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429Y1 - 모낭 채취장치 - Google Patents

모낭 채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429Y1
KR200489429Y1 KR2020180005920U KR20180005920U KR200489429Y1 KR 200489429 Y1 KR200489429 Y1 KR 200489429Y1 KR 2020180005920 U KR2020180005920 U KR 2020180005920U KR 20180005920 U KR20180005920 U KR 20180005920U KR 200489429 Y1 KR200489429 Y1 KR 200489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hair follicle
user
operation member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9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기환
Original Assignee
공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기환 filed Critical 공기환
Priority to KR20201800059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4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4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3Punch like cutting instruments, e.g. using a cylindrical or oval knif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모낭 채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모낭 채취장치는, 모낭을 펀칭 방식으로 채취할 수 있는 모낭 채취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모낭을 채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 펀칭 니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부가 형성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를 전원의 공급시 모낭의 채취방향으로 전진 동작시키는 전진동작부재와, 상기 전동모터를 전원의 차단시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복귀 동작시키는 복귀동작부재가 마련되는 핸드피스;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전진동작부재의 동작 또는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 조작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 동작과 상기 전진동작부재의 전진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모낭의 채취시 핸드피스에 장착된 펀칭 니들을 회전 및 전진시켜 피부 내로 삽입시키고, 모낭의 채취 후 펀칭 니들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탄성력으로 복원시키는 동작에 의해 모낭을 펀칭 방식으로 채취함으로써, 모낭을 편리하게 채취할 수 있고, 시술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모낭 채취장치{APPARATUS FOR HARVESTING OF HAIR FOLLICLE}
본 고안은 모낭 채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의 공급시 핸드피스에 장착된 펀칭 니들을 회전 및 전진시켜 피부 내로 삽입시키고, 전원의 차단시 펀칭 니들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탄성력으로 복원시키는 동작에 의해 모낭을 펀칭 방식으로 채취할 수 있는 모낭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이식은 질병, 사고 등으로 인하여 인체의 피부에 모발이 손실된 경우에 모발이 손실된 부위에 새로운 모발을 이식하는 시술로, 이식할 모발을 획득하는 방법에 따라 절개식 모발이식(FUSS; Follicular Unit Strip Surgery)과 비절개식 모발이식(FUE; Follicular Unit Extracti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절개식 모발이식은 공여부로부터 일정 영역의 두피를 절개한 다음 절개된 두피에서 모낭을 추출해 필요한 부위에 이식하고, 공여부의 절개된 부위는 실로 봉합하는 시술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절개식 모발이식은 현재 모낭 단위 이식술의 시술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공여부의 두피를 절개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큰 고통을 주고, 절개 부위에 필연적으로 길고 큰 흉터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 비절개식 모발이식은 이러한 절개식 모발이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시술 방법으로, 환자의 두피를 절개하지 않고 모낭 분리기(핸드피스)를 이용해 환자의 피부로부터 이식할 모발을 추출하는 시술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비절개식 모발이식은 환자의 피부를 절개하지 않고 시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피부 절개에 대한 환자의 두려움을 없앨 수 있고, 시술 후 넓은 범위에 걸쳐 큰 흉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비절개식 모발이식에서 이식할 모발을 추출하기 위해 핸드피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시술자는 모발의 추출시 핸드피스의 전방에 장착된 펀칭 니들을 손의 힘으로 환자의 피부 내로 강제 삽입시켜 환자의 피부를 천공함으로써 모낭을 주위의 조직들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핸드피스는 내부에 전동모터 및 스핀들 조립체를 구비해, 전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스핀들 조립체에 결합된 펀칭 니들을 회전시키면서 펀칭 니들을 환자의 피부 내로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핸드피스를 이용해 모낭을 주위 조직들로부터 분리시키면, 포셉 등의 의료기구로 모발을 잡아 당겨 분리된 모낭을 외부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모낭을 채취시 시술자는 손의 힘으로 펀칭 니들을 피부 내로 강제 삽입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수백, 수천개의 모낭을 장시간 채취하는 과정에서 손가락 및 손목 등에 피로도가 집중되어 모낭의 채취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99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6873호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모낭의 채취시 핸드피스에 장착된 펀칭 니들을 회전 및 전진시켜 피부 내로 삽입시키고, 모낭의 채취 후 펀칭 니들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탄성력으로 복원시키는 동작에 의해 모낭을 펀칭 방식으로 채취함으로써, 모낭을 편리하게 채취할 수 있고, 시술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모낭 채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모낭을 펀칭 방식으로 채취할 수 있는 모낭 채취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모낭을 채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 펀칭 니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부가 형성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를 전원의 공급시 모낭의 채취방향으로 전진 동작시키는 전진동작부재와, 상기 전동모터를 전원의 차단시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복귀 동작시키는 복귀동작부재가 마련되는 핸드피스;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전진동작부재의 동작 또는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 조작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 동작과 상기 전진동작부재의 전진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 채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전진동작부재는, 상기 핸드피스의 내측 상부에 상기 전동모터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동모터를 모낭의 채취방향으로 전진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귀동작부재는, 상기 핸드피스의 내측 하부에 상기 전동모터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진동작부재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시 전동모터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사용자의 누름시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전진동작부재의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누름 해제시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전진동작부재의 정지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발판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모낭의 채취시 핸드피스에 장착된 펀칭 니들을 회전 및 전진시켜 피부 내로 삽입시키고, 모낭의 채취 후 펀칭 니들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탄성력으로 복원시키는 동작에 의해 모낭을 펀칭 방식으로 채취함으로써, 모낭을 편리하게 채취할 수 있고, 시술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낭 채취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낭 채취장치에 마련된 핸드피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낭 채취장치를 이용하여 모낭을 채취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모낭 채취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10)와, 사용자 조작부(20)와, 그리고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10)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을 상태에서 모낭의 채취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전동모터(12)와, 펀칭 니들(14)과, 전진동작부재(16)와, 그리고 복귀동작부재(18)를 포함한다.
상기 전동모터(12)는 펀칭 니들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13)가 형성되어 핸드피스(10)의 내부에 결합된다. 이때, 장착부는 전동모터(12)의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전동모터(12)는 모낭의 채취시 핸드피스(10)의 내부에서 전진동작부재(16)에 의해 모낭 채취방향으로 전진 동작되고, 모낭의 채취 후 복귀동작부재(18)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는 구조를 갖는다. 전동모터(12)는 모낭의 채취시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게 된다.
상기 펀칭 니들(14)은 전동모터(12)의 장착부(13)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펀칭 니들(14)은 모낭의 채취를 위해 핸드피스(10)의 선단부로 대략 2mm 돌출되도록 전동모터(12)의 장착부(13)에 장착된다. 이러한 펀칭 니들(14)은 전진동작부재(16)의 전진 동작에 따라 피부에 펀칭 방식으로 강제 삽입되어 모낭을 피부의 주위 조직들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전진동작부재(16)는 전동모터(12)를 모낭의 채취방향으로 전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핸드피스(1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전진동작부재(16)는 핸드피스(10)의 내부 상측에 전동모터(12)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솔레노이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전진동작부재(16)는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전동모터(12)를 모낭의 채취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도록 동작되게 된다. 여기서 전진동작부재(16)는 펀칭 니들(14)을 대략 3mm~6mm 정도로 전진시키게 된다. 이는 모낭이 피부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3mm~6mm 깊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복귀동작부재(18)는 전동모터(12)를 모낭의 채취 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핸드피스(1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서, 복귀동작부재(18)는 핸드피스(10)의 내측 하부에 전동모터(12)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복귀동작부재(18)는 전진동작부재(16)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시 전동모터(12)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즉, 전진동작부재(16)는 전원의 차단시 전동모터(12)를 모낭의 채취방향으로 전진시키는 힘이 소멸되며, 이에 따라 복귀동작부재(18)는 강한 탄성력에 의해 전동모터(12)를 핸드피스(10)의 내부에서 모낭의 채취 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 조작부(20)는 전동모터(12)와 전진동작부재(16)의 동작 또는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조작부(20)는 사용자의 누름시 전동모터(12)와 전진동작부재(16)의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30)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누름 해제시 전동모터(12)와 전진동작부재(16)의 정지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30)로 전송하는 발판 스위치로 형성된다. 이러한 사용자 조작부(20)는 발판 스위치로 형성됨에 따라 정확도와 인내가 요구되는 모낭의 채취시 핸드피스(10)를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제어부(30)는 사용자 조작부(20)의 신호에 따라 전동모터(12)의 회전 동작과 전진동작부재(16)의 전진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즉, 제어부(30)는 사용자 조작부(20)의 누름신호에 따라 전동모터(12)를 회전 동작시킴과 동시에 전진동작부재(16)를 전진 동작시키고, 사용자 조작부(20)의 누름 해제신호에 따라 전동모터(12)의 회전 동작과 전진동작부재(16)의 전진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낭 채취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피스(10)에 장착된 펀칭 니들(14)의 선단부를 채취하고자 하는 모낭(F)의 피부에 배치시키고, 사용자 조작부(20)를 눌러 제어부(30)에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30)는 사용자 조작부(20)의 동작신호에 따라 전동모터(12)를 회전시키고 이와 동시에 전진동작부재(16)를 동작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전동모터(12)는 모낭(F)의 채취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된다.
따라서, 펀칭 니들(14)은 전동모터(12)의 회전력과 전진동작부재(16)의 전진력에 의해 피부 내로 강제 삽입되어 모낭(F)을 피부의 주위 조작들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며, 포셉 등의 의료기구로 모발을 잡아 당겨 분리된 모낭(F)을 외부로 추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낭(F)이 피부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 조작부(2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여 제어부(30)에 정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30)는 사용자 조작부(20)의 정지신호에 따라 전동모터(12)와 전진동작부재(16)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즉, 제어부(30)에 의해 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면, 전동모터(12)의 회전이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전진동작부재(16)는 전동모터(12)를 모낭(F)의 채취방향으로 전진시키는 힘이 소멸되게 된다.
따라서, 복귀동작부재(18)는 강한 탄성력에 의해 전동모터(12)를 모낭(F)의 채취 전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낭 채취장치는, 모낭의 채취시 핸드피스(10)에 장착된 펀칭 니들(14)을 회전 및 전진시켜 피부 내로 삽입시키고, 모낭의 채취 후 펀칭 니들(14)의 회전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일정한 탄성력으로 복원시키는 동작에 의해 모낭을 펀칭 방식으로 채취함으로써, 모낭을 편리하게 채취할 수 있고, 시술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핸드피스
12: 전동모터
13: 장착부
14: 펀칭 니들
16: 전진동작부재
18: 복귀동작부재
20: 사용자 조작부
30: 제어부

Claims (4)

  1. 모낭을 펀칭 방식으로 채취할 수 있는 모낭 채취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모낭을 채취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내부에 펀칭 니들을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부가 형성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를 전원의 공급시 모낭의 채취방향으로 전진 동작시키는 전진동작부재와, 상기 전동모터를 전원의 차단시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복귀 동작시키는 복귀동작부재가 마련되는 핸드피스;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전진동작부재의 동작 또는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사용자 조작부; 및
    상기 사용자 조작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 동작과 상기 전진동작부재의 전진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진동작부재는 상기 핸드피스의 내측 상부에 상기 전동모터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동모터를 모낭의 채취방향으로 전진 동작시키는 솔레노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복귀동작부재는 상기 핸드피스의 내측 하부에 상기 전동모터를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진동작부재로 공급되는 전원의 차단시 전동모터를 일정한 탄성력으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 채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부는,
    사용자의 누름시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전진동작부재의 동작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누름 해제시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전진동작부재의 정지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발판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낭 채취장치.
KR2020180005920U 2018-12-19 2018-12-19 모낭 채취장치 KR200489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920U KR200489429Y1 (ko) 2018-12-19 2018-12-19 모낭 채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920U KR200489429Y1 (ko) 2018-12-19 2018-12-19 모낭 채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429Y1 true KR200489429Y1 (ko) 2019-06-14

Family

ID=6681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920U KR200489429Y1 (ko) 2018-12-19 2018-12-19 모낭 채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429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867A (ja) * 1999-03-31 2000-11-21 Ethicon Endo Surgery Inc 生検装置を用いた組織採取の制御装置
US20030097144A1 (en) * 2001-11-17 2003-05-22 Lee Hoon Bum Hair transplant device
WO2015012477A1 (ko) * 2013-07-26 2015-01-29 주식회사 하이로닉 모발 수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
KR20150086873A (ko)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하이로닉 채집 핸드피스
KR101600758B1 (ko) * 2015-08-18 2016-03-07 박춘배 식모기
KR20160058978A (ko) * 2006-09-20 2016-05-25 부트벨딩 아게 건축 재료의 앵커링
KR101874998B1 (ko) 2016-05-09 2018-07-05 박재현 투명부를 구비한 펀칭 니들 및 이를 이용하는 핸드피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867A (ja) * 1999-03-31 2000-11-21 Ethicon Endo Surgery Inc 生検装置を用いた組織採取の制御装置
US20030097144A1 (en) * 2001-11-17 2003-05-22 Lee Hoon Bum Hair transplant device
KR20160058978A (ko) * 2006-09-20 2016-05-25 부트벨딩 아게 건축 재료의 앵커링
WO2015012477A1 (ko) * 2013-07-26 2015-01-29 주식회사 하이로닉 모발 수집기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발 이식장치
KR20150086873A (ko) 2014-01-21 2015-07-29 주식회사 하이로닉 채집 핸드피스
KR101600758B1 (ko) * 2015-08-18 2016-03-07 박춘배 식모기
KR101874998B1 (ko) 2016-05-09 2018-07-05 박재현 투명부를 구비한 펀칭 니들 및 이를 이용하는 핸드피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17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llicular extraction and transplantation
US71568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llicular extraction and transplantation
CN108697437B (zh) 微创的组织采集装置
US8690895B2 (en) Methods of use of follicular unit harvesting tools for severing connective tissue
KR100512694B1 (ko) 모발이식 장치
US7998086B2 (en) Tissue extraction and maceration device
JP5686448B2 (ja) 回動保持部材を有する毛包単位の除去器具
US8066717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rvesting and implanting follicular units
JP3035668B2 (ja) 毛根を皮膚に機械移植するシステム
EP2775929B1 (en) Handheld tissue sample extraction device
KR101716854B1 (ko) 모발 추출용 핸드피스
US20090012536A1 (en) Hair harvesting device and method with localized subsurface dermal fluid insertion
WO2018076721A1 (zh) 一种毛囊提取和种植一体化器械
KR101699050B1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 니들 및 핸드피스
KR20160142683A (ko) 자동 식모 장치
KR200489429Y1 (ko) 모낭 채취장치
KR20170135532A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WO2014136119A1 (en) Implantating device
KR101874998B1 (ko) 투명부를 구비한 펀칭 니들 및 이를 이용하는 핸드피스
JP6808653B2 (ja) 埋込物除去器
JPH10151134A (ja) 植毛器具
KR101990048B1 (ko) 모발 추출용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KR102658036B1 (ko) 자동제어가 가능한 식모기 자동구동시스템
KR20180078962A (ko) 모발 추출에 이용되는 펀칭 니들 및 핸드피스
KR101393125B1 (ko) 진피추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