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449B1 - 플로팅 베스트 - Google Patents

플로팅 베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449B1
KR101886449B1 KR1020130024315A KR20130024315A KR101886449B1 KR 101886449 B1 KR101886449 B1 KR 101886449B1 KR 1020130024315 A KR1020130024315 A KR 1020130024315A KR 20130024315 A KR20130024315 A KR 20130024315A KR 101886449 B1 KR101886449 B1 KR 101886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hook
connecting portion
strap
hook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037A (ko
Inventor
유우 구로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옷의 앞길과 뒷길의 조정 조작을 행하기 쉽고, 낚시바늘이나 낚싯줄이 걸리는 일이 없는 플로팅 베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플로팅 베스트는, 앞길(2A, 2B)과 뒷길(3)을 양 겨드랑이 아랫부분에서 연결하는 연결부(6a)를 구비하고, 연결부에 배치된 조정 부재(10)에 의해 앞길과 뒷길의 간격 조정을 할 수 있다. 조정 부재는, 앞길측 및 뒷길측에 고착되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훅 부재(12, 13)와, 앞길측의 훅 부재(12)와 뒷길측의 훅 부재(13)에 교차하여 걸리는 조정끈(15)과, 훅 부재에 걸리는 조정끈(15)의 조임 상태를 조정 가능한 긴체 부재(18)를 갖는다. 훅 부재(12, 13)와 조정끈(15)은, 연결부(6a)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긴체 부재(18)는, 연결부의 겨드랑이 하측에 설치된 개구(6A)로부터 노출되고, 긴체 부재를 통해 조정끈(15)의 노출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앞길과 뒷길의 간격이 조정된다.

Description

플로팅 베스트{FLOATING VEST}
본 발명은, 바다나 강 등의 물가에서 사용되는 플로팅 베스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이즈 조정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플로팅 베스트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배낚시나 갯바위 낚시 등, 낚시를 할 때에는, 안전상, 플로팅 베스트를 착의하는 것이 권장되고 있다. 통상, 플로팅 베스트는, 옷의 앞길과 뒷길을 갖고 있고, 이들의 적소에 부력체를 내포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앞길과 뒷길은, 숄더부 및 웨이스트부에서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앞길의 중앙의 상하 방향에 설치된 파스너를 조작함으로써 착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통상, 상기한 플로팅 베스트에는, 착의하는 사람의 체형 및 내측에 입는 옷에 따라서, 앞길과 뒷길 사이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조정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조정 부재는, 상기 앞길과 뒷길을 양 겨드랑이 아랫부분에서 연결하는 웨이스트부(연결부)에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에 배치된 벨트체를 바지의 벨트와 같이 체결함으로써, 앞길과 뒷길의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820172호 일본 특허 제4083873호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조정 부재는,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외부에 노출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낚시에서 사용하는 경우, 낚시바늘이나 낚싯줄이 걸리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조정 부재는, 연결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낚시바늘이나 낚싯줄의 걸림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플로팅 베스트를 입은 채, 앞길과 뒷길의 조정 조작을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앞길과 뒷길의 조정 조작을 행하기 쉽고, 낚시바늘이나 낚싯줄이 걸리는 일이 없는 플로팅 베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베스트는, 앞길과 뒷길을 양 겨드랑이 아랫부분에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에 배치된 조정 부재에 의해 앞길과 뒷길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앞길측 및 뒷길측에 고착되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훅 부재와, 상기 앞길측의 훅 부재와 뒷길측의 훅 부재에 교차하여 걸리는 조정끈과, 상기 훅 부재에 걸리는 조정끈의 조임 상태를 조정 가능한 긴체(緊締) 부재를 갖고, 상기 훅 부재와 조정끈은, 상기 연결부 내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긴체 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겨드랑이 하측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노출되고, 긴체 부재를 통해 상기 조정끈의 노출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앞길과 뒷길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플로팅 베스트에 따르면, 앞길측과 뒷길측을, 겨드랑이 아랫부분에서 연결하는 연결부의 상방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노출되는 긴체 부재를 통해, 조정끈의 길이를 조정(훅 부재의 배열 방향을 따른 올리고 내리는 조작)함으로써, 앞길과 뒷길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훅 부재와 조정끈은, 상기 연결부 내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낚시바늘이나 낚싯줄이 걸리는 일은 없고, 또한 긴체 부재에 대해서도, 조정 조작을 하지 않을 때에는 겨드랑이 아래로부터, 상기 연결부의 내측과 몸통부 사이의 간극 내에 수용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낚시바늘이나 낚싯줄이 걸리는 일이 없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옷의 앞길과 뒷길의 조정 조작을 행하기 쉽고, 낚시바늘이나 낚싯줄이 걸리는 일이 없는 플로팅 베스트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베스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플로팅 베스트의 이면측의 겨드랑이 아랫부분의 연결부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a)는 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정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b)는 훅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의 (a)는 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정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b)는 훅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정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a)는 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정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b)는 훅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정 부재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베스트의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플로팅 베스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도 1은 정면도, 도 2는 이면측의 겨드랑이 아랫부분의 연결부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그리고 도 3의 (a)는 연결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정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b)는 훅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플로팅 베스트(1)를 구성하는 본체(1A)는,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에 의해 봉제되어 있고, 좌우의 앞길(2A, 2B)과 뒷길(3)을 구비하고, 이들은 좌우의 숄더부(5a, 5b) 및 좌우의 웨이스트부(연결부)(6a, 6b)를 통해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의 숄더부(5a, 5b)와, 좌우의 웨이스트부(6a, 6b) 사이에는, 장착자의 팔을 통과시키는 개구(7a, 7b)가 형성되는 동시에, 좌우의 앞길(2A, 2B)의 전방면측 중앙에는, 양 앞길을 연결하는 파스너(8)가 봉착(縫着)되어 있다. 또한, 각 앞길(2A, 2B)의 표면에는, 파스너 등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포켓(9)이 봉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체(1A) 내에는, 적소에 부력재(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앞길과 뒷길을 연결하는 웨이스트부(연결부)에는, 앞길과 뒷길의 간격을 조정 가능한 조정 부재(1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본 실시 형태의 조정 부재는, 좌측 앞길(2A)과 뒷길(3)을 좌측 겨드랑이 아래에서 연결하는 좌측 웨이스트부(6a)에 배치되어 있고, 이 부분에 배치되는 조정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앞길과 뒷길의 간격 조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측 앞길을, 단순히 앞길(2A)이라 칭하고, 좌측 웨이스트부를, 단순히 연결부(6a)라고 칭한다.
이하, 조정 부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조정 부재(10)는 앞길측 및 뒷길측에 고착되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훅 부재(12, 13)와, 앞길측의 훅 부재(12)와 뒷길측의 훅 부재(13)에 교차하여 걸리는 조정끈(15)과, 양 훅 부재의 상방측(끌어올림 조작측)에 배치되고, 각 훅 부재에 걸리는 조정끈(15)의 조임 상태를 조정 가능한 긴체 부재(18)를 갖고 있다.
상기 각 훅 부재(12, 13)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조정끈(15)이 권회되어 회전 가능한 롤러(20a)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20)와, 이 보유 지지체(20)를, 앞길 및 뒷길을 구성하는 부재에 고착(봉착)하는 설편(舌片)(2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길(2A)측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2개의 훅 부재(12)가 배치되고, 뒷길(3)측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2개의 훅 부재(13)가 배치되고, 이들은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 설편(21)이, 각각 앞길의 소정 위치 및 뒷길의 소정 위치에 봉착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복수의 훅 부재(12, 13) 및 이것에 걸리는 조정끈(15)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직물 부재를 포개어 봉착한 연결부(6a) 내에 배치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볼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긴체 부재(18)는, 연결부(6a)의 겨드랑이 하측에 설치된 개구(6A)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훅 부재(12, 13)에 교차하여 걸린 조정끈(15)의 노출 단부측과 결합되어, 조정끈(15)의 노출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긴체 부재(18)는, 케이스 본체(18A) 내에 로크 부재(18a)를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고 있고, 로크 부재(18a)의 양 사이드에 조정끈(15)의 루프부(15a)를 삽입 관통시켜, 그 루프 단부를 케이스 본체(18A)로부터 노출시키고 있다. 또한, 로크 부재(18a)는, 케이스 본체(18A)의 긴 구멍(18B)으로부터 돌출되는 조작부(18b)를 갖고 있고, 이 조작부(18b)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도 3의 하방측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개구(6A)에 대해서는, 연결부(6a)의 표면측에 형성해 두어도 되지만, 상기 긴체 부재(18)와 루프부(15a)를, 연결부(6a)의 이면측에 수용하기 쉽도록 연결부(6a)의 이면측(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의자의 몸통부측)에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구(6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훅 부재(12, 13)의 사이에 배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조작부(18b)를, 도 3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로크 부재(18a)의, 조정끈의 루프부(15a)에 대한 로크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조정끈(15)을 끌어올림 조작하여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는 것(노출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개구(6A)가 훅 부재(12, 13)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긴체 부재(18)로부터 노출되는 조정끈을 조였을 때, 앞길(2A)과 뒷길(3)이 서로 접근하여, 꼬이는 일 없이 안정된 조정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플로팅 베스트에 따르면, 착의한 상태 그대로, 상기 겨드랑이 아랫부분의 연결부(6a)의 상방에 설치된 개구(6A)로부터 노출되는 긴체 부재(18)의 조작부(18b)를, 한쪽 손의 손가락으로 조작하면서, 다른 쪽 손의 손가락에 루프부(15a)를 걸어 끌어올림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루프부(15a)를 단순히 끌어올림 조작함으로써, 조정끈(15)을 걸고 있는 훅 부재(12, 13)는, 도 3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접근하므로, 앞길(2A)과 뒷길(3)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조정끈(15)을 느슨하게 하면, 앞길(2A)과 뒷길(3)의 간격은 넓어진다].
그리고, 긴체 부재(18)에 의한 조작을 하지 않을 때에는, 연결부(6a)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긴체 부재(18) 및 루프부(15a)를, 연결부(6a)의 이면측에 수용해 둘 수 있다. 즉, 훅 부재(12, 13)와, 이들에 걸리는 조정끈(15)은, 연결부(6a) 내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실제로 조작을 행하는 긴체 부재(18) 및 조정끈의 루프부(15a)에 대해서도, 조정 조작을 하지 않을 때에는, 겨드랑이 아래로부터 연결부(6a)의 내측(연결부의 내면과 착의자의 몸통부 사이)에 수용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낚시바늘이나 낚싯줄이 걸리는 일이 없는 플로팅 베스트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훅 부재(12, 13)는, 회전 가능한 롤러(20a)를 갖고 있고, 이들 롤러(20a)에 조정끈(15)을 권회시키고 있으므로, 조정끈(15)의 끌어올림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조정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조정 부재의 각종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예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4는, 조정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앞길(2A)측 및 뒷길(3)측에 대해 고착되는 복수의 훅 부재(12, 13)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체(수지제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음)(22, 23)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각 훅 부재(12, 13)는, 조정끈(15)이 권회되어 회전 가능한 롤러(20a)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20)를 구비한 구조로 되어 있고, 보유 지지체(20)를, 판 형상체(22, 23)의 표면에 접착제 등에 의해 장착하고, 이 판 형상체를 앞길(2A)측 및 뒷길(3)에 대해 고착(봉착)하고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긴체 부재(28)는, 개구(6A)로부터 돌출되는 조정끈(15)의 루프부(15a)를 겹쳐, 그 단부에 파지하기 쉽도록 파지편(15C)을 장착하여 삽입 관통시키고 있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긴체 부재(28)의 본체(28A)에 설치되는 푸시로드(조작부)(28a)를 가압력에 저항하여 압박 조작함으로써, 조정끈(15)에 대한 로크를 해제하고, 조정끈(15)을 끌어올림 조작하여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는 것(노출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정끈(15)을 조일 때, 앞길 및 뒷길에 설치되어 있는 훅 부재(12) 및 훅 부재(13)가, 판 형상체(22, 23)를 통해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조정끈(15)을 조였을 때, 앞길 및 뒷길의 훅 부재를 고착한 영역, 즉, 겨드랑이 아랫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조여지는(수축되어 주름이 되는) 일이 없어져, 착용감을 저하시켜 버리는 일이 없다.
도 5는, 조정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한 실시 형태 및 제1 변형예에서는, 모두 앞길측 및 뒷길측에 고착되는 훅 부재는, 각각 상하에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씩 배치하였지만, 그 개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고,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씩 배치해도 된다(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4개 이상씩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훅 부재에 대해서도, 조정끈(15)을 회전 롤러에 의해 안내하는 것 이외에도, 단순히 개구(12a, 13a)를 형성해 두고, 이 개구(12a, 13a)를 삽입 관통시켜 조정끈(15)을 교차하도록 안내한 것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정 부재라도,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도 4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각 훅 부재를 미리 판 형상체에 장착해 두어도 된다.
도 6은, 조정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앞길(2A)측 및 뒷길(3)측에 있어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훅 부재는, 개구(6A)에 가까운 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조정끈(15)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이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앞길(2A)측의 훅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체(22)의 표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원호부(32a, 32b)를, 판 형상체와 함께 일체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개구(6A)에 가까운 측의 훅 부재(32a)보다도 하측의 훅 부재(32b)의 쪽이, 조정끈(15)에 대한 권회 상태의 곡률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조정끈(15)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뒷길(3)측의 훅 부재에 대해서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체(23)의 표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2개의 원호부(33a, 33b)를, 판 형상체와 함께 일체 형성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개구(6A)에 가까운 측의 훅 부재(33a)보다도 하측의 훅 부재(33b)의 쪽이, 조정끈(15)에 대한 권회 상태의 곡률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조정끈(15)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훅 부재(32a, 32b 및 33a, 33b)는, 그 상면측으로부터 폐색 부재(덮개)(32A, 33A)에 의해 덮여 있어, 권회한 조정끈(15)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각 훅 부재를, 판 형상체(22, 23)를 통해 고착함으로써, 겨드랑이 아랫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조여지는(수축되어 주름이 되는) 일이 없어지는 동시에, 조정끈(15)을 조였을 때에, 상하의 미끄럼 이동 저항의 차에 의해, 앞길(2A) 및 뒷길(3)이 상하 방향에서 대략 균일하게 접근할 수 있어, 앞길(2A) 및 뒷길(3)의 조임 감각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훅 부재를 판 형상체(22, 23)에 일체 형성하였으므로, 조정 부재(10)의 내장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하의 훅 부재의 조정끈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을 바꾸는 수단으로서, 상측의 훅 부재를,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에 통과시켜 안내하고, 하측의 훅을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롤러에 의해 안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편측에 3개 이상의 훅 부재를 배치하는 구성에서는, 하측의 훅 부재일수록, 조정끈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이 작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조정 부재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개구(6A)의 주위에 긴체 부재(28)를 고정하고, 조정끈(15)을 개구(6A)로부터 인출하여 긴체 부재(28)에 삽입 관통한 후, 개구(41)를 통해 앞길(21)의 내부에 끌어넣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긴체 부재(28)는, 본체(28A)에 형성된 걸림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옷의 길(연결부라도 좋음)의 이면에 고착되어 있는 보유 지지체(40)를 삽입 관통함으로써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이 고정된 긴체 부재(28)에 삽입 관통되는 루프부(15a)는, 개구(41)를 통해 앞길의 포켓 내에 안내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긴체 부재(28)가 표면측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낚시바늘이나 낚싯줄의 걸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소정의 포켓에 손을 넣음으로써 용이하게 조정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조정 부재를, 좌측 앞길측에 설치하였지만, 좌우의 앞길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앞길과 뒷길을 접근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연결부로부터 돌출되는 조정끈을 끌어올림으로써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긴체 부재의 구성이나, 조정끈을 교차하여 안내하는 훅 부재의 구성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플로팅 베스트
1A : 본체
2A, 2B : 앞길
3 : 뒷길
6a, 6b : 연결부
10 : 조정 부재
12, 13 : 훅 부재
18 : 긴체 부재
32a, 32b, 33a, 33b : 훅 부재
15 : 조정끈
22, 23 : 판 형상체

Claims (4)

  1. 옷의 앞길과 뒷길을 양 겨드랑이 아랫부분에서 연결하도록 직물 부재를 겹쳐서 형성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에 배치된 조정 부재에 의해 앞길과 뒷길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플로팅 베스트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상기 앞길측 및 뒷길측에 고착되고, 각각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훅 부재와, 상기 앞길측의 훅 부재와 뒷길측의 훅 부재에 교차하여 걸리는 조정끈과, 상기 훅 부재에 걸리는 조정끈의 조임 상태를 조정 가능한 긴체 부재를 갖고,
    상기 훅 부재와 조정끈은, 상기 연결부를 형성하는 겹쳐진 직물 부재 사이에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긴체 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겨드랑이 하측의 상방에 설치된 개구로부터 노출되고, 긴체 부재를 통해 상기 조정끈을 끌어올림 조작하여 상기 조정끈의 노출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앞길과 뒷길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베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 부재는, 상기 조정끈을 권회하여 회전 가능한 롤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베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훅 부재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체에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고, 상기 판 형상체를 통해 앞길측 및 뒷길측에 각각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베스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길측 및 뒷길측에 있어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훅 부재는, 상기 개구에 가까운 측보다도 하측의 쪽이, 상기 조정끈에 대한 미끄럼 이동 저항이 낮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베스트.
KR1020130024315A 2012-03-26 2013-03-07 플로팅 베스트 KR101886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9340A JP5931532B2 (ja) 2012-03-26 2012-03-26 フローティングベスト
JPJP-P-2012-069340 2012-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037A KR20130109037A (ko) 2013-10-07
KR101886449B1 true KR101886449B1 (ko) 2018-08-07

Family

ID=4936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315A KR101886449B1 (ko) 2012-03-26 2013-03-07 플로팅 베스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31532B2 (ko)
KR (1) KR101886449B1 (ko)
CN (1) CN1033592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4820B2 (ja) * 2016-03-31 2020-04-0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ウエアサイズ調整機構及び該調整機構を備える衣服
JP6674819B2 (ja) * 2016-03-31 2020-04-0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ウエアサイズ調整機構及び該調整機構を備える衣服
TWI648008B (zh) * 2016-03-31 2019-01-21 日商古洛布萊股份有限公司 Clothes size adjustment mechanism and clothes having the same
KR101920460B1 (ko) * 2018-06-11 2018-11-20 김기수 구명조끼
KR102004342B1 (ko) * 2018-11-07 2019-07-26 정영학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WO2023024715A1 (zh) * 2021-08-24 2023-03-02 广州凯乐石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背心式背包的前胸调节装置及背心式背包
CN117942196A (zh) * 2024-03-27 2024-04-30 北京天星医疗股份有限公司 一种可调节全柔性袢板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205A (ja) 1998-06-16 2000-01-11 Shimano Inc 釣り用ベスト
KR200435860Y1 (ko) * 2006-09-06 2007-02-27 설관욱 크기조절이 가능한 의복
JP2011000461A (ja) 2010-09-13 2011-01-06 Kurebu:Kk
KR200456572Y1 (ko) * 2011-02-07 2011-11-07 이석호 비대칭 구조의 도르래를 이용한 신발끈 고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1016A (en) 1969-02-11 1970-09-29 Maremont Corp Bobbin orienting and loading apparatus
JPS60164907U (ja) * 1984-04-12 1985-11-01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運動靴
CN2184650Y (zh) * 1993-11-19 1994-12-07 陈国强 浮潜救生衣
FR2802783B1 (fr) * 1999-12-28 2002-05-31 Salomon Sa Dispositif de serrage de puissance d'une chaussure
GB2385256A (en) * 2002-02-15 2003-08-20 Anthony Alan Richardson Body protector with two foam layers
JP4820172B2 (ja) * 2006-01-11 2011-11-24 株式会社シマノ フローティングベスト
JP4616920B2 (ja) * 2009-06-17 2011-01-19 株式会社クレ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8205A (ja) 1998-06-16 2000-01-11 Shimano Inc 釣り用ベスト
KR200435860Y1 (ko) * 2006-09-06 2007-02-27 설관욱 크기조절이 가능한 의복
JP2011000461A (ja) 2010-09-13 2011-01-06 Kurebu:Kk
KR200456572Y1 (ko) * 2011-02-07 2011-11-07 이석호 비대칭 구조의 도르래를 이용한 신발끈 고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59268B (zh) 2017-04-26
JP2013199720A (ja) 2013-10-03
KR20130109037A (ko) 2013-10-07
CN103359268A (zh) 2013-10-23
JP5931532B2 (ja)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449B1 (ko) 플로팅 베스트
US8443937B2 (en) Floating harness with continuous loop
CN109640725B (zh) 兜帽调节机构
US7581416B1 (en) Prisoner transport system
CN105407751A (zh) 具有使乳房更加靠拢在一起的可逆效果的胸罩
US20140096304A1 (en) Internally Belted Coveralls
JP2016210412A (ja) 連続ストラップ付きベスト
US8839463B2 (en) Trouser and method for easing the strain on legs and knees when moving
FR2670096A1 (fr) Dispositif de reglage des elements de portage des sacs a dos.
KR101811367B1 (ko) 아웃도어용 벨트 구조체
JP5754862B2 (ja) サスペンダー付き下衣
EP3482647B1 (fr) Article d'habillement présentant une ceinture d'ajustement élastique
US20220047063A1 (en) Protective Equipment
CN107259671B (zh) 服装尺寸调节机构及具备该调节机构的服装
JP3142686U (ja) 安全帯を一体化した作業服
JP7153780B1 (ja) 作業者用ベスト
CN214485336U (zh) 一种高空作业安全防护带
JP4226441B2 (ja) ウエストベルト付き釣り用ケ−ス
JP2021508010A5 (ko)
JP3156044U (ja) 水作業用ズボン
JP2011103859A (ja) 動物用の胴衣
KR101811368B1 (ko) 아웃도어용 벨트 구조체
FI89326B (fi) Heloverall
AU684732B2 (en) A convertible backpack
JP2024041127A (ja) 運搬支援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