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5571A - 마이크로 니들 롤러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니들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5571A
KR20100085571A KR1020090004943A KR20090004943A KR20100085571A KR 20100085571 A KR20100085571 A KR 20100085571A KR 1020090004943 A KR1020090004943 A KR 1020090004943A KR 20090004943 A KR20090004943 A KR 20090004943A KR 20100085571 A KR20100085571 A KR 20100085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oller
handle
roller base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2095B1 (ko
Inventor
윤형
윤정일
Original Assignee
윤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형 filed Critical 윤형
Priority to KR102009000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0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23Drug applicators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61M2037/0053Methods for producing micronee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인 롤러를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에 의해 시술시 롤러가 신체부위의 굴곡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피부 표면에 긴밀히 접속될 수 있게 하고, 롤러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롤러를 손잡이에서 간단히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된 마이크로 니들 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중앙부에 지지봉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 안내관 부분에 상기 지지봉이 끼워지도록 안내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 베이스와, 상기 연결구의 바깥둘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롤러 베이스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슬라이드관과, 상기 롤러베이스에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다수의 니들이 있는 원판 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니들 롤러, 원판 디스크, 롤러 베이스, 피부재생

Description

마이크로 니들 롤러{Micro Needle Roller}
본 발명은 미세한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니들을 피부 표면에 접속시킨 상태로 가압하여 피부에 미세공이 형성되게 하고 이러한 미세공의 형성에 의해 피부표면을 자극하여 피부의 재생을 돕는 기구인 마이크로 니들 롤러에 관한 것이다.
피부과 치료 또는 미용 분야에서 니들로 피부의 표면을 자극함에 의해 피부의 재생을 도모하는 시술법이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술을 위해 다수의 미세 니들이 있는 니들 롤러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어 온 마이크로 니들 롤러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시술자 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한 형상으로 된 손잡이(1)와, 상기 손잡이(1)의 선단부 양측의 지지대(2)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원판 디스크(3)와, 상기 복수의 원판 디스크(3)를 손잡이(1)의 선단 지지대(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축(5)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각각의 원판 디스크(3)에는 방사상으로 긴 형태를 가지는 다수의 홈이 형성되고 각 홈에는 마이크로 니들(4)이 끼워져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시술자 또는 사용자가 손잡이(1)를 손으로 잡고 원판 디스크(3)부분을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서서히 밀어주면 지지대(2)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원판 디스크(3)가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원판 디스크(3)에 고정된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4)이 피부의 표층에 미세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 니들(4)에 의해 피부의 표층에 미세공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피부가 자극됨은 물론 이렇게 형성되는 미세공은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재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롤러을 구성하는 원판 디스크(3)가 손잡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대(2)에 고정되어 원판 디스크(3)가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전할 뿐 롤러가 손잡이(1)에 대한 상대회전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손잡이(1)를 잡고 자신의 신체에 대해 시술할 때 많은 불편함이 따른다.
예를 들어 혼자서 얼굴이나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한 신체부위를 시술할 경우 통상 거울을 이용하게 되는데, 롤러가 손잡이(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술과정에서 손잡이(1)가 시술부위를 자꾸 가리게 되므로 사용자는 거울을 보면서 정확한 부위의 시술을 시행하기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이나 거울의 방향을 이리저리 바꿔가면서 시술을 행해야 하고 신체의 굴곡부위를 시술하는 경우 롤러를 피부 표면에 접속시기 위해서는 굴곡방향에 따라 손잡이(1)를 쥐는 손의 각도를 변화시켜야 하므로 시술작업이 어렵고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
또한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시술을 전문으로 하는 시술소, 예를들어 피부과 병원이나 미용실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 한번 사용된 롤러는 다른 사람에게 사용할 수 없어 폐기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손잡이(1)와 원판 디스크(3)가 회전축(5)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는 구조이어서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하므로 손잡이를 포함한 제품 전체를 버려야 하는 단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인 롤러를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에 의해 시술시 롤러가 신체부위의 굴곡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피부 표면에 긴밀히 접속될 수 있게 하고, 롤러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롤러를 손잡이에서 간단히 분리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된 마이크로 니들 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중앙부에 지지봉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 안내관 부분에 상기 지지봉이 끼워지도록 안내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 베이스와, 상기 연결구의 바깥둘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롤러 베이스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슬라이드관과, 상기 롤러베이스에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다수의 니들이 있는 원판 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 베이스에는 접속관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접속관을 안내관에 결합함에 따라 롤러 베이스는 연결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속관의 내경면과 안내관의 외경면 중 어느 일측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에는 걸림홈을 형성되어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롤러 베이스에는 날개편과 공간홈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관이 공간홈으로 끼워짐에 따라 롤러 베이스의 회전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에는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를 회전시켜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에 끼움에 따라 지지봉이 안내관에서 돌출되면서 연결구에 결합된 롤러 베이스를 밀어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손잡이의 선단에 롤러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어 사용자가 굴곡이 있는 자신의 신체부위를 시술하는 경우에도 손잡이를 잡고 밀어주기만 하면 손잡이의 선단에 손잡이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롤러 조립체가 자동적으로 회전을 하면서 롤러의 원주면을 피부에 밀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신체의 굴곡에 따라 거울을 보면서 손잡이를 쥐는 방향을 바꾸어야 했던 종래의 것에 비해 시술 작업이 간편해지고, 거울을 보지 않고도 보이지 않는 부위의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롤러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손잡이에서 롤러를 분리시킨 후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므로 롤러와 손잡이를 함께 버려야 하는 종래 제품에 비해 교체비용이 적게 들고 폐기물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롤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크게 나누어 사용자 또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는 부위인 손잡이(10)와, 이 손잡이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구(20)와, 상기 연결구(20)의 선단에 결합되는 롤러 조립체(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구(20)는 손잡이(10)와 롤러 조립체(20) 사이에 설치되어 롤러 조립체(30)를 손잡이(10)에서 분리시키는 역할과, 이 연결구(20)에 결합된 롤러 조립체(2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구속상태로 부터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10)의 상단에는 지지봉(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구(20)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봉(11)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의 안내관(2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구(20)를 손잡이(10)에 결합하면 지지봉(11)이 안내관(21)내로 삽입되어 연결구(20)는 손잡이(1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지지봉(11)과 안내관(21)에는 각각 걸림돌기(12)와 걸림홈(22)이 형성되어 이들의 결합시 걸림돌기(12)는 걸림홈(22)으로 끼워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지지봉(11)에 걸림돌기(12)를 형성하고 안내 관(21)에 걸림홈(22)을 형성한 일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지지봉(11)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안내관(21)에 걸림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돌기(22)와 걸림홈(12)은 지지봉(11)이 안내관(21)에서 이탈되어 손잡이(10)와 연결구(20)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 걸림돌기(22)와 걸림홈(12)의 결합력 보다 큰 힘이 작용되면 연결구(20)는 손잡이(10)에서 분리된다.
또한 손잡이(10)의 상부 연결구 접속면(13)에는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14)이 있으며, 이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14)은 연결구(20)의 손잡이 접속면(24)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20)에 형성된 안내관(21)은 연결구(20)의 롤러 조립체 접속면(23)보다 더욱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손잡이(10)에 형성된 지지봉(11)의 길이는 연결구(20)의 조립시 안내관(21)의 상단과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구(20)를 회전시켜 하단 손잡이 접속면(24)을 손잡이(10)에 형성된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14)에 일치된 상태에서 연결구(20)를 손잡이(10)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힘에 의해 걸림돌기(22)가 걸림홈(12)으로 부터 빠져나옴과 동시에 연결구(20)가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14)으로 끼워지고 이때 지지봉(11)은 안내관(21)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연결구(20)의 바깥둘레에는 슬라이드관(27)이 결합되어 있으며,이 슬라이드관(27)은 롤러 조립체(30)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관(27)은 연결구(20)에 형성된 단턱(25)에 의해 그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상기 롤러 조립체(30)는 롤러 베이스(31)와, 상기 롤러 베이스(31)에 회전축(38)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원판 디스크(36)와 이 원판 디스크(36)에 고정된 다수의 니들(37)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롤러 베이스(31)에는 이 롤러 베이스(31)를 연결구(2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때 잡기 편하도록 날개편(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날개편(32)의 안쪽에는 상기 연결구(20)의 슬라이드관(26)이 삽입될 수 있는 간격의 공간홈(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베이스(31)의 하단부에는 이 롤러 베이스(31)를 연결구(20)에 결합하기 위한 접속관(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속관(34)은 연결구(20)에 형성된 안내관(21)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접속관(34)의 내경은 안내관(21)의 외경과 거의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조립시 안내관(21)을 접속관(34)내로 삽입함에 따라 롤러 베이스(31)는 연결구(2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며, 상기 안내관(21)과 접속관(34)에는 각각 걸림돌기(26)와 걸림홈(35)이 형성되어 롤러 베이스(31)는 연결구(20)로 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걸림돌기(26)와 걸림홈(35)의 결합력 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면 롤러 베이스(31)는 연결구(20)에서 분리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안내관(21)에 걸림돌기(26)를 형성하고 접속관(34)에 걸림홈(35)을 형성한 일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안내관(21)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접속관(34)에 걸림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롤러 베이스(31)에는 커버(40)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커버(40)는 비사용시 원판 디스크(36)와 니들(37)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의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도 3과 같이 손잡이(10)에 연결구(20)가 결합되고 이 연결구(20)에 롤러 조립체(30)가 결합된 상태로 사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시술자 또는 사용자가 손잡이(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롤러 조립체(30)의 원판 디스크(36) 부분을 피부 표면에 접촉시킨 후 서서히 왕복 이동시키면 롤러 베이스(31)에 설치된 다수의 원판 디스크(36)가 회전축(38)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원판 디스크(36)에 고정된 다수의 마이크로 니들(37)이 피부의 표층에 미세공을 형성하여 피부를 자극함은 물론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재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롤러 조립체(30)가 연결구(20)에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어 사용자가 직접 손잡이(10)를 손으로 잡고 보이지 않는 자신의 신체부위의 굴곡된 부분을 시술하는 경우 롤러 조립체(30)가 자동적으로 회전을 하면서 원판 디스크(36)의 표면을 굴곡된 부위에 밀착시키게 되므로 시술이 편리하고 용이해진다.
즉, 종래에는 보이지 않는 신체부위를 시술하는 경우 거울을 이용하여 해당부위를 보고 신체의 굴곡방향에 따라 손잡이(10)를 쥐는 방향을 바꾸어가면서 원판 디스크(36)의 표면을 피부에 밀착시켜야 했지만, 본 발명의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롤러 조립체(30)가 자동적으로 회전하면서 원판 디스크(36)의 표면을 피부에 밀착시켜 주므로 시술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한편, 피부과 병원이나 미용실 등의 전문 시술소에서 시술을 하는 경우 또는 등부위나 이마와 두피 등 표면적이 넓거나 굴곡이 없는 부위를 시술하는 경우에는 힘의 분산을 막기 위해 롤러 조립체(30)를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5와 같이 연결구(20)의 바깥둘레에 결합되어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하여 있던 슬라이드관(27)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도 6과 같이 슬라이드관(27)의 상단부가 롤러 베이스(31)의 날개편 (32) 안쪽에 형성된 공간홈(33)으로 삽입되어 롤러 베이스(31)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므로 롤러 조립체(30)는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렇게 롤러 조립체(30)을 고정시킨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시술자가 신체의 굴곡에 따라 손잡이를 잡은 손의 방향을 바꾸어 가면서 원판 디스크(36)의 표면을 피부에 밀착시키게 되며, 이때에는 롤러 조립체(30)가 회전하는 경우에 비해 원판 디스크(36)를 피부 표면에 보다 강한 힘으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특히 시술소에서 사용하는 경우 한번 사용된 롤러를 다른 사람에게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에는 제품 전체를 폐기하였으나, 본 발명의 마이크로 니들 롤러는 롤러 조립체(30)를 다른 것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롤러 조립체(30)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롤러 베이스(31)에 형성된 날개편(32)을 손으로 잡고 당겨 롤러 조립체(30)를 연결구(20)에서 분리하거나 또는 연결구(20)를 회전시킨 후 도면상 하방으로 이동시켜 롤러 조립체(30)를 연결구(2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롤러 베이스(31)의 날개편(32)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도면상 상방으로 당겨주면 그 힘에 의해 접속관(34)의 걸림홈(35)에 끼워져 있던 안내관(21)의 걸림돌기(26)가 걸림홈(35)에서 빠져나오게 되므로 롤러 조립체(30)을 연결구(2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는 달리 연결구(20)를 90도 각도로 회전시킨 후 도면상 하방으로 밀어 롤러 조립체(30)를 분리시킬 수도 있는데, 이렇게 연결구(20)를 하방으로 밀면 도 7과 같이 연결구(20)의 손잡이 접속면(24)이 연결구 접속면(13)에 형성된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14)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손잡이(10)에 형성된 지지봉(11)의 상단이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14)의 깊이 만큼 안내관(21)의 상방으로 돌출되며, 이때 안내관(21)에 결합되어 있던 롤러 베이스(31)는 돌출되는 지지봉(11)에 의해 도면상 상방으로 이동되어 연결구(20)로 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사용된 롤러 조립체(30)를 연결구(20)로 부터 분리시킨 후에는 새로운 롤러 조립체(30)를 연결구(20)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도 7과 같이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14)에 끼워진 연결구(20)를 상방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90도 각도로 회전시켜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 후 롤러 베이스(31)의 접속관(34)을 연결구(20)의 안내관(21)에 삽입하면 걸림돌(26)가 걸림홈(35)으로 끼워 지면서 롤러 조립체(30)는 연결구(20)에 결합된다.
도 1은 종래 마이크로 니들 롤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롤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니들 롤러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종단면도
도 5와 도 6은 슬라이드관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 5는 롤러 베이스의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도
도 6은 슬라이드관에 의해 롤러 베이스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도
도 7은 롤러 베이스가 손잡이로 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11 : 지지봉
14 :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 20 : 연결구
21 : 안내관 27 : 슬라이드관
31 : 롤러 베이스 32 : 날개편
33 : 공간홈 34 : 접속관
36 : 원판 디스크 37 : 니들

Claims (6)

  1. 중앙부에 지지봉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부 안내관 부분에 상기 지지봉이 끼워지도록 안내관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 베이스와,
    상기 연결구의 바깥둘레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롤러 베이스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하는 슬라이드관과,
    상기 롤러베이스에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다수의 니들이 있는 원판 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니들 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베이스에 접속관을 형성하고 이 접속관을 안내관에 결합함에 따라 롤러 베이스가 연결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니들 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관의 내경면과 안내관의 외경면 중 어느 일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다른 일측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걸림돌기가 걸림홈으로 끼워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니들 롤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베이스에 날개편과 공간홈을 형성하여 상기 슬 라이드관이 공간홈으로 끼워짐에 따라 롤러 베이스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니들 롤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끝단을 안내관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니들 롤러.
  6. 제 1 항에 또는 제 5 항에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를 회전시켜 연결구 승강 가이드홈에 끼움에 따라 지지봉이 안내관에서 돌출되면서 연결구에 결합된 롤러 베이스를 밀어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니들 롤러.
KR1020090004943A 2009-01-21 2009-01-21 마이크로 니들 롤러 KR10111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943A KR101112095B1 (ko) 2009-01-21 2009-01-21 마이크로 니들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943A KR101112095B1 (ko) 2009-01-21 2009-01-21 마이크로 니들 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571A true KR20100085571A (ko) 2010-07-29
KR101112095B1 KR101112095B1 (ko) 2012-02-22

Family

ID=42644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943A KR101112095B1 (ko) 2009-01-21 2009-01-21 마이크로 니들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0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420A1 (ja) * 2014-01-29 2015-08-06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KR101682863B1 (ko) * 2016-09-12 2016-12-06 이창우 가압 개방식 약물 전달 기구를 갖는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KR101701097B1 (ko) * 2016-09-12 2017-02-14 이창우 동축 이중 회전형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CN107019842A (zh) * 2015-09-18 2017-08-08 Gm控股公司 用于治疗皮肤及脱毛的美容机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66344B2 (en) 2016-09-21 2022-03-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easuring skin cond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1980044B1 (ko) * 2018-05-04 2019-05-17 이승철 눈썹 문신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404Y1 (ko) * 2006-08-16 2006-11-23 최훈섭 피부 치료 장치
KR100864343B1 (ko) 2007-04-14 2008-10-17 김명선 니들롤러
KR100955310B1 (ko) * 2007-12-31 2010-04-29 (주) 디티에스롤러스 디스크 니들 롤러
KR100959075B1 (ko) * 2008-08-21 2010-05-20 윤형 마이크로 니들 로울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5420A1 (ja) * 2014-01-29 2015-08-06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JPWO2015115420A1 (ja) * 2014-01-29 2017-03-23 久光製薬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タ
CN107019842A (zh) * 2015-09-18 2017-08-08 Gm控股公司 用于治疗皮肤及脱毛的美容机器
KR101682863B1 (ko) * 2016-09-12 2016-12-06 이창우 가압 개방식 약물 전달 기구를 갖는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KR101701097B1 (ko) * 2016-09-12 2017-02-14 이창우 동축 이중 회전형 니들 디스크 롤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095B1 (ko) 201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2095B1 (ko) 마이크로 니들 롤러
ES2270388T3 (es) Bigudi.
US11116956B2 (en) Needle disc roller apparatus with pump
US20100292723A1 (en) Disk needle roller
AU2016100363A4 (en) Hair styling device with grip-tip
TW200539829A (en) Hair curling tool and method of curling hair
US20140343591A1 (en) Roller device
JP2015514495A (ja) まつげエクステ付着器具
US7093603B2 (en) Hand piece for removing the calluses of the skin
KR101584703B1 (ko) 피부 및 탈모 치료용 이미용기기
KR101201718B1 (ko) 브러쉬의 변형이 가능한 마스카라 용기
EP2844104B1 (en) Wax applicator
CN206079456U (zh) 卷曲发绺的设备
US20130343799A1 (en) Hygienic cosmetic eyeliner applicator
KR20210124090A (ko) 미세침을 이용한 일회용 피부미용기구
US20190374217A1 (en) Endoscopic needle carrier
KR102631041B1 (ko) 헤어 고정장치를 갖는 헤어 컬링용 자동 헤어스타일링 기기
KR100696596B1 (ko) 미용기구세트 및 그것을 사용한 퍼머넌트웨이브 방법
CN206687359U (zh) 卷发器
KR200388023Y1 (ko) 속눈썹 매니큐어 로드(rod)
KR20100124419A (ko) 얼굴주름 방지장치
JP5740141B2 (ja) まつ毛用化粧料塗布具
KR101073720B1 (ko) 모근부 파마기
CN211245178U (zh) 一种通用型美容微针导入针头
CN216168851U (zh) 一种温针灸灸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