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808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808B1
KR101890808B1 KR1020170102567A KR20170102567A KR101890808B1 KR 101890808 B1 KR101890808 B1 KR 101890808B1 KR 1020170102567 A KR1020170102567 A KR 1020170102567A KR 20170102567 A KR20170102567 A KR 20170102567A KR 101890808 B1 KR101890808 B1 KR 101890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intermediate layer
tread
body ply
pneumatic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윤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2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28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5/00Tyre beads, e.g. ply turn-up or overlap
    • B60C15/06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 B60C15/0628Flipper strips, fillers, or chafing strips and reinforcing layer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ad comprising a bead reinforcing layer
    • B60C2015/0682Physical properties or dimensions of the coating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트레드의 양 측변을 따라 각각 배치되되 비드 코어 및 비드 필러를 포함하는 한쌍의 비드부들, 한쌍의 비드부들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으로부터 타이어의 외측을 향해 턴업된 양 단부를 포함하며 트레드의 내측면과 중첩하는 바디 플라이, 및 한쌍의 비드부들 각각과 상기 바디 플라이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차량에 있어서 지면과 접촉하여 차량의 주행 및 제동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타이어는 단순히 내구성만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고 조종성, 안정성과 같이 승차감 성능도 좋은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차량의 승차감은 좌석 시트의 안락성, 차체의 기계적 진동, 운전의 용이성, 주행 도로 조건 등뿐만 아니라, 타이어에 의해서도 크게 좌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이어의 성능은 차량 주행의 안정성과도 긴밀한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교적 간단한 공정을 통해 내구성 등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입 타이어로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의 양 측변을 따라 각각 배치되되, 비드 코어 및 비드 필러를 포함하는 한쌍의 비드부들; 상기 한쌍의 비드부들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외측을 향해 턴업된 양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과 중첩하는 바디 플라이; 및 상기 한쌍의 비드부들 각각과 상기 바디 플라이 사이에 개재된 중간층;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비드 필러의 정점부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채, 상기 각각의 비드부 및 상기 바디 플라이에 중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고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경도는 상기 비드 필러의 경도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의 측부에 연결된 사이드 월; 상기 사이드 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월을 향하는 외측면 및 상기 외측면의 반대편인 내측면을 구비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비드부의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턴업되어 상기 트레드를 향해 연장된 바디 플라이; 및 상기 비드부의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바디 플라이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비드부의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 중 어느 하나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비드부의 정점부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쇼어 A 경도는 75 내지 85 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경도는 상기 비드 필러의 경도와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고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간층을 이용하여 공기입 타이어의 측면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등 타이어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입 타이어(1)는 트레드(110), 트레드(110)에서 연결된 한쌍의 사이드 월(120)들, 사이드 월(120)들 각각의 하부에 위치한 비드부(130), 트레드(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스틸벨트(140)와 바디 플라이(150), 바디 플라이(150)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너라이너(160), 및 비드부(130)와 바디 플라이(150)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17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드(110)는, 타이어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고,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110)의 표면에는 조종 안정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과 트레드 패턴에 의해 구획된 블록(116)들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그루브(114)와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114)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치하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트레드 패턴은 원주방향 그루브(114) 사이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블록(116)에 형성되며, 그루브(114)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블록(116)은 트레드(1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지면과 직접 접하여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사이드 월(120)은 트레드(11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사이드 월(120)은 공기입 타이어(1)의 옆 부분으로서 한 쌍이 구비된다. 사이드 월(120)은 바디 플라이(150)를 보호하고,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 안정성을 제공하며,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월(120)은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받은 엔진의 토크를 트레드(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이드 월(120)은 트레드(100)와 다른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비드부(130)는 사이드 월(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공기입 타이어(1)를 림(Rim)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비드 코어(132)와 비드 충전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 코어(132)는 예컨대, 고무가 코팅된 강철 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될 수 있으며, 비드 충전재(134)는 비드 코어에 부착된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틸벨트(140)는 트레드(110)의 아래에 배치되며,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바디 플라이(150)를 보호한다. 일 실시예로, 스틸벨트(140)는 서로 중첩된 제1스틸벨트층(141) 및 제2스틸벨트층(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틸벨트층(141)은 제2스틸벨트층(143) 상에 위치하며, 제1스틸벨트층(141)의 폭은 제2스틸벨트층(143)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110)와 스틸벨트(140) 사이에는 캡 플라이(1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캡 플라이(145)는 스틸벨트(140) 위에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145)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50)는 스틸벨트(140)의 아래에 배치되며, 공기입 타이어(1)의 골격을 형성하며, 공기입 타이어(1)가 받는 하중, 충격 등을 흡수하고 공기입 타이어(1)의 공기압을 유지시킨다. 일 실시예로, 바디 플라이(150)는 서로 중첩된 제1바디 플라이층(151) 및 제2바디 플라이층(15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50)는 공기입 타이어(1)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높은 장력의 섬유코드에 고무재가 토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섬유코드는 그물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바디 플라이(150)는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비드부(1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턴업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50)는 적어도 하나의 바디 플라이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바디 플라이층(151, 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바디 플라이층(151)은 제2바디 플라이층(153)과 스틸벨트(140) 사이에 위치하며, 단부가 비드부(13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턴업되어 트레드(110)를 향해 연장되되, 턴업된 제1바디 플라이층(151)의 단부(151E)는 제2바디 플라이층(153)의 단부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제1바디 플라이층(151)의 일 부분과 중첩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 플라이층(151)의 단부(151E)는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과 대응되는 영역, 예컨대 사이드 월(120) 중 트레드(110)와 비드부(130)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제2바디 플라이층(153)은 단부(153E)가 제1바디 플라이층(151)의 단부(151E)보다 짧게 형성되어 비드부(130)를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예컨대, 제2바디 플라이층(153)은 비드부(130)의 측부(134s) 및 저부(134b)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며, 제2바디 플라이층(153)의 단부는 비드부(134)의 저부(134b) 상에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디 플라이(150)가 2개의 바디 플라이로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너라이너(160)는 튜브 대신 공기입 타이어(1)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층으로,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160)는 밀도가 높은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공기입 타이어(1)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중간층(170)은 비드부(130)와 바디 플라이(1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층(170)은 한 쌍으로, 각각의 비드부(130)와 바디 플라이(1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층(170)은 트레드(110)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층(170)은 비드부(130) 및 바디 플라이(150) 사이에 개재되되, 비드코어(13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중간층(170)은 비드필러(134)의 정점부(134a)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된 채로 비드부(130) 및 바디 플라이(150)와 중첩한다. 중간층(170)은 비드필러(134)와 중첩하되, 비드필러(134)의 내측면의 일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중간층(170)의 제1측(170a)은 비드필러(134)의 정점부(134a)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1측(170a)의 반대편인 중간층(170)의 제2측(170b)은 비드코어(13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중간층(170)의 제2측(170b)은 비드 코어(132)의 저부(lower portion, 132b)를 지나도록 연장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중간층(170)이 비드 코어(132)의 저부(132b)를 지나 저부(132b)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연비 저하의 문제, 공기입 타이어(1)의 내측의 열이 방출되기 어려워 공기입 타이어(1)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 등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중간층(170)은 사이드 월(120)와 비중첩하며, 사이드 월(120)로부터 하측(림(R)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림 스트립(180)과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림 스트립(180)은 외측에 림(R)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 돌기(185)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돌기(185)는 사이드 월(120)의 하측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층(170)이 사이드 월(120)까지 연장되어 사이드 월(120)과 중첩한다면, 공기입 타이어(1)의 연비가 감소하고, 공기입 타이어(1) 내측의 캐비티에 열이 축척(축열)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여 공기입 타이어(1)가 터지는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르면, 중간층(170)은 사이드 월(120)과 비중첩한 채 림 스트립(180)과 대응하도록 배치되므로, 전술한 문제를 방지하면서 비드부(130) 및 림 스트립(180) 주변을 보강하며 림(R)과의 결합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응한다고 함은 중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중간층(1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비드부(130) 중 비드 코어(132)와 인접한 부분에 배치, 예컨대 림(R)과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1)의 측면 강성을 향상시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림(rim)과의 결합을 증진시킬 수 있다.
중간층(170)은 고무 시트일 수 있다. 예컨대, 중간층(170)은 합성고무 또는 천연고무로 형성할 수 있다. 합성고무로는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이소프렌-함유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함유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네오프렌 고무, 클로로부틸 고무, 브로모부틸 고무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고무일 수 있다. 고무재인 중간층(170)은 섬유코드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중간층에 비하여, 제조 비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비드부(130)와 바디 플라이(15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공기입 타이어(1)를 제조하는 공정(예컨대, 소정의 열이 가해지는 공정)에서, 중간층(170)을 이루는 고무재의 일부가 바디 플라이(150)의 섬유코드들 사이에 침투하여 코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무재를 포함하는 비드필러(134)와 바디 플라이(150)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간층(170)의 고무재는 비드 필러(134)의 경도와 같거나 그보다 큰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중간층(170)은 약 75 내지 85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중간층(170)은 공기입 타이어(1)의 제조시, 제1바디 플라이층(151)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성형 및 가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중간층(170)은 제1바디 플라이층(151) 상에 소정의 위치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배치된 후, 제1바디 플라이층(151)이 비드부(13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턴업되는 공정에서 비드부(130), 예컨대 비드필러(134)와 중첩하도록 비드코어(13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림 스트립(180)은 사이드 월(120)의 단부와 일부 중첩하도록 사이드 월(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림 스트립(180)은 카본 블랙을 함유하는 고무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림 스트립(180)의 물성은 사이드 월(120)과 다를 수 있다. 림 스트립(180)은 사이드 월(17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도는 강하고, 자외선에는 약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타이어의 테스트 항목 중 오존 테스트가 있는데, 이는 림(R)을 분리한 상태에서 사이드 월(120) 및 림 스트립(180)을 오존에 노출시켜 사이드 월(120)과 림 스트립(180)의 내오존성능을 확인하는 것으로, 림 스트립(180)의 내오존성은 사이드 월(120) 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중간층(170)은 비드부(130) 중 비드코어(132)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비드 코어(132)와는 비중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의 중간층은 배치 및 길이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중간층과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간층(270)은 비드부(130) 중 비드코어(132)와 인접하게 배치되되, 비드 필러(134)를 향하는 비드 코어(132)의 상부(upper portion, 132a)를 지나 비드 코어(132)의 측면(132s)을 커버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중간층(270)은 비드 코어(132)의 측부(132s)의 일부만 커버하며, 비드 코어(132)의 저부(lower portion, 132b)를 지나도록 연장되지 않는다. 중간층(270)이 비드 코어(132)의 저부(132b)를 지나는 경우 연비가 향상 되고 림(rim)과의 조립성 및 공기입 타이어(1)의 내구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중간층(170, 270)은 비드부(13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층(370, 470)은 비드부(130)와 바디 플라이(150), 예컨대 제1바디 플라이층(151)사이에 개재되되, 각각 비드부(130)의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층(370, 470)은 비드부(130) 중 비드코어(132)와 인접하도록 비드필러(134)의 정점부(134a)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되, 비드코어(132)의 상부(132a)를 지나지 않거나(도 5 참조), 비드코어(132)의 상부(132a)를 지나 측부(132s)의 일부만 커버하도록 비드 코어(132)의 저부(lower portion, 132b)를 지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공기입 타이어
110: 트레드
120: 사이드 월
130: 비드부
140: 스틸벨트
150: 바디 플라이
160: 이너라이너
170: 중간층

Claims (10)

  1. 공기입 타이어로서,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의 양 측변을 따라 각각 배치되되, 비드 코어 및 비드 필러를 포함하는 한쌍의 비드부들;
    상기 한쌍의 비드부들 각각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공기입 타이어의 외측을 향해 턴업된 양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의 내측면과 중첩하는 바디 플라이; 및
    상기 한쌍의 비드부들 각각과 상기 바디 플라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각각의 비드부 및 상기 바디 플라이에 중첩하는 중간층;
    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비드 필러의 정점부로부터 이격된 제1측과, 상기 제1측의 반대편에 배치되되 상기 비드 코어에 인접한 제2측을 가지며,
    상기 중간층은 상기 비드 코어의 측부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2측이 상기 비드 코어의 상부와 상기 비드 코어의 저부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고무재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경도는 상기 비드 필러의 경도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큰, 공기입 타이어.
  5. 그루브를 갖는 트레드;
    상기 트레드의 측부에 연결된 사이드 월;
    상기 사이드 월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월을 향하는 외측면 및 상기 외측면의 반대편인 내측면을 구비하되, 비드 코어 및 비드 필러를 포함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비드부의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턴업되어 상기 트레드를 향해 연장된 바디 플라이; 및
    상기 비드부의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바디 플라이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
    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층은 상기 비드 필러의 정점부로부터 이격된 제1측과, 상기 제1측의 반대편에 배치되되 상기 비드 코어에 인접한 제2측을 가지며,
    상기 중간층은 상기 비드 코어의 측부를 커버하지 않도록 상기 제2측이 상기 비드 코어의 상부로부터 이격된, 공기입 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상기 비드부의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 중 어느 하나와 직접 접촉하는, 공기입 타이어.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쇼어 A 경도는 75 내지 85 인, 공기입 타이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경도는 상기 비드 필러의 경도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그보다 큰, 공기입 타이어.
  10. 제5항,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고무재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170102567A 2017-08-11 2017-08-11 공기입 타이어 KR101890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567A KR101890808B1 (ko) 2017-08-11 2017-08-11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2567A KR101890808B1 (ko) 2017-08-11 2017-08-11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808B1 true KR101890808B1 (ko) 2018-08-22

Family

ID=6345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567A KR101890808B1 (ko) 2017-08-11 2017-08-11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8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6029A (ja) * 2001-11-14 2003-05-21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5053251A (ja) * 2003-08-01 2005-03-03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6029A (ja) * 2001-11-14 2003-05-21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005053251A (ja) * 2003-08-01 2005-03-03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5213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62242A (ja) タイヤ
JP2009029277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760130B2 (en) Run-flat tire
KR101890808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07001401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89037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030013B1 (ko) 공기입 타이어
WO2017188409A1 (ja) ランフラットラジアルタイヤ
KR101775106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35891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879433B1 (ko) 타이어
KR102023653B1 (ko) 공기입 타이어
JP6087776B2 (ja) 空気入りセミラジアルタイヤ
WO2020021869A1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60088938A (ko) 벨트가 검 스트립 둘레에 랩을 갖는 타이어
JP200802412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4340466B2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JP2020108990A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200047197A (ko) 공기입 타이어
JP2020108989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099916B1 (ko) 탈부착형 중량체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타이어
KR101890367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1775105B1 (ko) 타이어
KR102113313B1 (ko)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