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353B1 - 휠 보호용 포장 패드 - Google Patents

휠 보호용 포장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353B1
KR101890353B1 KR1020180064015A KR20180064015A KR101890353B1 KR 101890353 B1 KR101890353 B1 KR 101890353B1 KR 1020180064015 A KR1020180064015 A KR 1020180064015A KR 20180064015 A KR20180064015 A KR 20180064015A KR 101890353 B1 KR101890353 B1 KR 101890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rotecting
inclined portion
protective
wh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용
승현창
홍승재
표세윤
Original Assignee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핸즈식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핸즈식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프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렛트 위에 휠을 다층으로 적재하는데 사용하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에 관한 것으로, 지지대를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보호부와, 상기 보호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휠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성한 복수 개의 휠보호부재; 각각의 휠보호부재에 구성된 안착부의 끝단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고정부; 각각의 휠보호부재의 구성된 안착부의 끝단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로 구성되어 사출제작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보호부와 이탈방지부는 휠의 미끄럼이동을 위하여 동일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에는 휠의 탈착을 위한 제1경사부가 안착부의 내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하측면에는 휠에 구성되는 디자인면과의 면접촉 방지를 위한 제2경사부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고정부에는 고정 및 탈착의 용이성을 위한 제3경사부가 안착부의 외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에는 휠의 안착을 위한 제4경사부가 안착부의 외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다층으로 적재되는 휠의 안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휠 보호용 포장 패드{Automotive wheel protection packing pads}
본 발명은 파렛트 위에 휠을 다층으로 적재하는데 사용하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고중량의 휠을 정위치의 안착부에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쉽고 견고한 설치는 물론, 용이한 탈착을 이루면서도 휠과의 면접촉을 차단하여 휠의 디자인면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한정된 파렛트의 공간에 휠을 최적화하여 적재할 수 있음과 더불어, 휠보호부재들의 사이공간을 보완하여 휠의 안정적인 미끄럼이동을 유도할 수 있고, 방사형을 갖는 지지대가 겹쳐지지 않도록 2개의 패드를 포개어 배치하는 것을 통해 강도보강을 이룸으로써 고층 적재에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수 및 재사용이 용이한 휠 보호용 포장 패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휠은 타이어가 장착되는 림과 차축과 연결되는 허브, 허브와 림을 이어주는 스포크로 구성되어, 타이어와 함께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구동력 및 횡력을 노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자동차의 휠은 제조 후 곧바로 출고되는 것이 아니라, 파렛트에 다층으로 적재시켜 보관한 후, 수요에 따라 파렛트 단위로 포장해서 고객한테 인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인도된 파렛트 단위의 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8550호와 같은 "차량용 휠 로딩장치"를 통해 안전하게 로딩되어 해당라인으로 공급되어진다.
또한, 파렛트 단위로 포장되는 휠은 크기별로 포장 규격을 달리하여 파렛트에 다층으로 적재되는데, 파렛트라는 한정된 공간에 많은 제품을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제품을 최대한 붙여서 적재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분리된 T링을 사용하였다.
즉, 파렛트에 T링을 인접하여 배치시킨 다음, 휠을 놓고, 상기 휠의 디자인면을 덮어씌우는 비밀포장을 한 다음, 상기 휠의 다층 적재를 위하여 T링을 휠의 디자인면 테두리에 끼워서 배치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였으며, 이를 통해 휠의 다층 적재를 완료한 다음에는, 최상부에 위치한 휠의 디자인면 보호를 위해 덮개를 씌워 밴딩한 다음, 랩으로 포장하여야만 하였다.
따라서 휠 적재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공정증대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10kg 이상의 고중량 휠을 반복적으로 적재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상기 휠을 T링의 위치에 정확히 맞춰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강도가 매우 높아지는 문제도 지적되었고, 사용한 T링의 폐기로 인해 자재의 낭비가 지속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1569호와 같은 "포장용 방청 패드"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KR 제10-2011-0111569호 (2011.10.12) A "포장용 방청 패드" - 이성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포장용 방청 패드는 베이스 패드와, 방청제 패드 및 형상가공 패드가 하나로 접착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포장된 피포장물이 녹스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었으나, 종이로 제작되는 것에 의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피포장물의 적재시 파손이 우려가 높았다.
또한, 형상가공 패드의 노출공이 적재되는 피포장물의 형상 그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포장물의 적재 및 탈착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특히 피포장물의 다층 적재시 베이스패드의 하면이 피포장물의 상면에 면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품의 디자인면이 훼손될 우려도 있었다.
아울러 포장용 방청 패드가 종이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인해 재사용이 불가한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부와 이탈방지부가 동일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휠의 원활한 미끄럼이동을 이룰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보강리브를 구비하여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구성한 보호부에 의해 내구성을 유지시킨 상태에서도 휠의 미끄럼이동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고중량의 휠을 정위치의 안착부에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으며, 사출제작을 통해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끼움고정부에 형성되는 제3경사부에 의해 용이한 고정은 물론 탈착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고, 안착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보호부 및 이탈방지부에 형성되는 제1, 4경사부에 의해 휠의 탈착과 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안착부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2경사부에 의해 휠의 면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휠의 다층 적재에도 상기 휠의 디자인면이 손상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호부를 구성하는 휠보호부재가 적층되는 휠의 인치에 따라 4 ~ 6개로 형성되어 상, 하 및 좌, 우가 각각 서로 대칭되게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휠보호부재의 배열에 따라 상기 휠보호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삼각 또는 사각형상의 이탈방지부재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한정된 파렛트의 공간에 휠을 최적화하여 적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보호부재들의 사이공간이 보완되어 휠의 안정적인 미끄럼이동을 이룰 수 있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 하 또는 좌, 우에 배치되는 보호부의 지지대가 서로 엇갈리는 형상을 갖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180도 회전시켜 2개를 포개어 배치하는 것을 통해 각각의 지지대가 겹쳐지지 않도록 하여 강도보강을 이룰 수 있으며, 회수가 용이함은 물론, 견고한 내구성으로 인해 재사용이 용이한 휠 보호용 포장 패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대를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보호부와, 상기 보호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휠의 플랜지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구성한 복수 개의 휠보호부재; 각각의 휠보호부재에 구성된 안착부의 끝단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고정부; 각각의 휠보호부재의 구성된 안착부의 끝단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로 구성되어 사출제작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보호부와 이탈방지부는 휠의 미끄럼이동을 위하여 동일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에는 휠의 탈착을 위한 제1경사부가 안착부의 내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하측면에는 휠에 구성되는 디자인면과의 면접촉 방지를 위한 제2경사부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고정부에는 고정 및 탈착의 용이성을 위한 제3경사부가 안착부의 외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에는 휠의 안착을 위한 제4경사부가 안착부의 외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다층으로 적재되는 휠의 안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휠 보호용 포장 패드는 보호부와 이탈방지부가 동일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인해 휠의 원활한 미끄럼이동을 이룰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보강리브를 구비하여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대를 구성한 보호부에 의해 내구성을 유지시킨 상태에서도 휠의 미끄럼이동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고중량의 휠을 정위치의 안착부에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으며, 사출제작을 통해 손쉬운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끼움고정부에 형성되는 제3경사부에 의해 용이한 고정은 물론 탈착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고, 안착부에 일체로 연결되도록 보호부 및 이탈방지부에 형성되는 제1, 4경사부에 의해 휠의 탈착과 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안착부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2경사부에 의해 휠의 면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 휠의 다층 적재에도 상기 휠의 디자인면이 손상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보호부를 구성하는 휠보호부재가 적층되는 휠의 인치에 따라 4 ~ 6개로 형성되어 상, 하 및 좌, 우가 각각 서로 대칭되게 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휠보호부재의 배열에 따라 상기 휠보호부재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삼각 또는 사각형상의 이탈방지부재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한정된 파렛트의 공간에 휠을 최적화하여 적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보호부재들의 사이공간이 보완되어 휠의 안정적인 미끄럼이동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 하 또는 좌, 우에 배치되는 보호부의 지지대가 서로 엇갈리는 형상을 갖는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180도 회전시켜 2개를 포개어 배치하는 것을 통해 각각의 지지대가 겹쳐지지 않도록 하여 강도보강을 이룰 수 있으며, 회수가 용이함은 물론, 견고한 내구성으로 인해 재사용이 용이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휠 보호용 포장 패드의 상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휠 보호용 포장 패드의 하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휠 보호용 포장 패드의 끼움고정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휠 보호용 포장 패드의 이탈방지부가 보이도록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휠이 휠 보호용 포장 패드에서 미끄럼이동되어 안착부에 배치되는 작동상태도.
도 6 내지 도 8은 휠의 인치에 따라 다층으로 적재시켜 배치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좌, 우에 위치하는 지지대가 서로 엇갈리는 형상을 갖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된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휠 포장용 포장 패드의 지지대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180°회전시켜 2개를 포개에 배치한 상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파렛트 위에 휠을 다층으로 적재하는데 사용하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를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보호부(13)와, 상기 보호부(13)의 외측에 형성되어 휠(1)의 플랜지(3)가 안착되는 안착부(15)를 구성한 복수 개의 휠보호부재(10); 각각의 휠보호부재(10)에 구성된 안착부(15)의 끝단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고정부(20); 각각의 휠보호부재(10)의 구성된 안착부(15)의 끝단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30);로 구성되어 사출제작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보호부(13)와 이탈방지부(30)는 휠(1)의 미끄럼이동을 위하여 동일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13)에는 휠(1)의 탈착을 위한 제1경사부(14)가 안착부(15)의 내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5)의 하측면에는 휠(1)에 구성되는 디자인면(5)과의 면접촉 방지를 위한 제2경사부(16)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고정부(20)에는 고정 및 탈착의 용이성을 위한 제3경사부(21)가 안착부(15)의 외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30)에는 휠(1)의 안착을 위한 제4경사부(31)가 안착부(15)의 외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다층으로 적재되는 휠(1)의 안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파렛트(9)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다층으로 적재된 휠을 용이하게 이동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규격화되어 한정된 공간을 형성하며, 이러한 파렛트는 종래에 공지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사출제작을 통해 휠보호부재(10)와, 끼움고정부(20)와, 이탈방지부(30)를 일체로 형성하는 본 발명의 휠 보호용 보호용 포장 패드(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휠보호부재(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1)의 상면인 디자인면(5)을 덮어씌움과 동시에, 휠(1)의 하부인 플랜지(3)를 받쳐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지지대(11)를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보호부(13)와, 상기 보호부(13)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휠(1)의 플랜지(3)가 안착되는 안착부(15)를 구성하며, 이때 상기 안착부(15)는 휠(1)의 용이한 안착을 위하여 보호부(13)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13)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은, 내구성의 저하 없이 살빼기를 하여 생산단가의 절감을 이룸과 동시에, 휠(1)의 플랜지(3)가 닿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미끄럼이동을 용이하게 이루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부(13)의 하면에는 방사형의 지지대(11)를 따라 형성되는 보강리브(1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보강리브(12)에 의하면, 본 발명을 저 중량으로 제작한다 하더라도 내구성의 증진이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생산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사출성형에 따른 생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13)에는 휠(1)의 용이한 탈착을 위한 제1경사부(14)가 안착부(15)의 내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상기 제1경사부(14)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내측 상부방향으로 30° ~ 60°의 경사각(α)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휠(1)의 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음과 더불어, 외부의 충격 및 진동에 의한 휠(1)의 임의 탈착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제1경사부(14)의 경사각(α)이 45°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착부(15)의 하측면에 제2경사부(16)를 더 포함하여 구비함으로써, 휠(1)에 구성되는 디자인면(5)과의 면접촉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상기 제2경사부(16)는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내측 상부방향으로 5° ~ 9°기울어지는 경사각(β)을 형성함으로써 휠(1)의 상측 모서리부분만이 본 발명과 선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변형 및 파손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제2경사부(16)의 경사각(β)은 7°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경사부(16)의 경사각(β)이 5° ~ 9°로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제2경사부(16)의 경사각(β)이 5°이하로 되었을 경우에는 다층으로 적재되는 휠(1)의 하중에 의해 안착부(15)에 변형이 발생하여 휠(1)의 디자인면(5)과 면접촉을 하게 되고, 9°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다층으로 적재되는 휠(1)의 하중 또는 마감처리시 행해지는 랩핑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안착부(15)에 휨이 발생하거나 부러지는 등의 파손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 끼움고정부(20)는 본 발명이 배열된 복수 개의 휠(1)을 덮어 씌운상태로 움직이지 않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휠보호부재(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각각의 휠보호부재(10)에 구성된 안착부(15)의 끝단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안정적인 고정을 위하여 복수로 구성되어 이격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끼움고정부(20)에는 복수 개의 휠(1)을 보다 용이하게 덮어씌워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에 의한 힘 전달 시 휠(1)에서 손쉽게 탈착되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제3경사부(21)가 안착부(15)의 내측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3경사부(21)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외측 상부방향으로 10° ~ 40°의 경사각(γ)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의 경사각(γ)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셋째, 이탈방지부(30)는 본 발명의 안착부(15)에 안착되는 휠(1)의 탈착이 임의로 이루어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구성으로, 각각의 휠보호부재(10)에 구성된 안착부(15)의 끝단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이탈방지부(30)는 휠(1)의 안정적인 이탈방지를 위하여 복수로 구성되어 이격 배치되며, 보호부(13)의 상면에서 미끄럼이동되는 휠(1)의 걸림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부(13)와 동일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부(30)에는 미끄럼 이동되는 휠(1)의 용이한 안착을 위한 제4경사부(31)가 안착부(15)의 외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제4경사부(31)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외측 하부방향으로 10° ~ 40°의 경사각(γ)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의 경사각(γ)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 2 또는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13)와 안착부(15)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휠보호부재(10)가 파렛트(9)에 적층되는 휠(1)의 인치에 따라 4 ~ 6개로 형성되어 상, 하 및 좌, 우가 각각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상기 휠보호부재(10)의 배열에 따라 상기 휠보호부재(10)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이탈방지부(3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부(30)는 휠보호부재(10)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메움과 동시에, 안착부(15)에 안착된 복수 의 휠(1)을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상기 휠(1)의 탈착을 방지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공간의 형상에 따라 삼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휠보호부재(10)들의 사이의 공간에 삼각 또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부(13)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호부(13)의 상면에서 미끄럼이동되는 휠(1)을 안정적으로 받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이탈방지부(30)에는 휠(1)의 이동에 따른 마찰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30a)이 상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호부(13)와 이탈방지부(30)에 형성되는 각각의 모서리부분은 휠(1)의 원활한 미끄럼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라운드처리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를 겹쳐서 사용시 강도보강이 우수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보호부(13)에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 하 또는 좌, 우에 배치되는 보호부(13)의 지지대(11)가 서로 엇갈리는 형상을 갖는 방사형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을 180도 회전시켜 2개를 포개어 배치하는 것을 통해 각각의 지지대(11)가 겹쳐지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므로, 강도보강을 이룰 수 있어 휠(1)이 고층으로 적재되거나, 휠(1)이 다층으로 적재된 파렛트(9)가 중첩된다 하더라도 본 발명이 형상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파렛트(9)에 적층할 휠(1)의 인치에 따라 파렛트(9)의 상면에 휠(1)을 배열한 다음, 배열된 복수 개의 휠(1)의 상측 가장자리가 끼움고정부(20)에 각각 끼워지도록 본 발명의 휠 보호용 포장 패드(50)를 올려 놓는 것으로 휠(1)의 1단 적재를 이루는데, 이때 상기 끼움고정부(20)에는 제3경사부(21)가 형성되어 있어 휠(1)이 끼움고정부(20)에 용이하게 끼워지게 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는, 안착부(15)에 휠(1)을 적재하는 다층 적재를 이루어야 하는데, 이때 사용자는 휠(1)을 보호부(13) 및 이탈방지부(30)의 상면에 올려 놓은 상태로 미는 동작만으로 고중량의 휠(1)을 손쉽게 미끄럼이동시켜 안착부(15)에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강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위 과정을 통해 안착부(15)에 안착된 휠은 이탈방지부(30)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이탈방지부(30)에 형성된 제4경사부(31)에 의해 휠(1)의 안정적인 안착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휠(1)의 다층 적재에도 안착부(15)의 하측면에 형성된 제2경사부(16)에 의해 안착부(15)의 하측면과 휠(1)의 디자인면이 면접촉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기 휠(1)의 디자인면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파렛트(9)에 휠(1)을 4 ~ 5단으로 다층 적재를 완료한 다음에는, 휠(1)이 파렛트단위로 중첩되어 적층될 때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최상부에 2개의 포장 패드(50)를 180°회전시켜서 포개어 배치시킴으로써 각각의 포장 패드(50)에 구성된 지지대(11)가 서로 엇갈리는 방사형으로 형성되게 하여 본 발명의 강도보강을 이룬 후, 랩핑하는 것으로 마감 시공하여 보관 및 운반한다.
한편, 적층된 휠(1)을 탈착시킬 때에는, 랩핑을 제거한 다음, 포장 패드(50)와 휠(1)을 순차적으로 탈착시키는데, 이때 상기 포장 패드(50)에 형성된 끼움고정부(30)에는 제3경사부(31)가 형성되어 있고, 보호부(13)에는 제1경사부(14)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포장 패드(50)와 휠(1)을 각각 탈착시킬 수 있으며, 위와 같이 안착부(15)에서 탈착된 휠(1)은 보호부(13)와 이탈방지부(30)의 상면을 따라 미끄럼이동시킬 수 있어 편리한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휠보호부재(10)와, 고정끼움부(20)와, 이탈방지부(30)가 사출제작을 통해 일체로 제작되는 것에 의해, 회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친환경적인 사용이 가능한 장점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 보호용 포장 패드를 이용하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고중량의 휠을 정위치의 안착부에 손쉽게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쉽고 견고한 설치는 물론, 용이한 탈착을 이루면서도 휠과의 면접촉을 차단하여 휠의 디자인면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한정된 파렛트의 공간에 휠을 최적화하여 적재할 수 있음과 더불어, 휠보호부재들의 사이공간을 보완하여 휠의 안정적인 미끄럼이동을 유도할 수 있고, 방사형을 갖는 지지대가 겹쳐지지 않도록 2개의 패드를 포개어 배치하는 것을 통해 강도보강을 이룸으로써 고층 적재에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회수 및 재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더하여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α, β, γ, δ : 경사각
1 : 휠 3 : 플랜지 5 : 디자인면 9 : 파렛트
10 : 휠보호부재 11 : 지지대 12 : 보강리브 13 : 보호부 14 : 제1경사부 15 : 안착부 16 : 제2경사부
20 : 끼움고정부 제3경사부
30 : 이탈방지부 30a : 홀 31 : 제4경사부
50 : 휠 보호용 포장 패드

Claims (5)

  1. 파렛트 위에 휠을 다층으로 적재하는데 사용하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에 있어서,
    지지대(11)를 방사형으로 형성하는 보호부(13)와, 상기 보호부(13)의 외측에 형성되어 휠(1)의 플랜지(3)가 안착되는 안착부(15)를 구성한 복수 개의 휠보호부재(10);
    각각의 휠보호부재(10)에 구성된 안착부(15)의 끝단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끼움고정부(20);
    각각의 휠보호부재(10)의 구성된 안착부(15)의 끝단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30);로 구성되어 사출제작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보호부(13)와 이탈방지부(30)는 휠(1)의 미끄럼이동을 위하여 동일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13)에는 휠(1)의 탈착을 위한 제1경사부(14)가 안착부(15)의 내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5)의 하측면에는 휠(1)에 구성되는 디자인면(5)과의 면접촉 방지를 위한 제2경사부(16)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고,
    상기 끼움고정부(20)에는 고정 및 탈착의 용이성을 위한 제3경사부(21)가 안착부(15)의 외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30)에는 휠(1)의 안착을 위한 제4경사부(31)가 안착부(15)의 외측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다층으로 적재되는 휠(1)의 안착 및 탈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3)의 하면에는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1)를 따라 보강리브(1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14)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30° ~ 60°의 경사각(α)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경사부(16)는 수평선상을 기준으로 5° ~ 9°의 경사각(β)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경사부(21)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10° ~ 40°의 경사각(γ)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4경사부(31)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10° ~ 40°의 경사각(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13)를 구성하는 휠보호부재(10)는 적층되는 휠(1)의 인치에 따라 4 ~ 6개로 형성되어 상, 하 및 좌, 우가 각각 서로 대칭되게 형상으로 형성되고,
    휠보호부재(10)의 배열에 따라 상기 휠보호부재(10)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이탈방지부(30)가 삼각 또는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탈방지부(30)로 하여금 각각의 휠보호부재(10)에 안착되는 복수 개의 휠(1)을 동시에 지지하게 함과 더불어, 미끄럼이동되는 휠(1)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휠보호부재(10)에 구성된 보호부(13)는 상, 하 또는 좌, 우에 위치하는 지지대(11)가 서로 엇갈리는 형상을 갖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보호용 포장 패드.
KR1020180064015A 2018-06-04 2018-06-04 휠 보호용 포장 패드 KR101890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015A KR101890353B1 (ko) 2018-06-04 2018-06-04 휠 보호용 포장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015A KR101890353B1 (ko) 2018-06-04 2018-06-04 휠 보호용 포장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353B1 true KR101890353B1 (ko) 2018-08-21

Family

ID=6345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015A KR101890353B1 (ko) 2018-06-04 2018-06-04 휠 보호용 포장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3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4640A (en) * 2017-06-22 2019-01-23 Covprotec Ltd Wheel protector
JP2021160817A (ja) * 2020-04-01 2021-10-11 旭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トレイ
CN116277758A (zh) * 2023-03-22 2023-06-23 连云港创诚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高韧耐磨汽车轮毂保护圈生产装置及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5448A1 (en) * 2007-08-01 2009-02-05 Arvinmeritor Do Brasil Sistemas Automotivos Ltda Wheel packaging device
JP2010130664A (ja) * 2008-12-01 2010-06-10 Canon Inc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データ転送システム
KR20110111569A (ko) 2010-04-05 2011-10-12 이성 포장용 방청 패드
US20130234498A1 (en) * 2012-03-07 2013-09-12 Ming-Fang Wang Wheel Cover and Method for Making and Packaging 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5448A1 (en) * 2007-08-01 2009-02-05 Arvinmeritor Do Brasil Sistemas Automotivos Ltda Wheel packaging device
JP2010130664A (ja) * 2008-12-01 2010-06-10 Canon Inc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データ転送システム
KR20110111569A (ko) 2010-04-05 2011-10-12 이성 포장용 방청 패드
US20130234498A1 (en) * 2012-03-07 2013-09-12 Ming-Fang Wang Wheel Cover and Method for Making and Packaging I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4640A (en) * 2017-06-22 2019-01-23 Covprotec Ltd Wheel protector
JP2021160817A (ja) * 2020-04-01 2021-10-11 旭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状トレイ
CN116277758A (zh) * 2023-03-22 2023-06-23 连云港创诚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高韧耐磨汽车轮毂保护圈生产装置及制备方法
CN116277758B (zh) * 2023-03-22 2024-01-05 连云港创诚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高韧耐磨汽车轮毂保护圈生产装置及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353B1 (ko) 휠 보호용 포장 패드
JP3561875B2 (ja) タイヤホイールの梱包要素
US10189601B2 (en) Adjustable pallet
US7918165B2 (en) Component container with dunnag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WO2016021486A1 (ja) タイヤホイール用搬送材
US3660958A (en) Protective wrapper for roll of sheet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JP6474668B2 (ja) ホイール運搬ユニット
KR20080054688A (ko) 용접 와이어용 페일팩
US6718887B1 (en) Pallet divider
US20070138037A1 (en) Wheel shipping member
CA2988323A1 (en) Stackable pallet system
KR100982903B1 (ko) 적화 유닛의 형성 방법 및 시스템
US2119745A (en) Ring for packaging
JP2000289741A (ja) ホイール積載用保護プレートおよび該保護プレートを用いたホイール積載具
JP2012508142A (ja) 船舶の貨物室で箱形コンテナに入れた建設機器を輸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809842B1 (ko) 자동차의 타이어 휠 운반용 팔레트
CN210527119U (zh) 一种用于大型电池箱体的包装运输架
KR102663064B1 (ko) 자동차 부품 홀더형 박스
JP2004051153A (ja) 包装部材
PL200771B1 (pl) Sposób i jednostka ładunkowa dla rozprowadzania towarów
JP3104917B2 (ja) 自動車の出荷、輸送方法
AU2018349408B2 (en) Method for securing packing units, and fixing holder for use in the method
JP7231968B2 (ja) 車タイヤ搬送方法
JP7267600B2 (ja) 保護リングおよびそれを含むホイール保護部材セット
EP1911681A1 (en) Pallets having positioning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