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50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50B1
KR101887650B1 KR1020120006656A KR20120006656A KR101887650B1 KR 101887650 B1 KR101887650 B1 KR 101887650B1 KR 1020120006656 A KR1020120006656 A KR 1020120006656A KR 20120006656 A KR20120006656 A KR 20120006656A KR 101887650 B1 KR101887650 B1 KR 10188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acr
photosensitive drum
scanning directio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5692A (ko
Inventor
조현기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50B1/ko
Priority to EP13151852.4A priority patent/EP2618221B1/en
Priority to US13/745,141 priority patent/US9008557B2/en
Publication of KR20130085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6Details of unit using a sol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3/00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3/01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54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 G03G15/5058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an intermediate image carrying member, e.g. intermediate transfer belt or drum, conveyor belt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5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characterised by the technical problem
    • G03G2215/0158Colour registration
    • G03G2215/0161Generation of registration ma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CR 패턴의 배열을 최적화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의 변경이나 ACR 패턴의 개수 증가 없이도 ACR 성능을 향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41), 상기 감광드럼(41)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상기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30), 상기 감광드럼(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그에 대응되는 컬러의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 및 상기 감광드럼(41)의 외주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51)를 포함하는 싱글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중간전사벨트(51)에 소정의 ACR(Auto Color Registration)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드럼(41)의 외주면에 상기 ACR 패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되, 상기 ACR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패턴이 상기 감광드럼(41)의 회전으로부터 발생하는 AC 변동성분에 의해 갖게 되는 간격 변화량의 평균이 0이 되도록 하는 패턴 생성부(320); 상기 중간전사벨트(51)에 형성된 ACR 패턴을 감지하는 패턴 감지부; 및 상기 패턴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컬러의 옵셋(offset)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옵셋 값을 이용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는 ACR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싱글패스 방식으로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 잠상에 현상제(developing agent)인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可視)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이다. 특히 전자사진방식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블랙(K;blacK), 옐로우(Y:Yellow), 마젠타(M:Magenta) 및 시안(C:Cyan)의 4가지 색상의 토너를 감광매체에 공급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화상을 형성하고 이를 중첩시켜 칼라 화상을 구현한다.
칼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화상을 중첩할 때 각 색상의 화상이 올바른 위치에 중첩되지 않으면 화상의 테두리 부분이 번져 보이는 등 화상의 품질이 나빠지게 된다. 이는 현상기의 교체나 인쇄매수의 증가 등 여러 가지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각 색상의 화상이 올바른 위치에 중첩되도록 정렬하는 칼라 레지스트레이션(Color Registration)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4개의 노광유닛과 4개의 감광드럼을 사용하는 싱글 패스 방식의 칼라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의 교체나 인쇄매수의 증가 등 여러 가지 복합적인 변수가 발생할 때마다 칼라 레지스트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ACR(Auto Color Registration)을 수행하여 고품질의 칼라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ACR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ACR 패턴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적용하나, ACR 패턴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ACR을 위해 사용되는 토너의 소모량이 증가되고 ACR의 수행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ACR 패턴의 개수를 늘리기 위해 중간전사벨트 상에 패턴들을 근접하게 형성하면 중간전사벨트의 스크래치 또는 찍힘 등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 성분과 섞여 센서에 감지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ACR 보정값 예측이 부정확해지고 결과적으로 ACR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또한, 감광드럼으로부터 중간전사벨트로 ACR 패턴을 전사하는 과정에 있어 감광드럼의 회전에 의한 주기적 선속도 변동이 AC 성분을 발생시켜 정확한 DC 옵셋 값을 찾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ACR 패턴의 배열을 최적화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의 변경이나 ACR 패턴의 개수 증가 없이도 ACR 성능을 향상시키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감광드럼의 회전에 따른 주기적 선속도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AC 성분을 고려하여 ACR 패턴을 배열함으로써 각 컬러의 정확한 DC 옵셋 값을 찾아낼 수 있고 이로 인해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41), 상기 감광드럼(41)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상기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 상기 감광드럼(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그에 대응되는 컬러의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 및 상기 감광드럼(41)의 외주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51)를 포함하는 싱글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중간전사벨트(51)에 소정의 ACR(Auto Color Registration)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드럼(41)의 외주면에 상기 ACR 패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되, 상기 ACR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패턴이 상기 감광드럼(41)의 회전으로부터 발생하는 AC 성분에 의해 갖게 되는 간격 변화량의 평균이 0이 되도록 하는 패턴 생성부(320); 상기 중간전사벨트(51)에 형성된 ACR 패턴을 감지하는 패턴 감지부; 및 상기 패턴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컬러의 옵셋(offset)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옵셋 값을 이용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을 실행하는 ACR 실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 생성부(320)는, 상기 ACR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패턴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주주사 방향 패턴 및 부주사 방향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주주사 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 및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의 평균값이 각각 0이 되도록 한다.
상기 패턴 생성부(320)는, 상기 ACR 패턴의 길이가 상기 감광드럼(41)의 원주 길이의 정수배가 되도록 한다.
상기 패턴 생성부(320)는, 상기 감광드럼(41)의 AC 성분 주기 내에서 상기 주주사 방향 패턴과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이 동일한 개수(M≥2, M은 정수)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패턴 생성부(320)는, 상기 ACR 패턴 중에서 임의의 패턴과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이 상기 임의의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이 되도록 한다.
상기 패턴 생성부(320)는, 상기 임의의 패턴 및 그와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감광드럼(41)의 원주 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한다.
상기 패턴 생성부(320)는,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은 바(bar) 형태의 패턴이 되도록 하고, 상기 주주사 방향 패턴은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 형태의 패턴이 되도록 한다.
상기 소정 각도는 0도 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을 위해 ACR(Auto Color Registration) 패턴을 형성하는 싱글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 상기 ACR 패턴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41)의 AC 성분 주기 내에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부주사방향 패턴과 주주사방향 패턴을 동일한 개수(M, M≥2)로 포함하고; 상기 부주사방향 패턴 및 상기 주주사방향 패턴 중 임의의 패턴은 그 자신과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이며; 상기 M번째로 이웃하는 두 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감광드럼(41)의 원주 길이의 절반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간전사벨트(51)에 ACR(Auto Color Registration)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ACR 패턴을 감지하여 컬러 옵셋을 산출하고, 산출된 옵셋 값에 기초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을 실행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ACR 패턴은 복수의 서브 패턴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패턴이 감광드럼(41)의 회전으로부터 발생하는 AC 성분에 의해 갖게 되는 간격 변화량의 평균이 0이 되도록 한다.
상기 ACR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패턴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주주사 방향 패턴 및 부주사 방향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주주사 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 및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의 평균값이 각각 0이 되도록 한다.
상기 주주사 방향 패턴과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은, 상기 감광드럼(41)의 AC 성분 주기 내에서 동일한 개수(M≥2, M은 정수)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ACR 패턴 중에서 임의의 패턴과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이 상기 임의의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이 되도록 한다.
상기 임의의 패턴 및 그와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감광드럼(41)의 원주 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ACR 패턴의 배열을 최적화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기구적인 구성의 변경이나 ACR 패턴의 개수 증가 없이도 ACR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감광드럼의 회전에 따른 주기적 선속도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AC 성분을 고려하여 ACR 패턴을 배열함으로써 각 컬러의 정확한 DC 옵셋 값을 찾아낼 수 있고 이로 인해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시간에 따른 감광드럼의 회전 속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감광드럼의 회전속도의 주파수 분석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감광드럼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감광드럼에 형성되는 ACR 패턴의 간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감광드럼이 AC 성분을 가질 경우에 감광드럼에 형성되는 ACR 패턴의 간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감광드럼이 AC 성분을 갖는 경우 ACR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패턴 사이의 간격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기존의 방식으로 중간전사벨트에 전사되는 ACR 패턴의 구성과 서브패턴의 간격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기존에 사용되던 ACR 패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ACR 패턴의 구성과 간격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ACR 패턴의 구성과 간격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ACR 패턴의 구성과 간격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ACR 패턴의 구성과 간격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싱글패스 방식으로 컬러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글패스 방식의 칼라 화상형성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의 내부에 급지유닛(20), 노광유닛(30), 현상유닛(40), 중간전사유닛(50), 전사유닛(90), 정착유닛(60), 배지유닛(70) 및 패턴 감지부(90)을 구비한다.
급지유닛(20)은 본체(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급지카세트(21)와, 이 급지카세트(21)의 내부에 상하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위에 용지(P)가 적재되는 용지가압판(22)과, 이 용지가압판(22)의 하부에 마련되어 용지가압판(22)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23) 및 용지가압판(22)에 적재된 용지(P)의 선단측에 마련되어 용지(P)를 픽업하는 픽업롤러(24)을 포함한다.
노광유닛(30;30K, 30Y, 30M, 30C)은 서로 다른 색상, 예를 들면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현상유닛(40)에 주사하는 것으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레이저 스캔 유닛(LSU; Laser Scanning Unit)을 사용할 수 있다.
현상유닛(40)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 예를 들면 블랙(K),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40K, 40Y, 40M, 40C)로 구성된다. 각각의 현상기(40K, 40Y, 40M, 40C)에는 노광유닛(30)에 의해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41K, 41Y, 41M, 41C)가 구비된다. 도 1에서는 감광매체(41K, 41Y, 41M, 41C)가 각각의 현상기(40K, 40Y, 40M, 40C)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감광매체(41K, 41Y, 41M, 41C)는 현상기(40K, 40Y, 40M, 40C)와는 별도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감광매체(41)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에 광도전성층이 형성된 감광드럼(41)일 수 있다.
각각의 현상기(40K, 40Y, 40M, 40C)는 토너가 저장되는 토너 저장부(42)와, 각 감광매체(41K, 41Y, 41M, 41C)를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43), 각 감광매체(41K, 41Y, 41M, 41C)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롤러(44) 및 현상롤러(44)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롤러(45)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토너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컬러 이외에 다른 컬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 상술할 실시예에서는 상기 4가지 컬러의 토너가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중간전사유닛(50)은 각 감광매체(41K, 41Y, 41M, 41C)의 외주면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용지(P)로 전사시키는 중간 매체의 역할을 한다. 중간전사유닛(50)은 각 감광매체(41K, 41Y, 41M, 41C)에 접촉되어 순환 주행하는 중간전사벨트(51)와, 중간전사벨트(51)를 구동시키는 구동롤러(52)와, 중간전사벨트(51)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지지롤러(53)와, 각 감광매체(41K, 41Y, 41M, 41C)의 외주면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시키기 위한 4개의 중간전사롤러(54)를 포함한다.
전사유닛(90)은 중간전사벨트(51)의 일 면과 접촉하여 그 사이에 용지(P)를 통과시킴으로써 중간전사벨트(51)에 현상된 토너 화상을 용지(P)에 전사시킨다. 전사유닛(90)은 중간전사벨트(51)의 일 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전사롤러와전사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정착유닛(60)은 용지(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용지(P)에 고정시킨다. 정착유닛(60)은 토너가 전사된 용지(P)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게 설치되어 가열롤러(61)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가압롤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지유닛(70)은 인쇄를 마친 용지(P)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배지롤러(71)와, 이 배지롤러(71)와 함께 회전하는 백업롤러(72)를 포함한다.
패턴 감지부(80)는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중간전사벨트(51)에 인쇄한 ACR 패턴의 토너 전사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X축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중간전사벨트(51)를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중간전사벨트(51)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광센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중간전사벨트(51)에 인쇄한 ACR 패턴(각 색상의 옵셋 보정 패턴)의 토너층에 부딪혀 반사되어 오는 광을 수광하여 ACR 패턴의 토너 전사 위치를 인식한다.
ACR 패턴의 토너 전사 위치를 인식하는데 있어 노광유닛(30K, 30Y, 30M, 30C)의 주사 스큐(skew)에 의해 칼라 화상의 폭 방향으로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의 칼라 레지스트레이션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광센서는 중간전사벨트(51)의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술한 광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간전사벨트(51) 표면에 형성된 패턴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감지장치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개략적인 제어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동작 및 ACR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300),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유닛(100) 및 중간전사벨트(51) 표면에 형성된 패턴을 감지하는 패턴 감지부(80)를 포함한다.
인쇄유닛(100)은 노광유닛(30), 현상유닛(40), 중간전사유닛(50) 및 전사유닛(90)을 포함한다. 인쇄유닛(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에서 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인쇄유닛(100)을 구성하는 각 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310), 노광유닛(30)으로 하여금 감광매체(41)에 ACR 패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게 하는 패턴 생성부(320) 및 각 컬러간 DC 옵셋을 산출하여 에러를 보정하고 ACR을 실행하는 ACR 실행부(330)를 포함한다.
패턴 생성부(320)는 ACR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중간전사벨트(51)의 표면에 형성되는 ACR 패턴을 생성하는 바, 이를 위해 각 컬러의 노광유닛에 ACR 패턴에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상술할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패턴 생성부(320)에서 노광유닛(30)에 ACR 패턴에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ACR 패턴의 생성'이라하기로 한다.
각 컬러의 노광유닛(30)은 전송받은 화상신호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각 컬러의 감광드럼(41)에 형성하고, 각 컬러의 현상기는 감광드럼(4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해당 컬러의 토너를 공급하여 현상한다. 현상된 정전잠상은 토너화상이 되고, 이 토너화상은 감광드럼(41)과 중간전사벨트(51)의 접촉 및 회전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 표면에 전사되는 바, 중간전사벨트(51) 표면에 전사된 토너 화상이 각 컬러의 ACR 패턴이 된다. ACR 패턴은 각 컬러 별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바, 이하 상술할 실시예에서 ACR 패턴은 하나의 컬러에 대한 ACR 패턴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패턴 생성부(320)에서 생성하는 ACR 패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패턴 감지부(8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전사벨트(51) 표면에 형성된 ACR 패턴을 감지하여 그 결과를 출력함으로써 ACR 패턴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패턴 감지부(80)에서 발신된 후 각 컬러의 ACR 패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을 수광함으로써 각 컬러의 토너 전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패턴 감지부는 ACR 패턴의 감지결과를 후술할 ACR 실행부로 전송한다.
ACR 실행부(330)는 패턴 감지부(80)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ACR 패턴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위치가 기준위치로부터 얼마나 벗어났는지 여부, 즉 각 컬러의 옵셋을 산출한다. 여기서, 산출되는 각 컬러의 옵셋은 DC 옵셋인 것으로 한다. ACR 실행부(330)는 산출된 DC 옵셋을 보정함으로써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을 수행한다.
중간전사벨트(51) 표면에 형성되는 ACR 패턴은 감광드럼(41)으로부터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는 것이므로, 감광드럼(41)의 주기적 선속도 변동에 의해 발생하는 AC 성분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ACR 패턴의 구성에 따라 DC 옵셋 산출량이 달라지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패턴 생성부(320)는 각 컬러의 ACR 패턴을 특정한 규칙에 따라 구성하고, 특정한 간격으로 배열한다.
이하, 감광드럼(41)의 AC 성분과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먼저 살펴본 후에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는 시간에 따른 감광드럼(41)의 회전 속도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감광드럼(41)의 회전속도의 주파수 분석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마젠타 컬러의 토너가 공급되는 마젠타 감광드럼(41)을 사용하였다.
감광드럼(41)의 회전속도가 161mm/sec가 되도록 그 구동부의 입력신호로서 0.01sec의 샘플링 타임으로 1268.4 PPS(Pulse Per Second)를 입력하였다. 그러나 감광드럼(41)의 회전속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1mm/sec의 평균속도성분과 대략 1mm/sec의 진폭 및 주기 0.78sec의 교류속도성분(AC 성분)을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구동부를 일정한 회전속도로 정속 회전하도록 제어하더라도 감광드럼(41)의 회전속도에는 AC 성분과 같은 속도변동이 존재한다.
또한, 도 4의 주파수 분석 그래프를 참조하면, 주파수 1.28Hz(=f)가 가장 지배적인(dominant) 주파수임을 알 수 있으며, 1/f가 AC 성분의 주기 T에 해당한다.
여기서, 감광드럼(41)의 AC 성분을 사인파로 근사화 할 수 있으며, 감광드럼(41)의 회전속도(V)는 아래의 [수학식 1]로 근사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
V=V0+Avsin(w0t+θ0),
V0=161mm/sec
Av=1mm/sec
w0=2πf=2.56π(f=1/T)
θ0=AC 성분의 위상
도 5a는 감광드럼(41)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 감광드럼(41)에 형성되는 ACR 패턴의 간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감광드럼(41)이 AC 성분을 가질 경우에 감광드럼(41)에 형성되는 ACR 패턴의 간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감광드럼(41)의 외주면에, 등간격을 갖는 3개의 서브패턴으로 구성되는 ACR 패턴의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노광유닛(30)이 첫 번째 서브패턴의 정전잠상을 형성한 이후 동일한 시간 간격(t)으로 나머지 정전잠상들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감광드럼(41)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서브패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모두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앞서 검토한 바와 같이 감광드럼(41)의 구동부가 감광드럼(41)을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기 위해 일정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더라도 감광드럼(41)은 AC 성분을 갖고 기준속도를 중심으로 속도의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게 된다. 감광드럼(41)이 이러한 AC 성분을 갖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4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서브패턴의 정전잠상 사이의 간격에 변화가 생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 성분에 의해 첫 번째 t구간에서는 감광드럼(41)의 실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V0)보다 크고, 두 번째 t구간에서는 감광드럼(41)의 실제 회전속도가 기준속도보다 작다. 이 경우, 첫 번째 서브패턴과 두 번째 서브패턴 사이의 간격은 기준간격보다 커지고 두 번째 서브패턴과 세 번째 서브패턴 사이의 간격은 기준간격보다 작아진다. 여기서, 기준간격은 감광드럼(41)의 회전속도가 일정할 때의 서브패턴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도 6에 감광드럼(41)이 AC 성분을 갖는 경우 ACR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패턴 사이의 간격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드럼(41)의 회전속도가 사인파 형태로 변동하는 경우, 감광드럼(41)에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패턴 사이의 간격도 사인파 형태로 변동한다.
이 때 하나의 컬러에 대한 복수의 서브 패턴의 간격 변화량을 평균하면 해당 컬러의 DC 옵셋 대표값이 되고 이를 이용하여 보정 대상인 DC 옵셋을 산출하게 된다. 서브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기준간격에 대한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패턴 생성부(320)에서 노광 유닛에 보낸 화상신호는 100 dot의 등간격을 갖는 ACR 패턴에 대한 것이었으나 감광드럼(41)의 AC 성분에 의해 간격이 101 dot가 되면 간격 변화량을 +1로 하고, 99 dot가 되면 간격 변화량을 -1로 할 수 있다.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는 크게 x방향 옵셋, y방향 옵셋, 인쇄폭의 오차, 스큐(skew)의 4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x방향 옵셋은 주주사방향, 즉 센서가 스캐닝하는 방향에서 발생하는 오차이며, y방향 옵셋은 부주사 방향, 즉 전사벨트가 진행하는 방향에서 발생하는 오차이며, 인쇄폭의 오차는 화상영역의 좌우폭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오차이고, 스큐는 현상라인이 틀어짐으로써 발생하는 오차이다. ACR 패턴을 형성할 때에는 이러한 오차들을 검출할 수 있도록 패턴의 구성과 배열을 결정한다.
도 7에는 기존의 방식으로 중간전사벨트(51)에 전사되는 ACR 패턴의 구성과 서브패턴의 간격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R 패턴은 주주사 방향의 오차 즉, x방향 옵셋을 검출하기 위한 경사(slant) 형태의 서브패턴과 부주사 방향의 오차 즉, y방향 옵셋을 검출하기 위한 바(bar) 형태의 서브패턴을 포함한다. 경사(slant) 형태의 서브패턴은 바 형태의 서브패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이하, 바 형태의 서브패턴은 부주사방향 패턴, 경사 형태의 서브패턴은 주주사방향 패턴이라 한다.
또한, 중간전사벨트(51)의 진행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할 때 동일한 ACR 패턴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여 인쇄폭의 오차도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기존에 사용되던 ACR 패턴의 일 실시예로서, 중간전사벨트(51) 표면에 형성되는 각 컬러 별로 동일한 ACR 패턴을 사용하므로 블랙 컬러에 대한 ACR 패턴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CR 패턴에 대한 토너 화상을 중간전사벨트(51)로 옮기는 감광드럼(41)은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AC 변동성분을 갖고 있다. 감광드럼(41)이 한바퀴 회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AC 성분의 한 주기(T)로 보면, 도 7의 ACR 패턴은 AC 성분의 한 주기(T) 내에 부주사방향 패턴과 주주사방향 패턴을 각각 2개씩 포함한다.
도 7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좌측을 기준으로 첫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AC 성분에서 간격 변화량이 0인 것으로 볼 수 있고,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간격 변화량이 양의 값 +a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들을 평균하면, 블랙 컬러에 대한 ACR 패턴 중 부주사방향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은 0보다 큰 양의 값을 갖게 된다.
그리고,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간격 변화량이 양의 값 +b를 갖게 되고, 두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간격 변화량이 양의 값 +b를 갖게 된다. 따라서 블랙 컬러에 대한 ACR 패턴 중 주주사방향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 역시 0보다 큰 양의 값을 갖게 된다.
도 8은 기존에 사용되던 ACR 패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에서도 블랙 컬러에 대한 ACR 패턴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의 패턴도 AC 성분의 한 주기(T) 내에 두 개의 부주사방향 패턴과 두 개의 주주사방향 패턴을 포함한다. 도 8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첫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간격 변화량이 0이고,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간격 변화량이 +a이다. 그리고,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간격 변화량이 0이고, 두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간격 변화량이 -a이다.
따라서, 도 8의 패턴에서 부주사방향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은 양의 값이 되고, 주주사방향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은 음의 값이 된다.
AC 성분에 의한 간격 변화량의 전체 한 주기를 보면 0(기준 간격)을 중심으로 진동을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 중심값 또는 대표값은 0이 된다. 그러나, 상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R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이 0이 아닌 양 또는 음의 값이 산출되면, 각 컬러의 DC 옵셋 에러값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ACR 패턴의 배열과 구성을 조절하여 각 컬러 별 ACR 패턴을 구성하는 서브패턴들의 간격 변화량의 평균값이 0이 되도록 한다. 이하, 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 관점에서 중간전사벨트(51)에 전사되는 각 ACR 패턴의 위치는 패턴 감지부를 통해 n개의 이산화값으로 샘플링할 수 있기 때문에 감광드럼(41)의 AC 성분이 있는 경우, 그 AC 성분의 주기에서 최소한 2개 이상의 서브패턴이 배치된다면 샘플링 주파수가 감광드럼(41)의 AC 변동성분의 2배 이상이 되므로 에일리어싱(aliasing)을 방지할 수 있어 감광드럼(41)의 AC 성분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감광드럼(41)의 AC 성분의 주기에서 2개 이상의 서브패턴이 존재하고 감광드럼(41)의 AC 성분 주기를 고려하여 특정한 규칙에 따라 패턴을 배치한다면 정확한 AC 성분 대표값을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감광드럼(41)의, AC 성분이 존재하더라도 보다 정밀한 각 컬러의 DC 옵셋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패턴 생성부(320)는 감광드럼(41)의 AC 성분에 의한 간격 변화량의 평균값, 즉 부주사방향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 및 주주사방향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이 0이 되는, 2개 이상의 서브패턴으로 구성되는 ACR 패턴을 형성한다.
AC 성분에 의한 간격 변화량의 평균값이 0이 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들 수 있다.
먼저, 감광드럼(41)의 지름을 D라고 하면, 각 컬러의 ACR 패턴이 차지하는 길이는 πD × N(N≥1)이 된다. 따라서 전체 ACR 패턴의 길이 L은 πD × 4N(N≥1)이 된다. 그리고 각 컬러의 ACR 패턴은 그 서브패턴으로 바 형태의 부주사방향 패턴과 경사 형태의 주주사방향 패턴을 포함하고, 각 서브패턴 사이의 간격은 아래의 규칙을 갖는다. 부주사방향 패턴과 주주사방향 패턴은 그 목적이 다르므로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다.
ⅰ) 각 컬러의 ACR 패턴에 있어서 감광드럼(41)의 AC 성분의 주기 내에 부주사방향 패턴과 주주사방향 패턴은 각각 동일한 개수(M, M≥2)로 구성되고, ⅱ) 그 중 임의의 패턴이 그 자신과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이며, ⅲ) 상기 두 패턴 사이의 간격이 πD/2 이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규칙을 만족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ACR 패턴의 구성과 간격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각 컬러의 ACR 패턴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블랙 컬러의 ACR 패턴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당해 실시예에서의 ACR 패턴은 2개의 부주사방향 패턴과 2개의 주주사방향 패턴으로 구성되고(규칙 ⅰ 만족), 4개의 서브패턴 중 어느 패턴도 자신과 2번째로 이웃하는 패턴과 동일한 형태이다(규칙 ⅱ 만족). 또한, 4개의 패턴 중 임의의 패턴과 그와 2번째로 이웃하는 패턴 사이의 간격은 πD/2이다(규칙 ⅲ 만족).
패턴 생성부(320)는 감광드럼(41)에 4개의 패턴에 대한 정전잠상을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형성하도록 노광유닛(30)에 신호를 보내고, 예를 들어, 노광유닛(30)은 시간 0에서 첫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정전잠상을, 시간 T/4에서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정전잠상을, 시간 T/2에서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정전잠상을, 시간 3T/2에서 두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정전잠상을 형성하더라도, 감광드럼(41)의 AC 성분에 의해 각 서브패턴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는 바, 도 9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첫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0,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도 0이다. 따라서, 부주사방향 패턴의 대표값은 0이 된다.
그리고,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a, 두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a인 바, 주주사방향 패턴의 대표값도 0이 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ACR 패턴의 구성과 간격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블랙 컬러의 ACR 패턴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당해 실시예에서의 ACR 패턴은 8개의 서브패턴으로 구성되며, 8개의 서브패턴은 4개의 부주사방향 패턴과 4개의 주주사방향 패턴으로 이루어진다(규칙 ⅰ 만족). 그리고, 8개의 서브패턴 중 어느 패턴도 그와 4번째로 이웃하는 패턴과 동일한 형태이다(규칙 ⅱ 만족). 두 가지 예를 들면, 도 10의 ACR 패턴에서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과 4번째로 이웃하는 패턴은 주주사방향 패턴이며,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과 4번째로 이웃하는 패턴은 부주사방향 패턴이다. 또한, 4번째로 이웃하는 두 패턴 사이의 간격은 πD/2이다(규칙 ⅲ 만족).
도 10의 8개의 서브패턴은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형성되는 바, 첫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0에서,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T/8에서,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T/4에서, 두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3T/8에서, 세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T/2에서, 세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5T/8에서, 네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3T/4에서, 네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7T/8 에서 각각 형성된다.
도 10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첫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0,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a, 세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0, 네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a이다. 따라서, 부주사방향 패턴의 대표값은 0이 된다.
그리고,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b, 두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b, 세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b, 네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b이다. 따라서, 주주사방향 패턴의 대표값도 0이 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ACR 패턴의 구성과 간격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블랙 컬러의 ACR 패턴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ACR 패턴은 총 4개의 서브패턴으로 구성되며 4개의 서브패턴은 2개의 부주사방향 패턴과 2개의 주주사방향 패턴으로 이루어진다(규칙 ⅰ 만족). 또한, 4개의 서브패턴 중 어느 패턴도 그와 2번째로 이웃하는 패턴과 동일한 형태이며(규칙 ⅱ 만족), 2번째로 이웃하는 두 패턴 사이의 간격은 πD/2이다(규칙 ⅲ 만족).
당해 실시예에서는 각 서브패턴이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형성되지 않는 바, 첫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0에서 형성되고,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T/2에서,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T/8에서, 두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5T/8에서 형성된다.
도 11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첫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0이고,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도 0이다. 따라서 부주사방향 패턴의 대표값은 0이 된다. 그리고,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b이고, 두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b인 바, 주주사방향 패턴의 대표값은 0이 된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ACR 패턴의 구성과 간격 변화량을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ACR 패턴은 총 8개의 서브패턴으로 구성되며, 8개의 서브패턴 중 4개는 부주사방향 패턴이고 4개는 주주사방향 패턴이다(규칙 ⅰ 만족). 그리고 8개의 서브패턴 중 어떤 임의의 패턴도 자신과 4번째로 이웃하는 패턴과 동일한 형태임을 알 수 있다(규칙 ⅱ 만족). 또한, 4번째로 이웃하는 두 패턴 사이의 간격은 πD/2이다(규칙 ⅲ 만족).
도 12의 ACR 패턴은 각 서브패턴들이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형성되지만 앞의 실시예들과 달리 부주사방향 패턴과 주주사방향 패턴이 번갈아 위치하지 않는다. 첫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0에서,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T/8에서, 세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T/2에서, 네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은 5T/8에서,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T/4에서, 두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시간 3T/8에서, 세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3T/4에서, 네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은 7T/8 에서 각각 형성된다.
도 12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첫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0, 두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b, 세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0, 네 번째 부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b이다. 따라서, 부주사방향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은 0이 된다.
첫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a, 두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b, 세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a, 네 번째 주주사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은 -b이다. 따라서, 주주사방향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도 0이 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부주사방향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과 주주사방향 패턴의 AC 성분 대표값이 모두 0이 되면, 감광드럼(41)의 AC 성분이 존재하더라도 정확한 DC 옵셋 에러를 예측하고 효과적으로 ACR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패턴 생성부(320)는 AC 성분 대표값이 0이 되는 ACR 패턴을 하나 이상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ACR 패턴에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노광유닛(30)에 전송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규칙에 따라 ACR 패턴에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랜덤으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패턴 생성부(320)에서 생성하는 ACR 패턴은 도 9 내지 도 12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AC 성분 대표값이 0이 되는 ACR 패턴 또는 상술한 규칙을 만족하는 ACR 패턴이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패턴 생성부(320)에서 노광유닛(30)에 ACR 패턴에 대응되는 화상신호를 전송하여, 감광드럼(41)에 서브패턴의 간격 변화량 평균이 0이 되는 ACR 패턴을 노광한다(411). 이로 인해, 감광드럼(41)에 ACR 패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바, 여기서 ACR 패턴은 서브패턴 사이의 간격 변화량의 평균값이 0이 되고, 구체적으로는 앞서 설명한 규칙을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감광드럼(41)에 노광된 ACR 패턴에 대응되는 토너화상을 중간전사벨트(51) 표면에 형성한다(412). 각 컬러의 현상기가 감광드럼(4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감광드럼(41)과 중간전사벨트(51)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토너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어 중간전사벨트(51) 표면에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패턴 감지부가 중간전사벨트(51)에 형성된 ACR 패턴을 감지하고, 이를 ACR 실행부로 전송하면 ACR 실행부에서 이를 기초로 ACR 에러를 보정하여 ACR 작업을 실행한다(413).
30 : 노광유닛 40 : 현상유닛
50 : 중간전사유닛 60 : 전사유닛
200 : 패턴 감지부 300 : 제어부
310 : 구동 제어부 320 : 패턴 생성부
330 : ACR 실행부

Claims (14)

  1.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상기 감광드럼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상기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 상기 감광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그에 대응되는 컬러의 토너를 공급하여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유닛 및 상기 감광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는 중간전사벨트를 포함하는 싱글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소정의 ACR(Auto Color Registration)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감광드럼의 외주면에 상기 ACR 패턴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되, 상기 ACR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패턴이 상기 감광드럼의 회전으로부터 발생하는 AC 성분에 의해 갖게 되는 간격 변화량의 평균이 0이 되도록 하는 패턴 생성부;
    상기 중간전사벨트에 형성된 ACR 패턴을 감지하는 패턴 감지부; 및
    상기 패턴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각 컬러의 옵셋(offset)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옵셋 값을 이용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에러를 보정하는 ACR 실행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생성부는,
    상기 ACR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패턴이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주주사 방향 패턴 및 부주사 방향 패턴을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주주사 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 및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의 평균값이 각각 0이 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생성부는,
    상기 ACR 패턴의 길이가 상기 감광드럼의 원주 길이의 정수배가 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생성부는,
    상기 감광드럼의 AC 성분 주기 내에서 상기 주주사 방향 패턴과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이 동일한 개수(M≥2, M은 정수)로 형성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생성부는,
    상기 ACR 패턴 중에서 임의의 패턴과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이 상기 임의의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이 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생성부는,
    상기 임의의 패턴 및 그와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감광드럼의 원주 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생성부는,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은 바(bar) 형태의 패턴이 되도록 하고, 상기 주주사 방향 패턴은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 형태의 패턴이 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는 0도 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것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을 위해 ACR(Auto Color Registration) 패턴을 형성하는 싱글패스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ACR 패턴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의 AC 성분 주기 내에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부주사방향 패턴과 주주사방향 패턴을 동일한 개수(M, M≥2)로 포함하고;
    상기 부주사방향 패턴 및 상기 주주사방향 패턴 중 임의의 패턴은 그 자신과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이며;
    상기 M번째로 이웃하는 두 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감광드럼의 원주 길이의 절반인 것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중간전사벨트에 ACR(Auto Color Registration)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ACR 패턴을 감지하여 컬러 옵셋을 산출하고, 산출된 옵셋 값에 기초하여 컬러 레지스트레이션 작업을 실행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ACR 패턴은 복수의 서브 패턴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패턴이 감광드럼의 회전으로부터 발생하는 AC 성분에 의해 갖게 되는 간격 변화량의 평균이 0이 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CR 패턴을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패턴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주주사 방향 패턴 및 부주사 방향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주주사 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 및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의 간격 변화량의 평균값이 각각 0이 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주사 방향 패턴과 상기 부주사 방향 패턴은,
    상기 감광드럼의 AC 성분 주기 내에서 동일한 개수(M≥2, M은 정수)로 형성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ACR 패턴 중에서 임의의 패턴과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이 상기 임의의 패턴과 동일한 형태의 패턴이 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패턴 및 그와 M번째로 이웃하는 패턴 사이의 간격이 상기 감광드럼의 원주 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06656A 2012-01-20 2012-01-2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8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656A KR101887650B1 (ko) 2012-01-20 2012-01-2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3151852.4A EP2618221B1 (en) 2012-01-20 2013-01-18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745,141 US9008557B2 (en) 2012-01-20 2013-01-18 Image forming apparatus to form an auto color registration patter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656A KR101887650B1 (ko) 2012-01-20 2012-01-2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692A KR20130085692A (ko) 2013-07-30
KR101887650B1 true KR101887650B1 (ko) 2018-08-13

Family

ID=47757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656A KR101887650B1 (ko) 2012-01-20 2012-01-2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08557B2 (ko)
EP (1) EP2618221B1 (ko)
KR (1) KR101887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3911B2 (ja) * 2010-11-15 2013-06-2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7119A1 (en) 2009-10-28 2011-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58774B (en) * 1995-11-20 1999-05-21 Fuji Xerox Co Ltd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186610B2 (ja) * 1996-07-08 2001-07-1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51066B2 (ja) * 1999-03-02 2004-08-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7232763A (ja) * 2006-02-27 2007-09-13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4330614B2 (ja) * 2006-04-14 2009-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1572164B1 (ko) * 2009-01-12 2015-1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컬러정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7119A1 (en) 2009-10-28 2011-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8221A3 (en) 2017-01-04
US20130189000A1 (en) 2013-07-25
US9008557B2 (en) 2015-04-14
EP2618221A2 (en) 2013-07-24
EP2618221B1 (en) 2020-05-06
KR20130085692A (ko) 201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3028B2 (ja) 画像形成装置
JP4264442B2 (ja) 色ずれの調整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576763B2 (en) Hybrid imager printer using reflex writing to color register an image
JP4506826B2 (ja) 画像形成装置
US87122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imary transfer unit, a secondary transfer unit, and a direct transfer unit
US90468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lor registration method of the same
JP503620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63626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방법
JP548845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007880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54289A (ja)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9080157A (ja) 画像形成装置
KR101887650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10535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148127A (ja) 画像形成装置
JP2017167304A (ja) 画像形成装置、位置ずれ補正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21759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78850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312510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色ズレ調整方法
JP6584580B2 (ja) 画像形成装置
JP4451105B2 (ja) 画像記録装置
JP200923731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017423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2173729A (ja) 印刷装置
JP201012822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位置ずれ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