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888B1 -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888B1
KR101883888B1 KR1020160183519A KR20160183519A KR101883888B1 KR 101883888 B1 KR101883888 B1 KR 101883888B1 KR 1020160183519 A KR1020160183519 A KR 1020160183519A KR 20160183519 A KR20160183519 A KR 20160183519A KR 101883888 B1 KR101883888 B1 KR 10188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rame
frame
joint
upper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8597A (ko
Inventor
김복식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삼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8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3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the door having a hinge axis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longitudi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5/0483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ightweight metal, e.g. aluminum, magnesiu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15/264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for bi-fold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15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profile memb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부수평프레임,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방으로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부수평프레임, 상부수평프레임의 좌측선단과 하부수평프레임의 좌측선단 사이 및 상부수평프레임의 우측선단과 하부수평프레임의 우측선단 사이에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수직프레임 및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맞물리는 모서리의 내부 및 하부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맞물리는 모서리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간의 연결을 지지하는 복수의 연결조인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Assemble structure of folding door for commercial vehicle}
본 발명은 폴딩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딩도어의 결합에 필요한 부품수를 간소화하여 결합을 단순화시키는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도어(folding door)는 말 그대로 접이식 문을 의미하는 것으로, 건물벽체의 내외벽 대체용, 상용차의 문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폴딩 도어는 기계적 외력에 대응하여 내구성이 보장되고, 방음, 방풍의 효과가 있다. 특히, 제품에 유리를 적용하여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디자인이 우수하여 내외부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용차에 설치되는 폴딩도어는 내구력과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량화를 이루어 연비향상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폴딩도어는 내구력과 내식성이 우수하지만 그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경량화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내구력과 내식성이 우수하면서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경량화를 할 수 있는 폴딩도어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12806호(2003.12.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역자 형상의 연결조인트를 각 프레임 모서리에 설치하는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 프레임을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부수평프레임,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방으로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부수평프레임,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좌측선단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좌측선단 사이 및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우측선단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우측선단 사이에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수직프레임 및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이 맞물리는 모서리의 내부 및 상기 하부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이 맞물리는 모서리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간의 연결을 지지하는 복수의 연결조인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은, 각각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을 나누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 및 상기 빈 공간에 삽입되는 연결조인트와의 나사결합에 사용되는 결합나사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은,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조인트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내부 또는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평조인트,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직조인트 및 상기 수평조인트 및 상기 수직조인트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되는 결합나사와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조인트는, 상기 수평조인트 및 상기 수직조인트가 접하는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용차와의 연결을 하는 연결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은, 상기 연결힌지가 연결되는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보다 수평으로 더 신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암(arm) 및 상기 암의 끝단에 상기 연결힌지가 삽입되도록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는 굴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이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수직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는 기역자 형상의 연결조인트를 각 프레임 모서리에 설치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결합에 필요한 부품수를 간소화하여 결합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각 프레임을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내식성을 높이고, 경량화를 이루어 상용차의 연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링도어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수평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수평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조인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 영역을 수직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B 영역을 수직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C 영역을 수직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D 영역을 수직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A 영역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A 영역을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B 영역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의 B 영역을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E 영역을 수평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링도어의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수평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수평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조인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폴딩도어(10)의 결합구조는 결합에 필요한 부품수를 간소화하여 결합을 단순화한다. 또한 폴딩도어(10)의 결합구조는 상용차에 적용되어 내구성 및 내식성을 높이고, 경량화를 이루어 상용차의 연비를 높일 수 있다.
폴딩도어(10)는 두 개의 도어(20, 30)가 폴딩힌지(600)로 연결되어 폴딩되는 구조를 가진다. 폴딩힌지(600)는 제1 폴딩힌지(610), 제2 폴딩힌지(620) 및 제3 폴딩힌지(630)를 포함하고, 각각의 폴딩힌지(610, 620, 630)는 두 개의 도어(20, 30)와 나사결합이 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도어(20, 3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도어(20, 30)는 상부수평프레임(100), 하부수평프레임(200), 수직프레임(300) 및 연결조인트(400)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20)는 보조프레임(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수평프레임(100)은 도어(20, 30)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고, 수평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은 도어(20)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은 도어(3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부수평프레임(10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여 경량화를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부수평프레임(100)은 제1 격벽(101), 제2 격벽(102), 제1 빈 공간(103), 제2 빈 공간(104), 제3 빈 공간(105), 제1 지지대(106) 및 제2 지지대(107)를 포함한다. X-X’축을 단면 처리한 도 2를 참조하면, 상부수평프레임(100)은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고, 빈 공간은 제1 격벽(101) 및 제2 격벽(102)이 형성되어 제1 빈 공간(103), 제2 빈 공간(104) 및 제3 빈 공간(105)으로 나뉜다. 여기서, 제1 격벽(101) 및 제2 격벽(102)은 빈 공간을 나누는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에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지지대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제3 빈 공간(105)은 연결조인트(40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상부수평프레임(100)의 길이방향 하부는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 지지대(106)가 형성되어 수직프레임(300)과의 결합에서 지지대 역할을 한다. 상부수평프레임(100)의 길이방향 상부는 양끝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 지지대(107)가 형성되어 외부물체와의 접촉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수평프레임(100)은 제3 빈 공간(105)에 삽입되는 연결조인트(400)와의 나사결합에 사용되는 결합나사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포함된다.
하부수평프레임(200)은 도어(20, 30)의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부수평프레임(100)과 하방으로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1 하부수평프레임(210)은 도어(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하부수평프레임(220)은 도어(30)의 하부에 위치한다. 하부수평프레임(20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포함하여 경량화를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하부수평프레임(200)은 제3 격벽(201), 제4 빈 공간(202), 제5 빈 공간(203), 제3 지지대(204) 및 제4 지지대(205)를 포함한다. Y-Y’축을 단면 처리한 도 3을 참조하면, 하부수평프레임(200)은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고, 빈 공간은 제3 격벽(201)이 형성되어 제4 빈 공간(202) 및 제5 빈 공간(203)으로 나뉜다. 여기서, 제3 격벽(201)02)은 빈 공간을 나누는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에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지지대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제4 빈 공간(202)은 연결조인트(40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하부수평프레임(200)의 길이방향 하부는 양끝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3 지지대(204)가 형성되어 외부물체와의 접촉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되도록 지지한다. 하부수평프레임(200)의 길이방향 상부는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4 지지대(205)가 형성되어 수직프레임(300)과의 결합에서 지지대 역할을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하부수평프레임(200)은 제4 빈 공간(202)에 삽입되는 연결조인트(400)와의 나사결합에 사용되는 결합나사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포함된다.
수직프레임(300)은 도어(20, 30)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부수평프레임(100)의 좌측선단과 하부수평프레임(200)의 좌측선단 사이 및 상부수평프레임(100)의 우측선단과 하부수평프레임(200)의 우측선단 사이에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제1 수직프레임(310)은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좌측선단과 제1 하부수평프레임(210)의 좌측선단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수직프레임(320)은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우측선단과 제1 하부수평프레임(210)의 우측선단 사이에 배치된다. 제3 수직프레임(330)은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의 좌측선단과 제2 하부수평프레임(220)의 좌측선단 사이에 배치되고, 제4 수직프레임(340)은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의 우측선단과 제2 하부수평프레임(220)의 우측선단 사이에 배치된다. 수직프레임(300)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포함하여 경량화를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수직프레임(300)은 제4 격벽(301), 제6 빈 공간(302), 제7 빈 공간(303), 제5 지지대(304) 및 제6 지지대(305)를 포함한다. Z-Z’축을 단면 처리한 도 4를 참조하면, 수직프레임(300)은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고, 빈 공간은 제4 격벽(301)이 형성되어 제6 빈 공간(302) 및 제7 빈 공간(303)으로 나뉜다. 여기서, 제4 격벽(301)은 빈 공간을 나누는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충격에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지지대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제7 빈 공간(303)은 연결조인트(40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수직프레임(300)의 길이방향 하부는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5 지지대(304)가 형성되어 상부수평프레임(100) 및 하부수평프레임(200)과의 결합에서 지지대 역할을 한다. 수직프레임(300)의 길이방향 상부는 양끝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6 지지대(305)가 형성되어 외부물체와의 접촉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최소화되도록 지지한다. 이 때, 제6 지지대(305)는 양끝단의 돌출된 형상이 디귿자(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더 완충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직프레임(300)은 제7 빈 공간(303)에 삽입되는 연결조인트(400)와의 나사결합에 사용되는 결합나사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포함된다.
연결조인트(400)는 기역자(ㄱ)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조인트(400)는 상부수평프레임(100)과 수직프레임(300)이 맞물리는 모서리 내부 및 하부수평프레임(200)과 수직프레임(300)이 맞물리는 모서리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간의 연결을 지지한다. 연결조인트(400)는 도어(20, 30)의 모서리마다 각각 4개를 설치하며,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도어(20, 30)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더 많은 연결조인트를 설치할 수 있다. 연결조인트(400)는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어 강도 및 강성을 높임으로써,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조인트(400)는 수평조인트(401), 수직조인트(402) 및 나사구멍(403)을 포함한다. 연결조인트(400)를 수직으로 단면 처리한 도 5를 참조하면, 수평조인트(401)는 상부수평프레임(100)의 내부 또는 하부수평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수직조인트(402)는 수직프레임(3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여기서, 수평조인트(401)가 상부수평프레임(100)의 내부 또는 하부수평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수직조인트(402)가 수직프레임(300)의 내부에 삽입된다고 한정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조인트(401)가 수직프레임(3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수직조인트(402)가 상부수평프레임(100)의 내부 또는 하부수평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나사구멍(403)은 수평조인트(401) 및 수직조인트(402)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부수평프레임(100), 하부수평프레임(200) 및 수직프레임(300)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는 결합나사와 결합이 된다. 이를 위해, 나사구멍(403)은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연결조인트(400)는 수평조인트(401) 및 수직조인트(402)가 접하는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용차와 연결되는 연결힌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힌지(700)는 상용차와 연결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연결조인트(400)에만 포함될 수 있다. 즉, 연결힌지(700)는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내부와 제1 수직프레임(3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조인트 및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의 내부와 제4 수직프레임(340)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조인트에 포함된다. 여기서, 연결힌지(700)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연결조인트(400)에 포함되는 일체형이 아닌 각각 분리된 분리형이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500)은 상부수평프레임(100) 및 하부수평프레임(200)이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고, 두 개의 수직프레임(210, 220) 사이를 연결한다. 보조프레임(500)은 도어(10)의 구조에 대한 강성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보조프레임(500)이 도어(10)에 설치되고, 도어(20)에는 설치되지 않게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보조프레임(500)이 도어(2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A 영역을 수직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B 영역을 수직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C 영역을 수직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1의 D 영역을 수직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폴딩도어(10)의 결합구조는 연결조인트(400)를 이용하여 상부수평프레임(100), 하부수평프레임(200) 및 수직프레임(300)의 결합함으로써, 내구성과 내식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 및 제1 수직프레임(310)은 제1 연결조인트(410)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즉,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 및 제1 수직프레임(310)의 결합구조는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내부 및 제1 수직프레임(310)의 내부에 제1 연결조인트(410)가 삽입되어 각각 복수의 제1 결합나사(112) 및 제2 결합나사(312)를 통해 나사결합이 된다. 이 때,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은 복수의 제1 관통구멍(111)을 형성하여 제1 결합나사(112)가 제1 연결조인트(4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제1 수직프레임(310)은 복수의 제2 관통구멍(311)을 형성하여 제2 결합나사(312)가 제1 연결조인트(4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관통구멍(111) 및 제2 관통구멍( 311)은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나사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연결조인트(410)는 제1 연결힌지(7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연결조인트(410)는 제1 연결힌지(710)를 결합하여 포함하거나, 일체형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힌지(710)는 상용차와 도어(10)가 서로 연결되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직프레임(320)은 제2 연결 조인트(420)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즉,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 및 제2 수직프레임(320)의 결합구조는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내부 및 제2 수직프레임(320)의 내부에 제2 연결조인트(420)가 삽입되어 각각 복수의 제1 결합나사(112) 및 제3 결합나사(322)를 통해 나사결합이 된다. 이 때,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은 복수의 제1 관통구멍(111)을 형성하여 제1 결합나사(112)가 제2 연결조인트(42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수직프레임(320)은 복수의 제3 관통구멍(321)을 형성하여 제3 결합나사(322)가 제2 연결조인트(4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3 관통구멍(321)은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나사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 및 제3 수직프레임(330)은 제3 연결조인트(430)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즉,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 및 제3 수직프레임(330)의 결합구조는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의 내부 및 제3 수직프레임(330)의 내부에 제3 연결조인트(430)가 삽입되어 각각 복수의 제4 결합나사(122) 및 제5 결합나사(332)를 통해 나사결합이 된다. 이 때,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은 복수의 제4 관통구멍(121)을 형성하여 제4 결합나사(122)가 제3 연결조인트(43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제3 수직프레임(330)은 복수의 제5 관통구멍(331)을 형성하여 제5 결합나사(332)가 제3 연결조인트(43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4 관통구멍(121) 및 제5 관통구멍(331)은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나사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 및 제4 수직프레임(340)은 제4 연결조인트(440)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즉,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 및 제4 수직프레임(340)의 결합구조는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의 내부 및 제4 수직프레임(340)의 내부에 제4 연결조인트(440)가 삽입되어 각각 복수의 제4 결합나사(122) 및 제6 결합나사(342)를 통해 나사결합이 된다. 이 때, 제2 상부수평프레임(120)은 복수의 제4 관통구멍(121)을 형성하여 제4 결합나사(122)가 제4 연결조인트(44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제4 수직프레임(340)은 복수의 제6 관통구멍(341)을 형성하여 제6 결합나사(342)가 제4 연결조인트(44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6 관통구멍(341)은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나사결합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제4 연결조인트(440)는 제2 연결힌지(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4 연결조인트(440)는 제2 연결힌지(720)를 결합하여 포함하거나, 일체형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힌지(720)는 상용차와 도어(20)가 서로 연결되고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 1의 하부수평프레임(200), 수직프레임(300) 및 연결조인트(400)의 결합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결합구조와 대칭만 되었을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짐으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1의 A 영역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의 A 영역을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의 B 영역을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의 B 영역을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10 내지 도 13은 참조하면, 폴딩도어(10)의 결합구조는 부품수를 간소화하여 결합을 단순화시킨다.
A영역의 각 부품을 분해하면, 폴딩도어(10)는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 제1 수직프레임(310) 및 제1 연결조인트(410)로 분해된다. 이 때, 제1 연결조인트(410)는 제1 연결힌지(71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일단은 제1 연결힌지(710)를 수용할 수 있는 암(arm)(113) 및 굴곡(114)을 포함한다. 암(113)은 제1 연결힌지(710)를 수용하기 위해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타단보다 수평으로 더 신장되어 돌출된 부분이다. 굴곡(114)은 암(113)의 끝단에 형성되고, 제1 연결힌지(710)가 삽입되도록 오목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A영역에 대한 각 부품의 결합과정은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내부에 제1 연결조인트(410)의 제1 수평조인트(411)가 삽입된 후,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제1 관통구멍(111)을 통해 제1 결합나사(112)가 삽입되어 제1 연결조인트(410)의 제1 나사구멍(413)과 나사결합이 된다. 이 때, 제1 연결조인트(410)의 제1 연결힌지(710)는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굴곡(114)에 접하여 고정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1 수직프레임(310)의 내부에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과 결합된 제1 연결조인트(410)의 제1 수직조인트(412)가 삽입된 후, 제1 수직프레임(310)의 제2 관통구멍(311)을 통해 제2 결합나사(312)가 삽입되어 제1 연결조인트(410)의 제1 나사구멍(413)과 나사결합이 된다.
여기서, 제1 연결조인트(410)가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과 먼저 결합되고, 제1 수직프레임(310)과 나중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연결조인트(410)가 제1 수직프레임(310)과 먼저 결합하고,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과 나중에 결합될 수 있다.
B영역의 각 부품을 분해하면, 폴딩도어(10)는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 제2 수직프레임(320) 및 제2 연결조인트(420)로 분해된다.
즉, B영역에 대한 각 부품의 결합과정은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내부에 제2 연결조인트(420)의 제2수평조인트(421)가 삽입된 후,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의 제1 관통구멍(111)을 통해 제1 결합나사(112)가 삽입되어 제2 연결조인트(420)의 제2 나사구멍(423)과 나사결합이 된다. 다음으로, 제2 수직프레임(320)의 내부에 제1 상부수평프레임(110)과 결합된 제2 연결조인트(420)의 제2 수직조인트(422)가 삽입된 후, 제2 수직프레임(320)의 제3 관통구멍(321)을 통해 제3 결합나사(322)가 삽입되어 제2 연결조인트(420)의 제2 나사구멍(423)과 나사결합이 된다.
도 14는 도 1의 E 영역을 수평으로 단면 처리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보조프레임(500)은 도어(10)의 구조를 안정적이게 유지하고, 외부충격에 수직프레임(300)이 휘거나 변형되는 형상을 방지시킨다. 보조프레임(500)의 결합구조는 나사결합을 통해 수직프레임(300)과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보조프레임(500)은 제1 수직프레임(310)에 제7 결합나사(510)를 삽입한 후, 캡너트(520)와 나사결합을 하여 결합이 된다. 이 때, 제7 결합나사(510)가 제1 수직프레임(310)에 안정적으로 삽입되기 위해, 보조프레임(500)은 너서트(530)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폴링도어 20, 30: 도어
100: 상부수평프레임 101: 제1 격벽
102: 제2 격벽 103: 제1 빈 공간
104: 제2 빈 공간 105: 제3 빈 공간
106: 제1 지지대 107: 제2 지지대
110: 제1 상부수평프레임 111: 제1 관통구멍
112: 제1 결합나사 113: 암
114: 굴곡 120: 제2 상부수평프레임
121: 제4 관통구멍 122: 제4 결합나사
200: 하부수평프레임 201: 제3 격벽
202: 제4 빈 공간 203: 제5 빈 공간
204: 제3 지지대 205: 제4 지지대
210: 제1 하부수평프레임 220: 제2 하부수평프레임
300: 수직프레임 301: 제4 격벽
302: 제6 빈 공간 303: 제7 빈 공간
304: 제5 지지대 305: 제6 지지대
310: 제1 수직프레임 311: 제2 관통구멍
312: 제2 결합나사 320: 제2 수직프레임
321: 제3 관통구멍 322: 제3 결합나사
330: 제3 수직프레임 331: 제5 관통구멍
332: 제5 결합나사 340: 제4 수직프레임
341: 제6 관통구멍 342: 제6 결합나사
400: 연결조인트 401: 수평조인트
402: 수직조인트 403: 나사구멍
410: 제1 연결조인트 411: 제1 수평조인트
412: 제1 수직조인트 413: 제1 나사구멍
420: 제2 연결조인트 421: 제2 수평조인트
422: 제2 수직조인트 423: 제2 나사구멍
430: 제3 연결조인트 440: 제4 연결조인트
500: 보조프레임 510: 제7 결합나사
520: 캡너트 530: 너서트
600: 폴딩힌지 610: 제1 폴딩힌지
620: 제2 폴딩힌지 630: 제3 폴딩힌지
700: 연결힌지 710: 제1 연결힌지
720: 제2 연결힌지

Claims (8)

  1. 수평으로 배치되는 상부수평프레임;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하방으로 이격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부수평프레임;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좌측선단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좌측선단 사이 및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우측선단과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우측선단 사이에 각각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수직프레임; 및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이 맞물리는 모서리의 내부 및 상기 하부수평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이 맞물리는 모서리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서로 간의 연결을 지지하는 복수의 연결조인트;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은,
    각각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을 나누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 및
    상기 빈 공간에 삽입되는 연결조인트와의 나사결합에 사용되는 결합나사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구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구멍은,
    외부에서 내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는,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의 내부 또는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평조인트;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수직조인트; 및
    상기 수평조인트 및 상기 수직조인트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되는 결합나사와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구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인트는,
    상기 수평조인트 및 상기 수직조인트가 접하는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용차와의 연결을 하는 연결힌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은,
    상기 연결힌지가 연결되는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보다 수평으로 더 신장되어 돌출되게 형성되는 암(arm); 및
    상기 암의 끝단에 상기 연결힌지가 삽입되도록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는 굴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하부수평프레임이 이격된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수직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평프레임, 상기 하부수평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KR1020160183519A 2016-12-30 2016-12-30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KR10188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19A KR101883888B1 (ko) 2016-12-30 2016-12-30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19A KR101883888B1 (ko) 2016-12-30 2016-12-30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97A KR20180078597A (ko) 2018-07-10
KR101883888B1 true KR101883888B1 (ko) 2018-07-31

Family

ID=6291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519A KR101883888B1 (ko) 2016-12-30 2016-12-30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8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9172Y1 (ko) * 1998-10-24 2001-05-02 이계안 버스의 도어 프레임 구조
KR100381305B1 (ko) * 2000-11-16 2003-05-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폴딩 도어의 도어 브라켓
KR200340264Y1 (ko) * 2003-09-04 2004-01-31 이영희 도어 프레임 조립구조
KR100776340B1 (ko) * 2006-03-13 2007-11-16 이봉학 창짝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20160104289A (ko) * 2015-02-26 2016-09-05 정욱철 도어 프레임 모서리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597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3190B1 (en) Vehicle sill reinforcement
US11358646B2 (en) Vehicle body forming structure and vehicle body using the same
US9593702B2 (en) Manufacture and method for forming structures and the structures resulting therefrom
JP5850037B2 (ja) 車体の衝撃吸収構造
JP2005343454A (ja) 車両用フロント・エンド構造体
JP2015105024A (ja) 車体骨格部材
EP3536530A1 (en) Vehicle body structure
KR101883888B1 (ko) 상용차용 폴딩도어의 결합구조
ITMI20080829A1 (it) Carrozzeria di veicolo
JP2005219607A (ja) 車体前部構造
JP6352062B2 (ja) 制振装置付き構造物
JP2007261427A (ja) バンパー構造
CN109789899B (zh) 车辆用结构体
JPH07132860A (ja) 車体ロッカ部の補強構造
JP5676284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1871605B1 (ko) 사출공법을 이용한 차량용 크래쉬박스 일체형 범퍼 빔 시스템
CN210528197U (zh) 电梯轿厢立柱
US20060179789A1 (en) Component for support structure
CN204278973U (zh) 板簧支架、车架总成及车辆
KR101734087B1 (ko) 비정형 조립식 트러스 지붕 구조물 시스템
JP4413029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JP2010127043A (ja) パネルゲート
JP3227827U (ja) 制振ダンパー
JP6769901B2 (ja) インストゥルメントパネル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
KR101612796B1 (ko) 커튼월 및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