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342B1 -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 Google Patents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342B1
KR102004342B1 KR1020180136208A KR20180136208A KR102004342B1 KR 102004342 B1 KR102004342 B1 KR 102004342B1 KR 1020180136208 A KR1020180136208 A KR 1020180136208A KR 20180136208 A KR20180136208 A KR 20180136208A KR 102004342 B1 KR102004342 B1 KR 10200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cylinder
neckline
carbon diox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헌
Original Assignee
정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학 filed Critical 정영학
Priority to KR102018013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63C9/1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 B63C9/155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having gas-filled compartments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63C9/19Arrangements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B63C2009/13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ttachable to the user's head or neck, e.g. like a cap or col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은,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방수 케이스와, 상기 방수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목줄에 연결된 수동레버에 의해 이산화탄소 실린더가 격발되어 내장된 구명용 튜브를 팽창시키되 목줄잠김수단에 의해 상기 목줄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팽창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Waterproofing pack with Autonomous inflatable life-saving function}
본 발명은 구명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에 관한 것이다.
구명조끼/튜브는 계곡이나 바다 등과 같은 수상 환경에서 물놀이를 할 때 익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필수물품으로 자리 잡은지 오래이다. 튜브는 비닐 재질로 이루어지는 공기주머니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켜 팽창시킨 다음,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물 위를 떠다니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물살에 의한 흐름이나 항상 파도가 출렁이는 수상 환경은 아무런 장애가 없는 지상 환경과 달리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른 인체의 반응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수영 실력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아나 어린이와 같이 연령대가 낮거나 고령층의 경우 수상 환경에서의 튜브 또는 구명조끼의 사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명조끼 및 휴대형 팽창식 구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제품은 안전을 중점으로 제작되어 인식적인 보편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일반적인 구명조끼는 부피가 커서 사용자가 착용을 꺼리는 단점이 있다.
기존의 휴대형 팽창식 구명장치는 물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동작하므로, 긴급 상황 시 직접 제어가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장애물 등으로 인해 팽창을 지연하고 싶어도 지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특정 상황에서는 원치 않는 부력으로 탈출을 방해하여 생명의 위협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목줄잠김수단을 구비하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을 제공한다.
또한, 이중 안전장치로써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을 이용하여 구명용 튜브를 팽창시킬 수 있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방수 케이스와, 상기 방수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목줄에 연결된 수동레버에 의해 이산화탄소 실린더가 격발되어 내장된 구명용 튜브를 팽창시키되 목줄잠김수단에 의해 상기 목줄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팽창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목줄에 연결되되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사용자의 목에 밀착되어 상기 목줄이 상기 사용자의 목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방수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패널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패널에 대향하는 영역이 투명한 도전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팽창 카트리지는,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에 의해서도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가 격발되어 상기 구명용 튜브를 팽창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팽창 카트리지는, 상기 구명용 튜브와,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나사결합되는 실린더 리시버와, 상기 목줄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상기 목줄잠김수단과, 상기 수동레버 또는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에 의해 내장된 피스톤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의 입구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압하면서 상기 구명용 튜브 방향으로 이산화탄소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구명용 튜브가 팽창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되어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현재위치 및 조난상황을 자동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목줄잠김수단을 구비하여 신뢰성 있는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안전장치로써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을 이용하여 구명용 튜브를 팽창시킬 수 있다. 즉, 수동레버에 의해 구명용 튜브가 팽창하지 않더라도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을 이용하여 구명용 튜브를 팽창시킬 수 있어 이중으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명조끼 및 휴대형 팽창식 구명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블록도
도 3은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구성도
도 4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제1 실사도
도 5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팽창 카트리지(300)의 구성도
도 6은 이산화탄소 실린더(310) 영역의 구성도
도 7 내지 도 7e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제2 실사 사시도
도 8은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연계동작 과정을 나타낸 제1 도면
도 9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연계동작 과정을 나타낸 제2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블록도이고, 도 3은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구성도이고, 도 4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제1 실사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은 목줄(110), 이탈방지밴드(120), 방수 케이스(200) 및 팽창 카트리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방수 케이스(200)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방수 케이스(200)는 휴대용 단말기를 반복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방수재질로 형성되어 휴대용 단말기를 액체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방수 케이스(200)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패널을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에 대향하는 영역이 투명한 도전성 필름으로 형성된다.
휴대용 단말기를 방수 케이스(200)에 넣더라도 정전식 터치패널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어 수상레저 활동을 하거나, 수영을 하거나, 의도치 않게 물속에 들어가더라도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팽창 카트리지(300)는 방수 케이스(20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데, 방수 케이스(200) 형상에 따라 방수 케이스(200)의 측면, 후면 또는 하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 카트리지(300)는 이산화탄소 실린더(310), 구명용 튜브(320), 실린더 리시버(330),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 및 바디(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팽창 카트리지(300)는 목줄(110)에 연결된 수동레버(354)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질 경우, 이산화탄소 실린더(310)가 격발되어 내장된 구명용 튜브(320)를 팽창시키도록 동작한다.
이때, 목줄잠김수단(360)에 의해 목줄(110)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므로, 의도치 않게 목줄(110)이 당겨져서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목줄잠김수단(360)의 잠김을 해제한 이후에만 목줄(110)이 이동할 수 있어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팽창 카트리지(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고려하여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목줄(110) 주변을 살펴보면, 목줄(110)에는 이탈방지밴드(120)가 부착되어 있다.
이탈방지밴드(120)는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면서 사용자의 목에 밀착되어 목줄이 사용자의 목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탈방지밴드(120)는 고무, 실리콘 밴드 등과 같이 사용자의 목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할 때 목줄(110)이 이탈하여 사용자의 목에서 구명용 튜브(32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성을 지닌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목줄(110)에는 목줄착용버클(130)이 부착되어 있어 사용자가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을 목에 쉽게 걸거나 벗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목줄착용버클(130)은 두 영역으로 분리된 목줄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벨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목줄잠김수단(360)은 목줄(110)의 이동이 제한시켜 의도치 않게 목줄(110)이 당겨져서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목줄잠김수단(360)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두 결합수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목줄(110)이 통과하도록 구성되고, 두 결합수단의 끼움정도에 따라 개구부의 위치차이에 의해 목줄(110)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목줄(110)의 이동을 제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구명용 튜브(320)는 방수 케이스(200)의 뒷면에 폴딩되어 부착되고, 튜브 덮개(371)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튜브 덮개(371)는 벨크로(372)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할 때의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벨크로(372)가 풀리면서 튜브 덮개(371)가 펼쳐지게 된다.
구명용 튜브(320)의 모양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는 구조나, 사각형 형태의 구조 등이 제시되어 있다.
도 5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팽창 카트리지(300)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팽창 카트리지(300)는 이산화탄소 실린더(310), 구명용 튜브(320), 실린더 리시버(330),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 바디(350), 탄성부재(351), 피스톤(352), 튜브 연결구(353), 수동레버(354), 도르래(381), 실린더 덮개(382), 목줄잠김수단(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팽창 카트리지(300)는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에 의해서도 이산화탄소 실린더(310)가 격발되어 구명용 튜브(320)를 팽창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줄(110)이 수동레버(354)에 직결되어 있고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이 피스톤(352)과 직접 결합되어 있다. 즉, 목줄(110)을 당길 때 수동레버(354)가 이동하면서 피스톤(352)까지 이동시켜 이산화탄소 실린더(310)가 격발될 수 있고, 피스톤(352)과 직접 결합된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이 누름상태로 될 때 이산화탄소 실린더(310)가 격발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동레버(354)에 의해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하지 않더라도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을 이용하여 구명용 튜브(320)를 팽창시킬 수 있어 이중으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수동레버(354)는 팽창 카트리지(3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 또는 팽창 카트리지(300)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 리시버(330)는 이산화탄소 실린더(310)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격발된 이산화탄소 실린더(31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바디(350)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는데, 일측에 실린더 리시버(330)가 형성되고 타측에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이 형성되고, 그 내부에 탄성부재(351), 피스톤(352), 튜브 연결구(353)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350)는 수동레버(354) 또는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에 의해 내장된 피스톤(352)이 이산화탄소 실린더(310)의 입구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압하면서 구명용 튜브(320) 방향으로 이산화탄소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도르래(381)는 목줄(110)의 이동경로를 원활히 하기 위해 구비된다. 참고적으로, 도르래(381)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복합 도르래(움직 도르래, 고정 도르래) 형태로 목줄(110)과 연계하여 작은 힘으로 수동레버(354)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이산화탄소 실린더(310) 영역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디(350)의 내부로 이산화탄소 실린더(310)가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에 의해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이 보호되는 구조로 형성될 경우,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이 의도치 않게 눌러져서 오동작으로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7e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제2 실사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7e를 고려하면, 목줄(110)이 짧게 형성되고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 카트리지(300)에 내장되어 타원형 형태로 팽창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방수 케이스(200)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면서도,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패널을 조작할 수 있도록 터치패널에 대향하는 영역이 투명한 도전성 필름으로 형성된다.
휴대용 단말기를 방수 케이스(200)에 넣더라도 정전식 터치패널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어 수상레저 활동을 하거나, 수영을 하거나, 의도치 않게 물속에 들어가더라도 휴대용 단말기를 보호하는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수상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을 필요할 때 스스로 조작하여 구명용 튜브(320)를 팽창시켜서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방수 케이스(200)에는 휴대용 단말기가 보관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구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구조기관으로 현재위치 및 조난상황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팽창 카트리지(300)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어 있을 경우, 구명용 튜브(320)의 팽창을 감지한 후,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명용 튜브(320)의 팽창여부를 자동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될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되어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현재위치 및 조난상황을 자동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팽창 카트리지(300)와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지그비 통신방식 등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연계동작 과정을 나타낸 제1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을 각각 착용하고 있을 경우를 가정한다.
기본적으로 각각의 사용자는 수동레버(354) 또는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340)을 자율적으로 자가조작하여 원하는 시점에 구명용 튜브(320)를 팽창시킨다.
이때, 팽창 카트리지(300)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하도록 구성될 경우,
어느 하나의 사용자(A)의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될 때 블루투스 통신유효거리(r1) 내에 있는 타 사용자의 팽창 카트리지(300)의 무선통신모듈로 해당 정보가 전송된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유효거리(r1) 내에 있는 타 사용자(B, C, D, E, F, G)의 팽창 카트리지(300)도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동작한다.
이때, 마스터로 지정된 사용자(A)의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되었을 경우에만, 자동으로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도 9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의 연계동작 과정을 나타낸 제2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1)을 각각 착용하고 있을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팽창 카트리지(300)의 내부에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되어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하도록 구성될 경우,
어느 하나의 사용자(B)의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될 때 블루투스 통신유효거리(r1) 내에 있는 타 사용자의 팽창 카트리지(300)의 무선통신모듈로 해당 정보가 전송된다. 이때, 블루투스 통신유효거리(r1) 내에 있는 타 사용자(C, D)의 팽창 카트리지(300)가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동작한다.
이때, 타 사용자(C)의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될 때, 다시 블루투스 통신유효거리(r1) 내에 있는 타 사용자(E, F)의 팽창 카트리지(300)의 무선통신모듈로 해당 정보가 전송되고, 블루투스 통신유효거리(r1) 내에 있는 타 사용자(E, F)의 팽창 카트리지(300)가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동작한다. 즉, 블루투스 통신모듈로 상호 간에 팽창정보를 중계하면서 자동으로 주변의 구명용 튜브(320)가 자동으로 팽창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구명용 튜브(320)의 표면에는 플렉시블한 태양전지가 배치될 수 있다. 태양전지에 의해 생성된 충전전력은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되어 장기 표류시에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명용 튜브(320)의 표면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는 열전소자가 부착되어 있어, 태양과 물의 온도차이에 의해 충전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충전된 전력은 구명용 튜브(320)의 표면에 배열된 발광소자를 발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구조 애플리케이션은 구명용 튜브(320)가 팽창한 시점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소정의 주기로 사용자에게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음성 또는 문자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최초의 위치를 기준으로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해류에 의해 이동위치가 불규칙하더라도 현재 위치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이동경로는 구조 애플리케이션에 궤적과 함께 지도형태로 표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은,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목줄잠김수단을 구비하여 신뢰성 있는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안전장치로써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을 이용하여 구명용 튜브를 팽창시킬 수 있다. 즉, 수동레버에 의해 구명용 튜브가 팽창하지 않더라도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을 이용하여 구명용 튜브를 팽창시킬 수 있어 이중으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목줄
120 : 이탈방지밴드
130 : 목줄착용버클
200 : 방수 케이스
300 : 팽창 카트리지
310 : 이산화탄소 실린더
320 : 구명용 튜브
330 : 실린더 리시버
340 :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
350 : 바디
351 : 탄성부재
352 : 피스톤
353 : 튜브 연결구
354 : 수동레버
381 : 도르래
382 : 실린더 덮개
360 : 목줄잠김수단
371 : 튜브 덮개
372 : 벨크로

Claims (6)

  1.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방수 케이스; 및
    상기 방수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며, 목줄에 연결된 수동레버에 의해 이산화탄소 실린더가 격발되어 내장된 구명용 튜브를 팽창시키되 목줄잠김수단에 의해 상기 목줄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팽창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 카트리지는, 상기 목줄이 당겨질 때 상기 수동레버가 이동하면서 피스톤까지 이동시켜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가 격발되거나, 상기 피스톤과 직접 결합된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이 누름상태로 될 때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가 격발되며,
    상기 목줄의 이동경로를 원활히 하기 위한 복수의 도르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줄에 연결되되 사용자의 목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사용자의 목에 밀착되어 상기 목줄이 상기 사용자의 목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되,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패널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터치패널에 대향하는 영역이 투명한 도전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카트리지는,
    상기 구명용 튜브;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나사결합되는 실린더 리시버;
    상기 목줄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상기 목줄잠김수단; 및
    상기 수동레버 또는 상기 실린더 수동 천공버튼에 의해 내장된 피스톤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의 입구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압하면서 상기 구명용 튜브 방향으로 이산화탄소 이동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용 튜브가 팽창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 애플리케이션이 자동 실행되어 미리 지정된 연락처로 현재위치 및 조난상황을 자동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KR1020180136208A 2018-11-07 2018-11-07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KR10200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08A KR102004342B1 (ko) 2018-11-07 2018-11-07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208A KR102004342B1 (ko) 2018-11-07 2018-11-07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610A Division KR20200052815A (ko) 2019-07-16 2019-07-16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342B1 true KR102004342B1 (ko) 2019-07-26

Family

ID=6746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208A KR102004342B1 (ko) 2018-11-07 2018-11-07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3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95B1 (ko) * 2009-08-21 2010-04-16 박용환 자동 공기주입장치
KR20130109037A (ko) * 2012-03-26 2013-10-07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플로팅 베스트
KR20140008876A (ko) * 2012-07-12 2014-01-22 연제옥 의료 보조기구
KR20150101859A (ko) * 2014-02-27 2015-09-04 (주)삼원에스티 정전식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방수팩
KR20180063476A (ko) * 2016-12-02 2018-06-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위급한 상황 시 튜브가 나오는 방수팩
KR101870208B1 (ko) * 2017-07-24 2018-07-20 이옥홍 Gps 기반 수상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995B1 (ko) * 2009-08-21 2010-04-16 박용환 자동 공기주입장치
KR20130109037A (ko) * 2012-03-26 2013-10-07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플로팅 베스트
KR20140008876A (ko) * 2012-07-12 2014-01-22 연제옥 의료 보조기구
KR20150101859A (ko) * 2014-02-27 2015-09-04 (주)삼원에스티 정전식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방수팩
KR20180063476A (ko) * 2016-12-02 2018-06-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위급한 상황 시 튜브가 나오는 방수팩
KR101870208B1 (ko) * 2017-07-24 2018-07-20 이옥홍 Gps 기반 수상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28464B (zh) 一种落水自救装置及手环
EP3157807B1 (en) Inflatable personal bodywear flotation device
EP3164020B1 (en) Modular airbag system for personal protection
EP3020624A1 (en) Life-saving bracelet
CN105501410A (zh) 泳衣式防溺水智能救生衣
US20140051309A1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AU2013346368B2 (en) Life jacket having additional lifesaving means and lifesaving means for arrangement in buoyancy aids or life jackets
CN107472483A (zh) 一种皮带式救生装置
JP2005517575A (ja) 浮上装置
US6279162B1 (en) Safety protection garment
KR102004342B1 (ko)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KR20200052815A (ko) 자율 팽창식 구명 방수팩
CN111613015A (zh) 防溺水手环
KR20140007536A (ko) 구명벨트
US10035572B1 (en) Survivial dress unit
WO2010125529A2 (en) Anti drowning life saving device
KR101702095B1 (ko) 구명용 에어밴드
CN210027847U (zh) 一种落水自救装置
CN208069983U (zh) 一种便携式救生罐
CN208559719U (zh) 一种涉水触发报警充气救生包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CN204871530U (zh) 一种救生腰带
CN215554035U (zh) 肩膀腋下斜挎式自动防溺水救生带
CN215622609U (zh) 一种水域应急救援防护智能装备
CN205186485U (zh) 腕表式水中救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