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808B1 -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 Google Patents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808B1
KR101888808B1 KR1020180038559A KR20180038559A KR101888808B1 KR 101888808 B1 KR101888808 B1 KR 101888808B1 KR 1020180038559 A KR1020180038559 A KR 1020180038559A KR 20180038559 A KR20180038559 A KR 20180038559A KR 101888808 B1 KR101888808 B1 KR 10188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avigation
travel route
travel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열
Original Assignee
박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열 filed Critical 박현열
Priority to KR1020180038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8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08G1/13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the indicator being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제1 내비게이션 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배하는 소프트웨어 분배서버로서, 상기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분배서버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맵 데이터를 로딩하는 맵 로딩수단; 동일 목적지에 대하여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각각으로부터 교통상황 정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데이터 및 선택된 주행경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된 교통상황 정보 및 선택 주행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주행경로를 선택하는 주행경로 선택수단; 상기 맵 로딩수단에 로딩된 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주행경로를 표시할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 형성수단;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에 포함되는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형성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수단; 및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주행경로를 안내하는 음성을 제1 내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음성안내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Description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Software distributing server providing navigation application}
본 발명은 주행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장치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차량 부가 서비스 장치를 개발 및 장착하고 있는 추세이다. 차량 부가 서비스 장치는 차량의 도로 주행 시, 운전자의 핸들조작을 보조하여 주행차선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선이탈 경보 장치 등과 같은 안전 보조 장치를 비롯하여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경로에 따른 주변 정보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부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은 차량 운행시 모르는 길을 안내해 주거나, 과속 안내 정보 또는 위험 안내 정보를 알려주는 장치이다. 내비게이션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좌표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지도와 매칭하여 화면 출력해주고 있다.
목적지까지의 경로는 실시간 교통정보 또는 일정 시간 지연된 교통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나, 내비게이션 장치 마다 해당 내비게이션을 통한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가 활용하는 교통정보의 시차 또는 종류에 따라 각각의 내비게이션은 동일 목적지에 대하여 상이한 경로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특정 내비게이션의 경우 알고리즘 상의 오류 등의 이유로 현실과 동떨어진 경로를 제공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실생활에서 업무상 이동으로 인하여 도착시간의 관리가 중요한 경우에는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예를 들면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앱을 동시에 이용하여 보다 현실적인 경로를 사용자가 취사선택하여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이 경우 양 내비게이션들이 제공하는 주행경로 정보가 상이하거나 도착시간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추가적인 정보 없이 사용자가 특정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스마트폰의 주행경로 정보를 참조하는 도중에 호(call)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해당 내비게이션의 경로 정보 등을 이용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주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취합 및 제시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으로부터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는 도중 호(call)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도 끊김없이 해당 내비게이션 장치가 제공하는 주행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주행정보 제공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제1 내비게이션 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배하는 소프트웨어 분배서버로서,
상기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분배서버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맵 데이터를 로딩하는 맵 로딩수단; 동일 목적지에 대하여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각각으로부터 교통상황 정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데이터 및 선택된 주행경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된 교통상황 정보 및 선택 주행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주행경로를 선택하는 주행경로 선택수단; 상기 맵 로딩수단에 로딩된 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주행경로를 표시할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 형성수단;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에 포함되는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형성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수단; 및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주행경로를 안내하는 음성을 제1 내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음성안내수단;으로서 기능시킨다.
또한 상기 맵 로딩수단은,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맵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및 외부의 맵 데이터 제공 서버들이 제공하는 맵 데이터의 최근 갱신일자를 전송받고,
상기 로딩된 맵 데이터의 최근 갱신일자에 비하여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서버가 제공하는 맵 데이터의 최근 갱신일자가 늦은 시기인 경우 상기 로딩된 맵 데이터 상에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서버가 제공하는 맵 데이터에만 포함된 도로 정보를 일시적으로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은, 가장 최근 갱신된 맵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로를 산출하되,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 정보와 제2 주행경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의 산출근거가 되는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로부터 추출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을 시계열 순으로 정렬한 후 해당 지연 이벤트 정보의 지속 여부 및 해소 여부를 반영하여 상기 일치하지 않는 주행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은 상기 시계열 순으로 정렬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 중 해소되지 않거나 지속중인 지연 이벤트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에 따른 소요시간을 산출 및 비교하여 적은 시간이 소요되는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중의 하나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은,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에 따른 제1 주행시간과 제2 주행경로에 따른 제2 주행시간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주행시간 대비 양 주행시간의 차가 10% 이상이고,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 정보와 제2 주행경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최근 갱신일자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최근 갱신일자가 동일하거나 상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상에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된 최근 갱신일자 사이에 갱신된 도로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의 산출근거가 되는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로부터 추출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을 시계열 순으로 정렬한 후 해당 지연 이벤트 정보의 지속 여부 및 해소 여부를 반영하여 상기 일치하지 않는 주행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안내수단은 지리 안내 음성 정보, 주행 지시 음성 정보가 저장된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제2 외부서버로부터 음성 안내에 이용될 지리 안내 음성 정보, 주행 지시 음성 정보 및 음성 안내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용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갱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상기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플러그인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 이상의 내비게이션 장치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주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취합 및 제시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으로부터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이용하는 도중 호(call)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도 끊김없이 해당 내비게이션 장치가 제공하는 주행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주행정보 제공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100)는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와 제2 내비게이션(300)장치와 각각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해당 장치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전달받는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정보라고 함은 해당 내비게이션 장치가 이용하는 맵 데이터, 교통정보, 지연 이벤트, 목적지에 따른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주행정보 제공장치(100)는 또한 분배서버(50)로부터 소프트웨어나 맵 데이터 등을 전달받는다. 예를 들어, 분배서버(50)는 어플리케이션을 유무료로 제공하는 스토어 서버나 특정 업체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서버 또는 업데이트 서버일 수 있으며, 주행정보 제공장치(100)는 이러한 분배서버(5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이나 맵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다.
제1 내비게이션(200)은 예를들어 차량에 빌트인(built-in)된 차량용 내비게인션일 수 있으며, 제2 내비게이션(300)은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100)는 제1 내비게이션(200)과는 별도로 구성되는 장치로서 제1 내비게이션에 연결되거나 부속될 수 있으며, 제1 내비게이션 장치와 제어신호를 주고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5)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방식이나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비게이션(200)과 주행정보 제공장치(100)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제2 내비게이션(300)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핫 스팟 등 다양한 방식으로 주행정보 제공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주행정보 제공장치(100)가 제1 내비게이션(200)에 연결되거나 부속된 상태에서 제1 내비게이션(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제1 내비게이션(20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100)는 맵 로딩부(110), 주행경로 선택부(120), 영상 형성부(130), 영상 출력부(140), 음성 안내부(150) 및 음성 데이터베이스(160)를 포함한다.
맵 로딩부(110)는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 및 제2 내비게이션(300)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장치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로딩한다. 맵 로딩부(110)는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나 제2 내비게이션(300) 장치로부터 직접 맵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거나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나 제2 내비게이션(300) 장치가 이용하는 분배 서버(50), 예를 들면 다운로드 서버/업데이트 서버를 통하여 맵 데이터를 로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맵 로딩부(110)는 제1 내비게이션(200), 제2 내비게이션(300) 및 분배서버(50)들이 제공하는 맵 데이터의 최근 갱신일자를 전송받고, 전송된 최근 갱신일자 중 가장 최근에 갱신된 맵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로딩할 수 있다.
주행경로 선택부(120)는 동일 목적지에 대하여 제1 내비게이션(200) 및 제2 내비게이션(300) 각각으로부터 교통상황 정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데이터 및 선택된 주행경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된 교통상황 정보 및 선택 주행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주행경로를 선택한다.
이 때 제2 내비게이션(300)으로부터 목적지 설정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면 주행경로 선택부(120)는 제1 내비게이션(200)에 해당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 후 이에 대응하는 주행 경로 정보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주행경로 선택부(120)는, 가장 최근 갱신된 맵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로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되 제1 내비게이션(200) 및 제2 내비게이션(300) 양측으로부터 전달되는 지연 이벤트를 고려하여 경로의 선택에 반영할 수 있다. 이 때 지연 이벤트라 함은 도로의 보수 등과 관련된 공사 정보, 차량의 사고 정보, 도로 통제에 관한 정보 등 차량의 운행을 지연시키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내비게이션(200) 및 제2 내비게이션(300) 장치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 정보와 제2 주행경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의 산출근거가 되는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로부터 추출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을 통합하여 시계열 순으로 정렬한 후 해당 지연 이벤트 정보의 지속 여부 및 해소 여부를 반영하여 주행경로의 선택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양측의 지연 이벤트 정보를 취합하여 이미 해소된 지연 이벤트의 경우 이를 경로 선택의 원인 요소로부터 제거하고, 잔여 지연 이벤트와 해당 지점에서의 실제 교통 흐름을 고려하여 제1 내비게이션(200)이 제공하는 주행 경로와 제2 내비게이션(300)이 제공하는 주행 경로 중 소요 시간이 더 타당한 경로를 선택한다.
이외에도 잔여 지연 이벤트 정보를 제1 내비게이션(200)에 제공하여 이를 고려한 새로운 경로 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행경로 선택부(120)는 시계열 순으로 정렬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 중 해소되지 않거나 지속중인 잔여 지연 이벤트 정보를 반영하여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에 따른 소요시간을 직접 산출 및 비교하여 적은 시간이 소요되는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중의 하나를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행경로 선택부(120)는 제1 내비게이션(200) 및 제2 내비게이션(300)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에 따른 제1 주행시간과 제2 주행경로에 따른 제2 주행시간을 비교하고, 제1 주행시간과 제2 주행시간 중 상대적으로 적은 주행시간 대비 제1 주행시간과 제2 주행시간의 차가 기설정된 값, 예를 들면 10% 이상이고, 동시에 제1 내비게이션(200) 및 제2 내비게이션(300)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 정보와 제2 주행경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 갱신일자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되 최근 갱신된 도로 정보를 더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비게이션(200)과 제2 내비게이션(300)의 최근 갱신일자가 동일하거나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상에 제1 내비게이션(200) 및 제2 내비게이션(300)으로부터 전달된 최근 갱신일자 사이에 갱신된 도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단순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로부터 추출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을 시계열 순으로 정렬한 후 해당 지연 이벤트 정보의 지속 여부 및 해소 여부를 반영하여 일치하지 않는 주행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다. 반면, 제1 내비게이션(200) 및 제2 내비게이션(300)으로부터 전달된 최근 갱신일자 사이에 갱신된 도로 정보가 있는 경우 단순히 최근에 갱신된 맵 데이터를 보유하는 내비게이션(200)의 주행 정보를 선정하는 것 이외에도 임시의 도로 정보를 상대적으로 갱신이 오래 동안 되지 않은 내비게이션에 해당 도로 정보를 임시로 등록하여 경로 정보를 재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형성부(130)는 맵 로딩부(110)에 로딩된 맵 데이터를 기초로 주행경로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된 주행경로를 표시할 영상을 형성한다. 영상 형성부(130)에 의하여 형성된 영상과 음성 안내부(150)에 의하여 조합 또는 생성된 음성 정보는 함께 제1 내비게이션(200) 또는 제2 내비게이션(300) 장치로 전송된다.
영상 출력부(150)는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에 포함되는 제1 디스플레이(미도시) 및 제2 내비게이션(300) 장치에 포함되는 제2 디스플레이(미도시) 중 영상 형성부(130)에 의하여 형성된 영상을 출력할 대상을 선택하고, 선택된 출력 대상에 해당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14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세팅된 값에 의하여 특정 출력 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황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 또는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내비게이션(300) 장치가 스마트폰 등의 개인휴대통신단말장치인 경우 제2 내비게이션(300) 장치로 영상을 출력하는 도중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한 호(call)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내비게이션 장치로 영상을 전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음성안내부(150)는 음성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된 지리 안내 음성 정보, 주행 지시 음성 정보 등을 조합 등의 방법으로 활용하여 주행경로 선택부에 의하여 선택된 주행경로를 안내하는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1 내비게이션 또는 제2 내비게이션 중 어느 하나로 전송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서 설명한 주행정보 제공장치와는 달리 유사한 기능을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적으로는 유사하나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소 상이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10) 등에는 다양한 주행정보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고 있다. 이를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이라 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수단(100a)은 제2 내비게이션(300a)에 플러그인 형태로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별도로 실행되어 제2 내비게이션(300a)과 데이터를 전달 또는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1 내비게이션(2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내비게이션 장치이거나 별도의 추가적인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한편, 주행정보 제공수단(100a)은 별도의 광고 서버(60)로부터 주행 정보의 안내에 필요한 데이터와 함께 광고 음성 데이터를 더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수단(100a)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분배하는 소프트웨어 분배서버 등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1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즉, 주행정보 제공수단(100a)의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며, 소프트웨어 분배서버로부터 휴대 단말기(10)에 다운로드되어 휴대 단말기(10)를 다음과 같은 각각의 수단으로 기능하도록 한다.
맵 로딩수단(110a)은 동일한 휴대 단말기(10)에 저장된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이 제공하는 맵 데이터를 로딩하여 이를 기본적인 맵 데이터로서 이용한다.
맵 로딩수단(110a)은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 및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맵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다.
한편, 맵 로딩수단(110a)은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나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으로부터 전달된 맵 데이터의 최근 갱신일을 비교한다. 이 때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나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는 각각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별도의 외부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의 최근 갱신일시가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의 최근 갱신일시에 비하여 늦은 시기인 경우 맵 로딩수단(110a)에 의하여 로딩된 맵 데이터 상에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에만 포함된 도로 정보를 일시적으로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정식 업데이트 이전에도 타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제공된 도로 정보들을 임시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효율적인 경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임시 정보들은 추후 정식 맵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에 삭제되거나, 해당 경로 정보에 대응하는 주행이 끝난 시점에서 삭제될 수 있다.
주행경로 선택수단(120a)은 앞서 설명한 주행경로 선택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주행경로 선택수단(120a)은 가장 최근 갱신된 맵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로를 산출하되,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 및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 정보와 제2 주행경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의 산출근거가 되는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로부터 추출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을 시계열 순으로 정렬한 후 해당 지연 이벤트 정보의 지속 여부 및 해소 여부를 반영하여 일치하지 않는 주행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주행경로 선택수단(120a)은 시계열 순으로 정렬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 중 해소되지 않거나 지속중인 지연 이벤트 정보를 반영하여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에 따른 소요시간을 직접 산출 및 비교하여 적은 시간이 소요되는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중의 하나를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행경로 선택수단(120a)은 제1 내비게이션 장치(200) 및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에 따른 제1 주행시간과 제2 주행경로에 따른 제2 주행시간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주행시간 대비 양 주행시간의 차가 10% 이상이고, 동시에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 및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 정보와 제2 주행경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최근 갱신일자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서 갱신된 도로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최근 갱신일자가 동일하거나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상에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 및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으로부터 전달된 최근 갱신일자 사이에 갱신된 도로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의 산출근거가 되는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로부터 추출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을 활용하여 앞서 설명한 방식으로 일치하지 않는 주행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으로부터 전달된 최근 갱신일자와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로부터 전달된 최근 갱신일자 사이에 갱신된 도로 정보가 있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시의 도로 정보를 상대적으로 갱신이 오래 동안 되지 않은 제1 내비게이션(200) 또는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300a)에 해당 도로 정보를 임시로 등록하여 경로 정보를 재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상 형성수단(130a)은 앞서 설명한 영상 형성부와 동일한 영상을 형성하나 제2 내비게이션(300a)에 대응하는 맵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제공하게 되며, 마찬가지로 영상 출력수단(140a) 또한 앞서 설명한 주행정보 제공장치와는 달리 별도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없는 경우 제1 내비게이션 장치(200)에 포함되는 제1 디스플레이(미도시)에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음성안내수단(150a) 또한 주행경로 선택수단(120a)에 의하여 선택된 주행경로를 안내하는 음성을 제1 내비게이션(200) 장치로 전송한다.
음성안내수단(150a)은 지리 안내 음성 정보, 주행 지시 음성 정보가 저장된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160a)의 음성 데이터를 공유하여 주행 정보의 제공에 필요한 음성 정보를 조합 또는 생성할 수 있으며, 별도의 음성 데이터베이스 수단(160a)으로부터 음성 정보를 조합 또는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성 데이터베이스 수단(160a)에는 별도의 제2 외부서버로부터 음성 안내에 이용될 지리 안내 음성 정보, 주행 지시 음성 정보 및 음성 안내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용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갱신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100: 주행정보 제공장치
100a: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110: 맵 로딩부
110a: 맵 로딩수단
120: 주행경로 선택부
120a: 주행경로 선택수단
130: 영상 형성부
130a: 영상 형성수단
140: 영상 출력부
140a: 영상 출력수단
150: 음성 안내부
150a: 음성 안내수단
160: 음성 데이터베이스
160a: 음성 데이터베이스 수단

Claims (8)

  1. 제1 내비게이션 장치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분배하는 소프트웨어 분배서버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맵 데이터를 로딩하는 맵 로딩수단;
    동일 목적지에 대하여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각각으로부터 교통상황 정보, 사용자의 현재 위치 데이터 및 선택된 주행경로 정보를 전달받고, 전달된 교통상황 정보 및 선택 주행경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주행경로를 선택하는 주행경로 선택수단;
    상기 맵 로딩수단에 로딩된 맵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주행경로를 표시할 영상을 형성하는 영상 형성수단;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에 포함되는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영상 형성수단에 의하여 형성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수단; 및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주행경로를 안내하는 음성을 제1 내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음성안내수단;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도록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가능한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 로딩수단은,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이용하는 맵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 중 어느 하나가 제공하는 맵 데이터를 로딩하고,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및 외부의 맵 데이터 제공 서버들이 제공하는 맵 데이터의 최근 갱신일자를 전송받고,
    상기 로딩된 맵 데이터의 최근 갱신일자에 비하여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서버가 제공하는 맵 데이터의 최근 갱신일자가 늦은 시기인 경우 상기 로딩된 맵 데이터 상에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외부 서버가 제공하는 맵 데이터에만 포함된 도로 정보를 일시적으로 갱신하여 표시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가능한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은, 가장 최근 갱신된 맵 데이터를 기준으로 경로를 산출하되,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 정보와 제2 주행경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의 산출근거가 되는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로부터 추출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을 시계열 순으로 정렬한 후 해당 지연 이벤트 정보의 지속 여부 및 해소 여부를 반영하여 상기 일치하지 않는 주행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가능한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은 상기 시계열 순으로 정렬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 중 해소되지 않거나 지속중인 지연 이벤트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에 따른 소요시간을 산출 및 비교하여 적은 시간이 소요되는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중의 하나를 선정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가능한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경로 선택수단은,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에 따른 제1 주행시간과 제2 주행경로에 따른 제2 주행시간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주행시간 대비 양 주행시간의 차가 10% 이상이고,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제1 주행경로 정보와 제2 주행경로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최근 갱신일자를 최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최근 갱신일자가 동일하거나 상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 상에 상기 제1 내비게이션 장치 및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달된 최근 갱신일자 사이에 갱신된 도로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주행경로 및 제2 주행경로의 산출근거가 되는 제1 교통정보 및 제2 교통정보로부터 추출된 지연 이벤트 정보들을 시계열 순으로 정렬한 후 해당 지연 이벤트 정보의 지속 여부 및 해소 여부를 반영하여 상기 일치하지 않는 주행경로들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가능한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안내수단은 지리 안내 음성 정보, 주행 지시 음성 정보가 저장된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음성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가능한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제2 외부서버로부터 음성 안내에 이용될 지리 안내 음성 정보, 주행 지시 음성 정보 및 음성 안내와 함께 제공되는 광고용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갱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베이스 수단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가능한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상기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의 플러그인 방식으로 설치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언어로 기록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다운로드 가능한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된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KR1020180038559A 2018-04-03 2018-04-03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KR10188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59A KR101888808B1 (ko) 2018-04-03 2018-04-03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559A KR101888808B1 (ko) 2018-04-03 2018-04-03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808B1 true KR101888808B1 (ko) 2018-09-20

Family

ID=6371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559A KR101888808B1 (ko) 2018-04-03 2018-04-03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8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9676A (ja) 2011-07-07 2013-01-31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4085116A (ja) 2012-10-19 2014-05-12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9676A (ja) 2011-07-07 2013-01-31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4085116A (ja) 2012-10-19 2014-05-12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3480B2 (en)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RU2389976C1 (ru) Навиг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вигационный сервер и навиг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JP3969735B2 (ja)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8359159B2 (en) System which mediates providing of map information, server which mediates providing of map inform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US8554470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ovable terminal
JP2010048655A (ja) 運転評価システム及び運転評価プログラム
CN112113576A (zh) 行程路线规划方法、终端及存储介质
JP3808865B2 (ja) 経路案内用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経路案内用データを用いた経路案内配信装置
KR101888807B1 (ko) 최적 경로 제공을 위한 주행정보 제공장치
JPWO2016113890A1 (ja) 走行計画作成装置および走行計画変更方法
JP2008071008A (ja) 土木工事の施工管理システム
JP200709326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そ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に格納されている地図データの更新システムおよび地図データ更新方法
CN111462519B (zh) 引导装置、引导方法及存储介质
JP4737011B2 (ja) 車両用情報提供システム
US9008964B2 (en) Device for road and urban mobility and for solving the problem of traffic congestion
JP2013050792A (ja) 情報配信装置、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KR101888808B1 (ko) 주행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분배 서버
US11227491B2 (en) Information analysis device and information analysis method
JP2006084257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端末装置、センタ装置
KR101488677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경로 안내 방법
JP2016156770A (ja) 経路案内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854775A (zh) 基于自动导航的无人驾驶汽车,方法和系统
US20220221306A1 (en) Map update system
US20240068834A1 (en) Determination of Trip Information
US11796327B2 (en) Route subdivis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