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907B1 -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907B1
KR101882907B1 KR1020170025835A KR20170025835A KR101882907B1 KR 101882907 B1 KR101882907 B1 KR 101882907B1 KR 1020170025835 A KR1020170025835 A KR 1020170025835A KR 20170025835 A KR20170025835 A KR 20170025835A KR 101882907 B1 KR101882907 B1 KR 101882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barrel
ring
light
logo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김원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Priority to KR102017002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907B1/ko
Priority to CN201820163278.4U priority patent/CN207880742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터 미러의퍼들 램프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집광하며, 상기 광원의 전방에 위치하는 집광 렌즈; 상기 집광 렌즈를 고정하며 복수의 렌즈 유닛을 가진 배럴과 조립되는 홀더; 및 상기 배럴과 상기 광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의 외부로 조사되는 상기 광에 특정 패턴을 표시하는 로고 마스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The Puddle Lamp And The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본 발명은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럴을 하나만으로 구성하여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조립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최근에는, 차량 운전자 및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이드 미러의 하측 지면 또는 차량의 바디에 광을 조사하여 어두운 곳을 밝혀 주는 퍼들 램프(Puddle Lamp)가 장착되고 있다.
도 1은 퍼들 램프가 차량의 양 측에 형성된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로고 마스크가 설치된 퍼들 램프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1)에 장착된 퍼들 램프(10)는, 차량의 외부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측의 지면 또는 차량 바디에 광(2)을 조사하여, 주변이 어두운 공간에서도 운전자 및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시야를 확보하도록 돕는다.
일반적으로 퍼들 램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2)을 방출하는 광원(11) 및 상기 광(2)을 차량의 외부로 조사하는 렌즈(12)를 포함한다. 한편, 차량의 고급화 이미지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퍼들 램프(10)의 광(2)이 지면 또는 차량 바디로 조사될 때 차량의 고유 상품을 알릴 수 있는 로고 등의 패턴(3)도 함께 표시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를 위해, 광원(11)과 렌즈(12) 사이에 로고 마스크(15)가 설치된다.
로고 마스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광원(11) 및 렌즈(12)만으로 퍼들 램프(10)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였다. 그러나, 로고 마스크(15)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단순히 로고 마스크(15)만 추가하는 것이 아니다. 로고 등의 패턴(3)이 지면에 어느 정도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렌즈(12)의 개수, 간격 및 굴절률 등을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퍼들 램프(10)의 구조가 점점 복잡하게 되었다.
도 3은 로고 마스크가 설치된 종래의 퍼들 램프의 구조도이다.
로고 마스크(15)가 설치되면 로고 등의 패턴(3)의 선명도가 개선되도록, 렌즈의 개수(12)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렌즈(12)들 사이의 간격이 특정 간격으로 정해지면 변하지 않아야 하며, 렌즈(12)와 로고 마스크(15) 간의 간격도 변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12)들을 하부 배럴(132)의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설치하였다. 그리고, 렌즈(12)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부 배럴(131)이 하부 배럴(132)의 상면을 커버하였다. 이렇게 조립된 상부 및 하부 배럴(131, 132)을 홀더(14)의 하부에 밀어 넣어 끼우는 방식으로 조립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한 종래의 구조는 부품이 많아, 공장에서 퍼들 램프를 조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모두 조립한 이후에도 조립 공차가 발생할 수도 있고, 만약 수리를 하기 위해 분해를 할 때에도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하였다.
한국공개공보 제2016-014215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럴을 하나만으로 구성하여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조립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는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아우터 미러의퍼들 램프는 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집광하며, 상기 광원의 전방에 위치하는 집광 렌즈; 상기 집광 렌즈를 고정하며 복수의 렌즈 유닛을 가진 배럴과 조립되는 홀더; 및 상기 배럴과 상기 광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차량의 외부로 조사되는 상기 광에 특정 패턴을 표시하는 로고 마스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더에 조립되어, 상기 로고 마스크와 상기 배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오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링의 상면에는, 상기 로고 마스크의 크기 및 모양이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링의 일측 외벽에는,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의 일측 내벽에는, 상기 리브와 크기 및 모양이 대응되는 슬롯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링은,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배럴과 복수의 스크류로 체결되어 조립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 조립 방법은 오링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광에 특정 패턴을 표시하는 로고 마스크가 삽입되는 단계; 상기 로고 마스크가 삽입된 상기 오링이 홀더에 삽입되는 단계;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가, 복수의 렌즈 유닛을 가진 배럴에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배럴이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고 마스크가 삽입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홈은, 크기 및 모양이 상기 로고 마스크의 크기 및 모양과 대응된다.
또한, 상기 오링의 일측 외벽에는,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의 일측 내벽에는, 상기 리브와 크기 및 모양이 대응되는 슬롯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링을 상기 홀더에 삽입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상기 리브가 상기 슬롯에 삽입되면서 상기 홀더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오링은,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홀더는, 상기 배럴과 복수의 스크류로 체결되어 조립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배럴이 하나만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단순화 됨으로써, 퍼들 램프를 조립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조립 원가도 절감하면서, 조립으로 인한 공차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로고 마스크와 배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오링에 홈이 형성되어, 로고 마스크를 삽입할 수 있어 퍼들 램프의 조립 및 수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퍼들 램프가 차량의 양 측에 형성된 사이드 미러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로고 마스크가 설치된 퍼들 램프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로고 마스크가 설치된 종래의 퍼들 램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를 도 4에서의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의 조립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106)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고 마스크(105)가 오링(106)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106)이 홀더(104)에 삽입되는 모습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103)이 홀더(104)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를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를 도 4에서의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의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퍼들 램프(100)의 렌즈(102)가 차량의 사이드 미러(1)의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차량의 외부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측의 지면 또는 차량 바디에 광(2)을 조사하여, 주변이 어두운 공간에서도 운전자 및 탑승자가 승하차할 때 시야를 확보하도록 돕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2)을 방출하는 광원(101), 상기 광(2)을 차량의 외부로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102),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102)를 포함하는 하나의 배럴(103) 및 상기 배럴(103)이 조립되고 사이드 미러(1)에 고정되는 홀더(1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101)은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는 사람의 눈에 피로감을 적게 주고, 전력 소모량도 적으며,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어 디자인 자유도가 크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101)으로 LD(Laser Diode), 벌브 타입의 램프 등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벌브 타입의 램프로는 할로겐 램프,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원(101)은 필요로 하는 광(2)량을 만족하기 위하여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광원(101)의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렌즈(102)는 광원(101)으로부터 방출된 광(2)을 차량의 외부로 조사한다. 종래의 로고 마스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광원(101) 및 렌즈(102)만으로 퍼들 램프(100)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1)과 렌즈(102) 사이에 로고 마스크(105)가 설치된다. 그리고, 로고 마스크(105)로 인해 차량의 외부로 조사되는 광(2)에는, 로고 등의 패턴(미도시)이 함께 지면 또는 차량 바디에 표시된다. 이 때, 패턴이 어느 정도 선명하게 표시되어야 하므로, 렌즈(102)의 초점을 정확히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102)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복수의 렌즈(102)는 복수의 군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102)는 광원(101)으로부터 방출된 광(2)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콜리메이터(Collimator) 렌즈가 포함된 제1 렌즈군(1021), 로고 마스크(105)를 통과한 광(2)을 지면으로 투영시키며, 패턴이 선명하도록 광(2)을 굴절시키는 제2 렌즈군(1022)을 형성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 렌즈는 광원(101)으로부터 방출된 광(2)을 집광하여 초점 거리를 원하는 거리로 보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집광 렌즈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집광 렌즈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102)를 복수의 렌즈 유닛이라 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퍼들 램프(100)를 구성하는 렌즈(102)는 다양한 개수 및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렌즈(102) 각각은 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면 렌즈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럴(10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102)를 포함한다. 특히, 복수의 렌즈(102)가 복수의 군을 형성할 경우, 배럴(103)은 로고 마스크(105)를 통과한 광(2)을 지면으로 투영시키는 제2 렌즈군(10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상부 배럴(103) 및 하부 배럴(103)로 분리되어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르면, 배럴(103)은 하나만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구조가 단순화 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 원가도 절감하면서, 조립으로 인한 공차도 감소시킬 수 있다.
홀더(104)는 사이드 미러(1)에 고정되고, 배럴(103)이 조립되어, 결과적으로 배럴(103)을 사이드 미러(1)에 고정시킨다. 배럴(103)이 홀더(104)에 조립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106)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고 마스크(105)가 오링(106)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는 오링(106)을 더 포함한다. 오링(10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형상을 가지며,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 수지 등과 같은 탄성의 성질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오링(106)을 특정 공간에 끼우면, 주변을 압축하며 밀봉하게 되므로, 특정 공간과 오링(106) 사이의 간극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오링(106)은 로고 마스크(105)와 배럴(10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로고 마스크(105)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106)의 상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고 마스크(105)가 삽입될 수 있는 홈(1061)이 형성된다. 홈(1061)의 크기 및 모양은, 로고 마스크(105)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로고 마스크(105)의 크기 및 모양과 대응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061)에 로고 마스크(105)가 삽입되면 오링(106) 자체의 탄성에 의해 로고 마스크(105)가 오링(106)에 고정된다. 따라서, 로고 마스크(105)를 홀더(104)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추후에 수리를 위해 퍼들 램프(100)를 분리할 때에도 로고 마스크(105)를 홀더(104)로부터 해체하는 것 또한 용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링(106)이 홀더(104)에 삽입되는 모습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오링(106)에 형성된 홈에 로고 마스크(105)를 삽입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링(106)을 홀더(104)에 삽입한다. 특히, 오링(106)은 홀더(104)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홀더(104)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이 때, 오링(106)의 일측 외벽에는 리브(106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리브(1062)는 오링(106)이 홀더(104)의 내부 공간 안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두께가 어느 정도 두꺼워야 한다. 리브(1062)의 두께는 실험적으로 정해지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104)에는 상기 리브(1062)가 삽입될 수 있는 슬롯(도 5의 1041)이, 홀더(104)의 내부 공간의 일측 내벽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홀더(104)의 하단에서부터, 오링(106)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이동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슬롯(1041)의 크기 및 모양은, 상기 리브(1062)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리브(1062)의 크기 및 모양과 대응된다.
오링(106)이 홀더(104)에 삽입될 때, 리브(1062)가 슬롯(1041)에 함께 삽입된다. 따라서, 오링(106)에 삽입된 로고 마스크(105)의 방향이 이탈하지 않도록 사용자가 여러 시행 착오를 거칠 필요가 없이, 로고 마스크(105)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오링(106)을 홀더(104)에 삽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오링(106)의 일측 외벽에 리브(1062)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일측 내벽에 슬롯(1041)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오링(106)의 일측 외벽에 슬롯이 함몰되어 형성되고, 내부 공간의 일측 내벽에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여러 시행 착오 없이 로고 마스크(105)가 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오링(106)이 홀더(104)에 삽입될 수 있다면, 오링(106) 및 홀더(104)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103)이 홀더(104)에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로고 마스크(105)가 삽입된 오링(106)을 홀더(104)에 삽입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럴(103)을 홀더(104)에 삽입한다. 상기 기술한 바, 배럴(103)에는 렌즈(102)가 포함되어 있고, 렌즈(102)는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배럴(103)도 오링(106)과 마찬가지로, 홀더(104)의 하방으로부터, 홀더(104)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배럴(103)이 홀더(104)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면, 배럴(103)의 외주면과 상기 공간을 이루는 내벽의 내주면이 접촉한다. 그러면 배럴(103)과 홀더(104)의 동일한 위치에 함께 타공을 하고, 이로 인해 형성된 홀에 스크류를 삽입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배럴(103)이 홀더(104)에 조립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크 및 걸림부를 이용하여 홀더(104)에 배럴(103)을 조립할 수도 있다. 즉, 홀더(104)의 하단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배럴(103)의 외주면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배럴(103)을 홀더(104)에 밀어 넣으면 후크가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배럴(103)이 홀더(104)에 조립될 수도 있다. 즉, 배럴(103)이 홀더(104)에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를 조립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들 램프(100)는,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조립되어야 한다. 먼저, 오링(106)에 형성된 홈(1061)에 로고 마스크(105)를 삽입한다(S1101). 이 때, 오링(106)에는 리브(1062)가 형성되고, 홀더(104)에는 슬롯(1041)이 형성된다. 그리고 리브(1062)가 슬롯(1041)에 삽입되도록 홀더(104)에 오링(106)을 삽입한다. 즉, 리브(1062)의 형성 위치에 따라 오링(106)이 홀더(104)에 삽입되는 방향이 정해지므로, 로고 마스크(105)도 리브(1062)가 형성된 위치를 보며 오링(106)의 정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여러 시행 착오를 거칠 필요가 없이 용이하게 로고 마스크(105)를 오링에 삽입할 수 있다.
오링(106)에 형성된 홈(1061)에 로고 마스크(105)를 삽입한 후, 오링(106)을 홀더(104)에 삽입한다(S1102). 이 때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오링(106)에 형성된 리브(1062)가 홀더(104)에 형성된 슬롯(1041)으로 삽입되도록, 오링(106)을 홀더(104)에 삽입한다.
그리고 오링(106)을 홀더(104)에 삽입한 후, 배럴(103)을 홀더(104)에 삽입한다(S1103). 이 때,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가, 복수의 렌즈 유닛을 포함하는 배럴(103)에 고정되는 단계를 거쳐 배럴(103)의 내부 구성이 완성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럴(103)은 하나만으로 구성되므로,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사이드 미러 2: 광
3: 패턴 100: 퍼들 램프
101: 광원 102: 렌즈
103: 배럴 104: 홀더
105: 로고 마스크 106: 오링
1011: 광 1021: 제1 렌즈군
1022: 제2 렌즈군 1061: 홈
1062: 리브

Claims (14)

  1. 광을 방출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집광하며, 상기 광원의 전방에 위치하는 집광 렌즈;
    상기 집광 렌즈를 고정하며 복수의 렌즈 유닛을 가진 배럴과 조립되는 홀더; 및
    상기 배럴과 상기 광원 사이에 형성되며, 차량의 외부로 조사되는 상기 광에 특정 패턴을 표시하는 로고 마스크; 및
    상기 홀더에 조립되어, 상기 로고 마스크와 상기 배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오링을 포함하며,
    상기 오링의 상면에는, 상기 로고 마스크의 크기 및 모양이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의 퍼들 램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의 일측 외벽에는,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의 퍼들 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측 내벽에는, 상기 리브와 크기 및 모양이 대응되는 슬롯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의 퍼들 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의 퍼들 램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배럴과 복수의 스크류로 체결되어 조립되는, 차량용 아우터 미러의 퍼들 램프.
  8. 오링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광에 특정 패턴을 표시하는 로고 마스크가 삽입되는 단계;
    상기 로고 마스크가 삽입된 상기 오링이 홀더에 삽입되는 단계;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가, 복수의 렌즈 유닛을 가진 배럴에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배럴이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홈은,
    상기 로고 마스크의 크기 및 모양에 대응되는 퍼들 램프 조립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의 일측 외벽에는, 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퍼들 램프 조립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측 내벽에는, 상기 리브와 크기 및 모양이 대응되는 슬롯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퍼들 램프 조립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을 상기 홀더에 삽입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상기 리브가 상기 슬롯에 삽입되면서 상기 홀더에 삽입되는, 퍼들 램프 조립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링은,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되는, 퍼들 램프 조립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배럴과 복수의 스크류로 체결되어 조립되는, 퍼들 램프 조립 방법.
KR1020170025835A 2017-02-28 2017-02-28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KR101882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835A KR101882907B1 (ko) 2017-02-28 2017-02-28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CN201820163278.4U CN207880742U (zh) 2017-02-28 2018-01-30 迎宾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835A KR101882907B1 (ko) 2017-02-28 2017-02-28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907B1 true KR101882907B1 (ko) 2018-07-30

Family

ID=63048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835A KR101882907B1 (ko) 2017-02-28 2017-02-28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2907B1 (ko)
CN (1) CN207880742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812A (ko) * 2018-10-18 2020-04-28 주식회사 옵트론텍 회전 정렬이 용이한 광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로고 영사 장치
KR20200062600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용 퍼들 램프
KR20220152450A (ko) * 2021-05-07 2022-11-16 에이테크솔루션(주)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EP3982038A4 (en) * 2019-06-04 2023-08-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INTERIOR LIGHT FOR VEHICLE
EP4253149A1 (en) * 2022-03-31 2023-10-04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Logo lamp device, rear view system,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EP4089318A4 (en) * 2020-01-07 2024-01-17 Ichikoh Industries Ltd VEHICLE LAM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3659A (zh) * 2019-03-27 2019-08-27 一汽轿车股份有限公司 一种减小两后尾灯相邻位置灯不亮间隙的结构
CN111237719B (zh) * 2020-02-28 2022-02-15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迎宾系统、迎宾灯、车辆及迎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529A (ko) * 2007-06-21 2008-12-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JP3163899U (ja) * 2010-08-26 2010-11-04 立碁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ウェルカムランプ
JP2012234794A (ja) * 2011-04-17 2012-11-29 Okamura Densan:Kk Led照明装置
KR20160142155A (ko)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옵트론텍 영상 표시용 광학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529A (ko) * 2007-06-21 2008-12-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더스트 커버 개선 구조
JP3163899U (ja) * 2010-08-26 2010-11-04 立碁電子工業股▲ふん▼有限公司 ウェルカムランプ
JP2012234794A (ja) * 2011-04-17 2012-11-29 Okamura Densan:Kk Led照明装置
KR20160142155A (ko)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옵트론텍 영상 표시용 광학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812A (ko) * 2018-10-18 2020-04-28 주식회사 옵트론텍 회전 정렬이 용이한 광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로고 영사 장치
KR102130099B1 (ko) * 2018-10-18 2020-07-03 주식회사 옵트론텍 회전 정렬이 용이한 광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로고 영사 장치
KR20200062600A (ko) * 2018-11-27 2020-06-04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용 퍼들 램프
KR102150340B1 (ko) * 2018-11-27 2020-09-02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용 퍼들 램프
US11162656B2 (en) 2018-11-27 2021-11-02 Sl Corporation Puddle lamp for vehicle
EP3982038A4 (en) * 2019-06-04 2023-08-0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INTERIOR LIGHT FOR VEHICLE
EP4089318A4 (en) * 2020-01-07 2024-01-17 Ichikoh Industries Ltd VEHICLE LAMP
KR20220152450A (ko) * 2021-05-07 2022-11-16 에이테크솔루션(주)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KR102498928B1 (ko) 2021-05-07 2023-02-14 에이테크솔루션(주)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EP4253149A1 (en) * 2022-03-31 2023-10-04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Logo lamp device, rear view system,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US11940119B2 (en) 2022-03-31 2024-03-26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Logo lamp device, rear view system,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7880742U (zh) 2018-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907B1 (ko)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JP4825140B2 (ja) 車両用灯具
EP2324281B1 (en) Lamp assembly
US9249945B2 (en) Lamp module for vehicle
JP2008529233A (ja) 車両用ヘッドランプ
KR102150340B1 (ko) 차량용 퍼들 램프
KR200483320Y1 (ko) 차량용 램프
US7021804B2 (en) Lamp assembly with multi-stage reflector
KR101423668B1 (ko) 차량용 램프
CN211780839U (zh) 一种用于车灯的光学系统及一种车灯
CN103062695A (zh) 汽车用灯装置
KR20080040559A (ko) 차량용 등구
CN111288414A (zh) 一种用于车灯的光学系统及一种车灯
US20050036329A1 (en) Motor-vehicle headlight
US7033054B2 (en) Lamp assembly with peripheral auxiliary function
CN100545508C (zh) 车辆指示灯配光镜
US7775699B2 (en) Projector lamp having enhanced low to high beam contrast ratio
KR20150070551A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0482941Y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CN217131133U (zh) 外透镜、照明模块及机动车辆的前照灯
CN113167453A (zh) 用于前照灯的光学系统
KR102310284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KR101664036B1 (ko) 차량용 헤드라이트
KR200493836Y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