고정용 캡(250)은 상기 장착부(230)에 체결 시에 상기 케이스(2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장착부(230)와, 잠금용 돌기(240)와, 고정용 캡(250)은 상기 모터(M)의 동력을 상기 식모기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구동버튼(260 : 도 3에 도시)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터(M)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을 조절하도록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케이스(210) 외관에 구비된다.
상기 잠금해제버튼(270 : 도 3에 도시)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금용 돌기들(240)을 압축시켜 상기 식모기(100 : 도 4에 도시)의 잠금용 홈(191 : 도 4에 도시)에 탈착시키며, 마찬가지로 상기 케이스(210) 외관에 구비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장착된 식모기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과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잠금해제버튼(270)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식모기(100)를 상기 핸드피스(200) 내부의 장착부(230)에 끼워 넣고, 상기 식모기(100)의 몸체(110)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용 캡(250)을 상기 장착부(230)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식모기(100)를 상기 핸드피스(200)에 장착시킨 다음, 도 8의 (a)와 같이 시술자가 모낭을 이식하고자 하는 두피와 같은 특정 부위인 기준면에 상기 식모기(100)를 위치시키고, 모낭들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식모침(120)의 홀(120h : 도 6에 도시)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식모침(120)은 초기 위치인 기준면과 맞닿도록 위치하고, 상기 심축(140) 또는 몸체(110)의 선단 역시 초기 위치인 기준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장착부(230)의 후단도 초기 위치인 상기 회전축(220)의 후단에 위치한다.
이후, 시술자가 상기 구동버튼(260)을 누르면, 도 8의 (b)와 같이 상기 모터(M)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220)이 소정시간 동안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장착부(230)의 후단이 상기 회전축(220)을 따라 일정길이만큼 전진하여 상기 회전축(220)의 선단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230)가 상기 손잡이(160)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160)가 일정길이만큼 전진함에 따라 상기 식모침(120) 역시 기준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모침(120)은 모낭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식 부위를 찔러주어 구멍을 내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이 상기 잠금용 홈(191)에 맞물리기 전까지 상기 누름 조작부(19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누름 조작부(190) 역시 상기 손잡이(160)와 같이 일정길이만큼 전진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 조작부(190)가 일정길이만큼 전진함에 따라 상기 누름 조작부(190)와 같이 거동하는 상기 심축(140) 및 몸체(110)의 선단도 일정길이만큼 전진하여 기준면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심축(140) 또는 몸체(110)의 선단이 기준면과 맞닿으면,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이 상기 잠금용 홈(191)에 안착된다.
이후, 시술자가 상기 구동버튼(260)을 또 누르면, 도 8의 (c)와 같이 상기 모터(M)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220)이 소정시간 동안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장착부(230)의 후단이 상기 회전축(220)을 따라 일정길이만큼 후퇴하여 초기 위치인 상기 회전축(220)의 후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이 상기 잠금용 홈(191)에 맞물린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누름 조작부(190)를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의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누름 조작부(19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심축(140) 또는 몸체(110)의 선단 역시 기준면에 그대로 위치한다. 반면, 상기 장착부(230)가 상기 손잡이(160)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160)가 일정길이만큼 후퇴함에 따라 상기 식모침(120) 역시 일정길이만큼 후퇴하여 기준면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누름 조작부(19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상기 손잡이(160)가 후퇴하기 때문에 상기 심축(140)은 기준면에 그대로 위치하지만, 상기 식모침(120)은 상기 스프링(S : 도 5에 도시)을 압축하면서 기준면으로 후퇴하는 동시에 찔려진 부위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상기 심축(140)이 상기 식모침(120)에 놓인 모낭을 밀어주고, 모낭이 이식 부위에 식모되도록 한다.
이후, 시술자가 상기 잠금해제버튼(270)을 누르면, 도 8의 (d)와 같이 상기 잠금용 돌기들(240)이 상기 잠금용 홈(191)으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스프링(S : 도 5에 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 조작부(190)가 일정길이만큼 후퇴된다. 이때, 상기 누름 조작부(190)와 같이 거동하는 상기 심축(140) 및 몸체(110)가 기준면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 후퇴하여 초기 위치로 복원된다. 물론, 상기 식모침(120)은 초기 위치인 기준면에 그대로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이식 부위를 변경해가면서 반복하면, 손쉽고 빠를 뿐 아니라 정확한 식모 시술이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에 의하면, 니들이 모낭을 이식하기 위한 구멍을 뚫을 때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생체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속도 및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시술자가 설정내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로 모낭을 추출하거나 이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본 특허는 2020.09.01 ~ 2021.08.31까지 서울특별시의 재원으로 서울산업진흥재단을 통해 수행한 바이오·의료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으로 수행된 능동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춘 터치패드타입의 모낭채취장비 개발과제의 결과물로 출원되는 것임(BT200079).
100 : 식모기 120 : 식모침
140 : 심축 190 : 누름 조작부
191 : 잠금용 홈 200 : 핸드피스
210 : 케이스 220 : 회전축
230 : 장착부 240 : 잠금용 돌기들
250 : 고정용 캡 260 : 구동버튼
270 : 잠금해제버튼 300 : 제어부
310 : 디스플레이 3101 : 카운트 표시부
3102 : 속도표시부 3103 : 오실레이션 표시부
3104 : 프로그램 선택버튼 3105 : 모터 회전 방향 표시부
3106 : 모드설정버튼 3107 : 가감속 선택 버튼
3108 : 모터 회전 버튼 3109 : 리셋 버튼
3110 : 속도 가속 버튼 3111 : 속도 감속 버튼
3112 : 전원버튼 320 : 케이블
330 : 거치대

Claims (3)

  1. 일단에는 식모침이 형성되며 피부를 천공하여 모낭을 추출하거나 이식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식모기와;
    상기 식모기가 일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기 식모침을 전방으로 출몰시키거나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핸드피스와;
    상기 핸드피스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핸드피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풋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풋스위치는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있어 시술자가 가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설정된 범위 내에서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풋스위치는 연속으로 밟는 횟수에 따라 식모침이 출몰, 식모침이 회전,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사전에 입력된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보조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어 시술 각도에 따라 상기 케이블을 분리한 상태로 휴대하여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핸드피스의 외면에는 구동버튼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어부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버튼이 풋스위치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버튼은 상기 케이블이 분리된 상태에서만 동작되도록 하여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22909A 2021-09-15 2021-09-15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KR10265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09A KR102658036B1 (ko) 2021-09-15 2021-09-15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09A KR102658036B1 (ko) 2021-09-15 2021-09-15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940A KR20230039940A (ko) 2023-03-22
KR102658036B1 true KR102658036B1 (ko) 2024-04-18

Family

ID=8600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909A KR102658036B1 (ko) 2021-09-15 2021-09-15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0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5049A1 (en) 2007-11-13 2009-05-14 Eikon Device Inc. Power supply for a tattoo machine
JP2010540070A (ja) 2007-09-29 2010-12-24 レストレーション ロボティクス,インク. 頭皮を採取、保存、および移植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481949Y1 (ko) 2015-09-15 2016-11-30 한철 모발이식용 식모기
JP2020533119A (ja) * 2017-09-13 2020-11-19 デンツプライ シロナ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ットペダルコントローラを備えた歯科用装置
US20210145476A1 (en) * 2017-07-14 2021-05-2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ir transpla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340B1 (ko) * 2008-08-22 2011-03-04 허을 의료용 자동 트위스트 천공기 시스템
KR101271457B1 (ko) * 2011-11-25 2013-06-05 김문규 탈착 타입의 식모기 자동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40070A (ja) 2007-09-29 2010-12-24 レストレーション ロボティクス,インク. 頭皮を採取、保存、および移植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90125049A1 (en) 2007-11-13 2009-05-14 Eikon Device Inc. Power supply for a tattoo machine
KR200481949Y1 (ko) 2015-09-15 2016-11-30 한철 모발이식용 식모기
US20210145476A1 (en) * 2017-07-14 2021-05-2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ir transplant
JP2020533119A (ja) * 2017-09-13 2020-11-19 デンツプライ シロナ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ットペダルコントローラを備えた歯科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940A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2315B1 (en) Hair transplant device
CN108697437B (zh) 微创的组织采集装置
US72617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llicular extraction and transplantation
US71568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llicular extraction and transplantation
JP3035668B2 (ja) 毛根を皮膚に機械移植するシステム
US8202279B2 (en) Follicular extraction punch and method
KR101716854B1 (ko) 모발 추출용 핸드피스
KR20160142683A (ko) 자동 식모 장치
KR101699050B1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 니들 및 핸드피스
US11058450B2 (en) Punching needle and handpiece used for hair extraction
WO2018076721A1 (zh) 一种毛囊提取和种植一体化器械
JP6849606B2 (ja) 毛髪移植を改善するための器具、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658036B1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KR101018340B1 (ko) 의료용 자동 트위스트 천공기 시스템
JP3187336B2 (ja) 植毛器具及び植毛用組織装着治具
KR20230031507A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EP3609447B1 (en) Device for creating a channel in soft tissue
KR102003055B1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 니들 및 핸드피스
WO2019030655A1 (en) DEVICE FOR COLLECTING AND IMPLANTING HAIR WITH MANUAL ROTARY MECHANISM
KR20020003314A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0489429Y1 (ko) 모낭 채취장치
KR20220115229A (ko) 생체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니들이 구비된 모낭이식장치
CN201179090Y (zh) 一种穿刺针
JPH10211204A (ja) 植毛器具
CN117915864A (zh) 具有毛发移植物的直接针抽吸的植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