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102B1 -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102B1
KR101886102B1 KR1020160153846A KR20160153846A KR101886102B1 KR 101886102 B1 KR101886102 B1 KR 101886102B1 KR 1020160153846 A KR1020160153846 A KR 1020160153846A KR 20160153846 A KR20160153846 A KR 20160153846A KR 101886102 B1 KR101886102 B1 KR 101886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atch
emergency power
power supply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077A (ko
Inventor
남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3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1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80Electrical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power supply; Emergency power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는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제공받아 도어의 록 및 언록을 수행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도어 아웃터 판넬의 내측 면에 설치되고, 비상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동식 도어 래치와 연결되며, 도어 아웃터 판넬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외부 접속단자를 가진 접속 커넥터와, ⅱ)외부 전원을 외부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외부 접속단자를 지지하며 도어 아웃터 판넬의 외측 면에 설치되는 외부 전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EMERGENCY POWER SUPPLY DEVICE FOR E-DOOR LATCH}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동식 도어 래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도어 래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 승하차용 출입구를 개폐하면서 차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여 승객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차량 도난 등을 방지하는 도어가 장착된다.
이러한 자동차 도어에는 도어 래치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바, 도어의 개폐 및 도어 록(lock)/언록(unlock)은 도어 내측에 위치한 이너 핸들과 세이프티 노브의 조작, 또는 도어 외측에 위치한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 또는 키 조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마트 키라 불리는 PIC(Personal Identification Card)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스마트 키(스마트 카드나 포브 등)를 소지하고만 있더라도 개인 인증 과정이 완료되어 도어 록을 해제할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기계적인 구조로 작동되는 기존의 기계식 도어 래치 장치 대신 전기적인 힘으로 구동되는 전동식 도어 래치(E-Door Latch) 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며,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서는 전기적인 구동력을 이용하므로 기계식 도어 래치 장치에 비해 작동감이 고급스럽게 느껴지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기존의 기계식 도어 래치 장치가 적용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가 적용된 차량에서 스마트 키 등을 통한 인증이 완료되면 운전자가 바로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겨 도어를 열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는 전원이 공급되어야만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측면 충돌 시 도어부 변형으로 인해 배터리에서 도어 래치 장치까지의 전원 케이블 등이 단선된 상태일 경우, 도어 록 해제를 위한 작동이 불가하고, 결국 아웃사이드 핸들을 조작하더라도 도어를 열 수 없게 된다.
도어를 열 수 없으면 후드를 열어 차량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다른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하여 점프시키는 것이 불가하고, 특히 사고 등의 긴급한 상황에서 도어를 열 수 없게 되므로 후속 조치가 불가해진다.
이러한 구동 불능 상황을 방지하고자 차량에 별도의 추가적인 배터리를 설치하기도 하나 이는 차량 중량 및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배터리의 방전 시간이 길어질수록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 전원 공급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 배터리 또는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 구비된 비상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일 때 차량 외부에서 비상 작동전원을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는,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제공받아 도어의 록 및 언록을 수행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도어 아웃터 판넬의 내측 면에 설치되고, 비상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동식 도어 래치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 아웃터 판넬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외부 접속단자를 가진 접속 커넥터와, ⅱ)외부 전원을 상기 외부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외부 접속단자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 아웃터 판넬의 외측 면에 설치되는 외부 전원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연결부는 상기 외부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접속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 아웃터 판넬의 외측 면에 부착되는 도어 가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은 상기 도어 가드의 접속홀에 끼워지며 상기 외부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단자를 가진 건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가드에는 상기 접속홀을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는 상기 비상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는 내부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차량 배터리나 비상용 배터리의 방전 또는 사고로 인한 전원 케이블의 단선 등과 같이 전동식 도어 래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비상 상황에서도 일반적인 건전지의 전원을 차량 외부에서 전동식 도어 래치에 공급함으로써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결합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100)는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제공받아 전동 식으로 도어의 록 및 언록을 수행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 시스템(1)(이하에서는 편의 상 "전동식 도어 래치" 라고 한다)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동식 도어 래치(1)는 도어 록/언록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웜 및 웜휠 등의 동력전달기구, 그리고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도어 록/언록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되는 래치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전동식 도어 래치(1)의 구성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전동식 도어 래치 시스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100)는 차량 배터리 또는 전동식 도어 래치(1)에 구비된 비상용 배터리로부터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일 때 차량 외부에서 비상 작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접속 커넥터(10) 및 외부 전원 연결부(3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접속 커넥터(10)는 비상 전원 특히, 전동식 도어 래치(1)의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비상 작동전원을 차량 외부에서 전동식 도어 래치(1)로 공급해 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 커넥터(10)는 도어 아웃터 판넬(20)의 내측 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비상 전원 케이블(11)을 통해 전동식 도어 래치(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접속 커넥터(10)는 비상 전원 케이블(11)과 연결되는 내부 접속단자(13)와, 도어 아웃터 판넬(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외부 접속단자(1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외부 접속단자(15)는 도어 아웃터 판넬(20)에 구비된 장착홀(21)에 끼워지는 바, 접속 커넥터(10)는 외부 접속단자(15)가 장착홀(21)에 끼워지며 도어 아웃터 판넬(20)의 내측 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외부 전원 연결부(30)는 외부 전원(50)을 접속 커넥터(10)의 외부 접속단자(15)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외부 접속단자(15)를 지지하며 도어 아웃터 판넬(20)의 외측 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외부 전원 연결부(30)는 접속 커넥터(10)의 외부 접속단자(15)가 끼워지는 접속홀(32)을 가지며 도어 아웃터 판넬(20)의 외측 면에 부착되는 도어 가드(31)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가드(31)는 사용자의 도어 오픈 시 그 오픈 도어에 의해 다른 차량의 도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고무 소재와 같은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며, 도어 아웃터 판넬(20)의 외측 면에 접착 식으로 부착된다.
나아가, 상기 도어 가드(31)는 전동식 도어 래치(1)와 최단거리를 유지하는 도어 아웃터 판넬(20)의 끝 단부에 부착된다. 더 나아가, 상기 도어 가드(31)에는 접속홀(32)을 개폐하는 커버(35)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35)는 접속홀(32) 내부의 외부 접속단자(15)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고, 물이 접속홀(3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외부 전원(50)은 비상 작동전원을 차량 외부에서 전동식 도어 래치(1)에 인가하는 비상 전원 공급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 가드(31)의 접속홀(32)에 끼워지며 접속 커넥터(10)의 외부 접속단자(1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전극단자(51)를 가진 건전지(53)를 포함한다. 상기 건전지(53)는 시중에서 구입이 용이한 9V 배터리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한 쌍의 전극단자(51)는 도어 가드(31)의 접속홀(32)에 끼워지며 접속 커넥터(10)의 외부 접속단자(15)와 암수 식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100)에 의하면, 차량 배터리 또는 전동식 도어 래치(1)에 구비된 비상용 배터리가 방전되어 전동식 도어 래치(1)로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 가드(31)의 커버(35)를 열고, 접속홀(32)에 건전지(53)의 전극단자(51)를 끼운다.
그러면, 상기 건전지(53)의 전극단자(51)는 접속 커넥터(10)의 외부 접속단자(15)와 접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건전지(53)의 전원(비상 작동전원)을 접속 커넥터(10)의 외부 접속단자(15), 내부 접속단자(13) 및 비상 전원 케이블(11)을 통해 전동식 도어 래치(1)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전지(53)의 전원을 전동식 도어 래치(1)에 공급하고, 사용자의 스마트키나 리모콘 등을 통한 인증이 완료되면, 전동식 도어 래치(1)는 이를 인식하여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 배터리나 비상용 배터리의 방전 또는 사고로 인한 전원 케이블의 단선 등과 같이 전동식 도어 래치(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비상 상황에서도 일반적인 건전지의 전원을 차량 외부에서 전동식 도어 래치(1)에 공급함으로써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전동식 도어 래치
10... 접속 커넥터
11... 비상 전원 케이블
13... 내부 접속단자
15... 외부 접속단자
20... 도어 아웃터 판넬
21... 장착홀
30... 외부 전원 연결부
31... 도어 가드
32... 접속홀
35... 커버
50... 외부 전원
51... 전극단자
53... 건전지

Claims (5)

  1. 차량 배터리의 전원을 제공받아 도어의 록 및 언록을 수행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로서,
    도어 아웃터 판넬의 내측 면에 설치되고, 비상 전원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전동식 도어 래치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 아웃터 판넬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외부 접속단자를 가진 접속 커넥터; 및
    외부 전원을 상기 외부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외부 접속단자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 아웃터 판넬의 외측 면에 설치되는 외부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전원 연결부는 상기 외부 접속단자가 끼워지는 접속홀을 가지며 상기 도어 아웃터 판넬의 외측 면에 접착식으로 부착되는 도어 가드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 가드는 사용자의 도어 오픈 시 그 오픈 도어에 의해 다른 차량의 도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 가드에는 상기 접속홀을 개폐하는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은,
    상기 도어 가드의 접속홀에 끼워지며 상기 외부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단자를 가진 건전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커넥터는,
    상기 비상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는 내부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KR1020160153846A 2016-11-18 2016-11-18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KR10188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46A KR101886102B1 (ko) 2016-11-18 2016-11-18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46A KR101886102B1 (ko) 2016-11-18 2016-11-18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77A KR20180056077A (ko) 2018-05-28
KR101886102B1 true KR101886102B1 (ko) 2018-08-07

Family

ID=6245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846A KR101886102B1 (ko) 2016-11-18 2016-11-18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38550A (zh) * 2022-09-15 2024-03-22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解锁控制装置、车辆、车辆解锁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588A (ja) 2012-12-10 2014-06-26 Suzuki Motor Corp 車両用解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779B2 (ja) * 1995-01-10 2003-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の解錠システム
KR20090062386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모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KR20140056684A (ko) * 2012-10-31 2014-05-12 대동도어 주식회사 차량용 전동식 테일게이트 래치의 작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588A (ja) 2012-12-10 2014-06-26 Suzuki Motor Corp 車両用解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77A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95009A (en) Door-lock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20140347163A1 (en) Vehicle access system and controller therefor
CN105604413A (zh) 具有可取下的盖的门把手
CN105735787B (zh) 用于机动车辆车门的电子闩锁释放备用系统
RU2583118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доступа к вещевому отсеку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CN103747989B (zh) 用于汽车的启动系统、具有启动系统的汽车和用于运行汽车启动系统的方法
US10358845B2 (en) Automobile door locking device
ITRM960724A1 (it) Dispositivo di comunicazione e di una funzione attivabile a distanza
JP2009513844A (ja) 自動車のための電子的に作動可能なロック装置
JP6333778B2 (ja) 車両用開閉体作動システム
CN102918221A (zh) 车辆中的车门相关辅机用电致动器的电力提供控制装置
KR20150015051A (ko) 비상 전원 공급이 가능한 전동식 도어 래치 장치
WO2006115159A1 (ja) 自動車
KR101886102B1 (ko) 전동식 도어 래치용 비상 전원 공급장치
US10145153B2 (en) Closing elemen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US8918249B2 (en) Dual function electronic control unit
CN110359786B (zh) 门锁系统、车门以及对门锁系统进行控制的方法
CN107605282A (zh) 具有带电动闩锁的承载件的门模块
KR100256174B1 (ko) 자동차의 보안 및 안전 시스템
JP2007120277A (ja) 車両用ヒンジ型ドア小開装置
JP3888339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JP2004074850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KR19990026935A (ko) 자동차의 도어로크 (래치)
KR20180058297A (ko) 자동차 및 자동차의 제조 방법
KR100768996B1 (ko) 통용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전자키 셋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