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233B1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5233B1 KR101885233B1 KR1020137022147A KR20137022147A KR101885233B1 KR 101885233 B1 KR101885233 B1 KR 101885233B1 KR 1020137022147 A KR1020137022147 A KR 1020137022147A KR 20137022147 A KR20137022147 A KR 20137022147A KR 101885233 B1 KR101885233 B1 KR 1018852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nterweight
- engine
- vehicle body
- fixing portion
- exhaust ga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8—Tractor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overturning or tipping
- B62D49/085—Counter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상부 선회체(3)를 구성하는 선회 프레임(5)의 후부 측에,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는 카운터 웨이트(7)를 설치하고, 카운터 웨이트(7) 전측에는, 엔진(9)과, 엔진(9)의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를 설치한다.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NOx 정화 장치(23)를 접속시켜 구성하고, PM 포집 필터 장치(22)는 엔진(9)에 장착하고, NOx 정화 장치(23)는 카운터 웨이트(7)에 장착한다.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때에는, NOx 정화 장치(23)를, 엔진(9)에 장착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으로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NOx 정화 장치(23)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압 셔블 등의 건설 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탑재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당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에 의해 차체가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의 전부 측에는,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 장치가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는, 강고한 지지 구조체를 이루는 선회 프레임을 가지고, 당해 선회 프레임의 전단 측에는 작업 장치가 장착되며, 후단 측에는 작업 장치와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는 카운터 웨이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에는, 카운터 웨이트 전측에 위치하여 유압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엔진이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유압 셔블의 엔진에는,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이 사용되고 있다. 이 디젤 엔진은,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 질소 산화물(NOx) 등의 유해물질을 배출한다. 그래서, 유압 셔블에는, 엔진의 배기 가스 통로의 도중에,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입자상 물질 포집 필터 장치(이하, PM 포집 필터 장치라고 한다), 질소 산화물(NOx)을 요소 수용액이나 선택 환원 촉매를 사용하여 정화하는 질소 산화물정화 장치(이하, NOx 정화 장치라고 한다),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를 산화 제거하는 산화 촉매 등의 처리 기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시가지에서의 굴삭 작업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후방 소(小)선회형의 유압 셔블은, 상부 선회체의 선회 반경을 작게 억제하기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를 선회 중심으로 접근시켜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 전측에 형성되는 기기 수용 스페이스가 좁아져, 이 협애(狹隘)한 기기 수용 스페이스 내에 엔진, 열교환 장치 등의 기기류 이외에,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PM 포집 필터 장치, NOx 정화 장치 등의 처리 기기를 수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카운터 웨이트의 상면 측에 오목홈부를 설치한 유압 셔블이 제안되어 있다. 이 유압 셔블은, 카운터 웨이트 전측에 배설(配設)된 엔진에 PM 포집 필터 장치를 고정함과 함께, 카운터 웨이트의 오목홈부에 NOx 정화 장치를 고정하고 있다(특허문헌 1).
이 종래 기술에 의한 유압 셔블에서는, 엔진의 배기관이 PM 포집 필터 장치에 접속되어, PM 포집 필터 장치와 NOx 정화 장치 사이가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은, PM 포집 필터 장치에 의해 포집되고,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은, NOx 정화 장치에 의해 정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유압 셔블을 작업 현장 등에 수송하는 경우에는, 통상, 중량물인 작업 장치와 카운터 웨이트를 차체(상부 선회체)로부터 분리하여, 이들 작업 장치, 카운터 웨이트, 차체를 개별적으로 트레일러 등의 수송 차량에 적재하여 작업 현장에 수송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여기서, 작업 장치와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한 차체를 수송 차량에 적재할 때에는, 작업 장치와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한 상태에서 차체 엔진을 작동시킨다. 그 후, 하부 주행체를 주행시킴으로써, 수송 차량의 짐받이까지 차체를 자주시켜, 당해 차체를 짐받이에 고정한다.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유압 셔블은,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PM 포집 필터 장치가 엔진에 장착되고, NOx 정화 장치가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유압 셔블에서는,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하기 전 단계에서, NOx 정화 장치를 PM 포집 필터 장치로부터 분리해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탑재한 유압 셔블은, 통상,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처리 기기 중 어느 하나가 엔진의 배기 통로로부터 이탈한 경우, 즉,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가 적정하게 기능하지 않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엔진의 작동을 허가하지 않거나,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한 차체를 자주시켜 수송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에는, 적재 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할 때에는, NOx 정화 장치를 PM 포집 필터 장치로부터 분리하는(엔진의 배기 통로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이 필요해진다. 한편, 차체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할 때에는, NOx 정화 장치를 PM 포집 필터 장치에 접속하는(엔진의 배기 통로 내에 장착하는) 작업이 필요해진다. 이처럼, 종래 기술에 의한 유압 셔블의 수송 시에는, NOx 정화 장치를 PM 포집 필터 장치에 대하여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번잡한 작업을 수반한다. 이 때문에, 유압 셔블을 작업 현장에 수송할 때의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한 경우에도,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적정하게 기능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주 가능한 차체와, 당해 차체의 전부 측에 설치된 작업 장치와, 당해 작업 장치와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차체의 후부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와, 당해 카운터 웨이트의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차체에 탑재된 엔진과, 당해 엔진의 배기 가스 통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기 위하여 하나의 처리 기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처리 기기를 접속시킴으로써 구성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상기 차체에 장착했을 때에는 당해 카운터 웨이트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일방의 부재에는,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하였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를 지지하는 처리 기기 지지 부재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건설 기계의 가동 시에 차체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처리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를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건설 기계의 수송 시 등에 있어서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할 때에는,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되어 있던 처리 기기를, 엔진과 차체 중 일방의 부재에 설치한 처리 기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도, 처리 기기를 엔진의 배기 통로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고,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상시 적정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예를 들면, 건설 기계의 수송 시에 있어서,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도, 엔진을 정상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건설 기계의 차체를 수송 차량의 짐받이까지 자주시킬 수 있다. 또한,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할 때, 처리 기기를 엔진의 배기 통로로부터 분리하는 작업과, 차체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할 때, 처리 기기를 엔진의 배기 통로 내에 장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이것에 의해, 건설 기계를 작업 현장에 수송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2)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는,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일방의 부재에 고정되는 차체 측 고정부와, 당해 차체 측 고정부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향하여 연장되는 웨이트 측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를 상기 일방의 부재에 장착하고,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를 엔진과 차체 중 일방의 부재에 장착한 상태에서,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에 처리 기기를 장착함으로써,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되어 있던 처리 기기를, 처리 기기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일방의 부재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하기 전 단계에서, 카운터 웨이트로부터 분리한 처리 기기를 상기 일방의 부재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으므로, 처리 기기를 엔진의 배기 통로 내에 장착한 상태에서, 카운터 웨이트만을 차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는, 상기 차체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했을 때,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일방의 부재로부터 분리한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를 보관하는 지지 부재 보관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체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하고, 이 카운터 웨이트에 처리 기기를 장착함으로써, 처리 기기 지지 부재에 의해 처리 기기를 지지할 필요가 없어진 경우에도, 카운터 웨이트의 지지 부재 보관부에 처리 기기 지지 부재를 보관해 둘 수 있다. 이 결과,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분실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어,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할 때, 처리 기기 지지 부재를 사용하여 처리 기기를 엔진과 차체와 중 일방의 부재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일방의 부재와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 사이에는, 이들 양자 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페이서를 설치하고,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를 상기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일방의 부재에 장착함과 함께,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차체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할 때에는, 상기 스페이서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와 상기 일방의 부재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와 함께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엔진과 차체와 중 일방의 부재와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 사이에 스페이서를 설치한 경우에는,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를 상기 일방의 부재에 일체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와 상기 일방의 부재 사이로부터 스페이서를 분리한 경우에는,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를 상기 일방의 부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와 상기 일방의 부재 사이에 스페이서를 설치한 상태에서,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에 처리 기기를 장착함으로써, 당해 처리 기기를 상기 일방의 부재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를 차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와 상기 일방의 부재 사이로부터 스페이서를 분리한 상태에서,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를 처리 기기와 함께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함으로써, 당해 처리 기기를 상기 일방의 부재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켜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에는, 상기 차체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했을 때 당해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되는 제1 장착 레그부와, 당해 제1 장착 레그부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 장착 레그부를 설치하고,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는, 상기 엔진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 사이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지지 아암부와, 당해 지지 아암부 전측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상기 일방의 부재에 고정되는 차체 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 아암부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의 상기 제2 장착 레그부에 고정되는 웨이트 측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할 때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의 상기 제1 장착 레그부를 상기 카운터 웨이트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2 장착 레그부를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체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처리 기기의 제1 장착 레그부를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함으로써, 당해 처리 기기를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할 때에는, 처리 기기의 제1 장착 레그부를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한 상태에서, 처리 기기의 제2 장착 레그부에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를 장착함과 함께,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를 상기 일방의 부재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할 때, 처리 기기를 처리 기기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일방의 부재에 장착하는 작업을, 당해 처리 기기의 중량을 카운터 웨이트에 의해 지지한 상태로 행할 수 있다. 이 결과, 차체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할 때, 처리 기기 지지 부재를 개재하여 처리 기기를 상기 일방의 부재에 장착하는 작업과, 차체에 카운터 웨이트를 장착할 때, 처리 기기를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하는 작업을 원활하고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어, 그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선회 프레임 상에 카운터 웨이트, 엔진,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등을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부 선회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중의 엔진, PM 포집 필터 장치, NOx 정화 장치,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엔진, PM 포집 필터 장치, NOx 정화 장치 등을 도 3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하여, NOx 정화 장치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사용하여 엔진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과 동일한 평면도이다.
도 7은 PM 포집 필터 장치, NOx 정화 장치,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엔진에 장착한 상태를 도 6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 NOx 정화 장치 등을 나타내는 도 4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하여,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 NOx 정화 장치를 엔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 PM 포집 필터 장치, NOx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 3과 동일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 NOx 정화 장치를 도 10 중의 화살표 XI-XI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엔진과 NOx 정화 장치에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하여,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통하여 엔진에 NOx 정화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NOx 정화 장치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통하여 선회 프레임에 장착한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PM 포집 필터 장치를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한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과 동일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선회 프레임 상에 카운터 웨이트, 엔진,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등을 탑재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부 선회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중의 엔진, PM 포집 필터 장치, NOx 정화 장치,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 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엔진, PM 포집 필터 장치, NOx 정화 장치 등을 도 3 중의 화살표 IV-IV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하여, NOx 정화 장치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사용하여 엔진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 4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과 동일한 평면도이다.
도 7은 PM 포집 필터 장치, NOx 정화 장치,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엔진에 장착한 상태를 도 6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 NOx 정화 장치 등을 나타내는 도 4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하여,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 NOx 정화 장치를 엔진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 PM 포집 필터 장치, NOx 정화 장치를 나타내는 도 3과 동일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 NOx 정화 장치를 도 10 중의 화살표 XI-XI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엔진과 NOx 정화 장치에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선회 프레임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하여,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통하여 엔진에 NOx 정화 장치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NOx 정화 장치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통하여 선회 프레임에 장착한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와 동일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PM 포집 필터 장치를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한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과 동일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건설 기계의 실시 형태를 유압 셔블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PM)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PM 포집 필터 장치와,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NOx)을 요소 수용액, 선택 환원 촉매 등을 사용하여 정화하는 NOx 정화 장치로 구성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유압 셔블을 예시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1은 건설 기계의 대표예로서의 유압 셔블이고, 이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에 의하여 차체가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의 전부 측에는 작업 장치(4)가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당해 작업 장치(4)를 사용하여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부 선회체(3)는, 후술하는 선회 프레임(5), 캡(6), 엔진(9),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5는 상부 선회체(3)의 베이스가 되는 선회 프레임을 나타내고, 당해 선회 프레임(5)은, 강고한 지지 구조체를 이루며, 선회 장치(도시 생략)을 개재하여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께가 두꺼운 바닥판(5A)과, 당해 바닥판(5A) 상에 세워 설치되어, 좌, 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종판(縱坂)(5B), 우측 종판(5C)과, 좌측 종판(5B)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 개의 좌측 돌출 빔(5D)과, 우측 종판(5C)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한 복수 개의 우측 돌출 빔(5E)과, 각 좌측 돌출 빔(5D)의 선단에 고착되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5F)과, 각 우측 돌출 빔(5E)의 선단에 고착되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우측 사이드 프레임(5G)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을 구성하는 좌, 우의 종판(5B, 5C)의 전단부에는, 작업 장치(4)의 풋부가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종판(5B, 5C)의 후단부에는,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7)가 장착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판(5B, 5C)에는, 카운터 웨이트(7)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전, 후 방향으로 대면하는 복수의 엔진 지지 레그부(5H)가 일체로 고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엔진 지지 레그부(5H)에는, 후술하는 엔진(9)이 지지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6)은 선회 프레임(5)의 좌방향 전부 측에 탑재되어 있다. 이 캡(6)은, 오퍼레이터의 운전실을 획성(畵成)하는 것으로, 캡(6)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 각종 조작 레버(모두 도시 생략) 등이 배설되어 있다.
7은 선회 프레임(5)의 후단부에 장착된 카운터 웨이트를 나타내고, 당해 카운터 웨이트(7)는, 작업 장치(4)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다. 도 3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7)는, 예를 들면 주조(鑄造) 수단을 사용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당해 카운터 웨이트(7)는, 후술하는 엔진(9)과 대면하여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수직면이 된 전면(7A)과,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면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면(7B)과, 상면(7C)과, 하면(7D)을 가지고 있다.
카운터 웨이트(7)의 하단 측에는, 전면(7A)과 하면(7D)을 후면(7B)을 향하여 컷아웃함으로써, 전면(7A)과 하면(7D)에 개구한 좌측 프레임 장착 오목부(7E), 우측 프레임 장착 오목부(7F)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들 좌, 우의 프레임 장착 오목부(7E, 7F)를, 선회 프레임(5)의 좌, 우의 종판(5B, 5C)의 후단부에 볼트 등을 사용하여 장착함으로써, 카운터 웨이트(7)는 선회 프레임(5)의 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을 트레일러 등에 적재하여 작업 현장에 수송할 때에는, 카운터 웨이트(7)는,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카운터 웨이트(7)는,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에 의해 구성되는 유압 셔블(1)의 차체와는 개별적으로 작업 현장까지 수송되어, 작업 현장에 있어서 다시 선회 프레임(5)에 장착된다.
8은 카운터 웨이트(7)의 상면(7C) 측에 설치된 오목홈부이고, 당해 오목홈부(8)는, 후술하는 NOx 정화 장치(23)를 수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오목홈부(8)는, 카운터 웨이트(7)의 전면(7A)과 상면(7C)을 컷아웃함으로써, 바닥면(8A), 후면(8B), 좌측면(8C) 및 우측면(8D)에 의해 둘러싸인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이 오목홈부(8)는, 카운터 웨이트(7)의 전면(7A)과 상면(7C)에 개구되어 있다.
한편, 바닥면(8A)의 좌, 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NOx 정화 장치(23)를 고정하기 위한 4개의 중앙 암나사 구멍(8E)이 나선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8A)과 좌측면(8C)이 교차하는 좌측 모서리부의 근방 부위에는, 후술하는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좌측 암나사 구멍(8F)이 나선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8A)과 우측면(8D)이 교차하는 우측 모서리부의 근방 부위에는, 후술하는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우측 암나사 구멍(8G)이 나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홈부(8) 중 좌측 암나사 구멍(8F)과 우측 암나사 구멍(8G)이, 카운터 웨이트(7)의 지지 부재 보관부를 구성하고 있다.
9는 카운터 웨이트(7)의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후부 측에 탑재된 엔진을 나타내고, 이 엔진(9)은, 예를 들면 디젤 엔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9)은, 선회 프레임(5)의 후부 측에 설치된 엔진 지지 레그부(5H)에, 방진(防振) 마운트 부재(10)를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전체적으로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배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엔진(9)은 후술하는 유압 펌프(11)를 구동하는 것으로, 엔진(9)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배기관(9A)를 통하여 후술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로 도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엔진(9)의 좌측에는, 당해 엔진(9)에 의해 회전하는 냉각팬(9B)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엔진(9)에는, 카운터 웨이트(7)와 대면하는 부위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 고정면(9C)이 설치되며, 당해 브래킷 고정면(9C)에는, 상, 하로 간격을 가지고 2개의 암나사 구멍(9D)이 나선 형성되어 있다.
유압 펌프(11)는 엔진(9)의 우측에 장착되어 있다. 이 유압 펌프(11)는, 엔진(9)에 의해 구동됨으로써,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를 향하여 작동용 압유를 토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펌프(11)는, 엔진(9)에 볼트로 체결되는 플랜지부(11A)를 가지고, 이 플랜지부(11A)에는, 후술하는 지지대(18)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열교환기(12)는 엔진(9)의 냉각팬(9B)과 대면하여 배치되고, 당해 열교환기(12)는, 예를 들면 라디에이터, 오일쿨러, 인터쿨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12)는, 엔진(9)의 작동 시에 냉각팬(9B)에 의해 발생하는 냉각풍 중에 냉매의 열을 방출함으로써, 엔진 냉각수, 작동유, 과급공기를 냉각하는 것이다.
작동유 탱크(13)는 유압 펌프(11)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우측에 탑재되고, 이 작동유 탱크(13)는,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각종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저장하는 것이다. 한편, 연료 탱크(14)는 작동유 탱크(13)의 전측에 배치되고, 이 연료 탱크(14)는, 엔진(9)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것이다.
15는 캡(6)과 카운터 웨이트(7) 사이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구조물 커버를 나타내고 있다. 당해 구조물 커버(15)는, 선회 프레임(5)의 좌, 우의 사이드 프레임(5F, 5G) 상을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 우의 측면판(15A)과, 이들 좌, 우의 측면판(15A)의 상단부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면판(15B)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조물 커버(15)의 후부 측은 카운터 웨이트(7)에 의해 폐색(閉塞)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구조물 커버(15) 내에는, 카운터 웨이트(7)보다 전측에 위치하여 엔진실(16)이 획성되고, 당해 엔진실(16) 내에는, 엔진(9), 유압 펌프(11), 열교환기(12), 후술하는 PM 포집 필터 장치(22) 등이 수용되어 있다. 구조물 커버(15)의 상면판(15B)에는, 엔진실(16)에 개구하는 개구부(도시 생략)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를 통하여 엔진(9), PM 포집 필터 장치(22) 등에 대한 점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엔진 커버(17)는 구조물 커버(15)의 상면판(15B) 상에 설치되고, 당해 엔진 커버(17)는, 하단부가 개구된 사각형의 덮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엔진 커버(17)는, 구조물 커버(15)의 상면판(15B)에 힌지 부재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 커버(17)는, 구조물 커버(15)의 상면판(15B)에 설치된 개구부와, 카운터 웨이트(7)에 설치된 오목홈부(8)를 개, 폐 가능하게 덮는 것이다.
지지대(18)는 엔진(9)의 우측에 위치하여 유압 펌프(11)의 상측에 설치되고, 당해 지지대(18)는, 유압 펌프(11)의 플랜지부(11A)와 함께 엔진(9)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대(18)의 상면 측에는, 후술하는 PM 포집 필터 장치(22)가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엔진(9)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21은 엔진(9)의 배기관(9A)에 접속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배기관(9A)과 함께 배기 가스 통로를 구성하고, 엔진(9)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에 적용되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지지대(18) 상에 장착된 후술하는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장착된 후술하는 NOx 정화 장치(23)의 2개의 처리 기기를, 진동 흡수관(25)을 개재하여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22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를 구성하는 2개의 처리 기기 중 일방인 PM 포집 필터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PM 포집 필터 장치(22)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것으로, 원통 형상의 통 형상 케이스(22A)와, 이 통 형상 케이스(22A) 내에 설치된 필터 본체(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PM 포집 필터 장치(22)의 통 형상 케이스(22A)는, 축 중심선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지지대(18) 상에 장착되고, 엔진(9), 유압 펌프(11)와 함께, 구조물 커버(15) 내에 수용되어 있다. 통 형상 케이스(22A)의 전단부 외주 측에는, 엔진(9)의 배기관(9A)에 접속되는 유입관(22B)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통 형상 케이스(22A)의 후단부에는, 카운터 웨이트(7)를 향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유출관(22C)이 설치되고, 이 유출관(22C)은, 후술하는 NOx 정화 장치(23)의 유입관(23C)에 접속되어 있다.
PM 포집 필터 장치(22)는, 유입관(22B)을 통하여 통 형상 케이스(22A) 내에 도입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을 필터 본체에 의해 포집하고, 포집한 입자상 물질을 연소시켜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엔진(9)의 배기관(9A)으로 배출된 배기 가스는, PM 포집 필터 장치(22)에 의해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유출관(22C)을 통하여 후술하는 NOx 정화 장치(23)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23은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를 구성하는 2개의 처리 기기 중 타방인 NOx 정화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NOx 정화 장치(23)는, 원통 형상의 통 형상 케이스(23A)와, 이 통 형상 케이스(23A) 내에 설치된 선택 환원 촉매(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 형상 케이스(23A)에 접속된 후술하는 유입관(23C)에는 요소수 분사 밸브(도시 생략)가 설치되고, 이 요소수 분사 밸브는, 유입관(23C)을 통하여 통 형상 케이스(23A) 내에 도입되는 배기 가스를 향하여 요소수 용액을 분사한다. 이것에 의해, 선택 환원 촉매는, 통 형상 케이스(23A) 내에 도입된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을, 요소 수용액으로부터 생성된 암모니아에 의해 선택적으로 환원 반응시켜, 질소와 물로 분해하는 것이다.
한편, NOx 정화 장치(23)의 통 형상 케이스(23A)는, 축 중심선이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 내에 배치되어 있다. 통 형상 케이스(23A)의 하면 측에는 2개의 장착 레그부(23B)가 설치되고, 당해 장착 레그부(23B)에 삽입 통과된 볼트(24)는, 오목홈부(8)의 바닥면(8A)에 설치된 중앙암나사 구멍(8E)에 나사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NOx 정화 장치(23)는, 오목홈부(8)의 바닥면(8A) 상에 고정되어 있다.
통 형상 케이스(23A)의 우측 단부에는, PM 포집 필터 장치(22)를 향하여 L자 형상으로 굴곡된 유입관(23C)이 설치되고, 당해 유입관(23C)은, 진동 흡수관(25)을 개재하여 PM 포집 필터 장치(22)의 통 형상 케이스(22A)에 설치된 유출관(22C)에 접속되어 있다. 통 형상 케이스(23A)의 좌단 측 상면에는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유출관(23D)이 설치되고, NOx 정화 장치(23) 내에서 정화된 배기 가스는, 유출관(23D)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진동 흡수관(25)은,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는 벨로우즈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진동 흡수관(25)은, 지지대(18)를 개재하여 엔진(9)에 장착된 PM 포집 필터 장치(22)에 전해지는 진동과,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장착된 NOx 정화 장치(23)에 전해지는 진동의 차이를 흡수하면서, PM 포집 필터 장치(22)의 유출관(22C)과 NOx 정화 장치(23)의 유입관(23C) 사이를 접속하는 것이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9)에 장착된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장착된 NOx 정화 장치(23)는, 엔진 커버(17)에 의해 개, 폐 가능하게 덮여 있다. NOx 정화 장치(23)의 유출관(23D)은, 엔진 커버(17)를 닫았을 때, 당해 엔진 커버(17)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엔진(9)의 배기 가스 통로의 도중에 설치된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NOx 정화 장치(23)로 구성되고, PM 포집 필터 장치(22)는 지지대(18)를 개재하여 엔진(9)에 장착되고, NOx 정화 장치(23)는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엔진(9)의 작동 시에 배출된 배기 가스가, 배기관(9A)으로부터 유입관(22B)을 통하여 PM 포집 필터 장치(22)에 도입되면, PM 포집 필터 장치(22)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한다.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배기 가스가, 유출관(22C) 및 유입관(23C)을 통하여 NOx 정화 장치(23)에 도입되면, NOx 정화 장치(23)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 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분해하여 정화한 후, 유출관(23D)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엔진(9)의 배기 가스 통로 내에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NOx 정화 장치(23)가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적정하게 기능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에는, 엔진(9)의 배기 가스 통로로부터 PM 포집 필터 장치(22) 또는 NOx 정화 장치(23)가 이탈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엔진(9)의 시동을 허가하지 않거나, 또는 경고음을 발하는 것과 같은 안전 장치가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26은 제1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처리 기기 지지 부재로서의 2개의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은,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했을 때,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장착되어 있던 NOx 정화 장치(23)를, 카운터 웨이트(7) 대신 엔진(9) 측에서 지지하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은, L자 형으로 굴곡된 두께가 두꺼운 판체에 의해 구성되고,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에 고정되는 짧은 차체 측 고정부(26A)와, 카운터 웨이트(7) 측(후방)으로 연장되는 긴 웨이트 측 고정부(26B)를 가지고 있다. 차체 측 고정부(26A)에는, 엔진(9)의 각 암나사 구멍(9D)에 대응하는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6A1)이 형성되어 있다. 웨이트 측 고정부(26B)에는, NOx 정화 장치(23)의 장착 레그부(23B)에 대응하는 2개의 암나사 구멍(26B1)이 나선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엔진(9)에 장착했을 때, 웨이트 측 고정부(26B)의 상면의 높이 위치는, 오목홈부(8)의 바닥면(8A)과 동일한 높이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때에는,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6A1)에 삽입 통과한 볼트(27)를 엔진(9)의 암나사 구멍(9D)에 나사 결합하고,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차체 측 고정부(26A)를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에 장착한다. 한편, 카운터 웨이트(7)로부터 분리한 NOx 정화 장치(23)의 장착 레그부(23B)에 삽입 통과된 볼트(24)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암나사 구멍(26B1)에 나사 결합하고,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웨이트 측 고정부(26B)에 NOx 정화 장치(23)를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했을 때에는, NOx 정화 장치(23)는,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개재하여 엔진(9)에 지지되어,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함께 엔진(9)의 배기 가스 통로 내에 구비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에 카운터 웨이트(7)를 장착했을 때에는, NOx 정화 장치(23)는, 볼트(24)를 사용하여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장착됨에 따라,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함께 엔진(9)의 배기 가스 통로 내에 장착되므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은 불필요해진다. 이 경우에는, 엔진(9)으로부터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분리한 후,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6A1)에 삽입 통과한 볼트(27)를,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설치한 좌, 우의 암나사 구멍(8F, 8G)에 나사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홈부(8)의 좌, 우의 측면(8C, 8D)의 근방에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으로, 그 작동과, 유압 셔블(1)을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하여 수송 하는 경우의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의 조립에 대하여 서술한다. 유압 셔블(1)은, 작업 현장 내를 하부 주행체(2)에 의해 자주하여, 상부 선회체(3)를 선회시키면서 작업 장치(4)를 사용하여 굴삭 작업 등을 행한다. 이 상태에서, 엔진(9)의 배기관(9A)으로 배출된 배기 가스는, 유입관(22B)을 통하여 PM 포집 필터 장치(22)에 도입되어, 당해 PM 포집 필터 장치(22) 내에서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다. 그 후, 배기 가스는, 유출관(22C) 및 유입관(23C)을 통하여 NOx 정화 장치(23)에 도입되어, NOx 정화 장치(23) 내에서 질소 산화물이 질소와 물로 분해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엔진(9)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NOx 정화 장치(23)로 이루어지는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에 의해 정화된 후, NOx 정화 장치(23)의 유출관(23D)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유압 셔블(1)의 가동 시에 있어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의 조립 상태에 대하여 서술한다. 즉,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의 선회 프레임(5)에 카운터 웨이트(7)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PM 포집 필터 장치(22)는 지지대(18)를 개재하여 엔진(9)에 장착되어 있다. 한편, NOx 정화 장치(23)는, 볼트(24)를 사용하여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장착되어 있다. 엔진(9)의 배기관(9A)은 PM 포집 필터 장치(22)의 유입관(22B)에 접속되어, PM 포집 필터 장치(22)의 유출관(22C)은, 진동 흡수관(25)을 개재하여 NOx 정화 장치(23)의 유입관(23C)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은, 볼트 삽입 통과 구멍(26A1)에 삽입 통과한 볼트(27)를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설치된 좌, 우의 암나사 구멍(8F, 8G)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오목홈부(8)의 좌, 우의 측면(8C, 8D)의 근방에 보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분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유압 셔블(1)을 작업 현장에 수송하기 위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서술한다. 이 경우에는, 카운터 웨이트(7)[오목홈부(8)]에 NOx 정화 장치(23)를 장착하기 위한 볼트(24)를 빼낸다. 다음으로, NOx 정화 장치(23)의 통 형상 케이스(23A)에 로프(28)를 돌려 걸고, 이 로프(28)를 크레인(29)을 사용하여 매달아 올린다. 이 상태에서, 다른 크레인(도시 생략)을 사용하여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한다.
한편, 카운터 웨이트(7)로부터 볼트(27)를 빼내어, 카운터 웨이트(7)에 보관되어 있는 2개의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분리한다. 이들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26A1)에 볼트(27)를 삽입 통과시키고, 이 볼트(27)를 엔진(9)의 암나사 구멍(9D)에 나사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차체 측 고정부(26A)를,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웨이트 측 고정부(26B)의 상면의 높이 위치는,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의 바닥면(8A)의 높이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PM 포집 필터 장치(22)의 유출관(22C)과 NOx 정화 장치(23)의 유입관(23C) 사이를 진동 흡수관(25)을 개재하여 접속한 상태에서,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웨이트 측 고정부(26B) 상에 NOx 정화 장치(23)를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NOx 정화 장치(23)의 장착 레그부(23B)에 삽입 통과한 볼트(24)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암나사 구멍(26B1)에 나사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웨이트 측 고정부(26B) 상에 NOx 정화 장치(23)를 장착할 수 있고, NOx 정화 장치(23)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개재하여 엔진(9)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카운터 웨이트(7)에 장착되어 있던 NOx 정화 장치(23)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사용하여 엔진(9)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도, NOx 정화 장치(23)를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함께 엔진(9)의 배기 가스 통로 내에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웨이트 측 고정부(26B)의 상면은,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의 바닥면(8A)과 동일한 높이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에 지지된 NOx 정화 장치(23)의 유입관(23C)과, PM 포집 필터 장치(22)의 유출관(22C) 사이를, 진동 흡수관(25)을 개재하여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 결과,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한 경우에도,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가 적정하게 기능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엔진(9)의 시동이 금지되거나,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엔진(9)을 작동시킴으로써, 트레일러 등의 수송 차량의 짐받이까지 유압 셔블(1)을 자주시킬 수 있으므로, 유압 셔블(1)을 적재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작업 현장에 도착한 수송 차량의 짐받이로부터 유압 셔블(1)을 내릴 때에도, 엔진(9)을 작동시켜 유압 셔블(1)을 자주시킬 수 있어, 그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 현장에 있어서, 유압 셔블(1)의 선회 프레임(5)에 카운터 웨이트(7)를 장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서술한다. 이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NOx 정화 장치(23)를 로프(28)와 크레인(29)을 사용하여 매달아 올린다. 그 후,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웨이트 측 고정부(26B)로부터 NOx 정화 장치(23)을 분리하고, 또한, 이들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으로부터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 카운터 웨이트(7)를 선회 프레임(5)의 좌, 우의 종판(5B, 5C)의 후단부에 재치한다. 다음으로, 카운터 웨이트(7)의 좌, 우의 프레임 장착 오목부(7E, 7F)를 볼트 등을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선회 프레임(5)에 카운터 웨이트(7)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NOx 정화 장치(23)를 카운터 웨이트(7)에 장착하기 위하여, NOx 정화 장치(23)의 장착 레그부(23B)를, 카운터 웨이트(7)에 설치한 오목홈부(8)의 바닥면(8A) 상에 배치한다. 그 후,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 레그부(23B)에 삽입 통과시킨 볼트(24)를, 오목홈부(8)의 중앙 암나사 구멍(8E)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NOx 정화 장치(23)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때, 엔진(9)에 장착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에 의해 NOx 정화 장치(23)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한 경우에도, PM 포집 필터 장치(22)에 NOx 정화 장치(23)를 접속해 둘 수 있어,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를 상시 적정하게 기능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예를 들면 유압 셔블(1)의 수송 시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한 상태에 있어서도, 엔진(9)을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압 셔블(1)의 차체를 수송 차량의 짐받이까지 자주시킬 수 있어, 유압 셔블(1)의 차체를 수송 차량에 적재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카운터 웨이트(7)에 장착된 NOx 정화 장치(23)을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에 바꾸어 장착하는 작업을, PM 포집 필터 장치(22)의 유출관(22C)과 NOx 정화 장치(23)의 유입관(23C) 사이를 진동 흡수관(25)을 통하여 접속한 상태로 행할 수 있다.
한편,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에 장착된 NOx 정화 장치(23)를 카운터 웨이트(7)에 다시 장착하는 작업도, PM 포집 필터 장치(22)의 유출관(22C)과 NOx 정화 장치(23)의 유입관(23C) 사이를 진동 흡수관(25)을 개재하여 접속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카운터 웨이트(7)를 장착하고, 분리할 때, PM 포집 필터 장치(22)에 대하여 NOx 정화 장치(23)를 장착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유압 셔블(1)을 작업 현장에 수송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의 차체 측 고정부와 엔진 사이에, 스페이서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에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 중, 31은 제2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처리 기기 지지 부재로서의 2개의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나타내고 있다.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은,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했을 때, NOx 정화 장치(23)를 엔진(9)에 장착하는 것이다.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은, L자 형상으로 굴곡된 두께가 두꺼운 판체로 이루어지고, 차체 측 고정부(31A)와 웨이트 측 고정부(31B)를 가지고 있다. 차체 측 고정부(31A)에는, 엔진(9)의 각 암나사 구멍(9D)에 대응하는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31A1)이 형성되어 있다. 웨이트 측 고정부(31B)에는, NOx 정화 장치(23)의 장착 레그부(23B)에 대응하는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31B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카운터 웨이트(7)를 선회 프레임(5)에 장착한 상태에 대하여 서술한다. 즉,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웨이트 측 고정부(31B)는, 카운터 웨이트(7)에 설치된 오목홈부(8)의 바닥면(8A)과 NOx 정화 장치(23)의 장착 레그부(23B) 사이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NOx 정화 장치(23)의 장착 레그부(23B)와,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31B1)에 볼트(24)를 삽입 통과시키고, 이 볼트(24)는, 오목홈부(8)의 중앙 암나사 구멍(8E)에 나사 결합된다. 이것에 의해,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웨이트 측 고정부(31B)는, NOx 정화 장치(23)와 함께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고정(함께 조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과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32)이 형성되어 있다.
33은 스페이서를 나타내고, 당해 스페이서(33)는,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와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스페이서(33)는,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 사이의 간극(32)과 동일한 전, 후 방향의 길이 치수 (A)를 가지는 직방체의 블록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33)에는,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에 형성된 볼트 삽입 통과 구멍(31A1)에 대응하는 2개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엔진(9)에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을 장착했을 때의 웨이트 측 고정부(31B)의 상면의 높이 위치와,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을 개재하여 NOx 정화 장치(23)를 장착했을 때의 웨이트 측 고정부(31B)의 상면의 높이 위치는 동일한 높이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때에는,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 사이의 간극(32) 내에 스페이서(33)를 배치한다. 다음으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31A1)과, 스페이서(33)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33A)에 볼트(27)를 삽입 통과시키고, 이 볼트(27)를 엔진(9)의 암나사 구멍(9D)에 나사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를, 스페이서(33)를 개재하여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에 장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NOx 정화 장치(23)는, 엔진(9) 측에 장착되어,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과 스페이서(33)를 가지는 것으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에 카운터 웨이트(7)를 장착할 때에는,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웨이트 측 고정부(31B)를, NOx 정화 장치(23)와 함께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과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 사이에 간극(32)을 확보한 상태로, NOx 정화 장치(23)를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때에는,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 사이의 간극(32) 내에 스페이서(33)를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볼트(27)를 사용하여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를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에 고정한다. 한편,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웨이트 측 고정부(31B)와 NOx 정화 장치(23)를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모두 조이기 위한 볼트(24)를, 오목홈부(8)의 중앙 암나사 구멍(8E)으로부터 빼낸다. 다음으로,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한 후, NOx 정화 장치(23)의 장착 레그부(23B)와,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웨이트 측 고정부(31B)의 볼트 삽입 통과 구멍(31B1)에 볼트(24)를 다시 삽입 통과시킨다. 또한, 웨이트 측 고정부(31B)의 하면 측에 돌출된 볼트(24)의 선단 측에 너트(34)를 나사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를, 스페이서(33)를 개재하여 엔진(9)의 브래킷 고정면(9C)에 장착함과 함께,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웨이트 측 고정부(31B)에, NOx 정화 장치(23)를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웨이트 측 고정부(31B) 상에 NOx 정화 장치(23)를 장착한 상태에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을 엔진(9)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을 분리할 때에는, 스페이서(33)를 개재하여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를 엔진(9)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웨이트 측 고정부(31B)를 카운터 웨이트(7)에 장착한 상태에서, 또한 NOx 정화 장치(23)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에 의해 지지한 상태에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의 차체 측 고정부(31A)를 스페이서(33)를 개재하여 엔진(9)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때, NOx 정화 장치(23)의 중량을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31)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예를 들면, 크레인 등을 사용하여 NOx 정화 장치(23)를 매달아 올리는 작업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카운터 웨이트(7)를 장착하여, 분리할 때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처리 기기에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되는 제1 장착 레그부와, 당해 제1 장착 레그부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 장착 레그부를 설치한 것에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 중, 41은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NOx 정화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NOx 정화 장치(41)은,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NOx 정화 장치(23)와 마찬가지로, 원통 형상의 통 형상 케이스(41A)와, 이 통 형상 케이스(41A) 내에 설치된 요소수 분사 밸브, 선택 환원 촉매(모두 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통 형상 케이스(41A)의 우측 단부에는, 진동 흡수관(25)을 개재하여 PM 포집 필터 장치(22)의 유출관(22C)에 접속되는 유입관(41B)이 설치되어 있다. 통 형상 케이스(41A)의 좌측 단부 측 상면에는, NOx 정화 장치(41) 내에서 정화된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유출관(41C)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통 형상 케이스(41A)의 하면 측에는, 좌, 우 방향으로 이간되어 2개의 제1 장착 레그부(41D)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1 장착 레그부(41D)는, 전, 후 방향으로 돌출된 볼트 삽입 통과 구멍 장착한 돌출부(41D1)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제1 장착 레그부(41D)의 각 돌출부(41D1)에 삽입 통과된 볼트(24)를,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의 중앙 암나사 구멍(8E)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오목홈부(8)의 바닥면(8A) 상에 NOx 정화 장치(41)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통 형상 케이스(41A)의 상면 측에는, 좌, 우 방향으로 이간하여 2개의 제2 장착 레그부(41E)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2 장착 레그부(41E)는, 전, 후 방향으로 돌출된 볼트 삽입 통과 구멍이 있는 돌출부(41E1)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제2 장착 레그부(41E)는,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때, 후술하는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에 장착되는 것이다.
42는 제3 실시 형태에 사용되는 처리 기기 지지 부재로서의 2개의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은,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했을 때 NOx 정화 장치(41)를 엔진(9)에 장착하는 것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은, 엔진(9)과 카운터 웨이트(7) 사이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가늘고 긴 평판 형상의 지지 아암부(42A)와, 당해 지지 아암부(42A) 전측에 설치된 차체 측 고정부(42B)와, 지지 아암부(42A)의 후측에 설치된 웨이트 측 고정부로서의 2개의 암나사 구멍(42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의 차체 측 고정부(42B)는, 거꾸로된 U자형으로 굴곡된 한 쌍의 프레임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 차체 측 고정부(42B)의 상단부는, 지지 아암부(42A)의 전단 측에 고정되어, 차체 측 고정부(42B)의 하단부는, 볼트(43)를 사용하여 엔진(9)의 상면 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2 참조). 한편,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의 후측에 설치된 2개의 암나사 구멍(42C)은, NOx 정화 장치(41)의 제2 장착 레그부(41E)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 장착 레그부(41E)의 돌출부(41E1)에 삽입 통과한 볼트(44)를 암나사 구멍(42C)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의 후단 측에, NOx 정화 장치(41)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NOx 정화 장치(41)와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을 가지는 것으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5)에 카운터 웨이트(7)를 장착할 때에는, NOx 정화 장치(41)의 제1 장착 레그부(41D)를, 카운터 웨이트(7)에 설치한 오목홈부(8)의 바닥면(8A) 상에 볼트(24)를 사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때에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을 구성하는 차체 측 고정부(42B)의 하단부를, 볼트(43)를 사용하여 엔진(9)의 상면 측에 고정한다. 한편, NOx 정화 장치(41)의 제2 장착 레그부(41E)에 삽입 통과시킨 볼트(44)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의 지지 아암부(42A)에 나선 형성한 암나사 구멍(42C)에 나사 결합한다. 이것에 의해, NOx 정화 장치(41)의 제2 장착 레그부(41E)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을 개재하여 엔진(9)에 장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NOx 정화 장치(41)의 제1 장착 레그부(41D)로부터 볼트(24)를 빼내어,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로부터 NOx 정화 장치(41)를 분리한 상태에서,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한다. 이것에 의해, NOx 정화 장치(41)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을 개재하여 엔진(9)에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때, 미리 NOx 정화 장치(41)의 제2 장착 레그부(41E)를,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을 개재하여 엔진(9)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결과, NOx 정화 장치(41)의 중량을 각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42)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NOx 정화 장치(41)를 카운터 웨이트(7)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카운터 웨이트(7)를 장착하고, 분리할 때의 작업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엔진(9) 중 카운터 웨이트(7)와 대면하는 부위에 브래킷 고정면(9C)을 설치하고, 이 브래킷 고정면(9C)에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차체 측 고정부(26A)를 장착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제1 변형예에 의한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의 차체 측 고정부(26A′)는,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길이 치수를 길게 형성하고, 이 차체 측 고정부(26A′)를, 선회 프레임(5)의 엔진 지지 레그부(5H)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웨이트 측 고정부(26B′)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형상이다. 이것은, 제2,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NOx 정화 장치(23)와의 2개의 처리 기기를 직렬로 접속하여 구성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NOx 정화 장치(23) 중 어느 하나의 처리 기기에 의해 구성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제2 변형예와 같이, PM 포집 필터 장치(22)만을 카운터 웨이트(7)의 오목홈부(8)에 장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따라서, 선회 프레임(5)으로부터 카운터 웨이트(7)를 분리할 때에는,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엔진(9)에 장착하고, PM 포집 필터 장치(22)를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26)을 개재하여 엔진(9)에 대하여 지지하면 된다. 이것은, 제2, 제3 실시 형태 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PM 포집 필터 장치(22)와, NOx 정화 장치(23)와, 산화 촉매 등이 다른 처리 기기의 3개 이상의 처리 기기를 접속하여 구성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엔진(9)에 PM 포집 필터 장치(22)를 장착하고, 카운터 웨이트(7)에 NOx 정화 장치(23)와 산화 촉매 등이 다른 처리 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배기 가스 후 처리 장치(21)를 유압 셔블(1)에 탑재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엔진을 탑재한 건설 기계이면, 예를 들면 휠 로더, 유압 크레인, 덤프트럭 등의 다른 건설 기계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2:하부 주행체(차체)
3: 상부 선회체(차체) 4: 작업 장치
7: 카운터 웨이트
8F: 좌측 암나사 구멍(지지 부재 보관부)
8G: 우측 암나사 구멍(지지 부재 보관부)
9: 엔진 9A: 배기관
2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22: PM 포집 필터 장치(처리 기기)
23, 41: NOx 정화 장치(처리 기기)
26, 31, 42, 26′: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처리 기기 지지 부재)
26A, 31A,42B,26A′차체 측 고정부 26B, 31B, 26B′: 웨이트 측 고정부
32: 간극 33: 스페이서
41D: 제1 장착 레그부 41E: 제2 장착 레그부
42A: 지지 아암부 42C: 암나사 구멍(웨이트 측 고정부)
3: 상부 선회체(차체) 4: 작업 장치
7: 카운터 웨이트
8F: 좌측 암나사 구멍(지지 부재 보관부)
8G: 우측 암나사 구멍(지지 부재 보관부)
9: 엔진 9A: 배기관
2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22: PM 포집 필터 장치(처리 기기)
23, 41: NOx 정화 장치(처리 기기)
26, 31, 42, 26′: 처리 기기 지지 브래킷(처리 기기 지지 부재)
26A, 31A,42B,26A′차체 측 고정부 26B, 31B, 26B′: 웨이트 측 고정부
32: 간극 33: 스페이서
41D: 제1 장착 레그부 41E: 제2 장착 레그부
42A: 지지 아암부 42C: 암나사 구멍(웨이트 측 고정부)
Claims (5)
- 자주(自走) 가능한 차체와, 당해 차체의 전부 측에 설치된 작업 장치와, 당해 작업 장치와의 중량 밸런스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차체의 후부 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카운터 웨이트와, 당해 카운터 웨이트의 전측에 위치하여 상기 차체에 탑재된 엔진과, 당해 엔진의 배기 가스 통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의 배기 가스를 정화 처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처리 기기에 의해 구성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상기 차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고정되는 장착 레그부를 가지고,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일방에 배설됨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를 지지하는 처리 기기 지지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는,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상기 일방에 고정되는 차체 측 고정부와, 당해 차체 측 고정부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향하여 연장되는 웨이트 측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가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상기 일방에 장착되고,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는, 상기 차체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상기 일방으로부터 분리한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를 보관하는 지지 부재 보관부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상기 일방과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는, 상기 스페이서(33)를 개재하여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상기 일방에 장착됨과 함께,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차체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페이서가 분리됨으로써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차체 측 고정부와,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상기 일방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와 함께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에는, 상기 차체에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장착되는 제1 장착 레그부와, 당해 제1 장착 레그부와는 다른 위치에 배치된 제2 장착 레그부가 설치되고,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는, 상기 엔진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 사이에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지지 아암부와, 당해 지지 아암부 전측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과 상기 차체 중 상기 일방에 고정되는 차체 측 고정부와, 상기 지지 아암부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의 상기 제2 장착 레그부에 고정되는 웨이트 측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차체로부터 상기 카운터 웨이트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처리 기기의 상기 제1 장착 레그부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2 장착 레그부는 상기 처리 기기 지지 부재의 웨이트 측 고정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 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1039765A JP5490739B2 (ja) | 2011-02-25 | 2011-02-25 | 建設機械 |
JPJP-P-2011-039765 | 2011-02-25 | ||
PCT/JP2012/050159 WO2012114783A1 (ja) | 2011-02-25 | 2012-01-06 | 建設機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8250A KR20140018250A (ko) | 2014-02-12 |
KR101885233B1 true KR101885233B1 (ko) | 2018-08-03 |
Family
ID=4672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22147A KR101885233B1 (ko) | 2011-02-25 | 2012-01-06 | 건설 기계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979125B2 (ko) |
EP (1) | EP2679730A4 (ko) |
JP (1) | JP5490739B2 (ko) |
KR (1) | KR101885233B1 (ko) |
CN (1) | CN103380252B (ko) |
WO (1) | WO201211478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71596A (ja) * | 2011-02-24 | 2012-09-10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建設機械 |
JP5490739B2 (ja) * | 2011-02-25 | 2014-05-14 | 日立建機株式会社 | 建設機械 |
WO2013154218A1 (ko) * | 2012-04-13 | 2013-10-17 |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 하이브리드형 건설기계 |
GB2520638A (en) * | 2012-07-02 | 2015-05-27 | Volvo Constr Equip Ab | Construction machine on which counterweight provided with muffler is mounted |
JP5181076B1 (ja) * | 2012-08-03 | 2013-04-10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油圧ショベル |
JP5543563B2 (ja) * | 2012-10-16 | 2014-07-09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排気処理ユニット |
JP5975859B2 (ja) | 2012-11-29 | 2016-08-23 | ヤンマー株式会社 | エンジン装置 |
JP5449517B1 (ja) * | 2012-12-20 | 2014-03-19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作業車両 |
JP6161057B2 (ja) * | 2013-02-08 | 2017-07-12 | 東京濾器株式会社 | 排気ガス浄化装置 |
JP6066787B2 (ja) | 2013-03-15 | 2017-01-25 | ヤンマー株式会社 |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
JP6343119B2 (ja) | 2013-03-15 | 2018-06-13 | ヤンマー株式会社 | コンバインのエンジン装置 |
EP2979912B1 (en) * | 2013-03-28 | 2021-10-06 | Yanmar Power Technology Co., Ltd. | Engine device |
JP5956373B2 (ja) * | 2013-03-28 | 2016-07-27 | ヤンマー株式会社 | 作業車両のエンジン装置 |
JP6262440B2 (ja) * | 2013-04-08 | 2018-01-17 | 株式会社Kcm | ホイールローダ |
CA2917417A1 (en) * | 2013-07-08 | 2015-01-15 |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 Construction machine with counterweight structure |
EP2853429B1 (en) * | 2013-08-09 | 2017-06-07 | Komatsu Ltd. | Support mechanism, exhaust gas treatment unit, and wheel loader |
JP6164645B2 (ja) * | 2013-09-18 | 2017-07-19 |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 作業機械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装置 |
JP5636512B1 (ja) * | 2013-09-25 | 2014-12-03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作業車両 |
EP2853704B1 (en) | 2013-09-30 | 2017-04-26 | Kubota Corporation | Diesel engine |
KR20160070060A (ko) | 2013-10-25 | 2016-06-17 |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 작업 차량의 엔진 장치 |
EP3064730A4 (en) | 2013-10-28 | 2017-07-26 | Yanmar Co., Ltd. | Engine device of work vehicle |
JP5989017B2 (ja) * | 2014-01-30 | 2016-09-07 | 日立建機株式会社 | 建設機械 |
WO2015141835A1 (ja) | 2014-03-20 | 2015-09-24 | ヤンマー株式会社 | エンジン装置 |
EP3121404B1 (en) | 2014-03-20 | 2018-11-21 | Yanmar Co., Ltd. | Engine device |
WO2015141518A1 (ja) | 2014-03-20 | 2015-09-24 | ヤンマー株式会社 | エンジン装置 |
KR20200060528A (ko) | 2014-03-20 | 2020-05-29 |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 엔진 장치 |
IN2015DN05047A (ko) * | 2014-08-08 | 2015-07-31 | Komatsu Mfg Co Ltd | |
CN104334808B (zh) * | 2014-08-08 | 2016-10-19 | 株式会社小松制作所 | 液压挖掘机 |
JP5723495B1 (ja) * | 2014-08-08 | 2015-05-27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油圧ショベル |
JP6176670B2 (ja) * | 2014-10-22 | 2017-08-09 |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 作業機械 |
JP6197805B2 (ja) * | 2015-02-04 | 2017-09-20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産業車両 |
US9587377B2 (en) | 2015-02-06 | 2017-03-07 | Harnischfeger Technologies, Inc. | Raised counterweight for a mining machine |
KR102481560B1 (ko) | 2015-03-04 | 2022-12-26 |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 콤바인 |
WO2015147343A1 (ja) * | 2015-05-21 | 2015-10-01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油圧ショベル |
JP6497737B2 (ja) * | 2015-06-18 | 2019-04-10 |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 建設機械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支持構造 |
CN105035039A (zh) * | 2015-08-08 | 2015-11-11 | 黄浩 | 一种防污染农业机械 |
JP6633336B2 (ja) * | 2015-10-06 | 2020-01-22 | 日立建機株式会社 | 建設機械 |
JP6280536B2 (ja) * | 2015-12-11 | 2018-02-14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トラクタ |
KR20200087276A (ko) | 2015-12-11 | 2020-07-20 |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 콤바인 |
JP6664964B2 (ja) * | 2016-01-05 | 2020-03-13 | 住友建機株式会社 | ショベル |
EP3418521B1 (en) * | 2016-02-19 | 2021-04-21 | Yanmar Power Technology Co., Ltd. | Engine device |
DE102016105888B4 (de) | 2016-03-31 | 2018-02-22 | Komatsu Ltd. | Abgasnachbehandlungsanordnung, Motoranordnung und Arbeitsfahrzeug |
JP6881334B2 (ja) * | 2018-01-29 | 2021-06-02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排気ガス浄化装置 |
JP7273619B2 (ja) | 2018-06-01 | 2023-05-15 | マニタウォック クレイン カンパニーズ, エルエルシー | クレーン下部走行体上のエンジン排気後処理システムのための取り付け配設 |
JP2020153336A (ja) * | 2019-03-22 | 2020-09-24 |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エンジン |
JP7503975B2 (ja) * | 2020-09-04 | 2024-06-21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作業機械 |
JP7557350B2 (ja) * | 2020-11-19 | 2024-09-27 | ヤンマ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ディーゼルエンジン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5837A (ja) | 1999-03-16 | 2000-09-26 |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 建設機械のエンジン排気装置 |
JP2003041627A (ja) * | 2001-07-31 | 2003-02-13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内蔵の排ガス低減装置 |
JP2003112262A (ja) | 2001-10-03 | 2003-04-15 | Hitachi Metals Ltd | 間隔保持部材および電極ホルダ並びにそれらを用いるプラズマトーチ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2262A (ja) * | 1995-10-16 | 1997-04-28 | Sumitomo Constr Mach Co Ltd | 建設機械のマフラ取付装置 |
ITTO20020036A1 (it) * | 2002-01-11 | 2003-07-11 | Fiat Hitachi Excavators S P A | Macchina operatrice, in particolare per movimento terra. |
JP4925877B2 (ja) * | 2007-03-20 | 2012-05-09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建設車両 |
JP4900163B2 (ja) * | 2007-09-26 | 2012-03-21 |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 建設機械 |
JP4928474B2 (ja) * | 2008-01-08 | 2012-05-09 | 日立建機株式会社 | 建設機械のNOx低減装置の配設構造 |
JP5101324B2 (ja) * | 2008-02-07 | 2012-12-19 | 日立建機株式会社 | 建設機械のNOx低減装置の配設構造 |
EP2287030A4 (en) * | 2008-05-22 | 2018-04-04 |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 Construction machine |
JP5490739B2 (ja) * | 2011-02-25 | 2014-05-14 | 日立建機株式会社 | 建設機械 |
-
2011
- 2011-02-25 JP JP2011039765A patent/JP549073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1-06 US US13/997,321 patent/US897912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1-06 WO PCT/JP2012/050159 patent/WO201211478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1-06 CN CN201280009486.4A patent/CN10338025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1-06 KR KR1020137022147A patent/KR1018852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1-06 EP EP12749206.4A patent/EP2679730A4/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5837A (ja) | 1999-03-16 | 2000-09-26 |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 建設機械のエンジン排気装置 |
JP2003041627A (ja) * | 2001-07-31 | 2003-02-13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内蔵の排ガス低減装置 |
JP2003112262A (ja) | 2001-10-03 | 2003-04-15 | Hitachi Metals Ltd | 間隔保持部材および電極ホルダ並びにそれらを用いるプラズマトー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979125B2 (en) | 2015-03-17 |
WO2012114783A1 (ja) | 2012-08-30 |
CN103380252B (zh) | 2015-08-19 |
US20130343853A1 (en) | 2013-12-26 |
CN103380252A (zh) | 2013-10-30 |
JP2012177233A (ja) | 2012-09-13 |
KR20140018250A (ko) | 2014-02-12 |
EP2679730A4 (en) | 2018-04-04 |
EP2679730A1 (en) | 2014-01-01 |
JP5490739B2 (ja) | 2014-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5233B1 (ko) | 건설 기계 | |
JP5172956B2 (ja) | 建設機械 | |
JP5205551B2 (ja) | 作業車両 | |
JP4705130B2 (ja) | 建設機械 | |
US8708087B2 (en) | Construction machine | |
JP4900163B2 (ja) | 建設機械 | |
KR101776120B1 (ko) | 건설기계 | |
US9657459B2 (en) | Construction machine | |
US20130319787A1 (en) | Construction machine | |
KR20160057499A (ko) | 엔진 장치 | |
KR101745529B1 (ko) | 건설 기계 | |
JP2015101881A (ja) | 建設機械 | |
JP2014121975A (ja) | 浄化装置を備えた建設機械 | |
JP6451241B2 (ja) | 建設機械 | |
JP2014202024A (ja) | 建設機械 | |
JP6632884B2 (ja) | 小旋回型ショベル | |
JP2014122592A (ja) | 建設機械の浄化装置 | |
CN105986591B (zh) | 小回转型挖土机 | |
JP2018017178A (ja) | 建設機械 | |
JP2014070492A (ja) | 建設機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