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499B1 - 전기수술용 기구 - Google Patents

전기수술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499B1
KR101884499B1 KR1020147010205A KR20147010205A KR101884499B1 KR 101884499 B1 KR101884499 B1 KR 101884499B1 KR 1020147010205 A KR1020147010205 A KR 1020147010205A KR 20147010205 A KR20147010205 A KR 20147010205A KR 101884499 B1 KR101884499 B1 KR 10188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jaw member
members
spacer
jaw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833A (ko
Inventor
테오도르 루체
안톤 켈러
디터 바이스하웁트
스테판 아이크
크리스토프 로드와일러
오이겐 헤르너
Original Assignee
아에스쿨랍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에스쿨랍 아게 filed Critical 아에스쿨랍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063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H01L31/05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84Moving parts
    • A61B2018/00196Moving parts reciprocating lengthw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3Sea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2018/145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 A61B2018/145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including means for cutting having a moving blade for cutting tissue grasped by the ja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67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using more than two electrodes on a single prob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조오 부재 및 이와 관련하여 움직이는 제2 조오 부재를 포함하는 조오 조립체, - 오픈 포지션으로부터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은 각각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이들은 그리핑 포지션에서 오픈 포지션보다 서로가 더 가깝게 배치되고, 각 조오 부재는 전원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갖고, 양 조오 부재들의 전극들은 그리핑 포지션에서의 조오 부재들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의 봉합을 위해 상호 작용하도록 적용되고-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을 이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팅 수단들 및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조오 부재들이 이동할 때, 상기 조오 부재들의 클로징 폭 제한을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고, 근위단(proximal end) 및 원위단(distal end)을 갖는 전기수술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단들은 다수의 제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조오 부재에 최대 2개의 제한 요소들이 배치되고, 이러한 제한 요소들은 상기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형성된 봉합 면 상의 다른 조오 부재의 방향으로 상기 조오 부재로부터 돌출되며 전기적으로 절연된 스페이서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의 원위단 부분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전기수술용 기구{Electrosurg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제1조오 부재 및 이와 관련하여 움직이는 제2 조오 부재를 포함하는 조오 조립체, -오픈 포지션으로부터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은 각각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이들은 그리핑 포지션에서 오픈 포지션보다 서로가 더 가깝게 배치되고, 각 조오 부재는 전원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갖고, 양 조오 부재들의 전극들은 그리핑 포지션에서의 조오 부재들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의 봉합을 위해 상호 작용하도록 적용되고,-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을 이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팅 수단들 및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조오 부재들이 이동할 때, 상기 조오 부재들의 클로징 폭 제한을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는 전기수술용 기구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전기수술용 기구는 예를 들면 EP 1123058 b1 및 EP 1372507 b1이 있다. 상기 기구에 의해 신체 조직을 봉합하기 위해 서상기 상기 조오 부재들은 액츄에이팅 수단들을 통해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이동 가능하고 봉합된 조직은 상기 조오 부재들 사이에 잡힌다. 본 케이스에서 상기 그리핑 포지션은 닫힌 포지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양 조오 부재들의 전극들 사이에 추가적으로 적용된 전기 전압에 의해 상기 시네 조직은 전기수술에 의해 봉합될 수 있다. 클로징 폭의 제한을 위한 수단들(이하에서 단순하게 “수단들”로 생략)이 제공되어 상기 제1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과 상기 제2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서로 접촉하는 그리핑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에서 상기 조오 부재들이 서로에 접근하여도 가깝지 않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오 부재들의 전극 사이에 전기적인 회로 단락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 “근위(proximal)” 및 “원위(distal)” 용어는 상기 기구를 능숙하게 다루는 사용자와 관련하여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근위단(proximal end)으로부터 기구를 조종하고 원위단(distal end)에 의해 신체 조직 상에 행동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봉합 결과를 성취할 수 있는 전술한 타입의 전기수술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전기수술용 기구에서 상기 수단들은 다수의 제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조오 부재에 최대 2개의 제한 요소들이 배치되고, 이러한 제한 요소들은 상기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형성된 봉합 면 상의 다른 조오 부재의 방향으로 상기 조오 부재로부터 돌출되며 전기적으로 절연된 스페이서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의 원위단 부분에 배치된다.
클로징 폭을 제한하는 상기 수단들은 다수의 제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한 요소들은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로 제공되는 스페이서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다른 조오 부재들의 방향에 대해 고정되고 다른 조오 부재와 접촉이 가능한 상기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봉합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전극들은 그리핑 포지션에서 접촉이 방지되어 회로 단락이 방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원위단 부분, 특히 조오 부재 조립체의 원위단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조오 부재의 클로징 폭은 원위단 부분에서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조오 부재들은 원위단에서 서로를 향해 굽어져 형성되고 또는 서로에 대해 편향될 때 특히 유리하다. 게다가, 하나의 조오 부재에서 총합 최대 2개의 스페이서가 제공된다. 상기 조오 부재들에서 0, 1, 2 개의 스페이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실제, 이는 한편으로 그리핑 포지션에서 전극들의 회로 단락을 충분히 방지하는 것이 판명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스페이서의 수가 가능한 적은 수로 제한되어 완벽하게 신체 조직을 봉합하는데 유익하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구에 의하면 개선된 봉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스페이서들로 형성되는 제한 요소들의 총합이 2개일 때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실시예의 장점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의 원위단 부분에 배치된다.
2개의 스페이서들은,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조오 부재들에 배치되어 하나의 스페이서가 각 조오 부재에 배치된다.
또한 2개의 스페이서들은 동일한 조오 부재에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조오 부재에는 스페이서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각 조오 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고, 조오 부재 조립체의 원위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조오 부재에 배치된 2개의 스페이서들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원위-근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2개의 스페이서는, 예를 들면, 상기 조오 부재에 각각 측면으로 인접한 근위-원위 방향에 가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특히 상기 스페이서들이 상기 조오 부재에 근위-원위 방향에 가로로 각각 서로가 대칭적으로 배치될 때, 그리핑 포지션에서 상기 조오 부들 사이의 횡방향 변형률을 없앨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신체 조직은 더욱 잘 잡힌다.
적어도 2개의 스페이서들이 제공될 수 있고, 특히 모든 스페이서들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의 원위단 부분에 정확히 하나의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근위-원위 방향에 대해 가로로 지향된 방향에 관한 원위단 부분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또는 정확히 하나의 스페이서가 원위단 부분에 대해 중심에 가까운 쪽에, 특히 상기 조오 부재의 근위단 부분에 배치된다. 클로징 폭의 제한으로 근위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조오 부재의 근위단 부분에서, 결과적으로, 전기적 회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조오 부재에 배치된 전극과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극은 상기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오목부(reces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은 또한 각각의 다른 조오 부재의 방향에 대해 스페이서 상기 전극을 통과하는 브레이크쓰루(breakthrough)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모든 스페이서들은 상기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통합될 수 있고 이들은 고정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배치된 상기 조오 부재의 지지 요소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때 바람직하다. 이는 구조적으로 기구가 심플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모든 스페이서들은 상기 조오 부재의 지지 요소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들 각각은 상기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배치된다.
상기 기구는 그리핑 포지션에서 상기 조오 부재의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을 절단하는 절단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수단들은 절단 요소를 포함하고, 절단 요소들은 상기 조오 부재들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 각각의 2개의 봉합 면 부분들 사이에 근위-원위 방향의 가로로 배치될 때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기구에 의해 상기 신체 조직은 봉합 뿐 아니라 절단 요소에 의해 절단이 가능하다. 각 조오 부재에서 2개의 봉합 면 부분이 근위-원위 방향에 대해 가로로 제공되어 상기 신체 조직은 상기 절단 요소의 양 사이드 상에서 봉합될 수 있다.
상기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 요소는 상기 양 조오 부재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구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 수단들은 근위-원위 방향으로 상기 절단 요소의 이동을 위한 그리고 전진 포지션에서 움츠린 포지션으로 후자로 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팅 요소를 포함하고, 이동 동안에 상기 조오 부재들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은 절단된다. 이는 상기 액츄에이팅 요소에서의 작동에 의해 요구될 때에만 사용자에게 비로소 상기 기구의 절단 기능이 작동되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조오 부재는 봉합 면 부분을 형성하는 분리된 전극들을 가질 수 있다.
게다가, 적어도 하나의 조오 부재는 양 봉합 면 부분들을 형성하는 전극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근위-원위 방향에 가로로 절단 요소의 각 사이드에 배치될 때 클로징 폭이 균일하게 제한되는 이점을 갖는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상술한 이동 가능한 절단 요소의 케이스에 따르면 이는 상기 봉합 면 부분들의 사이에 조직의 절단을 위해 웅크린 포지션으로부터 전진 포지션으로 이동 동안에 적응이 가능하다.
특히 정확히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절단 요소의 각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로징 폭을 제한하는 수단들이 상기 조오 부재의 원위단 부분에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에 대해 중심에 가까운 쪽에 배치된 스페이서로 구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를 더 포함할 때 바람직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으로, 원위단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 또 다른 좀 더 근위 제한 요소에 의해, 상기 조오 부재들의 클로징 폭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기구는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2 조오 부재가 피봇을 할 수 있는 것에 관하여 제1 조오 부재에 대한 조오 부재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의해 정의되는 세로 방향에 대해 가로축으로 지향된 피봇 축에 관해 상기 제1 조오 부재는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관해 피봇이 가능할 때 이점이 있다. 상기 조오 부재들이 그리핑 포지션으로 이동 하에서 상기 전극들은 근사하게 서로 평행하여 상기 조오 부재들은 근위-원위 방향 및 이들의 가로축에 대해서 이상적으로 상기 전극들의 전체 봉합 면들에 대한 일정한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조오 부재의 원위단은 제2 조오 부재의 원위단 방향에 대해 편향되어 봉합된 조직의 뒤를 사로 잡고 그리하여 이와 마찬가지로 더 잘 잡을 수 있다.
상기 클로징 폭의 제한을 위한 수단이 제1 조오 부재에 배치되는 제1 스탑 부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와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배치되는 제1 스탑 부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대해 상기 제1조오 부재의 피봇팅 모션을 제한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여 제1 조오 부재의 상기 근위단이 상기 제2조오 부재를 향해 피봇될 때 이점이 있다. 상기 조오 부재들의 클로징 폭이 스탑 부재들의 형상으로 된 다른 제한 요소들에 의해 더욱 확실히 제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탑 부재들은 부재들이 상기 피봇팅 모션을 제한하여 이들의 상호작용 하에서 상기 제1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봉합 면이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의해 정의되는 세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될 수 있다.
각각, 서로 부착되어 있는, 상기 제1 조오 부재 서포트 및 상기 제1 조오 부재의 스텝들로 상기 스탑 부재들이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단순한 형상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탑 부재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대해 피봇팅하는 동안 상기 제1 조오 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오 부재는 피봇이 가능하고 상기 조오 부재들의 클로징 폭은 추가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탑 부재는 오블롱(oblong)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되고 이와 상호작용하는 스탑 부재는 상기 오블롱 형상의 구멍과 관여된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스탑 부재들은 예로서 상술한 사이드 부재들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탑 부재는, 각각, 상기 조오 부재에 관해 그리고 상기 제1 조오 부재에 관해 조절이 가능한 조절 가능 액츄에이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잠기는 것으로 조절 가능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탑 부재들은 상기 제2 조오 부재로부터 떨어진 조오 부재 서포트 및 제1 조오 부재의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스탑 부재들은 제2 조오 부재를 향한 조오 부재 서포트 및 상기 제1 조오 부재의 사이드에 배치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단순한 형상을 얻기 위해, 상기 스탑 부재들은, 각각,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위한 지지 요소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에 배치된 원위단에 생크(shank)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조오 부재는 상기 생크에 대해 피봇이 가능하다. 상기 생크는, 예로서, 상기 제2 조오 부재가 피봇할 수 있는 것에 관한 상술한 조오 부재 서포트이다. 양 조오 부재들은 상기 생크에 관해 피봇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구는 각각 조오 부재 서포트의 원위단에 배치된 2개의 조오 부재들 가운데 하나와 함께, 각각에 대해 중심축이 되는 2개의 조오 부재 서포트들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특히 전기수술용 기구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상기 전술한 설명은 이하의 연속된 순서로 번호를 매긴 항으로 정의된다.
1. 제1조오 부재 및 이와 관련하여 움직이는 제2 조오 부재를 포함하는 조오 조립체;,
오픈 포지션으로부터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은 각각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이들은 그리핑 포지션에서 오픈 포지션보다 서로가 더 가깝게 배치되고, 각 조오 부재는 전원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갖고, 양 조오 부재들의 전극들은 그리핑 포지션에서의 조오 부재들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의 봉합을 위해 상호 작용하도록 적용되고,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을 이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팅 수단들; 및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조오 부재들이 이동할 때, 상기 조오 부재들의 클로징 폭 제한을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들은 다수의 제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조오 부재에 최대 2개의 제한 요소들이 배치되고, 이러한 제한 요소들은 상기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형성된 봉합 면 상의 다른 조오 부재의 방향으로 상기 조오 부재로부터 돌출되며 전기적으로 절연된 스페이서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의 원위단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단(proximal end) 및 원위단(distal end)을 갖는 전기수술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총합으로서 오직 2개의 제한 요소들이 스페이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스페이서들은 서로 다른 조오 부재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페이서들은 동일한 조오 부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5. 전술한 청구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조오 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6. 전술한 청구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오 부재에 배치된 2개의 스페이서는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근위-원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페이서들은 상기 조오 부재에 각각 측면으로 인접한 근위-원위 방향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8. 전술한 청구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의 상기 원위단 부분에 정확히 하나의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원위단 부분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10. 전술한 청구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상기 원위단 부분에 대해서 중심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고, 특히 상기 조오 부재의 근위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11. 전술한 청구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는 상기 조오 부재의 지지 요소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모든 스페이서들은 상기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통합될 수 있고 이들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13. 전술한 청구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배치된 상기 조오 부재의 지지 요소와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모든 스페이서들은 상기 조오 부재의 지지 요소와 통합적으로 형성되고, 이들 각각은 상기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15. 전술한 청구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그리핑 포지션에서 상기 조오 부재의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을 절단하는 절단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수단들은 절단 요소를 포함하고, 절단 요소들은 상기 조오 부재들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 각각의 2개의 봉합 면 부분들 사이에 근위-원위 방향의 가로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요소는 상기 조오 부재들 가운데 하나에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들은 근위-원위 방향으로 상기 절단 요소의 이동을 위한 그리고 전진 포지션에서 움츠린 포지션으로 후자로 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팅 요소를 포함하고, 이동 동안에 상기 조오 부재들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은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18. 제15항 내지 17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오 부재는 봉합 면 부분을 형성하는 분리된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19. 15항 내지 제1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오 부재는 양 봉합 면 부분들을 형성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20. 15항 내지 제19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위-원위 방향에 대해 가로축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절단 요소의 각 사이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정확히 하나의 스페이서가 상기 절단 요소의 각 사이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22. 전술한 청구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폭 제한을 위한 수단들은 상기 조오 부재의 원위단 부분에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에 대해 중심에 가까운 쪽에 배치된 스페이서로 구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23. 전술한 청구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2 조오 부재가 피봇을 할 수 있는 것에 관하여 제1 조오 부재에 대한 조오 부재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의해 정의되는 세로 방향에 대해 가로축으로 지향된 피봇 축에 관해 상기 제1 조오 부재는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관해 피봇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징 폭 제한을 위한 수단들은 제1 조오 부재에 배치되는 제1 스탑 부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와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배치되는 제1 스탑 부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대해 상기 제1조오 부재의 피봇팅 모션을 제한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여 제1 조오 부재의 상기 근위단이 상기 제2조오 부재를 향해 피봇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 부재들이 상기 피봇팅 모션을 제한하여 이들의 상호작용 하에서 상기 제1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에 의해 형성되는 봉합 면이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의해 정의되는 세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각각, 서로 부착되어 있는, 상기 제1 조오 부재 서포트 및 상기 제1 조오 부재의 스텝들로 상기 스탑 부재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27. 제24항 내지 제26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 부재들은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에 대해 피봇팅하는 동안 상기 제1 조오 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28. 제24항 내지 제27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탑 부재는 오블롱(oblong)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되고 이와 상호작용하는 스탑 부재는 상기 오블롱 형상의 구멍과 관여된 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29. 제24항 내지 제28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탑 부재는, 각각, 상기 조오 부재에 관해 그리고 상기 제1 조오 부재에 관해 조절이 가능한 조절 가능 액츄에이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잠기는 것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31. 제24항 내지 제30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 부재들은 상기 제2 조오 부재로부터 떨어진 조오 부재 서포트 및 제1 조오 부재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32. 제24항 내지 제31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 부재들은 제2 조오 부재를 향한 조오 부재 서포트 및 상기 제1 조오 부재의 사이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33. 제24항 내지 제32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 부재들은, 각각,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위한 지지 요소와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34. 전술한 청구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에 배치된 원위단에 생크(shank)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조오 부재는 상기 생크에 대해 피봇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35. 제1항 내지 제33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 조오 부재 서포트의 원위단에 배치된 2개의 조오 부재들 가운데 하나와 함께, 각각에 대해 중심축이 되는 2개의 조오 부재 서포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후술할 설명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공된다.
도 1 : 오픈 포지션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이 가능한 2개의 조오 부재들을 갖는 조오 부재 조립체 및 생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수술용 기구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 도 1의 구체적 “2”의 확대도이다.
도 3 : 도 1의 기구의 제1 조오 부재 및 생크의 원위단에 대한 상면도이다.
도 4 : 도 1의 기구의 다른 조오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5 : 그리핑 포지션에 적응한 조오 부재, 원위-근위 방향에서 도 1의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a :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서 도 2에 따른 도면이다.
도 6b : 상기 기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조오 부재 및 생크의 원위단의 상면도이다.
도 7a : 오픈 포지션의 조오 부재들과 함께, 부분적으로 절단된, 도 6의 조오 부재 조립체 및 생크의 원위단의 측면도이다.
도 7b : 도 7a에서 구체적인 a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 그리핑 포지션의 조오 부재들과 함께, 도 7a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 : 도 8a에서 구체적인 b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 : 오픈 포지션에서 조오 부재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서 도 7a를 나타낸 것이다.
도 9b : 도 9a에서 구체적인 C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 : 그리핑 포지션에서 상기 조오 부재들과 함께, 도 9a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b : 도 10a에서 구체적인 D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a : 오픈 포지션에서 조오 부재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서 도 7a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b : 도 11a에서 구체적인 E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a : 그리핑 포지션에서 조오 부재들과 함께, 도 11a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b : 도 12a에서 구체적인 F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a : 생크에 배치된 스탑 부재들로부터 떨어진 제1 조오 부재 및 오픈 포지션에서 조오 부재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의 도2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b :생크에 스탑 부재들에 대해 인접한 제 1 조오 부재, 도 13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 : 오픈 포지션에서 조오 부재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의 도 2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 : 그리핑 포지션에서 조오 부재와 함께, 원위-근위 방향에서 제6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6 : 오픈 포지션에서 조오 부재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바람직한 제7실시예의 도 2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a : 그리핑 포지션에서 조오 부재와 함께, 도 16에 따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b : 도 17a의 구체적인 G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 :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바람직한 제8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조직을 절단하고 봉합하는 기구(참조 번호 10)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기구(10)는 양극의 관형의 샤프트 기구로 형성되고 근위단에 핸들(12)을 가지고 원위단에 조오 부재 조립체(14)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근위” 및 “원위”는 상기 기구(10)를 조종하는 사용자에 관해서 이해된다. 상기 사용자는 근위단(proximal end)에서 핸들(12)에 의해 기구를 조종하고 조오 부재 조립체(14)를 포함하는 원위단(distal end)에 의해 신체 조직 상에서 행동한다.
본 발명에서 “근위(proximal)” 및 “원위(distal)” 용어는 상기 기구를 능숙하게 다루는 사용자와 관련하여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근위단(proximal end)으로부터 기구를 조종하고 원위단(distal end)에 의해 신체 조직 상에 행동한다.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14)는 핸들(12) 측에 꼽힌 스트레이트 생크(16)에 있다. 알려진 메커니즘대로 핸들(12) 및 생크(16)에 배치되어 서로에 대해 조오 부재 조립체(14)의 2개의 조오 부재들(18, 20)은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기구(10)는 액츄에이팅 수단들(22)을 포함하고, 핸들(12)은 사용자에 의해 조종되는 액츄에이팅 레버(24)를 포함한다. 상기 액츄에이팅 레버(24)를 당기는 것에 의해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은 도 1 및 2에 도시된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동할 수 있다.
오픈 포지션에서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은 서로에 대해 떨어져 있고, 본 케이스에서는 도 1 및 2에 도시된 조오 부재들(18, 20)의 벌어진 포지션으로 또한 이해된다.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의 상기 그리핑 포지션은 도 5의 측면도에 오직 도시된다. 도 8a, 10a, 12a 및 17a에 따른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케이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에서 그리핑 포지션의 조오 부재들(18, 20)은 서로에 대해 채택된 포지션이다. 그리핑 포지션에서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은 오픈 포지션과 비교하여 서로가 덜 떨어져 있고, 이는 이후에 설명한다.
상기 생크(16)는 원위단에 조오 부재 서포트(25)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조오 부재(18)는 상기 생크(16)로 정의되는 세로 방향의 가로로 지향된 피봇 축(26)에 관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 조오 부재(18)는 상기 생크(16)에 대해 비교적 작은 각도로 피봇 가능하고 이의 원위단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예로서 스프링요소에 의해 상기 제 2 조오 부재(20)의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다.
상기 제2 조오 부재(20)는 샤프트(16)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된 피봇 축(28)에 관하여 제 1 조오 부재(18)에 대해 근위적으로 상기 생크(16)에 피봇 가능하게 지지된다. 근위-원위 방향에서 상기 생크(16)에 가이드되는 풀링 부재(pulling member)(미도시)는 상기 제2 조오 부재(20)의 컨트롤 게이트(30)에 연결될 수 있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팅 레버(24)의 액팅에 의해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조오 부재(20)는 상기 조오 부재(18)의 방향에 대해 피봇 축(28)에 관해 피봇된다.
신체 봉합을 위해 상기 조오 부재(18)는 근위-원위 방향(proximal-distal direction)으로 연장된 2개의 전극들(32, 33)을 포함하고, 근위-원위 방향에 대해 가로로 서로가 떨어져 있다. 각 전극들(32, 33)은 상기 조오 부재(18)의 전기적으로 절연된 지지 요소(34)에 있어, 생크(16)에 고정된 조오 부재(18)에 의해 마운트(35)에 배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조오 부재(20)는 근위-원위 연장에 대해 연장된2 개의 전극들(36, 37)을 갖고, 생크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로 서로 떨어져 있어 전기적으로 절연된 지지 요소(38)에 마운트되어 있다.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생크(16)에 고정된 상기 조오 부재(20)에 의해 마운트(39)에 배치된다.
상기 전극들(32, 33, 36, 37)은 전기수술용 양극 고주파 발생기(미도시)를 갖는 기구(10)의 연결 케이블(40)을 통해 소통을 하고, 동일하게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자는 핸들(12)에서 액츄에이팅 부재(4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전극들(32, 33)은 대체로 동일한 전압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전극들(36, 37)의 전압은 상기 전극(32, 33)과는 다르다. 조오 부재(18)의 그리핑 포지션에서 이들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은 상기 전극들(33, 37) 뿐만 아니라 상기 전극들(32, 36)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로 전기수술적으로 봉합될 수 있다.
각 조오 부재에 대한 두 개의 전극들 대신에, 또한 오직 하나의 전극이 각 조오 부재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더 많은 수의 전극들이 각 조오 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들(32, 33 뿐 아니라 36, 37)은 상기 기구(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로 서로 떨어져 있다. 게다가, 상기 지지 요소들(34, 38)은 중앙 오목부들(central recesses)을 포함하여 전극들(32, 33 뿐 아니라 36, 37)의 사이에 근위-원위 통로(42)가 형성된다.
상기 기구(10)는 사기 액츄에이팅 부재(45)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절단 요소(46)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12)에 배치된 액츄에이팅 부재(45)을 포함한 절단 부재들(44)을 포함한다. 상기 절단 요소(46)는 상기 생크(16)에 지지되어 근위-원위 방향에 대해 이동가능하고, 웅크린 포지션(도 2)으로부터 전진 포지션(미도시)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웅크린 포지션에서 상기 절단 요소(46)는 근위단에 지지 요소(34)의 끝이 잘라진 피라미드 형상의 돌출부들(47, 48) 사이에 배치된다. 웅크린 포지션으로부터 상기 절단 요소(46)는 오직 그리핑 포지션의 조오 부재(18, 20)의 이동 후에 전진 포지션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여기서 이는 상기 통로(42)로 이동된다. 이는 상기 절단 요소(46)에 의해 및 전극들(32, 33, 36, 37)에 의해 봉합 및 조오 부재들(18, 20)에 의해 잡힌 신체 조직의 절단을 허용한다.
신체 조직의 봉합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기구(10)는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을 제한하는 수단들을 포함하고, 이는 단순히 “수단들”(50)로 생략하여 언급한다. 상기 수단들(50)은 그리핑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서로에 대해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을 제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전극들(32, 36 뿐 아니라 33, 37)의 전기 회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조직의 봉합은 보다 조절 가능하게 조작이 가능하고, 보다 확실히 봉합될 수 있다.
상기 수단들(50)은, 각각, 스페이서들(53, 54)로 형성되는2개의 제한 요소들(51, 52)을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들(53, 54)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53)는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14)의 원위단 부분(56)에 전극(33)에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로서, 상기 스페이서(53)는 상기 전극의 오목부에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53)는 상기 전극(33)을 통하는 통로들과 상기 지지 요소(34)에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54)는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14)의 근위단 부분(57)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36)에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수단들(50)은 원위단 부분(56)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절단 요소(46) 및 상기 통로(42)의 반대측에 배치된 2개의 스페이서들(53, 54)을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들(53, 54)은, 각각, 다른 조오 부재(20, 18) 각각의 방향에 대해, 각각, 상기 전극들(32, 33, 한편으로 36, 37)에 의해 형성된 전기수술적 봉합 면들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면, 상기 스페이서들(53, 54)은 상기 전극들(32, 33, 및 36, 37 각각)으로부터 약 25 ㎛에서 약 2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 ㎛에서 200 ㎛, 돌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단들(50)에 의해 및 상기 스페이서들(53, 54)에 의해 전극들(32, 36 및 33, 37)의 전기 회로 단락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조오 부재(18, 20)이 그리핑 포지션으로 이동하여 이들 사이에 신체 조직이 잡힐 때, 상기 스페이서(53)는 전극(37)과 접촉하고 상기 스페이서(54)는 전극(32)(도 5)과 접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오 부재(18)는 상기 조오 부재(20)의 방향에 대해 원위적으로 비스듬하기 때문에, 상기 제1 전극(37)은 상기 스페이서(53)에 의해 접촉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구(10)에 의해, 신체 조직의 봉합이 전극들(32, 33, 36, 37)의 차이 보다도 분명히 작은 차이를 가짐에도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의 전극들 사이에서 회로 단락이 방지되어 개선된 봉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은 상기 스페이서들(53, 54)에 의한 통로(42))의 양 측들 및 원위적 및 근위적으로 서로에 대해 지지된다.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이 이동할 때, 상기 전극들(32, 33, 36, 37) 뿐만 아니라 지지 요소들(34, 38)의 변형 및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게다가, 총 합이 오직 2 개의 스페이서들(53, 54)이 사용되어 상기 전극들(32, 33, 36, 37)의 봉합 면이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끝이 뾰족한 형상(point-shaped)의 스페이서들(53, 54)의 영역에서, 전류에 형성되는 열이 확장되어 비록 절연 스페이서들(53, 54)과 접촉하는 조직 영역도 봉합이 가능하다.
끝이 뾰족한 형상(point-shaped)의 스페이서들(53, 54) 대신에, 또한 다른 형상, 예를 들면, 스트립, 직사각형, 삼각형 형상의 스페이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53)는 상기 전극들(32, 36, 37) 가운데 하나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페이서(54)는 상기 전극들(32, 33, 37) 가운데 하나와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도 6a 내지 도 8b에 도시되어 있고, 도면 자체가 아니라 상기 기구(10)와 같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차이를 제외하고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필요한 부분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상술한 상기 기구(10)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동일하고 동일하게 작동하는 구성 및 특징은 동일한 인용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6a 내지 8b에 따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수단들(50)은 스페이서(54) 대신에 스페이서(61)로 형성되는 제한 요소(60)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61)는, 즉, 상기 기구(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가로 방향에 관련한 스페이서(53)의 측면 다음으로
상기 전극(32)과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2실시예에서 상기 조오 부재(18)는 원위단 부분(56)에서 2개의 스페이서(53, 61)을 포함한다. 상기 조오 부재(18, 20)의 이동 동안에 상기 전극들(32, 36 및 33, 37)의 회로 단락은 특히 원위단 부분에서 방지된다.
도 6a 및 6b에 도시된 것 외에, 상기 스페이서(53, 61)은 또한 상기 전극들(36, 37)에 배치될 수 있다.
근위 측의 클로징 폭의 제한을 위해,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단들(50)이 각각, 스탑 부재들(64, 65)로 형성되는 2개의 제한 요소(62, 63)를 포함한다. 상기 스탑 부재들(64, 65)은 상기 조오 부재(20)로부터 떨어진 상기 생크(16) 및 상기 조오 부재(18)의 사이드 상의 피봇 축(26)의 근위 사이드에 사실상 배치되고, 서로에 대해 부착된 각각의 스텝들로 형성된다. 상기 스탑 부재(64)들은 상기 조오 부재(18)의 마운트(35)와 함께 통합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탑 부재(65)는 생크(16)의 근위단과 함께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오 부재들(18, 2)이 오픈 포지션일 때, 상기 스탑 부재들(64, 65)은 서로 떨어져 있다.(도 7a, 7b)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이 그리핑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오 부재(18)가 상기 조오 부재(20)에 대해 원위적으로 비스듬하여 상기 스페이서들(53, 61)은 각각 먼저 전극들(37, 36)과 접촉한다. 이는 피봇 축(26)에 관해 조오 부재(18)의 피봇팅을 야기하고, 상기 조오 부재(18)의 원위단은 조오 부재(20)의 근위단을 향해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팅 모션은 각각 접촉하는 스탑 부재들(64, 65)에 의해 제한된다.(도 8b) 이는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이 스탑 부재(64, 65)에 의해 원위 측에서 제한되는 것을 야기한다.도 6a 내지 8b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그럼에도 불과하고 현실적으로, 결과적으로 근위 스페이서는 필요치 않다.
도 9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상시 수단들(50)의 상기 제한 요소들(62, 63)은 동일하게 스탑 부재들(64, 65)로 형성된다. 제3실시예의 상기 스탑 부재(64)는 스크류(66)로 형성된 지지 요소(34)에 고정된 조절 가능한 액츄에이터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66)는 스탑 부재(65)를 형성하는 림(8) 생크(16)의 원위단에 브레이크쓰루(breakthrough)(67)를 통해 통과한다.
스크류(66)에 의해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은 지지 요소(34) 내에 얼마나 스크류(66)가 조여진 것인지에 의존하여 사용자 또는 제조자에 의해 조절된다
조오 부재(18, 20)의 오픈 포지션에서 스크류(66)의 헤드는 림(68)으로부터 거리를 갖는다. 피봇 축(26)에 관한 조오 부재(18)의 피봇팅 및 근위 측 상의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은 조오 부재들(18, 20)이 그리핑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도 10b), 스크류(66)의 헤드가 림(68)에 인접하여 제한된다.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상기 제한 요소들(62, 63)은 동일하게 스탑 부재들(64, 65)로 형성된다. 상기 스탑 부재(64)는 지지 요소(34)에 고정된 핀(69)으로 형성된다. 상기 핀(69)은 생크(16)의 원위단에 고정된 오블롱 형상의 구멍(70)으로 형성된 스탑 부재와 연결된다.
제4실시예의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은 오픈 포지션(도 11a 및 11b)에서 그리피 포지션으로 이동하고, 상기 핀(69)은 끝단 면에 인접할 때까지 오블롱 형상의 구멍(70)으로 이동한다. (도 12b) 그리하여 근위 측 상의 및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 이는 피봇 축(26)에 관한 조오 부재(18)의 피봇팅 모션을 제한한다. 게다가 상기 핀(69)과 오블롱 형상의 구멍(70)은 피봇 축(26)에 관해 조오 부재(18)의 피봇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들로 구성된다.
도 13a 및 1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수단들(50)의 제한 요소들(71 내지 74)은, 조오 부재(20)를 향한 생크(16) 및 조오 부재(18)의 각각 측에 배치되어 제공된다. 상기 제한 요소들(71 내지 74)은 지지 요소(34)의 근위단에 의해 형성된 스탑 부재들(75 및 76) 스탑 부재들(75 내지 78)이다. 상기 스탑 부재들(75, 76)은 각각, 전극들(32, 33)에 측면에 인접한 외곽 림에 배치된다.
상기 스탑 부재들(77, 78)은 다소 피봇 축(28)으로부터 원위적인 생크(16)에 배치되고, 후크 형상을 가지고 지지 요소(34)를 아우른다. 오픈 포지션에서 제5실시예에 따른 조오 부재들(18, 20)은, 상기 스탑 부재들(75 및 77)은 스탑 부재들(76, 78)(도 13a)과 같이 서로 떨어져 있다.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이 그리핑 포지션으로 이동할 때, 상기 조오 부재(18)는 피봇 축(26)에 대해 피봇한다. 상기 스탑 부재들(75, 77 뿐 아니라 76, 78)은 서로가 접촉하여 조오 부재(18)의 피봇팅을 제한한다. 이는 도 13b에 도시되어 있고, 그리핑 포지션에 있지 않은 조오 부재들(18, 20) 뿐 아니라 오픈 포지션에서도 잘 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스탑 부재들(75 내지 78)은 근위 측에서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을 제한할 수 있다.
도 7a 내지 13b에 언급된 상술한 제한 요소들 및 스탑 부재들은 도 1 내지 5에 따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도 7a 내지 도 13b에 언급된 상술한 제한 요소들 및 스탑 부재들은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을 제한하는 것에 대한 도 14, 15에 부분적으로 도시된 및 이하에서 언급할 본 발명에 따른 제6실시예에 적용된다.
제6실시예에서 상기 수단들(50)은 원위단 부분(56)에서 스페이서(81)로 되는 오직 하나의 제한 요소(80)를 포함한다. 상기 스페이서(81)는 지지 요소(34)와 통합적으로 형성되고, 전극들(32, 33)의 원위단 사이의 통로(42)의 원위 측 상에 배치된다. 이와 비교하여, 제6실시예는 전극들(32, 33, 36, 37) 가운데 하나와 통합적인 스페이서가 없다. 이는 당연히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스페이서(81)는 조오 부재들(18, 20)(도 15)의 그리핑 포지션에서 전극들(32, 36 뿐 아니라 33, 37)은 여전히 스페이서들(53, 54)에 의해 얻어지는 거리에 따른 서로 근사적인 거리를 갖는다.
스페이서(81)로부터 떨어져, 각각, 지지 요소(38) 및 지지 요소(34)와 통합적으로 형성된 다른 스페이서는 조오 부재(20) 또는 조오 부재(18)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4 및 15에 도시된 유두(nipple) 형상 대신에, 상기 스페이서(81)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원통형, 립, 테이퍼형 또는 끝을 자른 형상, 피라미드 또는 끝을 자른 피라미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81)는 상기 전극들(32, 33)로부터 원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6 및 17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는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이 수단들(50)의 제한 요소(83)에 의해 근위 측에 제한될 수 있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도 14 및 15에 따른 제 6실시예와 다르다. 상기 제한 요소(83)는 상기 지지 요소(38)와 통합적으로 형성되고, 전극(36)의 근위 측 상에 배치된 스페이서(84)로 구성된다. 상기 스페이서(84)는 조오 부재(20)의 방향에서 지지 요소(34)로부터 돌출된 스페이서 부재(81)까지 조오 부재(18)의 방향으로 지지 요소(38)로부터 돌출된 및 스트립으로 된다.
제7실시예의 조오 부재들(18, 20)이 오픈 포지션일 때, 상기 스페이서(84)는 지지 요소(34)에 대해 거리가 있다.(도 16) 조오 부재들(18, 20)이 그리핑 포지션일 때, 상기 스페이서(84)는 지지 요소(34)의 근위단에 인접할 수 있고, 그리하여 근위 측의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을 제한할 수 있다.(도 17a 및 17b)
따라서, 전극(33) 또는 전극(37)의 근위 측에 다른 근위 스페이서가 제7실시예에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하게 상기 스페이서(8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원위 측(distal side) 상의 조오 부재들(18, 20)의 클로징 폭을 제한하기 위한 조오 부재 조립체(14)의 원위 단 부분(56)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를 포함한다. 게다가, 각 조오 부재(18 또는 20) 각각에 최대 2개의 스페이서들이 제공된다. 조오 부재들(18, 20)의 그리핑 포지션에서 결과적으로 전기 회로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전극들(32, 33, 36, 37)의 봉합 효과에 의해 및 적은 수의 스페이서들 및 작은 차이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것으로, 동시에 우수한 봉합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제8실시예의 사시도이고, 기구의 참조번호는 90이다. 상기 기구(90)는 양극 전기수술용 기구이고 기구(10)와 동일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이 점에서 언급된다.
상기 기구(90)는 피봇 축(92)에 관해 서로에 대해 피봇되는 2개의 핸들 요소(93, 94)를 포함하는 핸들(91)을 포함한다. 각 핸들 요소(93, 94)는 각각 조오 부재 서포트(95, 96)로 구성된다. 조오 부재 서포트(95)에 조오 부재(97)는 원위적으로 고정되고 조오 부재 서포트(96)에 조오 부재(98)는 원위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조오 부재들(97, 98)은 각각 조오 부재들(18, 20)의 예시에 의해 전술한 모든 특징과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오 부재(97)는 상기 조오 부재(18)에 따르고, 조오 부재(98)는 조오 부재(20)에 따를 수 있고, 그 반대일 수 있다. 이는 조오 부재 서포트(25)에 대한 조오 부재 서포트 (95, 96)는 필요한 만큼 준용된다. 피봇 축(92)에 관해 서로에 대해 핸들 요소(93, 94)들이 피봇할 때,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97, 98)이 이동하여 신체 조직이 잡히고 봉합된다.
상기 기구(90)는, 또한, 핸들(91)에 배치된 액츄에이팅 부재(100)를 갖는 절단 수단들(99)을 포함한다. 도면에 미도시된 절단 요소는 근위-원위 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오 부재들(97, 98)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을 절단한다.

Claims (25)

  1. 제1조오 부재(18) 및 이와 관련하여 움직이는 제2 조오 부재(20)를 포함하는 조오 부재 조립체(14);,
    오픈 포지션으로부터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은 각각에 대해 이동 가능하고 이들은 그리핑 포지션에서 오픈 포지션보다 서로가 더 가깝게 배치되고, 각 조오 부재(18, 20)는 전원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32, 33, 36, 37)을 갖고, 양 조오 부재들(18, 20)의 전극들(32, 33, 36, 37)은 그리핑 포지션에서의 조오 부재들(18, 20)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의 봉합을 위해 상호 작용하도록 적용되고,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을 이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팅 수단들(12); 및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조오 부재들(18, 20)이 이동할 때, 상기 조오 부재들의 클로징 폭 제한을 위한 수단들(50);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들(50)은 다수의 제한 요소들(51, 52, 62, 63)을 포함하고, 오직 총합이 2개인 제한 요소들(51, 52)은 상기 조오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32, 33, 36, 37)으로부터 형성된 봉합 면 상의 다른 조오 부재(20, 18)의 방향으로 상기 조오 부재(18, 20)로부터 돌출된 전기적으로 절연된 스페이서(53, 54)로 형성되고, 두 개의 스페이서들(53, 54)은 다른 조오 부재(18, 20)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53, 54)는 조오 부재 조립체(14)의 원위단(distal end) 부분에 배치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54)는 상기 원위단 부분에 대해서 중심에 가까운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53, 54)는 상기 조오 부재(18, 20)의 지지 요소(34, 38)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조오 부재(18, 20)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32, 33, 36, 37)에 배치되고 상기 전극(32, 33, 36, 37)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는 그리핑 포지션에서 상기 조오 부재들(18, 20)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을 절단하는 절단 수단들(44)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수단들(44)은 절단 요소(46)를 포함하고, 절단 요소들(46)은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32, 33, 36, 37) 각각의 2개의 봉합 면 부분들 사이에 근위-원위 방향의 가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수단들(44)은 근위-원위 방향으로 상기 절단 요소(46)의 이동을 위한 그리고 전진 포지션에서 움츠린 포지션으로 후자로 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팅 요소(45)를 포함하고, 이동 동안에 상기 조오 부재들(18, 20) 사이에 잡힌 신체 조직은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조오 부재(18, 20)는 봉합 면 부분에 형성된 2개의 분리된 전극들(32, 33, 36, 3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7. 제4항에 있어서, 근위-원위 방향에 대해 가로축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53, 54)가 상기 절단 요소(46)의 각 사이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한 요소들 (51, 52, 62, 63)은 상기 조오 부재 조립체(14)의 원위단 부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53, 54)에 대해 중심에 가까운 쪽에 배치된 스페이서로 구성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62, 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9. 제1항에 있어서, 오픈 포지션에서 그리핑 포지션으로 상기 조오 부재들(18, 20)의 이동을 위해 상기 제2 조오 부재(20)가 피봇을 할 수 있는 것에 관하여 제1 조오 부재(18)에 대한 조오 부재 서포트(25)를 포함하고,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25)에 의해 정의되는 세로 방향에 대해 가로축으로 지향된 피봇 축에 관해 상기 제1 조오 부재(18)는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25)에 관해 피봇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한 요소들 (51, 52, 62, 63)은 제1 조오 부재(18)에 배치되는 제1 스탑 부재(64)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62, 63)와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25)에 배치되는 제2 스탑 부재(65)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25)에 대해 상기 제1조오 부재(18)의 피봇팅 모션을 제한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여 제1 조오 부재(18)의 근위단이 상기 제2 조오 부재(20)를 향해 피봇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 부재들(64, 65)이 상기 피봇팅 모션을 제한하여 이들의 상호작용 하에서 상기 제1 조오 부재(18)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32, 33)에 의해 형성되는 봉합 면이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25)에 의해 정의되는 세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각각, 서로 부착되어 있는, 상기 제1 조오 부재(18) 서포트 및 상기 제1 조오 부재(18)의 스텝들로 상기 스탑 부재들(64, 6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탑 부재들(64, 65)은 상기 조오 부재 서포트(25)에 대해 피봇팅하는 동안 상기 제1 조오 부재(18)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멤버(69, 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14. 제10항에 있어서, 스탑 부재(65)는 오블롱(oblong) 형상의 구멍(70)으로 형성되고 이와 상호작용하는 스탑 부재(64)는 상기 오블롱 형상의 구멍(70)과 관여된 핀(69)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15.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탑 부재(64)는, 각각, 상기 조오 부재서포트(25)에 관해 그리고 상기 제1 조오 부재(18)에 관해 조절이 가능한 조절 가능 액츄에이터(66)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54)는 상기 조오 부재(20)의 근위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수술용 기구(10).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47010205A 2011-09-16 2012-09-14 전기수술용 기구 KR1018844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3682.5 2011-09-16
DE102011053682A DE102011053682A1 (de) 2011-09-16 2011-09-16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PCT/EP2012/068158 WO2013037975A1 (de) 2011-09-16 2012-09-14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833A KR20140063833A (ko) 2014-05-27
KR101884499B1 true KR101884499B1 (ko) 2018-08-30

Family

ID=4688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205A KR101884499B1 (ko) 2011-09-16 2012-09-14 전기수술용 기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603655B2 (ko)
EP (1) EP2755586B1 (ko)
JP (1) JP6140706B2 (ko)
KR (1) KR101884499B1 (ko)
CN (1) CN103813762B (ko)
AU (1) AU2012307341A1 (ko)
BR (1) BR112014004751B1 (ko)
CA (1) CA2845683A1 (ko)
DE (2) DE102011053682A1 (ko)
ES (1) ES2566770T3 (ko)
MX (1) MX2014002838A (ko)
RU (1) RU2014114933A (ko)
WO (1) WO20130379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1257A1 (de) * 2012-02-16 2013-08-22 Aesculap Ag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DE102012106067A1 (de) * 2012-03-08 2013-09-12 Aesculap Ag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und Maulteil hierfür
EP2959854B1 (de) * 2014-06-25 2018-03-21 Erbe Elektromedizin GmbH Chirurgisches Instrument
DE102014108914A1 (de) * 2014-06-25 2015-12-31 Aesculap Ag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und Maulteil hierfür
KR101761135B1 (ko) 2014-07-11 2017-07-25 (주)선메딕스 전기수술용 기구
JP6125117B2 (ja) * 2015-04-13 2017-05-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機器
DE102015108078A1 (de) * 2015-05-21 2016-11-24 Aesculap Ag Elektrochirurgisches Koagulationsinstrument
DE102016106397A1 (de) 2016-04-07 2017-10-12 Tontarra Medizintechnik Gmbh Schaft für ein medizinisches Instrument sowie medizinisches Instrument, insbesondere mono- oder bipolares medizinisches Instrument
US20210307859A1 (en) 2018-08-10 2021-10-07 Spiration, Inc. D/B/A Olympus Respiratory America Sealer divider
CN110051410B (zh) * 2019-05-15 2022-02-22 成都五义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拆洗重用的细长轴组件及其手术器械
CN110353799A (zh) * 2019-07-01 2019-10-22 南京森盛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增加手术闭合带宽度的方法
CN114073575A (zh) * 2020-08-10 2022-02-22 捷锐士阿希迈公司(以奥林巴斯美国外科技术名义) 具有脉管封闭测试的双极钳子及用于测试脉管封闭的方法
CN112168343B (zh) * 2020-10-09 2023-05-16 杭州埃杜医疗科技有限公司 一次性射频等离子手术电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2557A1 (en) 1998-10-23 2004-08-19 Tetzlaff Philip M. Vessel sealing instrument
US20110184404A1 (en) 2006-05-02 2011-07-28 Erik Walberg Laparoscopic radiofrequency surgica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1142A (en) 1996-12-06 1999-04-06 Eggers & Associates, Inc. Electrosurgical forceps
US20040249374A1 (en) 1998-10-23 2004-12-09 Tetzlaff Philip M. Vessel sealing instrument
WO2000024330A1 (en) 1998-10-23 2000-05-04 Sherwood Services Ag Open vessel sealing forceps with disposable electrodes
EP1595508B1 (en) * 1998-10-23 2009-04-08 Covidien AG Endoscopic bipolar electrosurgical forceps
EP1377227B1 (en) 2001-04-06 2005-11-23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ing instrument
ES2262639T3 (es) 2001-04-06 2006-12-01 Sherwood Services Ag Obturador y divisor de vasos com miembros de tope n oconductivos.
US7270664B2 (en) * 2002-10-04 2007-09-18 Sherwood Services Ag Vessel sealing instrument with electrical cutting mechanism
US8128624B2 (en) 2003-05-01 2012-03-06 Covidien Ag Electrosurgical instrument that directs energy delivery and protects adjacent tissue
AU2004237772B2 (en) 2003-05-01 2009-12-10 Covidien Ag Electrosurgical instrument which reduces thermal damage to adjacent tissue
JP5137230B2 (ja) 2003-05-15 2013-02-06 コヴィディエン・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非伝導性可変停止部材を備えた組織シーラーおよび組織をシールする方法
US7252667B2 (en) * 2003-11-19 2007-08-07 Sherwood Services Ag Open vessel sealing instrument with cutting mechanism and distal lockout
DE102004031141A1 (de) 2004-06-28 2006-01-26 Erbe Elektromedizin Gmbh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US8475453B2 (en) 2006-10-06 2013-07-02 Covidien Lp Endoscopic vessel sealer and divider having a flexible articulating shaft
AU2007307084B2 (en) * 2006-10-06 2013-05-23 Covidien Lp Endoscopic vessel sealer and divider having a flexible articulating shaft
DE102007053359B3 (de) * 2007-10-30 2009-06-04 Aesculap Ag Chirurgisches Instrument
DE102008018614B4 (de) * 2008-04-11 2012-06-28 Hebumedical Gmbh Klemme für elektrochirurgische Anwendungen
US8469956B2 (en) * 2008-07-21 2013-06-25 Covidien Lp Variable resistor jaw
US8795274B2 (en) 2008-08-28 2014-08-05 Covidien Lp Tissue fusion jaw angle improvement
US8277446B2 (en) 2009-04-24 2012-10-02 Tyco Healthcare Group Lp Electrosurgical tissue sealer and cutter
DE102009037613A1 (de) 2009-08-14 2011-02-24 Erbe Elektromedizin Gmbh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DE102009037614A1 (de) * 2009-08-14 2011-02-24 Erbe Elektromedizin Gmbh Elektrochirurgisches Instrument
US8512371B2 (en) * 2009-10-06 2013-08-20 Covidien Lp Jaw, blade and gap manufacturing for surgical instruments with small jaws
US8979890B2 (en) * 2010-10-01 2015-03-17 Ethicon Endo-Surgery, Inc. Surgical instrument with jaw member
US8568408B2 (en) * 2011-04-21 2013-10-29 Covidien Lp Surgical forcep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2557A1 (en) 1998-10-23 2004-08-19 Tetzlaff Philip M. Vessel sealing instrument
US20110184404A1 (en) 2006-05-02 2011-07-28 Erik Walberg Laparoscopic radiofrequency surgic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13762B (zh) 2017-10-24
JP2014530663A (ja) 2014-11-20
US20140309635A1 (en) 2014-10-16
RU2014114933A (ru) 2015-10-27
DE202011052418U1 (de) 2012-02-14
EP2755586A1 (de) 2014-07-23
KR20140063833A (ko) 2014-05-27
BR112014004751A2 (pt) 2017-03-21
MX2014002838A (es) 2014-05-30
BR112014004751B1 (pt) 2021-08-03
CA2845683A1 (en) 2013-03-21
AU2012307341A1 (en) 2014-03-13
JP6140706B2 (ja) 2017-05-31
EP2755586B1 (de) 2016-03-02
CN103813762A (zh) 2014-05-21
WO2013037975A1 (de) 2013-03-21
US9603655B2 (en) 2017-03-28
DE102011053682A1 (de) 2013-03-21
ES2566770T3 (es) 201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4499B1 (ko) 전기수술용 기구
KR101858725B1 (ko) 혈관 봉합 기구
CN108430350B (zh) 具有组织止动件的夹钳
US8394094B2 (en) Surgical instrument
US6352536B1 (en)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sealing vessels
EP1033940B1 (en)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sealing vessels
US7963965B2 (en)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sealing vessels
JP5636449B2 (ja) 高周波処置具
US20110060335A1 (en) Apparatus for Tissue Fusion and Method of Use
EP1545361B1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sealing vessels
US9820765B2 (en) Surgical instrument with stamped double-flange jaws
US9265566B2 (en) Surgical instrument
JP4499992B2 (ja) 非導電性ストップ部材を有する血管の封着機および分割機
EP2659843A2 (en) Surgical forceps
US20140194875A1 (en) Surgical forceps
JP2008212663A (ja) 電気的切除メカニズムを有する血管密封器具
US20040054387A1 (en)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JP5290658B2 (ja) 内視鏡用処置具
US10660694B2 (en) Vessel sealing instrument and switch assemblies thereof
US20180263644A1 (en) Instrument with a controlled jaw movement
JP3791088B2 (ja) 鉗子装置
US11350982B2 (en) Electrosurgical forceps
US20160206367A1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JP2022533002A (ja) 異なるギャップ高さを有する対向するシーリング表面を有する電気外科手術用血管シーラー
JP2018196726A (ja) ピン電極を備えた凝固および切開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