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928B1 -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 Google Patents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928B1
KR102498928B1 KR1020210058969A KR20210058969A KR102498928B1 KR 102498928 B1 KR102498928 B1 KR 102498928B1 KR 1020210058969 A KR1020210058969 A KR 1020210058969A KR 20210058969 A KR20210058969 A KR 20210058969A KR 102498928 B1 KR102498928 B1 KR 10249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ircuit board
body housing
lamp modu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2450A (ko
Inventor
조형한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테크솔루션(주) filed Critical 에이테크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210058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92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75Arrays characterized by non-optical structures, e.g. having integrated holding or alignment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9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s guides being of the hollow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60Projection of signs from lighting devices, e.g. symbols or information being projected onto the r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은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에 투광창이 마련된 바디하우징; 상기 바디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창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원부가 마련된 회로기판; 상기 광원부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렌즈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렌즈배럴; 및 상기 바디하우징의 일측 개구를 마감하는 포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Puddle lamp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매로 구성되는 렌즈의 조립 편의를 개선하면서도 조립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변 환경이 어두운 곳에 주차를 하게 되면 차량 주변을 확인하기가 곤란하며, 이로 인해 승하차시 승객이 큰 불편함을 겪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승객의 승하차 의지가 있는 경우 차량 주변부를 미리 밝게 해서 승객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퍼들램프(PUDDLE LAMP)가 사용되었으며, 도 1과 같이 아웃 사이드미러(1)에 장착된 퍼들램프(10)는 운전석과 조수석쪽의 지면에 빛(3)을 조사함으로써 운전자 및 탑승자의 승하차 시야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1524호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퍼들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빛을 방출하는 광원체; 상기 광원체의 전방에 위치하는 외측 렌즈; 상기 광원체와 상기 외측 렌즈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광원체에서 방출된 빛이 지면에 조사될 때 로고가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로고 마스크가 포함된 로고 마스크 서브 조립체; 및 상기 로고 마스크 서브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본체부와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는 상기 로고 마스크 서브 조립체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모터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로고 마스크 서브 조립체가 상기 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된 상기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면에 조사되는 로고의 패턴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및 차량 도어 퍼들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및 차량 도어 퍼들램프에서 표시하는 로고의 패턴을 다양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각 부품별 결합을 위해 스크류가 형성되어야 함으로써 각 부품별 제작의 용이성이 떨어지고 스크류에 의해서 결합된 부품간 틈이 발생하여 방수가 취약해져 장기간 사용에 따른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부품의 구성과 결합이 매우 복잡하여 부품제작시 공차가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결합공정이 복잡하여 제작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퍼들램프의 부품별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부품간 결합이 용이하고, 부품간 틈을 최소화하여 방수가 우수한 퍼들램프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71524호 (2019.06.2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매로 구성되는 렌즈의 조립 편의를 개선하면서도 조립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에 투광창이 마련된 바디하우징; 상기 바디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창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원부가 마련된 회로기판; 상기 광원부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렌즈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렌즈배럴; 및 상기 바디하우징의 일측 개구를 마감하는 포팅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렌즈는 직경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렌즈배럴은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렌즈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하로 각각 연장되고 상면과 하면이 인접 구조물과 접촉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의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복수의 렌즈의 전체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오목홈이 렌즈 광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오목홈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의 빛이 지면에 조사될 때 로고가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로고마스킹필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로고마스킹필름이 안착 지지될 수 있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과 회로기판의 결합면에는 상기 렌즈배럴의 조립위치에서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삽입돌기와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삽입돌기와 삽입공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하우징의 내부에는 일측 개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회로기판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지지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바디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과 바디하우징의 일측 개구 사이에 포팅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하우징의 지지턱과 일측 개구 사이 간격은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하우징은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광창은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바디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매로 구성되는 렌즈의 조립 편의를 개선하면서도 조립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이 제공된다.
도 1은 차량용 아웃 사이드 미러에 퍼들램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의 회로기판, 렌즈부 및 렌즈배럴의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에 따라 렌즈배럴에서 렌즈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회로기판, 렌즈 및 렌즈배럴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은, 바디하우징(110), 회로기판(120), 복수의 렌즈, 렌즈배럴(140), 로고마스킹필름(150), 포팅부(160) 및 전원접속부(17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하우징(110)은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면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제1개구(111)가 형성되고, 하면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제2개구(112)가 형성되고, 측면에 내부 수용공간과 연통하는 제3개구(113)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개구(112)는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투광창(114)에 의해 수밀하게 마감된다.
또한, 상기 바디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개구(111)를 통해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회로기판(120)의 조립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지지턱(11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턱(115)과 제1개구(111) 사이 간격은 회로기판(120)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됨에 따라 상기 회로기판(120)과 바디하우징(110)의 제1개구(111) 사이에 포팅부(160)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창(114)은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바디하우징(11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120)은 상기 바디하우징(110)의 제1개구(111)를 통해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고, 상기 바디하우징(110)의 지지턱(115)에 안착지지되어 조립 위치가 안내된 상태에서 체결부재(S)에 의해 바디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투광창(114)과 마주하는 위치에 광원부(121)가 마련된다. 이러한 광원부(121)는 고휘도 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광원부(121)의 전방에서 투광창(114)을 향해 일렬로 배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총 5매의 렌즈로 이루어지고, 광원부(121)에 근접 배치되는 제1렌즈(130a)는 광을 확산하는 발산렌즈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1렌즈(130a)로부터 투광창(114)을 향해 배치되는 제2렌즈(130b), 제3렌즈(130c), 제4렌즈(130d) 및 제5렌즈(130e)는 결상렌즈로서 기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렌즈는 배치 순서에 따라 광원부(121)에 가장 근접 배치되는 제1렌즈(130a)로부터 광원부(121)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제5렌즈(130e)에 이를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게 설정된다.
또한, 각 렌즈는 공통적으로 렌즈부(131), 상기 렌즈부(131)의 외주연에서 상하로 각각 연장되고 상면과 하면이 인접 구조물과 접촉하는 테두리부(132), 상기 테두리부(132)의 외주면 일측에 광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오목홈(133), 상기 오목홈(133)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34) 및 상기 테두리부(132)의 외주면 하단에 형성되는 경사면(135)을 포함한다.
즉,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 렌즈에 구비된 테두리부(132)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렌즈간의 상대 위치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렌즈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복수의 렌즈는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140)은 상기 복수의 렌즈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회로기판(12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렌즈(130a), 제2렌즈(130b), 제3렌즈(130c), 제4렌즈(130d) 및 제5렌즈(130e)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제1수용홈(141a), 제2수용홈(141b), 제3수용홈(143c), 제4수용홈(141d) 및 제5수용홈(141e)이 일렬로 형성되고, 각 수용홈 간의 경계에는 단턱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의 직경은 상기 렌즈가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렌즈의 외주면 하단에는 경사면(135)이 형성되므로 직경이 다소 작은 수용홈에 렌즈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140)의 상기 회로기판(120)과 마주하는 면에는 삽입돌기(143)가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120)의 상기 렌즈배럴(140)이 조립되는 위치에는 상기 삽입돌기(143)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122)이 형성되므로, 회로기판(120) 상에서 렌즈배럴(140)의 조립위치가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배럴(140)은 회로기판(120)에 조립된 상태에서 체결부재(S)에 의해 회로기판(12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수용홈의 전체 깊이는 상기 복수의 렌즈의 전체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므로, 상기 렌즈배럴(140)을 회로기판(120)에 고정하였을 때 복수의 렌즈가 서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배럴(140)에는 상기 로고마스킹필름(150)이 안착 지지될 수 있는 안착홈(1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안착홈(142)은 상기 제1수용홈(141a)과 제2수용홈(14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고마스킹필름(150)은 상기 광원부(121)의 빛이 지면에 조사될 때 로고 등의 특정 형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필름 상의 로고에 해당하는 영역을 투광성으로 하고 주변을 비투광성으로 형성하거나, 필름 상의 로고에 해당하는 영역을 비투광성으로 하고 주변을 투광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포팅부(160)는 상기 바디하우징(110)의 제1개구(111)를 수밀하게 마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포팅부(160)는 상기 회로기판(120)을 바디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한 다음, 회로기판(120)과 제1개구(111) 사이의 영역에 수지 등의 물질을 채워넣고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접속부(170)는 상기 광원부(12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로기판(120) 상에 고정되는 접속단자(171), 상기 제3개구(113)를 통해 상기 접속단자(17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172) 및 상기 커넥터(172)에 연결된 전원케이블과 제3개구(113) 사이를 수밀하게 마감하는 실링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의 조립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에 따라 렌즈배럴(140)에서 렌즈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은 렌즈의 조립 편의를 개선한 것으로서,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배럴(140)의 내부에 마련된 제5수용홈(141e)에 제5렌즈(130e)를, 제4수용홈(141d)에 제4렌즈(130d)를, 제3수용홈(143c)에 제3렌즈(130c)를, 제2수용홈(141b)에 제2렌즈(130b)를 각각 삽입하고, 상기 제2수용홈(141b)의 상측에 형성된 안착홈(142)에 로고마스킹필름(150)을 삽입한 다음, 상기 안착홈(142)의 상측에 마련된 제1수용홈(141a)에 제1렌즈(130a)를 삽입한다.
상기 복수의 렌즈는 직경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복수의 수용홈은 복수의 렌즈가 각각 삽입고정될 수 있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므로, 렌즈의 순서가 바뀌어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각 렌즈부(131)의 외주에 형성된 테두리부(132)가 상측과 하측에 배치되는 인접 구조물과 밀착하므로, 조립과정에서 렌즈간의 배치간격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렌즈배럴(140)의 내부에 복수의 렌즈와 로고마스킹필름(150)을 삽입한 후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20)의 광원부(121)가 위치하는 면에 렌즈배럴(140)의 상측을 밀착시킨 다음, 체결부재(S)를 이용해 렌즈배럴(140)을 회로기판(12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140)과 회로기판(120)의 조립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삽입돌기(143)와 삽입홈(122)이 형성(도 5 참조)되어 상기 광원부(121)에 대한 렌즈배럴(140)의 조립위치가 안내될 수 있으므로, 단순한 조립을 통해 상기 광원부(121) 전방의 정확한 위치에 렌즈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수용홈의 전체 깊이는 상기 복수의 렌즈의 전체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므로, 렌즈배럴(140)을 회로기판(120)에 고정한 상태에서 복수의 렌즈가 서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수한 조립품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 등에 복수의 렌즈의 사이 간격이 벌어져 광학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20)에 고정된 렌즈배럴(140)을 바디하우징(110)의 수용공간 내에서 투광창(114)을 향하도록 배치한 다음, 회로기판(120)을 바디하우징(110)의 지지턱(115)에 안착시키면 바디하우징(110) 내에서 회로기판(120)의 조립위치가 안내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부재(S, 도 3 및 도 4 참조)를 이용해 회로기판(120)을 바디하우징(110)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120)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상기 회로기판(120)에 고정된 접속단자(171)는 바디하우징(110)의 제3개구(113)를 향해 배치되고, 회로기판(120)의 상면과 바디하우징(110)의 제1개구(111)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120)의 상측에 마련된 공간으로 용융 수지를 주입한 다음 경화시키면 바디하우징(110)의 제1개구(111)에 포팅부(160)가 형성되므로, 제1개구(111)를 수밀하게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제3개구(113)를 통해 노출된 접속단자(171)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172)가 조립되고, 커넥터(172)에 연결된 전원케이블과 제3개구(113) 사이에는 실링부재(173)가 끼워져 제3개구(113)를 수밀하게 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하우징(110)의 제2개구(112)는 이중사출에 의해 제2개구(112)를 덮는 형태로 성형되는 투광창(114)에 의해 수밀하게 마감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이후, 전원접속부(170)를 통해 광원부(121)에 전원을 인가하면, 광원부(121)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제1렌즈(130a)를 통과하면서 확산되고, 로고마스킹필름(150)과 제2렌즈(130b), 제3렌즈(130c), 제4렌즈(130d) 및 제5렌즈(130e)를 통과하면서 상기 로고마스킹필름(150)에 인쇄된 로고 형상을 바닥면과 같은 대상면에 결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렌즈배럴(140)에 조립된 렌즈를 분리해야 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렌즈배럴(140)의 수용홈과 연통하는 광출사공으로 공구를 삽입하여 렌즈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공구가 렌즈부(131)에 직접적으로 닿기 때문에 렌즈부(131)의 광학적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렌즈(130a)의 테두리부(132)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오목홈(133)이 형성됨에 따라, 제1렌즈(130a)를 렌즈배럴(140)의 제1수용홈(141a) 내에 결합한 상태에서 오목홈(133)과 제1수용홈(141a) 사이에 인출용 도구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태의 인출용 도구를 오목홈(133)과 제1수용홈(141a)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고, 인출용 도구의 말단에 형성된 고리를 상기 오목홈(133)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34)에 끼워넣은 다음 렌즈를 상측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렌즈배럴(140)에 끼워진 렌즈를 분리할 수 있다.
아울러, 제2렌즈(130b) 내지 제5렌즈(130e) 역시 외주면에 오목홈(133)과 걸림턱(134)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인출용 공구(T)를 이용하여 렌즈배럴(14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바디하우징, 111:제1개구, 112:제2개구,
113:제3개구, 114:투광창, 115:지지턱,
120:회로기판, 121:광원부, 122:삽입공,
130a:제1렌즈, 130b:제2렌즈, 130c:제3렌즈,
130d:제4렌즈, 130e:제5렌즈, 131:렌즈부,
132:테두리부, 133:오목홈, 134:걸림턱,
135:경사면, 140:렌즈배럴, 141a:제1수용홈,
141b:제2수용홈, 141c:제3수용홈, 141d:제4수용홈,
141e:제5수용홈, 142:안착홈, 143:삽입돌기,
150:로고마스킹필름, 160:포팅부, 170:전원접속부,
171:접속단자, 172:커넥터, 173:실링부재,
S:체결부재, T:인출용 공구

Claims (11)

  1.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에 투광창이 마련된 바디하우징;
    상기 바디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투광창에 대응하는 위치에 광원부가 마련된 회로기판;
    상기 광원부 전방에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
    상기 복수의 렌즈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렌즈배럴; 및
    상기 바디하우징의 일측 개구를 마감하는 포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상하로 각각 연장되고 상면과 하면이 인접 구조물과 접촉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는 직경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렌즈배럴은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렌즈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의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복수의 렌즈의 전체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외주면 일측에는 오목홈이 렌즈 광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오목홈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빛이 지면에 조사될 때 로고가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로고마스킹필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로고마스킹필름이 안착 지지될 수 있는 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과 회로기판의 결합면에는 상기 렌즈배럴의 조립위치에서 서로 맞물릴 수 있는 삽입돌기와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삽입돌기와 삽입공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하우징의 내부에는 일측 개구를 통해 내부로 삽입된 회로기판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지지턱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바디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바디하우징의 일측 개구 사이에 포팅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하우징의 지지턱과 일측 개구 사이 간격은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하우징은 비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광창은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중 사출에 의해 상기 바디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KR1020210058969A 2021-05-07 2021-05-07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KR10249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69A KR102498928B1 (ko) 2021-05-07 2021-05-07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8969A KR102498928B1 (ko) 2021-05-07 2021-05-07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450A KR20220152450A (ko) 2022-11-16
KR102498928B1 true KR102498928B1 (ko) 2023-02-14

Family

ID=8423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969A KR102498928B1 (ko) 2021-05-07 2021-05-07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9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907B1 (ko) 2017-02-28 2018-07-30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524A (ko)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퍼들램프
KR102421086B1 (ko) * 2017-12-22 2022-07-14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용 퍼들램프
KR102558354B1 (ko) * 2018-08-08 2023-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외선 필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907B1 (ko) 2017-02-28 2018-07-30 주식회사 에스엘미러텍 퍼들 램프 및 퍼들 램프의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450A (ko)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86087B (zh) 连接器盒及其组装方法
JP5854297B2 (ja) 発光装置
US7699511B2 (en) Door mirror with turn lamp
JP2020111325A (ja) 車輌用撮像装置
US8845156B2 (en) Vehicle lamp
KR100637016B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JP5955303B2 (ja) ドアハンドル
US20150331106A1 (en) Photosensor unit
CN111868435B (zh) 用于车辆的照明装置
EP3284634B1 (en) Vehicular illumination device and cup holder
JPWO2015076113A1 (ja) 車輌用灯具
KR102498928B1 (ko) 차량용 퍼들 램프 모듈
CN117098684A (zh) 用于机动车辆的包括双反射光导的转向模块、转向装置以及机动车辆
JP2008226755A (ja) 車両用ランプ
CN114901994B (zh) Led照明装置
CN210492901U (zh) 一种可发光安全带锁扣
JP2019067602A (ja) コネクタボックスおよびその組立方法
US11453341B2 (en) Vehicle mirror device and illuminatable mirror display device
JP6900289B2 (ja) コネクタボックス
WO2020026753A1 (ja) 照明装置、ドアトリム、車両用ドア、及び車両
JP6847015B2 (ja) コネクタボックス
JP7115103B2 (ja) Etcアンテナ
CN220465366U (zh) 后视镜及具有其的车辆
JP3865348B2 (ja) 押ボタン装置、ならびにその取付方法
US11577642B2 (en) Turn signal lamp for outside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