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201B1 -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201B1
KR101883201B1 KR1020160161444A KR20160161444A KR101883201B1 KR 101883201 B1 KR101883201 B1 KR 101883201B1 KR 1020160161444 A KR1020160161444 A KR 1020160161444A KR 20160161444 A KR20160161444 A KR 20160161444A KR 101883201 B1 KR101883201 B1 KR 101883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ody
key
thickness
interlock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1841A (ko
Inventor
김아름
김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60161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20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4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comprising externally controlled 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locking during vehicle running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63Ignition switch geo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가 삽입되는 키 인터록 실린더부와, 스티어링 컬럼 외주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스티어링 록킹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와, 상기 실린더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키 인터록 실린더부로 삽입된 키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실린더 바디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보스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상기 실린더 바디에 면접되게 체결되는 인터록 제어기를 포함하여 차량의 레이 아웃 설계를 단순화시키고, 완성차 제조업체의 조립 공정수를 절감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Key interlock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별물로 구비되어 차량에 장착되었던 인터록 제어기를 이그니션 스위치 바디에 일체로 조립 가능하도록 설계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레이 아웃 설계 조건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키 인터록 시스템은 미국 연방 자동차 안전기준(FMVSS114)의 법규를 만족시켜 주는 시스템으로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첫 번째는 이그니션 록 실린더의 키홈에 꽂혀진 시동키를 온(ON) 위치로 돌렸을 때에만 P(파킹) 레인지에 삽입된 상태의 변속레버를 다른 레인지(R 레인지, N 레인지, D 레인지)로 시프트(Shift)가 가\능한 조건이고, 두 번째는 변속레버가 P(파킹) 레인지에 삽입된 상태일 때에만 이그니션 록 실린더의 키홈으로부터 시동키를 탈거할 수 있는 조건이다.
이러한 차량의 키 인터록 시스템은 운전자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도난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키 인터록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키 인터록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레버(20)가 P(파킹) 레인지에 위치하는지 감시하는 주차위치 스위치부(10)와, 키 조작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차량 내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 중 적어도 하나에 접속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30)와, 주차위치 스위치부(10)로부터 측정된 신호와 이그니션 스위치부(3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조합하여 키 인터록(40)의 동작여부를 판단하는 인터록 제어기(50)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의 키 인터록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30) 및 인터록 제어기(50)의 제조업체가 완성차 제조업체에 공급 납품하는 협력업체로서 상이하여 이그니션 스위치부(30) 및 인터록 제어기(50)가 각각 별물로 제조되는 한편, 완성차 제조업체가 이를 공급받아 차량의 각부에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량의 레이 아웃 설계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별물로 구비되어 차량에 장착되었던 인터록 제어기를 이그니션 스위치 바디에 일체로 조립 가능하도록 설계 변경함으로써 차량의 레이 아웃 설계 조건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키가 삽입되는 키 인터록 실린더부와, 스티어링 컬럼 외주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스티어링 록킹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와, 상기 실린더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키 인터록 실린더부로 삽입된 키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실린더 바디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보스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상기 실린더 바디에 면접되게 체결되는 인터록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는, 상기 실린더 바디의 외측면 중 상기 솔레노이드가 배치된 부위와 반대 방향의 외측면에 한 쌍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터록 제어기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되 직육면체의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는, 상기 인터록 제어기의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부 측 일면과, 상기 두께부 측 일면에 대향하는 두께부 측 타면에 오버랩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인터록 제어기의 상기 두께부 측 일면과 상기 두께부 측 타면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의 외주면이 관통하는 체결링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인터록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에 상기 체결링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링에 걸림되는 나사 볼트에 의해 상기 실린더 바디의 타측에 체결되고, 상기 인터록 제어기는, 상기 실린더 바디의 외측면에 면접되는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이 적어도 상기 실린더 바디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티어링 록킹부의 일단보다 돌출량이 적게 형성되고, 상기 두께부 측 일면과 상기 두께부 측 타면은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의 양면은 상기 실린더 바디의 길이방향의 양단보다 돌출량이 적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별물로 제조되어 이그니션 스위치 바디와 별도로 차량의 각부에 설치되던 인터록 제어기가 이그니션 스위치 바디와 일체로 조립 가능하도록 설계 변경함으로써 완성차 제조업체의 조립공수 및 차량 레이 아웃 설계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키 인터록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키가 삽입되는 키 인터록 실린더부(120)와, 스티어링 컬럼 외주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스티어링 록킹부(130)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린더 바디(110)는, 제3자의 공구 등을 이용한 외부로부터의 강제 침입으로 인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재로 키 인터록 실린더부(120) 및 스티어링 록킹부(1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 인터록 실린더부(120)에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시동키가 삽입되는 키 삽입홀(121)이 형성되고, 미도시 되었으나, 시동키가 삽입되는 내부에는 복수개의 록 플레이트가 내장된 로터가 구비되어 시동키의 회전에 따라 LOCK, ACC, ON, START 기능을 수행하도록 전원이 각 기능 동작부에 인가된다.
즉, 시동키가 LOCK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록킹부(130)의 록바(141)가 스티어링 컬럼 외주면으로 간섭되게 배치되고, 시동키가 ACC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차량에 구비된 시계, 오디오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접속되며, 시동키가 ON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차량에 구비된 연료회로, 점화회로, 전자제어, 방향지시등, 후진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접속되고, 시동키가 START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등화, 보안, 공조, 파워윈도우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접속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실린더 바디(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키 인터록 실린더부(120)로 삽입된 키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작동되는 솔레노이드(140)와, 실린더 바디(110)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보스(111)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실린더 바디(110)에 면접되게 체결되는 인터록 제어기(150)를 더 포함한다.
솔레노이드(140)는, 변속레버가 파킹(P) 레인지에 위치된 경우 미도시의 변속레버에 설치된 주차위치 스위치부가 ON 신호를 발생시키면 미작동되므로 시동키를 키 인터록 실린더부(120)로부터 탈거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작동되고, 변속레버가 파킹(P) 레인지 이외에 위치된 경우 주차위치 스위치부가 OFF 신호를 발생시키면 작동되어 시동키가 키 인터록 실린더부(120)로부터 탈거되지 않는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작동된다.
인터록 제어기(150)는, 상술한 주차위치 스위치부로부터 발생된 ON 신호 및 OFF 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항목에서 이미 잘 기술한 바와 같이, 인터록 제어기(150)가 실린더 바디(110)와는 별개의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완성차 제조업체 입장에서는 조립 공수가 증가함은 물론, 각 구성을 조립함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레이 아웃 설계를 복잡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실린더 바디(110)에 인터록 제어기(15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소정의 결합 요소를 추가하는 것을 제안한다.
즉, 인터록 제어기(15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실린더 바디(110)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보스(111)의 나사 체결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때, 인터록 제어기(150)는 실린더 바디(110)의 외측면에 면접되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체결보스(111)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실린더 바디(110)의 외측면 중 솔레노이드(140)가 배치된 부위와 반대 방향의 외측면에 한 쌍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록 제어기(15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되 직육면체의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인터록 제어기(150)의 외관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인터록 제어기(150)의 작동을 위한 전장부품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평평하게 구비된 실린더 바디(110)의 외측면에 면접되도록 일면이 평평하게 구비된 형상이라면 여하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인터록 제어기(150)가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는 직육면체의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인터록 제어기(150)를 설치하도록 실린더 바디(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보스(111)는, 인터록 제어기(150)의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부 측 일면과, 그 두께부 측 일면에 대향하는 두께부 측 타면에 오버랩되도록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인터록 제어기(150)의 두께부 측 일면과 두께부 측 타면에는 각각에 오버랩되도록 연장된 체결보스(111)의 외주면이 관통하는 체결링(15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111)에는 길이방향 중심으로 나사 볼트(160)가 체결될 수 있는 미도시의 나사 체결홀이 형성되고, 체결링(151)에도 체결보스(111)의 외주면이 관통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체결보스(111)가 형성된 실린더 바디(110)의 외측면에 인터록 제어기(150)를 근접시킨 후, 각각의 체결보스(111)가 체결링(151)을 관통하도록 결합시킨 다음, 나사 볼트(160)를 이용하여 인터록 제어기(150)를 고정시킨다. 이때, 나사 볼트(160)의 나사 머리가 체결링(151)에 간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기존 실린더 바디(110)가 설치되는 차량 소정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인터록 제어기(15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점에서, 인터록 제어기(150)는, 실린더 바디(110)의 외측면에 면접되는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이 적어도 실린더 바디(110)의 타측으로 돌출된 스티어링 록킹부(130)의 일단보다 돌출량이 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터록 제어기(150)는 상기 두께부 측 일면과 상기 두께부 측 타면은 복수의 체결보스(111)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의 양면은 실린더 바디(110)의 길이방향의 양단보다 돌출량이 적게 형성된다.
즉,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터록 제어기(150)의 두께(도 2의 도면부호 R1 참조)는 가급적이면 스티어링 록킹부(130)가 외측으로 돌출된 양(도 2의 도면부호 R2 참조)보다 적게 형성되도록 구비함으로써, 기존 실린더 바디(110)가 설치되는 차량 소정부의 설계 변경이 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키 인터록 장치 110: 실린더 바디
111: 체결보스 120: 키 인터록 실린더부
121: 키 삽입홀 130: 스티어링 록킹부
131: 록바 140: 솔레노이드
150: 인터록 제어기 151: 체결링
160: 나사 볼트

Claims (6)

  1. 키가 삽입되는 키 인터록 실린더부와, 스티어링 컬럼 외주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스티어링 록킹부를 포함하는 실린더 바디와;
    상기 실린더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키 인터록 실린더부로 삽입된 키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실린더 바디의 타측에 형성된 복수의 체결보스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상기 실린더 바디에 면접되게 체결되는 인터록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는, 상기 실린더 바디의 외측면 중 상기 솔레노이드가 배치된 부위와 반대 방향의 외측면에 한 쌍이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인터록 제어기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되 직육면체의 외관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는, 상기 인터록 제어기의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부 측 일면과, 상기 두께부 측 일면에 대향하는 두께부 측 타면에 오버랩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인터록 제어기의 상기 두께부 측 일면과 상기 두께부 측 타면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의 외주면이 관통하는 체결링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인터록 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에 상기 체결링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링에 걸림되는 나사 볼트에 의해 상기 실린더 바디의 타측에 체결되고,
    상기 인터록 제어기는,
    상기 실린더 바디의 외측면에 면접되는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이 적어도 상기 실린더 바디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스티어링 록킹부의 일단보다 돌출량이 적게 형성되고,
    상기 두께부 측 일면과 상기 두께부 측 타면은 상기 복수의 체결보스 사이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의 양면은 상기 실린더 바디의 길이방향의 양단보다 돌출량이 적게 형성된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61444A 2016-11-30 2016-11-30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KR101883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44A KR101883201B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444A KR101883201B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841A KR20180061841A (ko) 2018-06-08
KR101883201B1 true KR101883201B1 (ko) 2018-08-24

Family

ID=6260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444A KR101883201B1 (ko) 2016-11-30 2016-11-30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2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48B1 (ko) 2008-05-30 2010-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
JP4690718B2 (ja) * 2004-10-01 2011-06-01 現代自動車株式会社 個人idカードシステム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ロック
JP2012153243A (ja) * 2011-01-26 2012-08-1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制御装置
JP2016101821A (ja) * 2014-11-27 2016-06-02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7434A (ko) * 2010-11-04 2012-05-14 주식회사 신창전기 자동차 키 인터락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0718B2 (ja) * 2004-10-01 2011-06-01 現代自動車株式会社 個人idカードシステム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ロック
KR100974548B1 (ko) 2008-05-30 2010-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키 인터록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동 장치
JP2012153243A (ja) * 2011-01-26 2012-08-1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の制御装置
JP2016101821A (ja) * 2014-11-27 2016-06-02 株式会社ユーシン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841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924B1 (ko) 자동차의 버튼 시동용 스위치 장치
KR100966733B1 (ko) 자동차용 엔진시동 및 정지스위치
KR101832079B1 (ko) 도어 또는 플랩용 록킹 장치
JP2002308049A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装置
SK50452010A3 (sk) Auto lock mechanism
KR20140142585A (ko) 자동차 에어백
KR101883201B1 (ko) 차량의 키 인터록 장치
JP4629179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をロックするための装置
KR100658046B1 (ko) 전자 키를 사용하는 시동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N107458344B (zh) 转向锁定装置
KR101716994B1 (ko) 엔진 시동 장치
US9815324B2 (en) Antitheft nut
KR20180138318A (ko)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조립체
KR20140080172A (ko) 스티어링 컬럼 록킹 방지 장치
KR100818223B1 (ko) 전자인증시스템과 연동되는 스티어링 로크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20090057638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호스의 결합구조
JP2009056971A (ja) ボルトカバー器具
JP3587314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CN219457429U (zh) 一种点火开关总成
KR100320847B1 (ko) 자동차용 이그니션 스위치와 캠 샤프트의 조립구조
KR20190089442A (ko)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EP2829441B1 (en) Electrical steering column lock for locking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assembling the housing of an electrical steering column lock
JP2010188980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盗難防止装置を備えた車両の生産方法
JP2009248621A (ja) ウェザストリップの型成形部の取付構造
KR20150027862A (ko) 인히비터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