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844B1 - 짚라인 장치 - Google Patents
짚라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5844B1 KR101885844B1 KR1020180047684A KR20180047684A KR101885844B1 KR 101885844 B1 KR101885844 B1 KR 101885844B1 KR 1020180047684 A KR1020180047684 A KR 1020180047684A KR 20180047684 A KR20180047684 A KR 20180047684A KR 101885844 B1 KR101885844 B1 KR 1018858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trolley
- unit
- tension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2—Chutes; Helter-skelters without r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가 연결된 트롤리가 짚라인 와이어를 따라 도착부로 주행하는 동안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을 적절하게 조절해줌으로써 탑승자를 도착부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짚라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장치는, 일측이 출발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측이 출발부보다 낮게 배치되는 도착부에 위치하도록 양단이 고정 설치되는 짚라인 와이어와, 탑승자와 연결되어 출발부에서 도착부까지 짚라인 와이어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트롤리와, 출발부에서 도착부까지 짚라인 와이어의 경사도가 변하도록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장치와, 탑승자가 연결된 트롤리가 출발부에서 도착부로 이동하는 중에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이 증가하도록 텐션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짚라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탑승자가 연결된 트롤리를 도착부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짚라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짚라인은 높이가 다른 양편의 나무 또는 지주대 사이로 와이어를 설치하고, 탑승자의 신체에 연결되는 착탈식 트롤리를 와이어에 걸어 높이 차에 따른 무동력 중력하강에 의해 빠른 속도로 반대편으로 이동시키는 장치 또는 레포츠의 통칭이다. 짚라인은 플라잉폭스(Flying Fox), 짚와이어(Zip Wire), 짚트랙(Ziptrek), 에어리얼 런웨이(Aerial Runway), 티롤리언 크로싱(Tyrolean Crossing)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본 명세서에서 이동장치로서의 짚라인을 짚라인 장치로 칭하기로 한다.
짚라인 장치는 무동력 중력 주행시스템이므로 평지에 짚라인 장치를 설치하려면 불가피하게 인위적으로 출발부의 높이와 도착부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야 한다. 출발부의 높이가 도착부보다 상당히 높지 않으면 바람직한 추진력(활강속도)을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출발부와 도착부 사이의 높이차를 크게 하면 충분한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도착부에서 탑승자의 속도가 높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른다. 이 경우,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브레이킹 장치를 설치하거나, 도착부에 스프링, 완충고무, 카운터 웨이트, 물리적인 감속기구 등과 같은 완충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도착부에서의 급격한 감속은 탑승자에게 충격을 가하고 불쾌감을 줄 수 있다.
한편, 짚라인 장치의 출발부와 도착부 사이의 일정 높이차를 유지하면서 도착부에서 탑승자를 부드럽고 안전하게 정지시키는 손쉬운 방법은 도착부의 거리를 늘리는 것이다. 즉, 도착부 부근에서 와이어의 경사각도를 완만하게 하면 브레이킹 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도 트롤리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고, 탑승자의 스무드한 착지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짚라인 장치는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와이어가 밑으로 처지면서 도착부 부근에서 와이어의 경사각이 지나치게 작아지기 쉽다. 이 경우, 탑승자가 도착부에 도달하지 못하고 멈춰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자가 연결된 트롤리가 짚라인 와이어를 따라 도착부로 주행하는 동안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을 적절하게 조절해줌으로써 탑승자를 도착부까지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짚라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장치는, 일측이 출발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출발부보다 낮게 배치되는 도착부에 위치하도록 양단이 고정 설치되는 짚라인 와이어; 탑승자와 연결되어 상기 출발부에서 상기 도착부까지 상기 짚라인 와이어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트롤리; 상기 출발부에서 상기 도착부까지 상기 짚라인 와이어의 경사도가 변하도록 상기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장치; 및 탑승자가 연결된 상기 트롤리가 상기 출발부에서 상기 도착부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이 증가하도록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롤리가 상기 출발부와 상기 도착부 사이의 중간 지점을 통과한 후 상기 도착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롤리가 상기 출발부를 통과하고 일정 시간 후에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장치는, 상기 트롤리가 상기 출발부를 출발하는 시점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에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출발부에 배치되는 출발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텐션 조절장치의 작동 시점이 상대적으로 앞당겨지도록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짚라인 와이어에 대한 텐션 조절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장치는,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에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출발부에 배치되는 무게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 조절장치는, 고정 설치되는 가압유닛 바디와, 상기 가압유닛 바디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짚라인 와이어와 접하여 상기 짚라인 와이어를 밀 수 있도록 상기 작동 로드에 결합되는 와이어 가압롤러를 갖는 와이어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작동 로드의 전진 거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와이어 가압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텐션 조절장치는, 상기 짚라인 와이어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을 증가시키는 복수 개의 와이어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 가압유닛의 작동 개수가 늘어나도록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텐션 조절장치는, 상기 짚라인 와이어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을 증가시키는 와이어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짚라인 와이어는, 한쪽 끝단이 상기 도착부 측에 고정되어 상기 출발부 측으로 연장되는 메인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 가압유닛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한쪽 끝단이 고정되고 다른 쪽 끝단이 상기 메인 와이어와 연결되는 서브 와이어와, 상기 메인 와이어와 상기 서브 와이어 사이에서 상기 메인 와이어와 상기 서브 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장치는, 한 쪽 끝단이 고정되고 다른 쪽 끝단이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와이어를 지지하는 안전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장치는 탑승자가 연결된 트롤리가 짚라인 와이어를 따라 도착부로 주행하는 동안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을 적절하게 조절해줌으로써, 탑승자를 도착부까지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장치는 짚라인 와이어가 트롤리가 연결되는 메인 와이어와 텐션 조절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서브 와이어로 분리되고, 메인 와이어가 별도의 안전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므로, 사용 안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장치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짚라인 와이어에 대한 텐션 조절 시점과 텐션 조절량이 능동적으로 제어됨으로써, 탑승자의 무게와 상관없이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의 타워 및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의 타워 및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의 텐션 조절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의 타워 및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의 타워 및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의 텐션 조절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짚라인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의 타워 및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의 타워 및 그 주변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100)는 타워(110)와, 타워(110)에 연결되는 짚라인 와이어(140)와, 짚라인 와이어(140)에 주행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롤리(150)와,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 조절장치(160)와, 텐션 조절장치(160)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70)을 포함한다. 이러한 짚라인 장치(100)는 탑승자와 연결된 트롤리(150)가 짚라인 와이어(140)를 따라 주행할 때 텐션 조절장치(160)가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증가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무게에 의해 짚라인 와이어(140)가 밑으로 처져 트롤리(150)가 주행 중 정지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트롤리(150)가 더욱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타워(110)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세워져 짚라인 와이어(140)를 지지한다. 타워(110)의 하단부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타워(110)의 상단부 측에는 출발부(120)가 구비된다. 출발부(120)는 탑승자와 연결된 트롤리(150)가 출발하여 짚라인 와이어(140)를 따라 주행하기 시작하는 부분으로, 출발부(120)에서 트롤리(150)가 탑승자와 연결된다. 출발부(120)는 트롤리(150)가 도달하는 도착부(130)보다 높게 위치한다.
타워(110)에는 짚라인 와이어(140)의 끝단이 고정되는 와이어 고정부(112)와, 짚라인 와이어(14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114)가 구비된다. 와이어 고정부(112)는 타워(110)의 하단부 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어 출발부(120)보다 낮게 위치한다.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114)는 타워(110)의 하단부 측과, 중간 부분 및 상단부 측에 적절하게 배치되어 와이어 고정부(112)에서 출발부(120)까지 짚라인 와이어(140)의 중간 부분을 지지한다. 특히, 타워(110)의 하단부 측에는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114)가 배치되어 짚라인 와이어(140)를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놓이도록 지지한다. 가이드 롤러(114)는 타워(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짚라인 와이어(140)를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출발부(120)에는 출발 검출부(122)와, 무게 측정부(124)가 설치된다.
출발 검출부(122)는 트롤리(150)가 출발부(120)를 출발하는 시점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유닛(170)에 송신한다. 출발 검출부(122)는 트롤리(150) 또는 트롤리(150)와 연결된 탑승자가 출발부(120)를 떠나는 시점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발 검출부(122)는 출발부(120)에서 트롤리(150)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발 검출부(122)가 검출 신호를 제어유닛(170)에 송신함으로써 제어유닛(170)이 텐션 조절장치(160)를 적절한 시점에 작동시킬 수 있다.
무게 측정부(124)는 트롤리(150)에 연결되는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제어유닛(170)에 송신한다. 무게 측정부(124)는 탑승자가 발로 디딜 때 탑승자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출발부(120)의 바닥에 설치되는 구조나, 탑승자가 트롤리(150)에 매달릴 때 탑승자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트롤리(150)에 설치되는 구조, 또는 트롤리(150)나 짚라인 와이어(140)의 무게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무게 측정부(124)가 검출 신호를 제어유닛(170)에 송신함으로써 제어유닛(170)이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이 차등적으로 조절되도록 텐션 조절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출발부(120)의 바닥에 설치되는 무게 측정부(124)는 출발 검출부(122)로 작용할 수도 있다. 탑승자가 무게 측정부(124)를 딛고 있다가 출발부(120)를 벗어날 때 무게 측정부(124)의 측정값이 급변하게 된다. 따라서, 트롤리(150)의 출발 시점을 무게 측정부(124)의 측정값이 급변하는 시점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짚라인 와이어(140)는 일측이 출발부(120)에 위치하고 다른 일측이 도착부(130)에 위치하도록 양단이 고정 설치된다. 짚라인 와이어(140)는 출발부(120)에서 도착부(13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트롤리(150)가 도착부(130) 측으로 주행할 수 있는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짚라인 와이어(140)는 한쪽 끝단이 도착부(130) 측에 고정되어 출발부(120) 측으로 연장되는 메인 와이어(141)와, 한쪽 끝단이 타워(110)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단이 메인 와이어(141)와 연결되는 서브 와이어(142)를 포함한다.
서브 와이어(142)의 한쪽 끝단은 와이어 고정부(112)를 통해 타워(110)에 고정된다. 메인 와이어(141)와 서브 와이어(142)의 사이에는 와이어 연결부(143)가 배치되어 메인 와이어(141)와 서브 와이어(142)를 연결한다. 와이어 연결부(143)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메인 와이어(141)와 서브 와이어(142)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서브 와이어(142)의 일부분은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114)에 의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놓이도록 지지된다. 서브 와이어(142)의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놓이는 부분이 후술할 와이어 가압유닛(161)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이다.
짚라인 와이어(140)에는 안전 와이어(145)가 연결된다. 안전 와이어(145)는 한 쪽 끝단이 타워(110)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단이 와이어 연결부(143)에 연결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안전 와이어(145)는 와이어 지지부재(147)를 통해 타워(110)에 고정될 수 있다. 안전 와이어(145)는 메인 와이어(141)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 와이어(145)는 비상 상황에서 메인 와이어(141)를 지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다.
즉, 와이어 가압유닛(161)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압되는 서브 와이어(142)가 끊어지더라도 안전 와이어(145)가 메인 와이어(141)를 지지함으로써, 트롤리(150)를 통해 메인 와이어(141)에 매달려 이동하는 탑승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안전 와이어(145)는 타워(110) 이외에 다른 외부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짚라인 와이어(140)가 메인 와이어(141)와 서브 와이어(142)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일체형 와이어일 경우, 안전 와이어(145)는 짚라인 와이어(140)의 출발부(120)에 위치하는 부분과 와이어 가압유닛(161)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 사이의 적절한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짚라인 와이어(140)는 한 쌍이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짚라인 와이어(140) 각각에 안전 와이어(145)가 연결될 수 있다.
트롤리(150)는 탑승자와 연결되어 출발부(120)에서 도착부(130)까지 짚라인 와이어(140)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트롤리(150)는 한 쌍의 짚라인 와이어(140)에 의해 가이드되어 출발부(120)에서 도착부(130)까지 움직일 수 있다. 트롤리(150)는 탑승자의 신체 일부를 묶는 구조나,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구조 등 탑승자와 연결되어 짚라인 와이어(140)를 따라 주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텐션 조절장치(160)는 출발부(120)에서 도착부(130)까지 짚라인 와이어(140)의 경사도가 변하도록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조절한다. 텐션 조절장치(160)는 짚라인 와이어(140)의 서브 와이어(142)를 가압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 가압유닛(161)을 포함한다. 와이어 가압유닛(161)은 타워(110)에 고정되는 가압유닛 바디(162)와, 서브 와이어(142)에 접촉하도록 가압유닛 바디(162)에 가동적으로 배치되는 와이어 가압부(163)를 포함한다. 와이어 가압부(163)는 가압유닛 바디(162)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로드(164)와, 짚라인 와이어(140)와 접하여 짚라인 와이어(140)를 밀 수 있도록 작동 로드(164)에 결합되는 와이어 가압롤러(165)를 포함한다. 와이어 가압롤러(165)는 작동 로드(16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텐션 조절장치(160)는 와이어 가압유닛(161)이 짚라인 와이어(140)의 서브 와이어(142)를 가압하는 방식으로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 가압유닛(161)의 와이어 가압롤러(165)는 서브 와이어(142)의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놓이는 부분과 접하여 서브 와이어(142)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와이어 가압부(163)가 가압유닛 바디(162)로부터 전진하여 서브 와이어(142)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때, 짚라인 와이어(140)가 하측으로 당겨지면서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이 증가하게 된다.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은 와이어 가압부(163)가 전진하는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즉, 와이어 가압부(163)가 전진하는 거리가 증가하면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와이어 가압유닛(161)은 유압 조절유닛(167)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유압 조절유닛(167)은 제어유닛(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가압유닛(161)으로 짚라인 와이어(140)를 가압하여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증가시키는 방식은 짚라인 와이어(140)를 감는 등의 다른 텐션 조절 방식에 비해 텐션 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 가압유닛(161)은 짚라인 와이어(140)를 가압한 상태에서 짚라인 와이어(140)를 탄력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탑승자가 이동 중에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즉, 트롤리(150)가 이동하는 중에 탑승자의 움직임 등에 따라 짚라인 와이어(140)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화하는 경우, 와이어 가압유닛(161)의 와이어 가압부(163)가 미세하게 진퇴 운동하면서 짚라인 와이어(140)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쇠시킬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어 가압유닛(161)은 와이어(140)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짚라인 와이어(140)로부터의 반력이 타워(1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짚라인 와이어(140)로부터의 반력이 타워(110)의 측면이나, 또는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비해 타워(1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은 타워(110)의 구조적 안정성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제어유닛(170)은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이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크기로 조절되도록 텐션 조절장치(16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70)은 탑승자가 연결된 상기 트롤리(150)가 출발부(120)에서 도착부(130)로 이동하는 중에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이 증가되도록 텐션 조절장치(160)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170)은 트롤리(150)가 출발부(120)와 도착부(130) 사이의 중간 지점을 통과한 후 도착부(130)에 도달하기 전에 와이어 가압유닛(161)을 작동시켜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짚라인 와이어(140)는 탑승자 무게에 의해 밑으로 처지더라도 출발부(120)에서 출발부(120)와 도착부(130) 사이의 중간 지점까지는 일정한 경사가 유지되므로, 트롤리(150)가 출발부(120)와 도착부(130) 사이의 중간 지점까지 주행하는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짚라인 와이어(140)는 도착부(130)에 가까워질수록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밑으로 처지면서 경사가 감소하므로, 도착부(130)까지 트롤리(150)의 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트롤리(150)가 출발부(120)를 출발한 직후부터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증가시킬 필요는 없다.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상시 증가시킨 상태로 유지하거나, 트롤리(150)의 출발 초기에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증가시키는 경우, 출발 초기에 트롤리(150)의 주행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 밖에,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은 트롤리(150)의 주행 경로 길이나, 짚라인 와이어(140)의 경사도 등 짚라인 장치(100)의 설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트롤리(150)의 주행 속도는 비슷하므로 제어유닛(170)은 트롤리(150)가 출발부(120)를 통과하고 일정 시간 후에 텐션 조절장치(160)의 와이어 가압유닛(161)을 작동시킬 수 있다. 제어유닛(170)은 출발 검출부(122)로부터 트롤리(150)의 출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트롤리(150)가 출발부(120)와 도착부(130) 사이의 중간 지점을 통과하는 시간은 짚라인 장치(100)의 설치 조건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은 트롤리(150)의 평균적인 주행 속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트롤리(150)의 주행 속도는 다소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을 동일하게 세팅하면, 탑승자에 따라 텐션 조절장치(160)가 작동하는 시점에 트롤리(150)의 주행 경로 상 위치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어유닛(170)은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70)은 트롤리(150)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이 상대적으로 앞당겨지도록 텐션 조절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하면 트롤리(150)의 주행 속도도 증가하므로,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을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탑승자의 무게에 상관없이 트롤리(150)가 주행 경로 상 사전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유닛(170)은 무게 측정부(124)로부터 탑승자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탑승자의 무게와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에 대한 관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의 무게에 비례하여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이 조절될 수 있고, 적절 범위로 사전 설정되는 무게 구간에 따라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이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텐션 조절장치(160)의 작동 시점이 상대적으로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남자와 상대적으로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여자로 2단계로 구분되어 조절될 수도 있다.
한편,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짚라인 와이어(140)의 처짐량이 달라지므로, 제어유닛(170)은 트롤리(150)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트롤리(150)의 안정적인 주행을 유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유닛(170)은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 조절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도록 텐션 조절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운 탑승자로 인해 짚라인 와이어(140)가 상대적으로 많이 처질 때,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무게에 상관없이 짚라인 와이어(140)를 사전 설정된 경사로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유닛(170)은 무게 측정부(124)로부터 탑승자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텐션 조절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탑승자의 무게와 텐션 조절장치(160)의 텐션 조절량에 대한 관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의 무게에 비례하여 텐션 조절장치(160)의 텐션 조절량이 조절될 수 있고, 적절 범위의 무게 구간에 따라 텐션 조절장치(160)의 텐션 조절량이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또한 텐션 조절장치(160)의 텐션 조절량이 상대적으로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남자와 상대적으로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여자로 2단계로 구분되어 조절될 수도 있다.
텐션 조절장치(160)의 텐션 조절량은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유닛(170)은 트롤리(150)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와이어 가압유닛(161)의 와이어 가압부(163)의 전진 거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도록 와이어 가압유닛(161)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제어유닛(170)은 트롤리(150)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와이어 가압유닛(161)의 작동 개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짚라인 와이어(140)에 대한 텐션 조절량을 차등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 가압유닛(161)의 작동 개수를 늘리면 짚라인 와이어(140)의 당김량이 증가됨으로써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와이어 가압유닛(161)의 작동 개수와, 각 와이어 가압유닛(161)의 와이어 가압부(163)의 전진 거리를 함께 조절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100)는 탑승자가 연결된 트롤리(150)가 짚라인 와이어(140)를 따라 도착부(130)로 주행하는 동안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적절하게 조절해줌으로써, 탑승자를 도착부(130)까지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100)는 짚라인 와이어(140)가 트롤리(150)가 연결되는 메인 와이어(141)와 텐션 조절장치(160)에 의해 가압되는 서브 와이어(142)로 분리되고, 메인 와이어(141)가 별도의 안전 와이어(145)에 의해 지지되므로, 사용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짚라인 장치(100)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짚라인 와이어(140)에 대한 텐션 조절 시점과 텐션 조절량이 능동적으로 제어됨으로써, 탑승자의 무게와 상관없이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앞서서는 제어유닛(170)이 출발 검출부(122) 및 무게 측정부(124)로부터 탑승자가 출발부(120)를 출발하는 시점과 탑승자의 무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텐션 조절장치(160)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탑승자의 출발 시점에 대한 정보와 탑승자의 무게에 대한 정보는 관리자 입력 방식으로 제어유닛(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짚라인 장치는 관리자의 정보 입력을 위한 버튼이나 스위치 등의 입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한 쌍의 짚라인 와이어(140)가 트롤리(150)를 가이드 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짚라인 와이어(140)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하나의 짚라인 와이어(140)에 대해 한 쌍의 와이어 가압유닛(161)이 작용하여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나의 짚라인 와이어(140)에 대응하는 와이어 가압유닛(16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텐션 조절장치(160)가 유압 실린더 형태의 와이어 가압유닛(161)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와이어 가압유닛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텐션 조절장치(16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짚라인 와이어(140)를 가압하는 방식의 와이어 가압유닛(161)을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출발부(120)에서 도착부(130)까지 짚라인 와이어(140)의 경사도가 변하도록 짚라인 와이어(14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짚라인 장치 110 : 타워
114 : 가이드 롤러 120 : 출발부
122 : 출발 검출부 124 : 무게 측정부
130 : 도착부 140 : 짚라인 와이어
141 : 메인 와이어 141 : 서브 와이어
143 : 와이어 연결부 145 : 안전 와이어
150 : 트롤리 160 : 텐션 조절장치
161 : 와이어 가압유닛 162 : 가압유닛 바디
163 : 와이어 가압부 164 : 작동 로드
165 : 와이어 가압롤러 167 : 유압 조절유닛
170 : 제어유닛
114 : 가이드 롤러 120 : 출발부
122 : 출발 검출부 124 : 무게 측정부
130 : 도착부 140 : 짚라인 와이어
141 : 메인 와이어 141 : 서브 와이어
143 : 와이어 연결부 145 : 안전 와이어
150 : 트롤리 160 : 텐션 조절장치
161 : 와이어 가압유닛 162 : 가압유닛 바디
163 : 와이어 가압부 164 : 작동 로드
165 : 와이어 가압롤러 167 : 유압 조절유닛
170 : 제어유닛
Claims (10)
- 일측이 지면에 세워지는 타워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출발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출발부보다 낮게 배치되는 도착부에 위치하도록 양단이 고정 설치되되, 한쪽 끝단이 상기 도착부 측에 고정되어 상기 출발부 측으로 연장되는 메인 와이어와, 한쪽 끝단이 상기 타워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단이 상기 메인 와이어와 연결되는 서브 와이어와, 상기 메인 와이어와 상기 서브 와이어 사이에서 상기 메인 와이어와 상기 서브 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부를 갖는 짚라인 와이어;
한 쪽 끝단이 고정되고 다른 쪽 끝단이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와이어를 지지하는 안전 와이어;
상기 타워의 하단부 측에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서브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분을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놓이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
탑승자와 연결되어 상기 출발부에서 상기 도착부까지 상기 짚라인 와이어를 따라 주행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트롤리;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타워에 고정되는 가압유닛 바디와, 상기 가압유닛 바디에 진퇴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로드와, 상기 서브 와이어의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놓이는 부분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 로드에 결합되는 와이어 가압롤러를 구비하는 유압 실린더 구조를 취하고, 지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와이어 가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출발부에서 상기 도착부까지 상기 짚라인 와이어의 경사도가 변하도록 상기 짚라인 와이어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 조절장치;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
상기 트롤리가 상기 출발부를 출발하는 시점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에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출발부에 배치되는 출발 검출부; 및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 신호를 상기 제어유닛에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출발부에 배치되는 무게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출발 검출부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트롤리가 상기 출발부를 통과하고 일정 시간 후에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작동시켜 상기 출발부에서 상기 도착부까지 상기 짚라인 와이어의 경사도를 증가시키되, 상기 무게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탑승자의 무게에 따라 상기 텐션 조절장치의 작동 시점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텐션 조절장치의 작동 시점이 상대적으로 앞당겨지도록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짚라인 와이어에 대한 텐션 조절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장치.
- 삭제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작동 로드의 전진 거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와이어 가압유닛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트롤리에 연결되는 탑승자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 가압유닛의 작동 개수가 늘어나도록 상기 텐션 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짚라인 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7684A KR101885844B1 (ko) | 2018-04-25 | 2018-04-25 | 짚라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7684A KR101885844B1 (ko) | 2018-04-25 | 2018-04-25 | 짚라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5844B1 true KR101885844B1 (ko) | 2018-08-06 |
Family
ID=6325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7684A KR101885844B1 (ko) | 2018-04-25 | 2018-04-25 | 짚라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5844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8332B1 (ko) | 2019-07-09 | 2020-02-18 | 주식회사 지코스 | 짚 라인 |
KR102151450B1 (ko) * | 2020-04-17 | 2020-09-03 | (주)필드테크 | 등산 보조 시스템 |
KR102257644B1 (ko) * | 2021-01-26 | 2021-05-28 | (주)신흥이앤지 | 익사이팅 사이클의 타워 구조 |
KR102327584B1 (ko) | 2021-08-25 | 2021-11-16 | 도태구 | 짚라인 와이어 가설 시스템 |
WO2022139778A1 (en) * | 2020-12-24 | 2022-06-30 | Filippenko Andrii | Method for returning zipline user to the start point by adjusting the cable tension |
KR102436546B1 (ko) * | 2022-05-24 | 2022-08-25 | (주)신흥이앤지 | 케이블 새그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활강스포츠 시설물 |
KR20240061127A (ko) | 2022-10-31 | 2024-05-08 | 이재영 | 동력형 짚라인 장치 |
KR102701555B1 (ko) | 2024-01-09 | 2024-09-03 | 에코테인먼트코리아 주식회사 | 지형적 한계를 극복한 외줄 하강시설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2520B1 (ko) | 2011-11-25 | 2012-03-19 | 짚트랙코리아 주식회사 | 짚 트렉 시스템 |
KR101456202B1 (ko) * | 2014-08-21 | 2014-10-31 | 짚라인코리아 (주) | 레저용 비행 시설물 |
-
2018
- 2018-04-25 KR KR1020180047684A patent/KR1018858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2520B1 (ko) | 2011-11-25 | 2012-03-19 | 짚트랙코리아 주식회사 | 짚 트렉 시스템 |
KR101456202B1 (ko) * | 2014-08-21 | 2014-10-31 | 짚라인코리아 (주) | 레저용 비행 시설물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78332B1 (ko) | 2019-07-09 | 2020-02-18 | 주식회사 지코스 | 짚 라인 |
KR102151450B1 (ko) * | 2020-04-17 | 2020-09-03 | (주)필드테크 | 등산 보조 시스템 |
WO2022139778A1 (en) * | 2020-12-24 | 2022-06-30 | Filippenko Andrii | Method for returning zipline user to the start point by adjusting the cable tension |
KR102257644B1 (ko) * | 2021-01-26 | 2021-05-28 | (주)신흥이앤지 | 익사이팅 사이클의 타워 구조 |
KR102327584B1 (ko) | 2021-08-25 | 2021-11-16 | 도태구 | 짚라인 와이어 가설 시스템 |
KR102436546B1 (ko) * | 2022-05-24 | 2022-08-25 | (주)신흥이앤지 | 케이블 새그 조절수단이 구비되는 활강스포츠 시설물 |
KR20240061127A (ko) | 2022-10-31 | 2024-05-08 | 이재영 | 동력형 짚라인 장치 |
KR102701555B1 (ko) | 2024-01-09 | 2024-09-03 | 에코테인먼트코리아 주식회사 | 지형적 한계를 극복한 외줄 하강시설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5844B1 (ko) | 짚라인 장치 | |
AU650991B2 (en) | Elevator cab guidance assembly | |
US9643815B2 (en) | Adjustable safety brake | |
KR101626260B1 (ko) | 승강장용 안전발판 | |
JP2003535791A (ja) | エレベータのための適合可能な制動力を備えたブレーキ拘束装置 | |
KR20070096785A (ko) | 공중케이블 시스템의 작동방법과 공중케이블 시스템 | |
CN101678517B (zh) | 工件搭载装置 | |
CN101269271A (zh) | 用于运送个人的设备 | |
US20200239034A1 (en) | Cable transportation system | |
JP2007532448A (ja) | エレベータの高さ調整動作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CA2930301C (en) | Rescue elevator system | |
JPH07144638A (ja) | ロープウェーのグリップ案内装置 | |
ITMI941256A1 (it) | Impianto funicolare a rotaia e fune traente, in particolare per il trasporto urbano, del tipo in cui i veicoli sono dotati di morsa a ganasce mobili per l'agganciamento/sganciamento da detta fune traente | |
KR102133307B1 (ko) |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 |
EP1587592B1 (en) | Amusement ride assembly and method | |
EP3351498A1 (en) | Elevator hover mode operation using sensor-based potential load change detection | |
CN110884977B (zh) | 恒定减速渐进式安全装置系统 | |
JP2023523594A (ja) | 高架鉄道式の輸送システム、距離調整の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及び制御装置 | |
CN103619746A (zh) | 双层电梯 | |
KR101727479B1 (ko) | 철도차량 높이제어장치 | |
JP6608509B1 (ja) | テールコード吊位置調整装置およびテールコード吊位置調整装置の設置方法 | |
AU597007B2 (en) |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emergency car braking system | |
KR102470792B1 (ko) | 짚라인 출발게이트 작동방법 | |
US1382211A (en) | Manlift | |
EP2824055A1 (en) | Elevator pit buff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