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442A -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 Google Patents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442A
KR20190089442A KR1020180007937A KR20180007937A KR20190089442A KR 20190089442 A KR20190089442 A KR 20190089442A KR 1020180007937 A KR1020180007937 A KR 1020180007937A KR 20180007937 A KR20180007937 A KR 20180007937A KR 20190089442 A KR20190089442 A KR 20190089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ushing
fixture
enclosur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지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9442A/ko
Publication of KR2019008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H01M2/107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용 부품의 결합을 위한 착탈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는 장착부를 갖는 외함;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에는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홀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Detachable Fixture for Parts}
본 발명은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용 부품의 결합을 위한 착탈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에는 많은 부품이 사용된다. 부품은 차체(car body)나 섀시(chassis), 또는 다른 부품이나 부속모듈에 장착 또는 결합된다. 여기서, 부품은 부속품, 부속모듈 또는 부속장치 등을 포함하는 용어이다.
전기자동차용 부품의 예로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BDU: Battery Disconnect Unit)을 들 수 있다.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은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력을 창출하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것으로, 보통 배터리와 인버터 사이에 위치하며 릴레이, 저항 등으로 구성된 모듈이다.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은 자동차의 전력 계통에 배터리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 혹은 차단하고 사고 전류가 발생했을 때 자동차의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1)에는 제품의 고정이나 설치를 위해 외함의 일부에 고정부(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보통,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1)의 외함과 고정부(2)는 사출 성형물로 제작된다. 또한, 고정부(2)는 외함에 일체로 형성된다.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1)은 차체나 섀시 또는 배터리 모듈에 장착될 수 있다.
고정부(2)에는 나사 결합 또는 핀 결합 등을 위해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에는 지지력 향상이나 강도 보강을 위해 부싱(3)이 구비된다. 여기서, 부싱(3)은 철재나 강화재료 등 고정부(2)보다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외함의 제작시 고정부(2)에 부싱(3)을 삽입하는 방법으로는 사출 성형 방법(injection molding)과 압입 방법 등이 있다. 사출 성형 방법은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의 외함 사출 성형시 사출 금형 내에 부싱(3)을 삽입하고 고정시킨 채로 사출하는 방식이고, 압입 방법은 외함의 사출물 제작 후에 체결홀에 부싱(3)을 압입하는 것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의 외함 제작에 있어서, 고정부 제작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사출 방법에 의한 외함 제작시에는 외함의 사출 성형시 부싱 부품을 금형에 넣는 방식을 적용하므로 사출품 제작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외함의 사출성형시 단순 사출이 아니라 인서트 사출 방식을 이용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공정이 증가하고 제품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더불어, 부싱 부품이 누락되거나 불량이 있는 경우 외함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압입 방법에 의한 외함 제작시에는 고정부의 체결홀에 부싱을 끼우는 방식이므로 부싱의 면(예를 들어 하면)을 고정부의 면(예를 들어 하면)과 동일하게 일치시키기 어렵고, 사용 중에 부싱이 유동하여 안정성이 감소되거나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부품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부품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품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싱의 유동이 방지되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는 장착부를 갖는 외함;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에는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홀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함은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의 외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홈부를 갖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제1 돌기부가 끼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에 끼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돌기부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홈부가 3면 이상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돌기부의 길이, 제1 홈부의 깊이, 제2 돌기부의 길이 및 제2 홈부의 깊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홀에는 부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싱의 높이는 상기 삽입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홈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함의 측면에는 상기 연장부에 인접하여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제2 홈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끼움결합되는 절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홈부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에 의하면 고정구가 부품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성되므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부품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고정구는 착탈식으로 마련되어 부품에 끼우는 방식으로 제작되므로 제장 공정이 단순하고 작업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고정구는 독립적으로 구비되므로 제품간 호환성이 높고,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부싱이 고정구에 사출 성형에 의해 고정되므로 유동이 방지되어 제품 불량이 감소하고, 사용중 유격 발생이나 변형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외함과 고정구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고정구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외함과 고정구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의 부분 상세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 외함과 고정구의 부분 상세도, 도 5는 도 2에서 고정구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는 장착부(11)를 갖는 외함(10); 상기 장착부(11)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고정구(2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20)는 체결부재(35)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홀(22)을 갖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11)에 결합되는 결합부(2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품은 기계, 기구 및 전기, 전자 장치의 부속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로 전기자동차용 부품을 들 수 있다. 부품은 부속품, 부속장치, 부속모듈 등을 포함한다. 부품은 차체(car body)나 섀시(chassis), 또는 다른 부품에 장착 또는 결합된다. 여기서, 부품은 사출 성형되는 외함을 가질 수 있다.
전기자동차용 부품의 예로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BDU:Battery Disconnect Unit)을 들 수 있다.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은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력을 창출하는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 탑재된다.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은 배터리와 인버터 사이에 위치하며 릴레이, 저항 등으로 구성된 모듈이다.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는 자동차의 전력 계통에 배터리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 혹은 차단하고 사고 전류가 발생했을 때 자동차의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외함(10)은 부품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구성요소들을 수용한다. 외함(10)은 합성수지물이나 기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외함(10)은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외함(10)은 일부에 고정구(20)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11)가 마련된다. 장착부(11)는 외함(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1)는 외함(1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1)는 외함(10)의 사출 성형시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부(1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홈부(13)를 갖는다. 여기서, 제1 돌기부(12)와 제1 홈부(13)는 서로 인접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홈부(13)는 제1 돌기부(12)를 3면 이상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홈부(13)는(외함(10)의 하면에서 볼 때)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함(10)의 측면(19)에서 볼 때 제1 홈부(13)는 제1 돌기부(12)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작 또는 성형의 관점에 있어서는 제1 돌기부(12)는 외함(10)의 일측부에 'ㄷ'자형의 제1 홈부(13)가 형성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홈부(13)와 제1 돌기부(12)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외함(10)을 다른 곳이나 다른 부품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구(20)가 마련된다. 고정구(20)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외함(10)을 다른 곳이나 다른 부품에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고정구(20)는 체결부재(35)가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고정구(20)는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2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20)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구(20)는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일측에 마련되는 결합부(25)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구(20)에는 부싱(23)이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21)에는 나사나 핀 등의 체결부재(35)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홀(22)이 형성된다. 이 삽입홀(22)에는 체결부재(35)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부싱(23)이 구비된다. 부싱(23)은 철재 또는 강화재료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부싱(23)은 고정구(20)의 재질보다 강도나 경도가 큰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싱(23)은 고정구(20)의 사출 성형시에 삽입될 수 있다. 부싱(23)은 고정구(20)의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제작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구(20)의 사출 성형시에 인서트 기법으로 삽입 제작될 수 있다.
부싱(23)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23)의 둘레를 따라 돌기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부싱(23)은 인서트 성형 사출에 의해 고정구(20)의 몸체부(2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23)은 사출 성형시 금형 내에 삽입되므로 고정성이 우수하다. 즉, 부싱(23)의 높이는 고정구(20)의 높이와 동일할 경우, 부싱(23)의 상면(하면)은 고정구(20)의 상면(하면)과 일치한다. 필요에 따라서, 부싱(23)은 고정구(20)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소정 거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싱(23)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는 부싱(23)에만 접촉하고 고정구(20)에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고정구(20)에 파손이나 변형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결합부(25)는 몸체부(21)의 일측 부분일 수 있다. 결합부(2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기부(26)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홈부(27)를 갖는다. 여기서, 제2 돌기부(26)와 제2 홈부(27)는 인접하여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21)를 기준으로 하여 제2 돌기부(26)는 제2 홈부(27)의 외측에 형성된다. 제2 돌기부(26)는 제2 홈부(27)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돌기부(26)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작 또는 성형의 관점에 있어서는 제2 돌기부(26)는 결합부(25)에 일자형의 제2 홈부(27)가 형성됨에 따라 자동적으로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홈부(27)와 제2 돌기부(26)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5)의 제2 돌기부(26)는 장착부(11)의 제1 홈부(13)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제2 돌기부(26)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는 제1 홈부(13)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삽입 결합을 위한 간극 설정은 설계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25)의 제2 돌기부(26)가 장착부(11)의 제1 홈부(13)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5)의 제2 홈부(27)는 장착부(11)의 제1 돌기부(12)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제2 홈부(27)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는 제1 돌기부(12)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삽입 결합을 위한 간극 설정은 설계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부(11)의 제1 돌기부(12)가 결합부(25)의 제2 홈부(27)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구(20)를 외함(10)의 장착부(11)에 끼우면 고정구(20)의 하면은 외함(10)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놓인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구(20)가 결합된 외함(10)이 다른 부품(30)에 체결 부재(35)에 의해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외함(10)과 고정구(20)의 하면이 다른 부품(30)에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 6, 도 7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가 도시되어 있다.
외함(110)은 일부에 고정구(120)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111)가 마련된다. 장착부(111)는 외함(1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11)는 외함(11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111)는 외함(110)의 사출 성형시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부(11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제1 홈부(113)를 갖는다. 여기서,제1 돌기부(112)와 제1 홈부(113)는 서로 인접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홈부(113)는 제1 돌기부(112)를 3면 이상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부(112)는 직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부(112)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113)는 길이 방향을 따라(외함(110)의 측면(119) 방향을 따라) 연장부(114)를 갖는다. 즉, 제1 홈부(113)와 연장부(114)는(외함(110)의 하면에서 볼 때) 'ㅠ'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14)는 제1 홈부(113)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함(110)의 측면(119)에는 연장부(114)에 인접하여 리브(115)가 돌출 형성된다. 리브(115)는 연장부(114)의 형성에 따라 당연히 형성되는 부분이다. 리브(115)는 제1 돌기부(112)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다. 리브(115)는 제1 돌기부(1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제1 돌기부(112)와 리브(112)는 모두 측면(119)의 일부이다. 여기서, 리 브(115)는 제1 돌기부(112)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홈부(112)와 제1 돌기부(112)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외함(110)을 다른 곳이나 다른 부품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구(120)가 마련된다. 고정구(120)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외함(110)을 다른 곳이나 다른 부품에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고정구(120)는 체결부재가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고정구(120)는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20)는 직육면체 형태로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20)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구(120)는 몸체부(121)와 상기 몸체부(121)의 일측에 마련되는 결합부(125)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구(120)에는 부싱(123)이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21)에는 나사나 핀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홀(122)이 형성되고 이 삽입홀(122)에는 부싱(123)이 결합된다. 부싱(123)은 철재 또는 강화재료 둥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부싱(123)은 고정구(120)의 재질보다 강도나 경도가 큰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싱(123)은 고정구(120)의 사출 성형시에 삽입될 수 있다. 부싱(123)은 고정구(120)의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제작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구(120)의 사출 성형시에 인서트기법으로 삽입 제작될 수 있다.
부싱(123)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123)의 둘레를 따라 돌기 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부싱(123)은 인서트 성형 사출에 의해 고정구(120)의 몸체부(12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123)은 사출 성형시 금형 내에 삽입되므로 고정성이 우수하다. 즉, 부싱(123)의 높이는 고정구(120)의 높이와 동일할 경우, 부싱(123)의 상면(하면)은 고정구(120)의 상면(하면)과 일치한다. 필요에 따라서, 부싱(123)은 고정구(120)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소정 거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싱(123)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는 부싱(123)에만 접촉하고 고정구(120)에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고정구(120)에 파손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결합부(125)는 몸체부(121)의 일측 부분일 수 있다. 결합부(125)에는 적어도하나 이상의 제2 돌기부(126)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홈부(127)를 갖는다. 여기서,제2 돌기부(126)와 제2 홈부(127)는 인접하여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121)를기준으로 하여 제2 돌기부(126)는 제2 홈부(127)의 외측에 형성된다.
결합부(125)에는 측면(11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홈부(127)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절개부(128)가 형성된다. 절개부(128)는 제2 홈부(127)의 좌,우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128)는 제2 홈부(127)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부(126)는 제2 홈부(127)의 외측에 형성된다. 즉, 제2 돌기부(126)는 'ㅠ'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작 또는 성형의 관점에 있어서는 제2 돌기부(126)는 결합부(125)에 제2 홈부(127) 및 절개부(128)가 형성됨에 따라 당연히 형성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제2 홈부(127), 절개부(128)와 제2 돌기부(126)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25)의 제2 돌기부(126)는 장착부(111)의 제1 홈부(113)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제2 돌기부(126)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는 제1 홈부(113) 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삽입 결합을 위한 간극 설정은 설계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125)의 제2 돌기부(126)가 장착부(111)의 제1 홈부(113)와 연장부(114)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5)의 제2 홈부(127)는 장착부(111)의 제1 돌기부(112)에 대응하는크기로 형성된다. 즉, 제2 홈부(127)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는 제1 돌기부(112)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삽입 결합을 위한간극 설정은 설계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부(111)의 제1 돌기부(112)가 결합부(125)의 제2 홈부(127)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111)의 리브(115)는 결합부(125)의 절개부(128)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끼움 결합되는 부분이 이전 실시예보다 증가하여 접촉면이 증대하므로 결합력이 보다 향상된다.
도 8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가 나타나 있다.
외함(210)은 일부에 고정구(220)를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211)가 마련된다. 장착부(211)는 외함(2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211)는 외함(21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장착부(211)는 외함(210)의 사출 성형시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21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부(21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홈부(213)를 갖는다. 여기서, 제1 돌기부(212)와 제1 홈부(213)는 서로 인접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홈부(213)는 제1 돌기부(21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부(212)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부(212)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부(213)는 길이 방향을 따라(외함(210)의 측면(219) 방향을 따라) 연장부(214)를 갖는다. 즉, 제1 홈부(213)와 연장부(214)는(외함의 하면에서 볼 때) 'ㅠ'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함(210)의 측면(219)에는 연장부(214)에 인접하여 리브(215)가 돌출 형성된다. 리브(215)는 연장부(214)의 형성에 따라 당연히 형성되는 부분이다. 리브(215)는 제1 돌기부(212)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된다. 리브(215)는 제1 돌기부(21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리브(215)는 단면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부(212)와 리브(215)는 모두 측면(219)의 일부이다. 여기서, 리브(215)는 제1 돌기부(212)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함(210)을 다른 곳이나 다른 부품에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구(220)가 마련된다. 고정구(220)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외함(210)을 다른 곳이나 다른 부품에 고정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고정구(220)는 체결부재가 삽입 또는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고정구(220)는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220)는 직육면체 형태로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220)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구(220)는 몸체부(221)와 상기 몸체부(221)의 일측에 마련되는 결합부(225)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구(220)에는 부싱(223)이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221)에는 나사나 핀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홀(222)이 형성되고 이 삽입홀(222)에는 부싱(223)이 결합된다. 부싱(223)은 철재 또는 강화재료 등의 재질로 구성될'수 있다. 부싱(223)은 고정구(220)의 재질보다강도나 경도가 큰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싱(223)은 고정구(220)의사출 성형시에 삽입될 수 있다. 부싱(223)은 고정구(220)의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제작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고정구(220)의 사출 성형시에 인서트 기법으로 삽입 제작될 수 있다.
부싱(223)은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223)의 둘레를 따라 돌기 또는염보싱 이 형성되어 결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부싱(223)은 인서트 성형 사출에 의해 고정구(220)의 몸체부(22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223)은 사출 성형시 금형 내에 삽입되므로 고정성이 우수하다. 즉, 부싱(223)의 높이는 고정구(220)의 높이와 동일할 경우, 부싱(223)의 상면(하면)은 고정구(220)의 상면(하면)과 일치한다. 필요에 따라서, 부싱(223)은 고정구(220) 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 소정 거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부싱(223)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는 부싱(223)에만 접촉하고 고정구(220)에는 접촉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고정구(220)에 파손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결합부(225)는 몸체부(221)의 일측 부분일 수 있다. 결합부(225)에는 적어도하나 이상의 제2 돌기부(226)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홈부(227)를 갖는다. 여기서, 제2 돌기부(226)와 제2 홈부(227)는 인접하여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221)를기준으로 하여 제2 돌기부(226)는 제2 홈부(227)의 외측에 형성된다.
결합부(225)에는 측면(219)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홈부(227)에 소정 간격 이격하여 절개부(228)가 형성된다. 절개부(228)는 제2 홈부(227)의 좌,우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228)는 제2 홈부(227)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기부(226)는 제2 홈부(227)의 외측에 형성된다. 즉, 제2 돌기부(226)는 'ㅠ'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작 또는 성형의 관점에 있어서는 제2 돌기부(226)는 결합부(225)에 제2 홈부(227) 및 절개부(228)가 형성됨에 따라 당연히 형성되는 부분이다.
결합부(225)의 제2 돌기부(226)는 장착부(211)의 제1 홈부(213)와 연장부(214)에 대웅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제2 돌기부(226)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는 제1 홈부(213)와 연장부(214)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삽입 결합을 위한 간극 설정은 설계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따라,결합부(225)의 제2 돌기부(226)가 장착부(211)의 제1 홈부(213)와 연장부(214)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225)의 제2 홈부(227)는 장착부(211)의 제1 돌기부(212)에 대응하는크기로 형성된다. 즉, 제2 홈부(227)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는 제1 돌기부(212)의 형상, 폭과 길이와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삽입 결합을 위한 간극 설정은 설계시 고려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부(211)의 제1 돌기부(212)가 결합부(225)의 제2 홈부(227)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211)의 리브(215)는 결합부(225)의 절개부(228)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끼움 결합되는 부분이 이전 실시예보다 증가하여 접촉면이 증대하므로 결합력이 보다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에 의하면 고정구가 부품 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구성되므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부품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고정구는 착탈식으로 마련되어 부품에 끼우는 방식으로 제작되므로 제장 공정이 단순하고 작업 시간이 감소된다.
또한, 고정구는 독립적으로 구비되므로 제품간 호환성이 높고, 다양한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부싱이 고정구에 사출 성형에 의해 고정되므로 유동이 방지되어 제품불량이 감소하고, 사용중 유격 발생이나 변형으로 인한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10,210 외함 11,111,211 장착부
12,112,212 제1 돌기부 13,113,213 제1 홈부
19,119,219 측면 20,120,220 고정구
21,121,221 몸체부 22,122,222 삽입홀
23,123,223 부싱 25,125,225 결합부
26,126,226 제2 돌기부 27,127,227 제2 홈부
114,214 연장부 115,215 리브
128,228 절개부 30 다른 부품
35 체결부재

Claims (10)

  1. 장착부를 갖는 외함;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에는 체결부재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홀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은 배터리 디스커넥트 유닛의 외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돌기부와, 상기 제1 돌기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홈부를 갖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제1 돌기부가 끼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홈부와, 상기 제2 홈부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에 끼움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홈부가 3면 이상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의 길이, 제1 홈부의 깊이, 제2 돌기부의 길이 및 제2 홈부의 깊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에는 부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높이는 상기 삽입홀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의 측면에는 상기 연장부에 인접하여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제2 홈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되고 상기 리브가 끼움결합되는 절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부와 제2 홈부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KR1020180007937A 2018-01-22 2018-01-22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KR20190089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37A KR20190089442A (ko) 2018-01-22 2018-01-22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37A KR20190089442A (ko) 2018-01-22 2018-01-22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442A true KR20190089442A (ko) 2019-07-31

Family

ID=6747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937A KR20190089442A (ko) 2018-01-22 2018-01-22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94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632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배터리모듈 슬라이드체결 전극소켓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632A (ko) * 2021-09-16 2023-03-23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배터리모듈 슬라이드체결 전극소켓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256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20020126457A1 (en) Junction circuit for auxiliary device module and auxiliary device module
US10666002B2 (en) Wiring harness connecting structure for housed circuit assembly
US6729887B2 (en) Structure of installation
US8747137B2 (en) Connector
US20210313716A1 (en) Electrical device
JP3272279B2 (ja) 電気接続箱のブラケット取付け構造
KR20190089442A (ko) 부품의 착탈식 고정구
KR101674439B1 (ko) 도어모듈의 와이어링 하네스 어셈블리
JP2014232687A (ja) 端子台
US11569604B2 (en) Connector
WO2014057703A1 (ja) 電気接続箱
US10516243B2 (en) Wire harness connecting structure for two circuit assemblies
KR200416265Y1 (ko) 전기자동차용 파워케이블의 고정구조
CN110912050B (zh) 电气连接箱及电气连接箱的制造方法
CN111758143A (zh) 诸如用于车辆的熔断器盒的配电单元
JP2021072312A (ja) 電子制御装置の筐体及び電子制御装置
JP2021150149A (ja) 電気接続部品
KR101820136B1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101825006B1 (ko) 배터리 포스트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전류 센싱 장치
JP2016171721A (ja) 電気接続箱
US20230415591A1 (en) Charging socket for mounting in a body of an at least partially electrically driven motor vehicle
KR101462664B1 (ko) 안전커넥터
JP2015192588A (ja) 電気接続箱
KR102576835B1 (ko) 배터리 연결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