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077Y1 - 모발이식용 식모기 - Google Patents

모발이식용 식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077Y1
KR200479077Y1 KR2020150005101U KR20150005101U KR200479077Y1 KR 200479077 Y1 KR200479077 Y1 KR 200479077Y1 KR 2020150005101 U KR2020150005101 U KR 2020150005101U KR 20150005101 U KR20150005101 U KR 20150005101U KR 200479077 Y1 KR200479077 Y1 KR 200479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handle
hair
mosquito repellent
pushing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철
Original Assignee
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철 filed Critical 한철
Priority to KR2020150005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모기를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식모기 몸체 둘레 면에 손잡이를 결합하고, 손잡이의 전방 둘레 면이 오목하게 이루어진 오목부를 형성하여 시술자의 중지 손가락 측면과 엄지가 편안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오목부의 중앙에는 마찰 홈과 마찰 돌기를 연속으로 형성하여 손잡이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의 피로를 저감하여 장시간 동안 모발을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고, 몸체의 후면에 결합하는 누름조작부의 후면 내측에 통풍 구멍을 형성하여 식모기의 세척 및 멸균시 내부까지 세척 및 멸균할 수 있도록 하여 병의원에서 사용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발이식용 식모기{Hair implanting injector}
본 고안은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모기를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식모기 몸체 둘레 면에 손잡이를 결합하고, 손잡이의 전방 둘레 면이 오목하게 이루어진 오목부를 형성하여 시술자의 중지 손가락 측면과 엄지가 편안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오목부의 중앙에는 마찰 홈과 마찰 돌기를 연속으로 형성하여 손잡이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의 피로를 저감하여 장시간 동안 모발을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고, 몸체의 후면에 결합하는 누름조작부의 후면 내측에 통풍 구멍을 형성하여 식모기의 세척 및 멸균시 내부까지 세척 및 멸균할 수 있도록 하여 병의원에서 사용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질병 또는 사고 등으로 인하여 두피의 모발이 손실된 경우에 그 손실된 부위에 생모 또는 인공 모를 이식하는데 이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이용하는 모발이식술은 모근을 한 개씩 분리하여 식모침에 의해 이식하는 이식술과, 모근을 두 개씩 분리하여 식모침에 의해 이식하는 이식술 및 여러 개의 모근을 한번에 이식하는 이식술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발을 이식하는 식모기는 식모 수술시 머리카락과 연결된 뿌리부분인 모근을 식모기의 식모침 내부 전면에 위치시킨 다음 두피 내에 식모침을 삽입하면 식모침이 구멍을 형성하면서 모근이 식모침을 따라 두피 내에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두피 내의 피부조직 속에 모근을 밀어 넣기 위해서 식모침의 내부에서 움직이는 심축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종래의 식모기와 관련하여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0321980호(등록일: 2003.07.22)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가공보장설계(simultaneous engineering)를 통하여 경제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식모기를 사출형성하여 제작한 것으로, 식모침과 식모침 이동부재, 심축, 심축 압착부재, 스프링, 몸체, 식모침 길이조절부재, 손잡이, 누름조작부를 포함하며, 특히 의료용 접착제로 식모기의 몸체와 식모침 길이조절부재를 고정시키고, 몸체의 후방과 심축 누름조작부를 고정시키는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참고로, 선등록된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식모침의 삽입 길이 및 식모침 내부에서 움직이는 심축의 정해진 길이에 따라서 두피 하부로 이식된 모발의 위치(깊이)가 정해지고, 심축의 돌출된 길이는 대략 0.5∼1.5mm 정도로 불규칙하게 설정되는데, 이는 환자의 모발 및 두피의 상태에 따라서 최상의 생착률을 얻고 모발 이식 후 이식 부위의 상처가 흉하게 함몰되지 않게 하는 최적의 이식 깊이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종래의 식모기를 재사용하는 과정에서 세척 및 멸균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 세척 및 멸균작업을 간소화한 다음 재사용함으로써 의료감염사고와 악취 등의 위해요소를 수시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식모기를 사용한 다음 각각의 부품을 분리하여 세척과 멸균 및 건조작업을 진행하고, 식모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식모기의 부품을 결합한 상태에서 소독액에 식모기를 담그면 소독액이 식모기를 내부에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식모기 내부의 습기 제거에 어려움이 많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취급 및 보관에 어려움이 많다.
더욱이, 종래의 식모기 손잡이를 중지와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과정에서 손잡이가 손에서 미끄러지면서 모발 수술을 여러 차례 중단되는 문제점과, 종래의 식모기는 모두 흰색으로 이루어져 있고, 간혹 시술자가 1모와 2모를 혼동하여 수술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일회용 식모기를 사용하는 횟수가 많아지고 있으나, 식모기의 재활용되는 몸체와 폐기처분되는 식모침을 분리수거하지 않고 그대로 버리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발생하는 문제점과, 일회용 식모기의 경우 실질적으로 식모기를 폐기하지 않으며, 다시 식모침을 세척하여 재활용하는 문제점과, 특히 식모기 전체를 폐기함으로 인하여 식모기와 식모침이 함께 외부로 유출되어 의료감염사고가 수시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식모기는 모근을 이식하는 과정에서 1모짜리 모근과 2모짜리 모근을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시술도중 1모와 2모를 혼동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21980호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식모기를 손가락으로 잡는 파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식모기 몸체 둘레 면에 손잡이를 결합하고, 손잡이의 전방 둘레 면이 오목하게 이루어진 오목부를 형성하여 시술자의 중지 손가락 측면이 오목부에 편안하게 밀착되면서 엄지에 의해 손잡이를 파지하여 손의 피로를 저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몸체의 후면에 결합하는 누름조작부를 검지를 이용하여 작동시켜 식모침의 내부에 삽입되는 모근의 시술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고, 오목부의 중앙에는 마찰 홈과 마찰 돌기를 연속으로 형성하여 손잡이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동안 모발을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는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몸체의 후면에 결합하는 누름조작부의 후면 내측에 통풍 구멍을 형성하고, 식모기의 세척 및 멸균시 식모기의 내부까지 세척 및 멸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식모기를 소독액에 담그는 과정에서 소독액이 통풍 구멍으로 빠르게 배출되어 습기제거가 원활하고 빠르게 되어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한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식모기의 손잡이와 누름조작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병의원에서 사용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누름조작부의 표면에 컬러 층을 형성하여 시술자가 컬러 층의 색상을 보고 식모침에 삽입되는 모근이 1모인지 또는 2모인지 육안으로 쉽게 식별하여 수술 속도를 높임과 동시에 시술자가 동일한 형상의 식모기로 인하여 1모와 2모를 혼동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여 수술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발이식용 식모기는 탈모부위에 모발을 이식하기 위하여 전방이 첨예된 식모침과, 상기 식모침의 내부에 삽입되어 출몰동작하는 심축이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손잡이와 누름조작부가 설치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있어서, 몸체의 둘레 면에 손잡이를 설치하되, 상기 손잡이는 식모침의 후면에 형성된 식모침 고정구와 나사체결하고, 상기 손잡이의 전방 둘레 면에는 오목하게 이루어진 오목부를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에는 복수 개의 마찰 홈과 마찰 돌기를 형성하여 엄지와 중지를 밀착시켜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심축의 길이를 조절하는 심축 길이조절부와 누름조작부를 결합하여 손잡이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누름조작부의 후면 내측에는 통풍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손잡이에 형성되는 오목부는 중지의 손가락 측면이 밀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누름조작부에 형성된 통풍 구멍은 식모기의 세척 및 멸균작업시 소독액이 통풍 구멍으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몸체의 둘레 면에 위치한 손잡이의 오목부에 중지 손가락의 측면이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엄지에 의해 손잡이를 파지하고, 몸체의 후면에 결합하는 누름조작부를 검지를 이용하여 눌러주면 식모침의 내부에 삽입되는 모근을 안정적으로 시술할 수 있는 효과와, 오목부를 감싸고 있는 손의 피로를 최소화하여 장시간 동안 모발을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손잡이의 오목부 중앙에 마찰 홈과 마찰 돌기를 연속으로 복수 형성하여 손잡이가 손에서 미끄러지면서 시술이 지연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몸체의 후면에 결합하는 누름조작부의 후면 내측에 통풍 구멍을 형성하여 식모기의 사용 전/후에 세척 및 멸균시 식모기의 내부까지 세척 및 멸균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와, 식모기를 소독액에 담그는 과정에서 소독액이 통풍 구멍으로 빠르게 배출되면서 습기제거가 원활하여 식모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식모기의 손잡이와 누름조작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한 효과와, 식모기의 세척 및 멸균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병의원에서 누구나 쉽게 취급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누름조작부의 표면에 컬러 층을 형성하여 시술자가 컬러 층의 색상을 보고 식모침에 삽입되는 모근이 1모인지 또는 2모인지 육안으로 쉽게 식별하여 수술 속도를 높임과 동시에 시술자가 1모와 2모를 혼동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여 수술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식모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식모기의 정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손잡이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 누름조작부의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식모기의 전체 결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식모기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7의 (a)(b)는 누름조작부의 컬러 층 색상에 따라 식모기에 설치되는 식모침이 1개와 2개를 나타낸 정면 구성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7을 참고하면, 본 고안은 탈모부위에 모발을 이식하기 위하여 전방이 첨예된 식모침(11)이 식모침 고정구(12)에 고정되고, 상기 식모침(11)의 내부에 삽입되어 출몰동작하는 심축(13)이 심축 고정구(13a)에 고정되어 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몸체(10)의 둘레 면에 손잡이(20)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의 후면에는 심축 길이조절부(14)와 누름조작부(30)가 설치되어 누름조작부(30)를 눌러 주는 동작에 의해 심모침(11)에 삽입되는 모근을 심축(13)이 밀어주면서 피부에 모근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전면과 후면이 모두 관통되면서 전면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전방으로 돌출되는 식모침(11)이 시술자의 육안에 쉽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식모침(11)은 식모침 고정구(12)에 고정되어 몸체(10)의 후면 상부와 하부 둘레 면에 관통되는 구멍으로 외 측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몸체(10)의 둘레 면에 위치하는 손잡이(20)의 내측이 식모침 고정구(12)와 나사체결되며, 상기 손잡이(20)는 전면과 후면이 모두 관통되어 전면으로는 식모침 길이조절부(15)가 삽입되어 식모침 고정구(12)와 식모침(11)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식모침 고정구(12)의 후면에는 심축(13)과 심축 고정구(13a)가 스프링(13b)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손잡이(20)의 후면으로는 후술할 심축 길이조절부(14)와 누름조작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20)의 전방 둘레 면에는 오목하게 이루어진 오목부(21)를 형성하여 시술자의 중지 손가락 측면이 오목부(21)에 편안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중지 손가락이 위치한 반대편 오목부(21)에는 엄지가 밀착되면서 손잡이(20)의 파지력이 향상되어 손의 피로를 저감시키는 특징이 있으며, 상기 오목부(21)의 둘레 면에는 마찰 홈(22)과 마찰 돌기(23)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오목부(21)에 위치한 중지와 엄지가 더욱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손잡이(20)가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동안 모발을 신속하게 이식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상기 손잡이(20)를 중지와 엄지로 잡은 상태에서 시술자는 검지를 이용하여 후술할 누름조작부(30)를 눌러 주는 동작에 의해 식모침(11)에 삽입되는 모근을 피부에 이식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후면에는 심축 길이조절부(14)가 나사체결되고, 상기 심축 길이조절부(14)와 몸체(10)의 후면에는 누름조작부(30)가 설치되는데, 상기 누름조작부(30)는 몸체(10)의 후면에 나사체결되면서 심축 길이조절부(14)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10)의 후면을 밀폐시키고, 상기 누름조작부(30)의 후면 내측에는 통풍 구멍(31)을 형성하여 식모기의 사용 전/후에 식모기를 소독액에 담그는 과정에서 소독액이 통풍 구멍(31)으로 빠르게 배출되어 식모기의 내부 습기가 빠르고 원활하게 제거되면서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 식모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위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은 제외하고 차이가 있는 부분을 설명하면, 본 고안은 몸체(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누름조작부(300)의 표면에 컬러 층을 형성하고, 상기 컬러 층은 다양한 컬러의 색상 중에서 식모침(110)에 삽입되는 모근이 1모 또는 2모인지 쉽게 구별할 수 있는 색상을 규정하여 병의원에서 모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 7의 (a)는 식모침(110)에 삽입되는 모근이 1모를 나타내면서 누름조작부(300)의 컬러 층에 사선방향으로 표현한 것이고, 도 7의 (B)는 식모침(110)에 삽입되는 모근이 2모를 나타내면서 별모양으로 표현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색상을 표현할 수 없는 상태이지만, 실질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일 예로 모근이 1모의 경우 누름조작부(300)는 분홍색으로 모근이 2모인 경우는 누름조작부(300)를 흰색으로 컬러 층을 형성하면 시술자가 컬러 층의 색상만으로 1모인지 2모인지 쉽게 식별하여 모발 이식 수술속도를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본 고안의 식모기는 식모침(10)에 모근을 삽입한 다음 시술자가 손잡이(20)의 오목부(21)를 중지 손가락의 측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반대편의 오목부(21)에 엄지를 밀착시켜 손잡이(20)를 견고하게 파지한 다음 검지를 이용하여 누름조작부(30)를 눌러주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면 심축 고정구(13a)가 전방으로 전진하면서 스프링(13b)을 압입하여 심축(13)이 식모침(11)의 내부를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모근을 두피에 착상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술을 진행한다.
상기 식모기는 수술을 완료하면 식모기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세척과 멸균작업을 수행한 다음 부품을 조립하여 보관하는데, 종래의 식모기는 모발의 시술 전에도 식모기에 식모침을 삽입하고 소독액에 식모기를 담근 후 소독액과 습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식모침의 내부에 유입된 소독액이 진공상태를 유지하여 세척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식모기는 누름조작부에 형성된 통풍 구멍으로 소독액이 빠르고 원활하게 배출되어 식모기 내부의 습기를 빠른시간에 제거할 수 있는 특징과, 누름조작부의 통풍 구멍으로 식모기의 사용전 후 세척 및 멸균시 내부까지 세척 및 멸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특징도 있다.
본 고안의 누름조작부(300)의 표면에 컬러 층을 형성함으로써, 모근이 1모인지 2모인지 쉽게 식별하지 못하고 수술을 진행함으로써 수술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특징과, 일반적으로 모발이식은 2모를 모발 이식할 경우 모근이 1모인 경우 2번의 이식이 필요하고, 2모짜리 모근의 경우 1번의 이식이 필요한데 1모를 2번 이식할 경우 이식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 또한 달라지기 때문에 누름조작부(300)의 컬러 층을 형성하지 않을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발이식용 식모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몸체 11: 식모침
12: 식모침 고정구 13: 심축
13a: 심축 고정구 14: 심축 길이조절부
15: 식모침 길이조절부 20: 손잡이
21: 오목부 22: 마찰 홈
23: 마찰 돌기 30: 누름조작부
31: 통풍 구멍

Claims (5)

  1. 탈모부위에 모발을 이식하기 위하여 전방이 첨예 된 식모침과, 상기 식모침의 내부에 삽입되어 출몰동작하는 심축이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손잡이와 누름조작부가 설치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있어서,
    몸체(10)의 둘레 면에 손잡이(20)를 설치하되, 상기 손잡이(20)는 식모침(11)의 후면에 형성된 식모침 고정구(12)와 나사체결하고, 상기 손잡이(20)의 전방 둘레 면에는 오목하게 이루어진 오목부(21)를 형성하며, 상기 오목부(21)에는 복수 개의 마찰 홈(22)과 마찰 돌기(23)를 형성하여 엄지와 중지를 밀착시켜 잡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몸체(10)의 후면에는 심축(13)의 길이를 조절하는 심축 길이조절부(14)와 누름조작부(30)를 결합하여 손잡이(20)의 내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누름조작부(30)의 후면 내측에는 통풍 구멍(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는 내부가 관통되고,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식모침 고정구(12)와 나사체결되며, 상기 손잡이(20)의 전방 둘레 면에 오목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21)의 둘레 면에는 마찰 홈(22)과 마찰 돌기(23)가 연속으로 형성되어 시술자의 중지 손가락의 측면이 밀착되면서 엄지에 의해 손잡이(20)를 고정하며, 상기 누름조작부(30)는 검지의 누름 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조작부(30)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몸체(10)의 후면과 나사체결되고, 상기 누름조작부(30)의 후면 내측에 형성되는 통풍 구멍(31)은 세척 및 멸균작업시 소독액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
  4. 탈모부위에 모발을 이식하기 위하여 전방이 첨예 된 식모침과, 상기 식모침의 내부에 삽입되어 출몰동작하는 심축이 몸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외부에 손잡이와 누름조작부가 설치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에 있어서,
    몸체(100)의 둘레 면에 손잡이(200)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200)의 후면에 누름조작부(300)를 설치하되, 상기 누름조작부(300)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몸체(100)의 후면과 나사체결되어 몸체(100)와 함께 손잡이(200)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누름조작부(300)의 후면 내측에는 통풍 구멍(310)을 형성하여 식모기를 소독액에 담그는 과정에서 소독액이 통풍 구멍(310)으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누름조작부(300)의 표면에 컬러 층을 형성하여 시술자가 컬러 층의 색상을 통해 식모침(110)에 삽입되는 모근이 1모인지 또는 2모인지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이식용 식모기.
  5. 삭제
KR2020150005101U 2015-07-29 2015-07-29 모발이식용 식모기 KR200479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01U KR200479077Y1 (ko) 2015-07-29 2015-07-29 모발이식용 식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01U KR200479077Y1 (ko) 2015-07-29 2015-07-29 모발이식용 식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077Y1 true KR200479077Y1 (ko) 2015-12-16

Family

ID=5517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01U KR200479077Y1 (ko) 2015-07-29 2015-07-29 모발이식용 식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7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559B1 (ko) * 2016-08-31 2018-04-17 이상태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101891643B1 (ko) 2018-01-22 2018-08-27 오대금속 주식회사 다발형 모발 이식기
CN108685629A (zh) * 2017-04-07 2018-10-23 崔家鸣 用于软骨移植微创手术的植入器
KR20190047649A (ko) 2018-01-24 2019-05-08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CN110680479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吸毛组件的毛囊植入器械
CN110680477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吸入式装载毛发植入器械
CN110680476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毛发植入器械的吸毛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6130A (ja) * 1999-08-05 2003-02-18 ジュン チュル キム 毛髪移植用植毛器
JP2003153906A (ja) * 2001-11-17 2003-05-27 Hb Medicals Corp 毛髪移植装置
KR200321980Y1 (ko) 2003-05-20 2003-08-06 (주)대한정공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0958727B1 (ko) * 2009-04-16 2010-05-18 한흥추 모발이식용 식모기
JP2014534824A (ja) * 2011-07-28 2014-12-25 オク,クン 精度を高めた毛髪移植用の植毛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6130A (ja) * 1999-08-05 2003-02-18 ジュン チュル キム 毛髪移植用植毛器
JP2003153906A (ja) * 2001-11-17 2003-05-27 Hb Medicals Corp 毛髪移植装置
KR200321980Y1 (ko) 2003-05-20 2003-08-06 (주)대한정공 모발이식용 식모기
KR100958727B1 (ko) * 2009-04-16 2010-05-18 한흥추 모발이식용 식모기
JP2014534824A (ja) * 2011-07-28 2014-12-25 オク,クン 精度を高めた毛髪移植用の植毛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559B1 (ko) * 2016-08-31 2018-04-17 이상태 모발 이식용 식모기
CN108685629A (zh) * 2017-04-07 2018-10-23 崔家鸣 用于软骨移植微创手术的植入器
CN108685629B (zh) * 2017-04-07 2024-03-08 四川省骨科医院(成都体育医院、成都运动创伤研究所) 用于软骨移植微创手术的材料植入器
KR101891643B1 (ko) 2018-01-22 2018-08-27 오대금속 주식회사 다발형 모발 이식기
KR20190047649A (ko) 2018-01-24 2019-05-08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CN110680479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吸毛组件的毛囊植入器械
CN110680477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吸入式装载毛发植入器械
CN110680476A (zh) * 2019-11-04 2020-01-14 上海康德莱企业发展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毛发植入器械的吸毛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077Y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US8152401B2 (en) Surgical skin marker with disposable sterilized tip
WO2002089722A1 (en) Medical rinsing and sucking device
US20080051805A1 (en) Hair Follicle Coring Tool and System Based Thereon
US20110046639A1 (en) Method of direct hair implantation
KR200451570Y1 (ko) 주름 제거 시술용 바늘 세트
US5857981A (en) Biopsy instrument with tissue specimen retaining and retrieval device
WO1997040753A1 (en) Container for sharp instruments
KR20170111276A (ko) 식모기
KR20080092672A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US20090270882A1 (en) Needle cover with site preparation tip
KR20190058868A (ko) 모낭이식장치
KR101875601B1 (ko) 네일아트용 니퍼캡
US11197738B2 (en) Collecting and harvesting cut bone from rongeur
KR200321980Y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RU188038U1 (ru) Щетка для маникюра и педикюра
KR200481949Y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US10213006B1 (en) Eyelash grasper device for removing mascara from the eyelashes and method of using
KR20200048861A (ko) 식모 장치
US11497649B2 (en) Intracanalicular dissolvable punctum plug inserter
KR200409119Y1 (ko) 손톱 굳은살 제거구
KR101849559B1 (ko) 모발 이식용 식모기
KR20190091273A (ko) 긴 형태의 모낭의 추출을 위한 니들을 구비한 장치
US20240173448A1 (en) Combination Skin and Medical Connector Disinfecting Device
WO2003030766A1 (en) Implement to gather b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